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67E32 0%, #B67E32 20%, #B67E32 80%, #B67E32)" '''[[|{{{#ffc224 The Honourable}}}]][br]{{{#ffc224 {{{+1 Claudia Mo Man-ching}}}}}}'''}}} || ||<-3>{{{#!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Claudia_Mo.jpg|width=100%]]}}}|| ||<-2> '''{{{#ffc224 한문 성명}}}''' ||'''毛孟靜 (모맹정)'''|| ||<-2> '''{{{#ffc224 영문 성명}}}''' ||'''Claudia Mo Man-ching (클라우디아 모우 만징)'''|| ||<|2><-2> '''{{{#ffc224 출생}}}''' ||[[1957년]] [[1월 18일]] || ||[[파일:영국령 홍콩 기.svg|width=28]] [[영국령 홍콩]][br]現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28]] [[중화인민공화국]] [[홍콩특별행정구]] || ||<-2> '''{{{#ffc224 국적}}}''' ||[[파일:영국령 홍콩 기.svg|width=28]] [[영국령 홍콩]] ^^(1957년 1월 18일-1997년 06월 30일)^^[br][[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28]] [[중화인민공화국]] [[홍콩특별행정구]] ^^(1997년 07월 01일-현재)^^|| ||<-2> '''{{{#ffc224 학력}}}''' ||[[칼턴 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2><-2> '''{{{#ffc224 가족}}}''' ||남편|| ||슬하 2남 || ||<-2> '''{{{#ffc224 정당}}}''' ||[include(틀:공민당)]^^(2006년 - 2016년)^^[br][include(틀:홍콩본토)]^^(2013년 - 현재)^^|| ||<-2> '''{{{#ffc224 지역구}}}''' ||서 [[구룡반도]] (Kowloon West, 九龍西)[* [[구룡성구]], [[야우침몽구]], 삼수이포구 관할] || ||<-2> '''{{{#ffc224 의원 대수}}}''' ||5, 6|| ||<-2> '''{{{#ffc224 현직}}}''' || [[파일:홍콩 입법회 로고.svg|width=28]] [[홍콩 입법회]] 의원^^(2012년 10월 1일 - 2020년 11월 11일)^^ [br] [[파일:15811545.png|width=28]] [[홍콩본토]] 대표 ^^(2016년 12월 4일 - 현재)^^ || ||<-2> '''{{{#ffc224 공식사이트}}}''' ||[[https://www.facebook.com/ClaudiaMoManChing/|[[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px]]]] || [clearfix] [목차] == 개요 == [[홍콩]]의 [[정치인]]. 현재 [[본토파]] [[정당]]인 [[홍콩본토]]의 공동대표이다. 출생은 [[홍콩]]에서 했지만 [[본적]]지는 [[저장성]] [[닝보]]시이다. == 생애 == [[1979년]] [[칼턴 대학교]]를 졸업하였다. [[1980년]] 20대의 모는 [[AFP]]에 입사하였다. 그때까지만 해도 모는 [[친중]] 성향이었다. 그런데 AFP에 입사한 클라우디아 모는 [[1988년]] AFP [[홍콩]] 지사로 발령을 받는다. 이게 클라우디아 모의 인생을 바꾼다. 클라우디아 모는 홍콩 통신원 자격으로 [[베이징]]에 방문, [[1989년]] [[천안문 6.4 항쟁]]에서 [[중국 인민해방군]]이 '''[[민주화]] 시위대를 [[탱크]]로 깔아뭉개는 장면을 직접 찍은 것'''이다. 이는 클라우디아 모한테 엄청난 충격을 안겼고, 결국 그녀는 홍콩 지사에서 더 이상 근무할 수 없다고 해서 [[프랑스]] [[AFP]] 본사로 이동한다. 이후 프랑스 2TV로 갔다가 [[1996년]] [[홍콩]]으로 귀국, [[TVB]]와 [[RTHK]]로 적을 옮긴다. 그러나 [[1997년]] [[홍콩 반환]] 이후 [[중국 공산당]] 정부는 [[천안문 6.4 항쟁]]의 당사자인 클라우디아 모를 그대로 두지 않았다. 계속해서 모는 [[친중파(홍콩)|친중파]] [[삼합회]]나 [[중국 공산당]]한테 탄압받았다. 질릴대로 질린 클라우디아 모는 결국 [[2006년]] [[민주파]] [[정당]]인 [[공민당]] 창당에 가담했다. 그리고 2년 후 [[RTHK]]는 [[중국 공산당]]의 압박으로 클라우디아 모를 [[해고]]했다. 이후로 클라우디아 모는 [[정치인]]의 길을 걷는다. === 정치 활동 === [[2012년]] [[홍콩 입법회 선거]]에서 서구룡(Kowloon West) [[지역구]]에서 당선되어 [[국회의원]]이 되었다. 2016년 홍콩 입법회 선거에서도 [[공민당]] 소속으로 당선되었다. 그러나 공민당이 점점 [[진보]] 색채가 강해지는 것이 [[중국 공산당]]과 다를 바 없다고 생각한 클라우디아 모는 자기가 창당에 가담했던 [[공민당]]을 [[탈당]]했다. 그리고 [[홍콩 독립운동]] 성향인 [[본토파]] [[정당]] [[홍콩본토]]에 들어가서 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홍콩본토]] 대표가 된 클라우디아 모는 [[민주파]]와 [[민주주의]] 관련한 입장은 같이 하지만 보다 강경해졌다. 또한 [[천안문]]의 기억 때문에 '''[[반공]] 성향'''이 강해졌다. [[2020년 홍콩 입법회 선거]] 예비선거에서 3위를 차지했다. == 기타 == [youtube(MQyxG4vTyZ8)] [[Vox Media]] 유튜브 채널에서 홍콩을 다루는 다큐멘터리에 자주 나오는 사람이다. [[홍콩]] 정치인 중에 몇 안 되게 [[언론인]] 출신[* [[한국]] [[정치인]]들은 언론인 출신들이 많지만 홍콩 정치인들 중에서 언론인 출신은 극히 드물다.]이라서 그런 듯 하다. [[분류:당 대표/홍콩]][[분류:중화권 언론인]][[분류:1957년 출생]][[분류:기자 출신 정치인]][[분류:제5대 홍콩 입법회 의원]][[분류:제6대 홍콩 입법회 의원]][[분류:홍콩의 민주운동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