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룸 술탄국 술탄)] ---- 이즈 앗 딘 클르츠 아르슬란 [[페르시아어]], [[아랍어]] : {{{+1 عز الدین قلج ارسلان بن مسعود }}} [[터키어]] ʿIzz ad-Dīn Kilij Arslān ibn Masʿūd 생애 1113년 ~ 1192년 8월 재위 1156년 ~ 1192년 8월 [목차] == 개요 == [[룸 술탄국]]의 5대 술탄. 부왕 메수트에 이어 룸 셀주크를 안정적으로 통치하였고, [[동로마 제국]]과 [[다니슈멘드]] 모두를 격파하며 동서로 영토를 확장하였다. 다만 말년에 아들들에게 영토 분봉을 해준 것이 내전으로 이어졌고, 여기에 [[3차 십자군]]까지 남하하며 혼란을 겪었다. 다행히 막내 아들이자 후계자인 [[케이휘스레브 1세]]의 도움으로 내분은 어느정도 종식된다. == 즉위 == 1156년 부왕 [[메수드 1세]] 사후 43세의 나이로 계승하였다.[* 룸 술탄들 중에서는 처음으로 분란 없이 계승하였다. 2대 클르츠 아르슬란의 경우 부왕의 사망 당시 포로 신세였고, 3대 멜리크샤 역시 그러했으며 4대 메수트도 형을 폐위하고 술탄에 올랐다] 1159년 [[동로마 제국]]의 [[마누일 1세]]가 [[십자군]] 국가들을 복속시키고 [[누르 앗 딘 마흐무드]]와 협약을 맺은 후 회군하며 [[콘야]] 인근을 지나자 공격했으나 별 타격을 입히지 못하였다. 그리고 이듬해 마누일의 조카 [[요안니스 칸타쿠지노스]]가 보복 원정을 가하자 그에 맞섰으나 패배하였고, 평화를 대가로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친히 나아가 복속을 표하는 굴욕을 겪어야 했다. 1173년 클르츠 아르슬란은 누르 앗 딘과 연합하여 모술 [[장기 왕조]]의 사이프 앗 딘 가지 2세에 맞섰다. == 영토 확장 == 한편 동로마 제국과의 평화는 15년간 이어졌지만 그동안에도 양측은 국경에 요새를 증축하며 서로를 방비하였다. 그러던 1175년 클르츠 아르슬란은 누르 앗 딘의 사망으로 무방비 상태에 놓인 [[다니슈멘드]]를 공격해 여러 지역을 점령하였다. 마누일 1세는 룸 셀주크에게 속국으로써 해당 영토의 양도를 요구했는데, 클르츠 아르슬란이 거부하자 협상을 거부하고 콘야 점령을 목표로 친정에 나섰다. 이로써 벌어진 1176년의 [[미리오케팔론 전투]]에서 클르츠 아르슬란은 승리하였고, 영토의 현상 유지와 도릴라이온 요새 철거를 조건으로 평화 협정을 맺었다. 1178년 클르츠 아르슬란은 남은 다니슈멘드 영토를 병합하며 그를 멸망시켰고, 이로써 동부 아나톨리아를 평정할 수 있었다. 이듬해에는 예루살렘 순례에 나선 샹파뉴 백작 앙리 1세를 사로잡았고, 후자는 마누일의 보석금 납부로 풀려났으나 영지로 돌아가던 중 사망하였다. 1180년 적수 마누일이 사망하자 동로마 제국의 혼란을 틈타 남부 해안을 원정하였고, [[와지르]] (재상) 이크티야르 앗 딘을 시리아로 보내어 [[아이유브 왕조]]의 [[살라흐 앗 딘 유수프]]와 동맹하였다. 1182년에는 동로마령 요새도시 코타이온 ([[퀴타히아]])을 점령하였다. == 혼란과 십자군 == 1185년 클르츠 아르슬란은 동로마 황제 [[이사키오스 2세]]와 휴전을 맺어 10여년간 이어진 전쟁을 마무리지었다. 이듬해 고령이라 여긴 그는 11명의 아들들에게 영지를 나눠주었는데, 그들은 곧장 골육상쟁에 돌입하며 룸 술탄국에 혼란을 초래하였다. 얼마 후 [[프리드리히 1세]]가 [[3차 십자군]]을 이끌고 나타나자 클르츠 아르슬란은 그에게 자유 통행을 보장했으나 쿠트브 앗 딘을 포함한 일부 아들들과 호족들은 항전에 나섰고, 필로멜리온 전투와 이코니온 전투 결과 모두 패배하였다. 그 과정에서 수도 콘야는 십자군의 약탈과 학살로 폐허가 되었다. == 내전과 죽음 == 십자군이 떠난 후 쿠트브 앗 딘은 패잔병을 모아 콘야로 돌아와 수도를 장악하였고, 클르츠 아르슬란은 [[카이세리]]로 피신하였다. 이에 쿠트브 앗 딘은 술탄을 칭하였으나 1192년 클르츠 아르슬란은 다른 아들 카이휘스레브와 함께 콘야를 수복하고 쿠트브 앗 딘이 피신한 악사라이를 포위하였다. 다만 포위 도중 클르츠 아르슬란은 77세의 나이로 사망하였고, 카이휘스레브 1세가 술탄으로 계승하였다. == 기타 == 1186년 클르츠 아르슬란은 11명의 아들들에게 영토를 분할하였다. * 쿠트브 앗 딘 : [[시바스]], [[악사라이]] * 루큰 앗 딘 [[쉴레이만샤 2세]] : [[토카트]] * 누르 앗 딘 : [[카이세리]] * 묵세드 앗 딘 : [[엘비스탄]] * 무이즈 앗 딘 케이세르샤 : [[말라티아]] * 무히 앗 딘 메수트 : [[앙카라]], [[찬크르]], [[카스타모누]], [[에스키셰히르]] * 기야스 앗 딘 [[케이휘스레브 1세]] : [[퀴타히아]], 울루보를루 * 나세르 앗 딘 : [[니크사르]], 코율히사르 * 니잠 앗 딘 : [[아마시아]] * 아르슬란샤 : [[니으데]] * 산자르샤 : 에르을리 (헤라클레아) 같은해 막내딸 셀주키 하툰은 [[압바스 왕조]]의 칼리파 앗 나시르와 결혼하였다. 다만 그녀는 2년 후에 요절한다. [[뤼베크]]의 아르놀트에 따르면 벨프 가문의 [[작센]]-[[바이에른]] 선제후인 사자공 하인리히가 1172년 [[예루살렘]] 순례를 위해 아나톨리아를 지나자 클르츠 아르슬란은 [[타르수스]]에서 그를 영접하고 '피의 형제'라며 포옹했다 한다. 이에 하인리히가 연유를 묻자 클르츠 아르슬란은 먼 옛날 한 게르만 여인이 루스의 군주와 결혼하여 딸을 낳았고, 그녀가 아나톨리아로 와서 룸 셀주크 왕가의 선조가 되었다 답했다 한다. 사후 콘야의 알라에딘 모스크 옆에 조성된 고깔형 영묘에 매장되었다. [[분류:십자군 전쟁/관련인물]][[분류:룸 술탄]][[분류:1113년 출생]][[분류:1192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