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94년 출생]][[분류:제네바 출신 인물]][[분류:스위스의 농구 선수]][[분류:센터(농구)]][[분류:휴스턴 로키츠/은퇴, 이적]] [include(틀:애틀랜타 호크스/선수단)] || {{{#fff '''클린트 카펠라의 수상 이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NBA 역대 리바운드왕)] ---- ||<-5>
'''{{{#fff [[휴스턴 로키츠|{{{#fff 휴스턴 로키츠}}}]] 등번호 15번}}}''' || || 토니 더글라스[br](2012~2013) || → || '''{{{#000 클린트 카펠라[br](2014~2020)}}}''' || → || [[드마커스 커즌스]][br](2020~2021) || ||<-5> '''{{{#fff [[애틀랜타 호크스|{{{#fff 애틀랜타 호크스}}}]] 등번호 15번}}}''' || || [[빈스 카터]][br](2018~2020) || → || '''{{{#000 클린트 카펠라[br](2020~)}}}''' || → || [[현역#s-2|현역]]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0005352.png|width=100%]]}}} || ||<-2> '''애틀랜타 호크스 No.15''' || ||<-2> '''클린트 은둠바 카펠라[br](Clint N'Dumba Capela)''' || || '''생년월일''' ||[[1994년]] [[5월 18일]] ([age(1994-05-18)]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스위스)] || || '''출신지''' ||[[제네바]] || || '''신체''' ||208cm, 116kg || || '''포지션''' ||[[센터(농구)|센터]] || || '''등번호''' ||스위스 농구 국가대표팀 - 13번, 14번[br]엘랑 샬롱 - 4번, 21번[br]리오그란데 밸리 바이퍼스 - 32번 || || '''드래프트''' ||[[NBA 드래프트/2014년도|2014년 NBA 드래프트 1라운드 25순위]][br][[휴스턴 로키츠]] 지명 || || '''소속 팀''' ||엘랑 샬롱 (2012~2014)[br][[휴스턴 로키츠]] (2014~2020)[br]→ [[휴스턴 로키츠 #s-9|리오그란데 밸리 바이퍼스]] (2014~2015)[br]'''[[애틀랜타 호크스]] (2020~)''' || || '''계약''' ||2023-24 ~ 2024-25 / $45,881,280 || || '''연봉''' ||2023-24 / $20,616,000 || || '''관련 링크''' ||[[https://www.facebook.com/capelaclint|[[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CapelaClint, 크기=24)] | [[https://www.instagram.com/ccapela15/|[[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클린트 카펠라는 [[스위스]] 국적의 [[센터(농구)|센터]]이다. == 선수 경력 == === NBA 이전 === [[스위스]] [[제네바]]에서 출생하였다. 카펠라 부모님은 앙골라와 콩고 이민자 출신이다. NBA 진출 이전에는 프랑스에서 뛰었다. === [[휴스턴 로키츠]] === 2014년 휴스턴 로키츠와 계약하며 NBA에 입성하였다. 2.08m의 키와 109kg의 몸무게를 갖고 있다. 2016-17시즌 부터 주전 센터로 나오더니, 2017-18시즌 부터는 리그 최고의 패서인 [[크리스 폴]]과 [[제임스 하든]]의 A패스에 힘입어 득점 능력, 리바운드 능력이 눈에 띄게 향상되어 리그 수준급 센터로 성장하였다.[* [[유서프 너키치]], [[스티븐 아담스]] 등과 함께 젊은 준척급 센터로 인정받는 편.] 윙스펜도 상당해서 블락 능력도 좋다. 특히 모리볼로 극단적인 3점을 추구하는 팀 스타일상 홀로 페인트존에서 버텨야하는 센터가 매우 고생스러울 수 밖에 없었는데 그 역할을 아주 훌륭하게 수행해줬다. 2020년 1월 31일, [[로버트 코빙턴]] 영입을 위해 뜬금없이 트레이드로 애틀랜타로 이적할 것이라는 소식이 들어왔고, 실제로 [[덴버 너기츠]], [[휴스턴 로키츠]], [[미네소타 팀버울브스]], [[애틀란타 호크스]] 4각 트레이드로 인해 애틀란타로 트레이드되었다. === [[애틀랜타 호크스]] === 트레이드 되었으나 부상중이었던지라 한경기도 뛰지도 못하고 [[코로나19]]로 인해 시즌이 조기 종료되었다. 다음시즌부터 팀의 에이스인 [[트레이 영]]과의 어떤 호흡을 보여줄지 기대해볼 부분. 20-21 시즌들면서 걸출한 리바운드 능력을 보여주고 있는데 시즌 초반 13경기 한정으로 평득 14+, 평균리바운드 14+, 평균블록 2+를 보여줄 만큼 좋은 폼을 보여주였다. 현지기준 1월 21일 [[디트로이트 피스톤즈]]와의 경기에서 27득점 26리바운드 5블락을 기록하며 엄청난 폼을 보여주더니[* 참고로 25+득점, 25+리바운드, 5+블락은 역대 5번째 기록이며 이 기록을 보유한 나머지 4명은 [[하킴 올라주원]], [[패트릭 유잉]], [[디켐베 무톰보]], [[샤킬 오닐]]이다.], 1월 22일 [[미네소타 팀버울브스]]와의 경기에서 13득점 19리바운드 '''10블록'''으로 커리어 첫 트리플더블을 달성했다. 14.3리바운드로 평균 리바운드 1위에 올랐다. 포스트시즌에서도 호크스의 골 밑 공격을 책임져주고있고 컨퍼런스 파이널 4차전에서는 [[래리 버드]]가 성공시킨 것으로 유명한 '''백보드에서 골 넣기'''를 성공시키면서 애틀랜타 홈구장을 환호시켰다. [[https://www.youtube.com/watch?v=8O6RO5tsZqo|영상]][* 카펠라의 샷을 보고 경악하며 일어서는 흑인은 호크스의 영구결번선수 [[디켐베 무톰보]]다.] == 역대 성적 == ||
{{{#CCCCCC '''시즌'''}}} || {{{#CCCCCC '''소속팀'''}}} || {{{#CCCCCC '''경기수'''}}} || {{{#CCCCCC '''시간'''}}} || {{{#CCCCCC '''필드골'''}}} || {{{#CCCCCC '''3점슛'''}}} || {{{#CCCCCC '''자유투'''}}} || {{{#CCCCCC '''득점'''}}} || {{{#CCCCCC '''리바운드'''}}} || {{{#CCCCCC '''어시스트'''}}} || {{{#CCCCCC '''스틸'''}}} || {{{#CCCCCC '''블록'''}}} || {{{#CCCCCC '''턴오버'''}}} || {{{#CCCCCC '''트루슈팅'''}}} || [[선수 효율성 지수|{{{#CCCCCC '''PER'''}}}]] || || 14-15 ||<|6> [[휴스턴 로키츠|HOU]] || 12 || 7.5 || .483 || .000 || .174 || 2.7 || 3.0 || 0.2 || 0.1 || 0.8 || 0.4 || .409 || 12.1 || || 15-16 || 77 || 19.1 || .582 || .000 || .379 || 7.0 || 6.4 || 0.6 || 0.8 || 1.2 || 0.8 || .553 || 18.3 || || 16-17 || 65 || 23.9 || .643 || .000 || .531 || 12.6 || 8.1 || 1.0 || 0.5 || 1.2 || 1.3 || .638 || 21.4 || || 17-18 || 74 || 27.5 || .652 || .000 || .560 || 13.9 || 10.8 || 0.9 || 0.8 || 1.9 || 1.4 || .650 || 24.5 || || 18-19 || 67 || 33.6 || .648 || .000 || .636 || 16.6 || 12.7 || 1.4 || 0.7 || 1.5 || 1.4 || .658 || 23.8 || || 19-20 || 39 || 32.8 || .629 || .000 || .529 || 13.9 || 13.8 || 1.2 || 0.8 || 1.8 || 1.6 || .626 || 20.6 || || 20-21 ||<|1> [[애틀랜타 호크스|ATL]] || 63 || 30.1 || .594 || .000 || .573 || 15.2 || 14.3 || 0.8 || 0.7 || 2.0 || 1.2 || .601 || 24.3 || == 플레이 스타일 == [youtube(ffWBm3lBM1c)] 현대 NBA에서 슛없는 빅맨으로서 살아남기 위한 스킬만 몰빵한 전형적인 수비형 센터. 우선 팔이 길고 점프력도 좋아서 림프로텍팅에 능하다. 기동성이 좋아 수비에서 전방위로 뛰어다니며, 덩치에 비해 민첩한 편이라 미스매치에도 어느 정도 버틸수 있다. 리바운드는 리그 탑레벨. 공격리바운드를 걷어내는 전투적인 허슬이 돋보이며, 출전시간만 충분하다면 경기당 12~15개 정도는 능히 잡아낼 수 있다. 공격에서는 받아먹는 능력이 좋아 높은 수치의 야투율을 기록한다. 휴스턴 시절의 [[제임스 하든]]과 [[크리스 폴]], 애틀랜타의 [[트레이 영]]처럼 빅맨을 잘 활용하는 핸들러의 픽앤롤 파트너로 활약하기 딱 좋은 타입이다. 수비와 리바운드에 능하고 궂은일을 담당하는 좋은 센터이지만 스스로 득점을 짜낼 능력은 없다. 포스트에 자리잡으면 볼 투입해주고 알아서 해보라고 냅둘만한 센터는 아닌 셈. 또한 자유투는 커리어 통산 성공률이 5할 초중반대에 머무를 정도로 약하다. 당연히 슛은 없다시피 하고, 픽앤롤을 하더라도 빠르게 슬립해 림으로 달려나가는 타입이라 핸들러를 좀 가린다. 하든이나 영과는 잘 맞는 반면, [[러셀 웨스트브룩]]과는 굉장히 맞지 않았던 게 그 예시.[* 때문에 2019-20 시즌 도중 애틀랜타로 트레이드 된 이후 [[러셀 웨스트브룩]]이 크게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웨스트브룩 같은 유형의 선수는 픽을 받고 들어가는 시점에 림어택 닥돌 외에는 선택지가 없는 편이라, '''림 주변에 아군이 있어봐야 자체길막 방해만 될 뿐이다.'''] == 수상 내역 == || '''수상 내역''' || ||'''NBA 리바운드왕 (2021)[br]NBA D리그 올디펜시브 퍼스트 팀 (2015)[br]멜리외르 죈 드 프로 A (2014)[br]LNB Pro A 기량발전상 (2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