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nometer, 傾斜計 [목차] == 개요 == [[야외지질학]]에서 사용하는 도구로, [[지층]]의 [[주향]]과 [[경사]]를 재는 도구이다. 과거 경사의, 경사추 등으로 불렸다. 비슷한 장치로 [[브런톤컴퍼스]]나 [[클리노컴퍼스]], [[군대]]에서 사용하는 [[M1 나침의]] 등이 있다. 기본적으로는 [[지질학]]에서 사용하는 도구이나, [[기상 관측]]은 물론 [[광산]], 공장 등에서의 공업용으로도 사용된다. 어느 지층의 주향([[층리|층리면]])과 경사는 물론, [[절리|절리면]], [[엽리|엽리면]], [[선구조]] 등을 관측할 수 있으며, [[삼각측량]]을 바탕으로 지도상에 자신의 위치를 나타낼 수도 있다. == 구조 == 클리노미터는 한 손에 들어올 정도의 작은 직육면체 모양으로, 일반적으로 [[나침반]], [[수평기]], [[추]]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는 나침반을 고정시키는 작은 버튼이 달려있다. == 사용법 == 먼저 클리노미터의 긴 변을 지층면에 나란하게 놓고 수준기를 이용해 수평을 맞춘다. 이때 클리노미터의 나침반이 가리키는 방향이 주향이다. 이후 클리노미터의 긴 변을 지층면에 수직으로 놓는다. 이때 클리노미터의 추가 가리키는 각도가 그 지층의 경사각이다. 지층의 주향은 N30˚E와 같은 식으로 [남북 + 각도 + 동서 방향]으로 표기하며, 경사는 25˚SW와 같은 식으로 [각도 + 남북 + 동서 방향]으로 표기한다. [[분류:지구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