[[분류:벼목]][[분류:풀]] ||<-2> '''{{{#fff {{{+1 큰조아재비}}}(티모시)[br]Timoth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큰조아재비.jpg|width=100%]]}}} || || '''학명''' || ''' ''Phleum pratense L.'' '''[br]Sp. Pl.: 59 (1753) || ||<-2>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역|{{{#000,#fff '''역'''}}}]] ||[[진핵생물|진핵생물역]](Eukaryota) || || [[생물 분류 단계#계|{{{#000,#fff '''계'''}}}]] ||[[식물|식물계]](Plantae) || || [[생물 분류 단계#문|{{{#000,#fff '''문'''}}}]] ||피자식물문 || || [[생물 분류 단계#강|{{{#000,#fff '''강'''}}}]] ||단자엽식물강 || || [[생물 분류 단계#목|{{{#000,#fff '''목'''}}}]] ||화본목 || || [[생물 분류 단계#과|{{{#000,#fff '''과'''}}}]] ||벼과(Poace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fff '''속'''}}}]] ||산조아재비속(Phleum) || || [[생물 분류 단계#종|{{{#000,#fff '''종'''}}}]] ||큰조아재비(P. pratense) || [목차] [clearfix] == 개요 == 길가나 풀밭에서 볼 수 있는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 여러해살이풀. 흔히 [[티모시]]라고 부른다. 주로 [[토끼]]나 [[기니피그]], [[말(동물)|말]] 등 [[초식동물]]용 [[건초]]로 많이 판다. 주로 추운 곳에서 자라는 식물로 씨앗의 특수한 구조 덕에 한랭한 곳에서는 쑥쑥 자라는 반면, 아열대는 물론 온대기후나 우리나라같이 고온다습한 곳에선 빌빌거리며 크지 못한다. 물론 하우스에서 재배에 성공한 사례가 있다. 꽃은 주로 6~7월에 핀다. 별명이 '사초(飼草)[* 가축 사료용으로 주는 풀]의 왕'이다. 화본과 사초 중에서 [[단백질]] 함량으로는 둘째 가라면 서러운 풀이기 때문. 화본과 작물은 비교적 양이 많으나 영양소 함량, 특히 조단백 수치가 떨어지는데, 제대로 된 시기에 수확한 큰조아재비는 화본과 주제에 12%에 육박한다. 사초 중의 갑 오브 갑인 [[자주개자리]](일팔파)의 평균 조단백이 고작 15%임을 생각해 보면 몹시 대단하다. 사람이 먹는 식품도 조단백이 10%도 안 나오는 게 수두룩하다. 그러면서도 [[칼로리]] 함량도 적절히 낮은 정도이기 때문에 칼로리가 높은 자주개자리와 달리 별달리 [[비만]] 걱정 없이 먹일 수 있다. 다만 다른 풀에 비해 질기기 때문에 [[턱]] 힘이 약한 동물들에겐 자주개자리를 섞어 주기도 한다.[* [[말(동물)|말]] 사육장에서 큰조아재비를 씹어 먹기 힘들어하는 것을 말이 늙었다는 증거로 보기도 한다.] == 여담 == [[먀릴리]]의 팬덤명이 여기서 따온 티모시이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티모시, version=88, paragraph=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