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하츠네 미쿠의 노래, rd1=클로버♣클럽)] [include(틀:IBA 칵테일)] || [[파일:logo-iba.png|width=25]] {{{#ffffff '''IBA Cocktail, The Unforgettables'''}}}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클로저클럽4.jpg|width=100%]]}}} || || {{{#ffffff '''{{{+3 Clover Club}}}'''}}} || [목차] == 개요 == > '''비범하고, 맛있고, 강하며, 전혀 묽지 않다.''' > '''unusual, tasty, strong, and not at all slimy.''' > ---- > - 데이비드 원드리치{{{-2 (David Wondrich)}}}, 칼럼리스트 [[진(술)|진]]을 베이스로 하며, [[핑크 레이디]]와 여러가지 유사한 점이 많은 [[칵테일]]이다. 현재 [[IBA]] 공식 칵테일에 등록되어 있는 레시피 중 하나이다. == 상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클로버클럽23.jpg|width=100%]]}}} || || {{{#ffffff '''당시 벨루브 스탠포드{{{-2 (Bellevue-Stratford)}}} 호텔의 내부 모습'''[* 사진 속 시설이 클로버 클럽의 집합장소로 추정된다고 한다.]}}} || [[미국]]의 [[금주법]] 이전에 탄생한 클래식 칵테일 중 하나로, [[필라델피아]]의 유명 랜드마크 중 하나인 벨루브 스탠포드{{{-2 (Bellevue-Stratford)}}} 호텔에서 있었던 남성 사교 모임인 '''“클로버 클럽{{{-2 (Clover club)}}}”'''에서 탄생했다고 전해진다. 허나 정확히 누구에 의해, 또 언제 탄생했는지에 대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았다. [[https://spiritsbeacon.com/cocktails/recipes/clover-club|#]] [[https://sipsmith.com/around-world-50-classic-cocktails-the-clover-club/|#]] 추정해보자면, [[1897년]] 메리 R. 디컨의 저서인 <[[필라델피아]]의 클로버 클럽{{{-2 (The Clover Club of Philadelphia)}}}>의 172쪽 부분에 클로버 클럽이 언급되어 있고, [[브루클린]]의 클로버 클럽 레스토랑에서는 이 필라델피아 사교 모임이 [[1882년]]에서 [[1920년]]까지 지속되었다고 주장하는 것을 보아 적어도 [[1897년]] 이전에 생긴 것이라 되짚어 볼 수 있겠다. [[http://cloverclubny.com/history/|#]] [[http://cn.shizueadachi.xyz/read/?id=uOU-AAAAYAAJ&format=pdf&server=1|#]] 이후 사교 모임의 회원들로부터 점차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당시 [[필라델피아]] 뿐만 아니라 [[뉴욕]]의 월도프 아스토리아와 플라자 호텔에서 판매하기 시작하는 등 [[1910년]]까지 남성적인 칵테일로 인기세를 펼치게 된다. 당시에는 유명인사들 중에서도 클로버 클럽을 즐겼던 인물이 몇몇 존재했는데, 대표적으로 [[아일랜드]] 출신의 [[시인(문학)|시인]]이자 [[작가]]로 활동했던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2 (William Butler Yeats)}}}는 클로버 클럽을 소개받은 이후부터는 [[와인]] 대신 클로버 클럽을 저녁식사와 함께 곁들여 마셨다고 전해진다. [[https://spiritsbeacon.com/cocktails/recipes/clover-club|#]] [[https://www.worldsbestbars.com/history-in-a-glass/|#]] 허나 [[1930년]] 즈음부터 점차 인기가 시들해지기 시작했고, 급기야 [[에스콰이어(잡지)|에스콰이어]]에서는 ‘최악의 칵테일 TOP 10’ 중 하나로 소개하며 ‘[[게이]]들이나 마시는 칵테일’… 이라 비판하기도 한다. 이후 [[마르티네스]]가 유행세를 끌게 되며 클로버 클럽은 점차 사람들에게서 잊혀지기 시작한다. [[https://sipsmith.com/around-world-50-classic-cocktails-the-clover-club/|#]] [[https://chilledmagazine.com/drink-in-history-clover-club|#]] 다행히도 [[2000년대]]부터 [[미국]]에서 과거의 클래식 칵테일들을 되살리려는 시도들이 여러 차례 이루어지게 되고, 그 중 클로버 클럽도 발굴되며 [[2007년]] 데이비드 원드리치{{{-2 (David Wondrich)}}}에 의해 에스콰이어의 칼럼에 등장해 클로버 클럽의 부활을 알렸다.[* 이전에는 클로버 클럽을 비판하며 역사 속으로 잊혀지게 했던 에스콰이어가 이번에는 클로버 클럽을 다시 부활시킨 셈이니, 참으로 아이러니하지 않을 수 없다…] 이후 [[2009년]]에도 [[바텐더]] 줄리 라이너{{{-2 (Julie Reiner)}}}가 현대적으로 변형한 클로버 클럽을 선보이는 등 점차 이전의 인지도를 되찾게 되며, 오늘날 클로버 클럽은 [[IBA]] 공식 칵테일에 등록되어 있다. [[https://chilledmagazine.com/drink-in-history-clover-club|#]] [[https://spiritsbeacon.com/cocktails/recipes/clover-club|#]] [[https://sipsmith.com/around-world-50-classic-cocktails-the-clover-club/|#]] 여담으로, 지금이야 [[분홍색]]은 여기저기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색이지만, [[1890년대]] 당시에는 무척 남성적인 색으로 여겨졌다고 한다. 클로버 클럽이 분홍색을 띄는 이유도 그 때문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https://chilledmagazine.com/drink-in-history-clover-club|#]] == 레시피 == === IBA 공식 레시피 === ||<#FFF,#1F2023> * [[진(술)|진]] - 45 ml (1 1/2 oz) * [[레몬]] 주스 - 15 ml (1/2 oz) * [[라즈베리]] [[시럽]] - 15 ml (1/2 oz) * [[달걀]] 흰자 - Few Drops[* 거품을 내기 위한 용도로, 조금만 넣어주면 된다.] ----- 위의 재료들을 얼음과 함께 8~10초 가량 [[셰이크|셰이킹]]해 준 다음, 얼음을 걸러내고 차갑게 식힌 [[마티니 글라스]]에 따라준다. 이후 [[라즈베리]]로[* 칵테일 핀에 라즈베리 3개를 꽂아주는 게 정석이다.] 가니쉬해주면 완성. || 재료 중 라즈베리 시럽이 없을 경우, 직접 만들어 사용하면 된다. [[라즈베리]]와 설탕, 물을 각각 1:2:1 비율로[* 보통 라즈베리 120g을 기준으로 비율을 측정해 넣어준다.] 20분 정도 중불에 끊어준 다음, 찌꺼기들을 채로 걸러내어 병에 담아주면 완성. 생각보다 간단하다. 일본 쪽에서는 라즈베리 시럽 대신 [[그레나딘 시럽]]을 사용하는 레시피가 일반적이다. [[클로버♣클럽|하츠네 미쿠의 클로버♣클럽]] 가사에서도 라즈베리 대신 그레나딘 시럽을 언급한다. 스위트 [[베르무트]]를 첨가하는 배리에이션도 있다고. 달걀 흰자를 빼고 만들 수도 있지만, 맛이 날카로워지고 거품이 확실히 덜 나온다. 특유의 부드러운 맛을 느끼려면 되도록 넣는 것이 좋다. [[분류:진 베이스 칵테일]][[분류:IBA 공식 칵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