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jupu'bogh, boQ'a' bIQublaH 'e' DaHar.'''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스타트렉]]의 [[클링온]]들이 쓰는 언어. 작중 설정만으로 끝난 것이 아니라, 시리즈가 이어짐에 따라 파라마운트 영화사에서 [[언어학자]]에게 의뢰하여 '''실제 사용이 가능한 [[인공언어]]'''로 만들어냈다.[* 마크 오크랜드(Marc Okrand)라는 언어학자가 참여하여 1985년 "클링온어 사전"을, 1997년에는 "우주여행자를 위한 클링온어"를 출판하면서 어휘, 문법, 발음 등을 구체적으로 정립했다.] == 문자 및 발음 == [[파일:KLI_pIqaD.svg|width=100%&bgcolor=#fff]] 클링온어는 설정상 외계어인 만큼 독자적인 문자 체계를 가지고 있다. 그것이 바로 위 사진 속 문자인 클링온 문자이다. 그러나 현행 컴퓨터 시스템으로 클링온 문자를 보통 문자처럼 입력하기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1997년에 클링온 문자를 [[유니코드]]에 넣으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2001년에 거절당했다. [[http://std.dkuug.dk/JTC1/SC2/WG2/docs/n1643/n1643.htm|#1]] [[https://www.unicode.org/L2/L2001/01378-n2370-liaison-rpt-singapore.htm|#2]]] 주로 이미지 파일의 형태로 존재하고, 그 대신 클링온어의 [[로마자 표기법]]이 존재한다. === 라틴 문자 표기 === 라틴 문자 표기와 발음은 아래와 같으며, '(qaghwI')를 제외한 자음은 C-ay를 붙이며, 모음은 'V-t 형식으로 만든다. 즉, j는 jay, e는 'et로 부르는 식. 굵게 표시된 부분이 주의해야 할 표기 및 발음. || 라틴 문자 || 명칭 ||<-2> [[국제음성기호|IPA]] || 비고 || || a || 'at || /ɑ/ ||후설 비원순 저모음 || || || b || bay || /b/ ||유성 양순 파열음 ||p의 유성음 || || ch || chay || /t͡ʃ/ ||무성 후치경 파찰음 ||j의 무성음, 한국어 ㅉ(/t͡ɕ/)과 유사[*ch-j [[후치경음]]과 [[치경구개음]]은 조음점이 비슷하다.] || || '''D''' || Day || /ɖ/ ||유성 권설 파열음 ||대응 무성음 없음[* 클링온어에는 T가 없다. 더불어 t는 치경 파열음.] || || e || 'et || /ɛ/ ||전설 비원순 중저모음 || || || '''gh''' || ghay || /ɣ/ ||유성 연구개 마찰음 ||H의 유성음 || ||<|2> '''H''' ||<|2> Hay || /x/ ||무성 연구개 마찰음 ||gh의 무성음, 독일어 ch, 러시아어 x와 동일 || || /χ/ ||무성 구개수 마찰음 ||조음점이 유사한 발음 || || '''I''' || 'It || /ɪ/ ||근전설 비원순 근고모음 || || || j || jay || /d͡ʒ/ ||유성 후치경 파찰음 ||ch의 유성음, 한국어 어중 ㅈ(/d͡ʑ/)과 유사[*ch-j] || || l || lay || /l/ ||치경 설측 접근음 || || || m || may || /m/ ||양순 비음 ||한국어 ㅁ과 동일 || || n || nay || /n/ ||치경 비음 ||한국어 ㄴ과 동일 || || ng || ngay || /ŋ/ ||연구개 비음 ||한국어 받침 ㅇ(옛한글 ㆁ)과 동일 || || o || 'ot || /o/ ||후설 원순 중고모음 || || ||<|2> p ||<|2> pay || /pʰ/ ||무성 유기 양순 파열음 ||b의 무성음, 한국어 ㅍ과 동일, 주류 발음 || || /p͡f/ ||무성 순치 파찰음 ||독일어 pf와 동일, 비주류 발음 || || '''q''' || qay || /qʰ/ ||무성 유기 구개수 파열음 ||Q의 유기음, 대응 유성음 없음 || || '''Q''' || Qay || /q͡χ/ ||무성 무기 구개수 파찰음 ||q의 무기음, 대응 유성음 없음 || || r || ray || /r/ ||치경 전동음 ||스페인어 r과 동일 || || '''S''' || Say || /ʂ/ ||무성 권설 마찰음 ||중국어 sh와 동일 || || t || tay || /tʰ/ ||무성 유기 치경 파열음 ||대응 유성음 없음[* 클링온어에는 d가 없다. 더불어 D는 권설 파열음], 한국어 'ㅌ'과 동일 || || '''tlh''' || tlhay || /t͡ɬ/ ||무성 치경 설측 파찰음 ||대응 유성음 없음, 나우아틀어 tl과 동일 || || u || 'ut || /u/ ||후설 원순 고모음 || || || v || vay || /v/ ||유성 순치 마찰음 ||대응 무성음 없음[* 클링온어에는 f가 없다.] || || w || way || /w/ ||양순 연구개 접근음 ||반모음 || || y || yay || /j/ ||유성 경구개 접근음 ||반모음 || || ' || qaghwI' || /ʔ/ ||성문 파열음 ||연음 방지[* qagh 자체는 '방해하다'를 의미하므로, 연음을 방해하는 음으로 보면 된다.] || 여타 [[라틴 문자]]를 사용하는 다른 언어들과 다르게, 문법적으로 '''대소문자 구분이 없다'''. 예를 들어 클링온어의 라틴 문자 표기법에서 'q'와 'Q'는 단순히 '''유기음과 무기음의 차이''' 때문에 구분한 것 뿐이다. 또한 이 표기법에서는 [[Z]]와 같은 알파벳이 존재하지 않으며, [[S]]의 경우에는 대문자 'S'만 사용되고 's'는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i' 역시 소문자가 아닌 대문자 'I'로 표기하게 되어 있어 소문자 [[L]](l)과 혼동이 되곤 한다. l의 경우에도 대문자가 아닌 소문자만 사용한다. == 억양 == 동사에서 강세가 있는 음절은 일반적으로 어근 자체에 강세가 들어가며, qaghwI'가 모음 뒤에 있을 경우 그 음절로 강새가 들어간다. 예시 '''maj''' maj'''Qa'''' 사람에 따라서 강세를 약하게 하거나, 강세를 과장시키는 경우가 있다. == 문법 == [[교착어]]이고 포합성을 띈다. 어순은 OVS이다.--[[왈도체|클링온어를 말한다 나는]]--[* 클링온어로 '나는 클링온어를 말한다'는 tlhIngan Hol jIjatlh인데, tlhIan Hol은 클링온어, jI는 접두사로 '나'를 뜻하고, jatlh은 말한다를 뜻한다. 따라서 '클링온어를 말한다 나는'이 아닌 '클링온어를 나는 말한다'가 된다] 이건 지구상의 자연어들 중에서 가장 안 쓰이는 방식을 일부러 선택한 결과이다.[* 일부 언어가 OVS형태를 취한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비슷한 어순을 취하는 것이 라틴어가 있다. 예를 들어, I am a girl을 라틴어로 Puella Sum이라고 하는데, Puella는 (a)girl을, Sum은 I am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또 라틴어는 굴절어임으로 어순이 자유롭다. 한편 우리말의 구어체에서는 '그거 먹어 너', '숙제 해라 너희들'처럼 OVS순으로 말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 우리나라 사람에게는 그다지 어색하지 않은 어순이기도 하다.] 최대한 외계어라는 느낌이 나도록 선택한 것. 접미사의 종류가 매우 많다. 그래서 문법이 매우 간단하다. 동사의 변화는 접두사로 해결한다. === 어순 === 위에 서술되어 있듯이, 어순은 OVS이다. 따라서 나는/너를/사랑한다(SOV)나 Ich/liebe/dich(SVO) 같은 어순이 아닌, 너를/사랑한다/나는(OVS)와 같은 어순으로 사용해야 한다. === 접두사 === 클링온어의 접두사는 대부분 동사의 앞에 붙어 주어의 인칭과 수, 목적어의 종류까지 나타낸다. ==== 목적어가 없을 때 ==== || '''접두사''' || '''읽기''' || '''주어 인칭/수''' || '''목적어 인칭/수''' || ||jI-||지-||1인칭 단수||목적어 없을 때 사용|| ||bI-||비-||2인칭 단수||목적어 없을 때 사용|| ||ma-||마-||1인칭 복수||목적어 없을 때 사용|| ||Su-||슈-||2인칭 복수||목적어 없을 때 사용|| 각각 나는, 너는, 우리는, 너희는 3인칭은 단/복수 모두 목적어가 없을 때는 생략한다. 예문 jISuplaHbe' (나는 뛸 수 없다) bIHeghqang'a'? (너는 죽기를 원하는가?) majaHbe' (우리는 가지 않는다) bach[* 위에 언급했듯이 주어가 3인칭이면서(단수, 복수를 가리지 않음) 목적어를 취하지 않는 모든 동사에서는 접두사가 생략된다] (그(들)는 쏜다) ==== 목적어가 1인칭 단/복수일 때 ==== || '''접두사''' || '''읽기''' || '''주어 인칭/수''' || '''목적어 인칭/수''' || ||cho-||초-||2인칭 단수||1인칭 단수|| ||mu-||무-||3인칭 단수||1인칭 단수|| ||tu-||투-||2인칭 복수||1인칭 단수|| ||mu-||무-||3인칭 복수||1인칭 단수|| ||vI-||비-||불특정||1인칭 단수|| ||ju-||주-||2인칭 단수||1인칭 복수|| ||nu-||누-||3인칭 단수||1인칭 복수|| ||che-||체-||2인칭 복수||1인칭 복수|| ||nu-||누-||3인칭 복수||1인칭 복수|| ||wI-||위-||불특정||1인칭 복수|| 각각 너는 나에게, 그(것/들)는 나에게, 너희들은 나에게, 나는 불특정 다수에게, 너희는 우리에게, 그(것/들)는 우리에게, 너희들은 우리에게 그들은 우리에게, 우리는 그(것/들)에게 1인칭이 1인칭을 목적어로 갖는 것은 재귀대명사의 역할이기 때문에, 접두사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후술할 2인칭이 2인칭을 목적어로 갖는 것도, 3인칭도 마찬가지이다. 예문) chobang (너는 나를 사랑한다) nunaD 그들은 우리를 칭찬한다 ==== 목적어가 2인칭 단/복수일 때 ==== || '''접두사''' || '''읽기''' || '''주어 인칭/수''' || '''목적어 인칭/수''' || ||qa-||카-||1인칭 단수||2인칭 단수|| ||Du-||두-||3인칭 단수||2인칭 단수|| ||pI-||피-||1인칭 복수||2인칭 단수|| ||nI-||니-||3인칭 복수||1인칭 단수|| ||Da-||다-||불특정||2인칭 단수|| ||Sa-||샤-||1인칭 단수||2인칭 복수|| ||lI-||리-||3인칭 단수||2인칭 복수|| ||re-||레-||1인칭 복수||2인칭 복수|| ||lI-||리-||3인칭 복수||2인칭 복수|| ||bo-||보-||불특정||2인칭 복수|| ==== 목적어가 3인칭 단/복수일 때 ==== || '''접두사''' || '''읽기''' || '''주어 인칭/수''' || '''목적어 인칭/수''' || ||vI-||비-||1인칭 단수||3인칭 단수|| ||Da-||다-||2인칭 단수||3인칭 단수|| ||wI-||위-||1인칭 복수||3인칭 단수|| ||bo-||보-||2인칭 복수||3인칭 단수|| ||lu-||루-||3인칭 복수||3인칭 단수|| ||(생략)||없음||불특정||3인칭 단수|| ||vI||비-||1인칭 단수||3인칭 복수|| ||Da-||다-||2인칭 단수||3인칭 복수|| ||DI-||디-||1인칭 복수||3인칭 복수|| ||bo-||보-||2인칭 복수||3인칭 복수|| ||lu-||루-||불특정||3인칭 복수|| === 접미사 === 클링온어의 동사 앞에 붙는 접두사가 [[인도유럽어족]]의 가장 골치 아픈 문법적 특징 중 하나인 동사 변화를 굉장히 깔끔하게 해결해주는 역할을 한다면, 접미사는 [[조동사]]나 [[부사]]의 역할을 한다. 이름 그대로 동사의 뒤에 붙어 가능, 부정, 의문 등을 싹 다 해결해 준다. 그래서 클링온어의 접두사와 접미사만 제대로 익혀두고 어느 정도의 어휘력이 있다면, 굉장히 마스터하기 쉬운 언어이다. ==== 1형 접미사- 재귀/상호접미사 ==== || '''접미사''' || '''읽기''' || '''부가되는 의미''' || '''예문''' || ||-'egh||-에그[* egh 중 'gh'는 유성 연구개 마찰음인 'ɣ '발음으로 발음한다]||재귀접미사||jIbang''''egh'''.=나는 나 '''자신을''' 사랑한다.|| ||-chuq||-추크||서로 -하다||majatlh'''chuq'''.=우리는 '''서로''' 대화한다.|| ==== 2형 접미사- 의지/필요 ==== || '''접미사''' || '''읽기''' || '''부가되는 의미''' || '''예문''' || ||-nIS||-니시[* nIS 중 'S'는 무성 권설 마찰음인 'ʂ '발음으로 발음한다]||-하는 것이 필요하다||mavoqchuq'''nIS'''.=우리는 서로를 믿을 '''필요가''' 있다.|| ||-qang||-캉||-하기를 바라다||jIQong'''qang'''.=나는 자고 '''싶다'''.|| ||-rup||-루프||-할 준비가 되어 있다||Hegh'''rup'''.=그는 죽을 '''준비가 되어 있다'''.|| ||-beH||-베흐[* 클링온어의 H는 무성 구개수 마찰음인 'χ'로 발음한다]||-할 준비가 되어 있다[* -rup는 사람 등 생명체에게, -beH는 무생물에게 사용한다. 기본적인 뜻은 비슷하다.]||Sop'''beH'''.=그것은 먹을 '''준비가 되어 있다'''.|| ||-vIp||-빕||-하기를 두려워하다||bIghob'''vIp'''.=너는 싸우기를 '''두려워한다'''.|| ==== 3형 접미사- 행동의 개시 ==== || '''접미사''' || '''읽기''' || '''부가되는 의미''' || '''예문''' || ||-choH||-초흐||상태의 변화를 나타냄||Dangev'''choH'''.=너는 그것을 팔기 '''시작한다'''./Doq'''choH'''.=그것은 빨갛게 '''된다'''.|| ||-qa'||-카||전에 멈추었던 동작이 재개될 때, 또는 똑같은 동작을 반복할 때 씀||mayIt'''qa''''.=우리는 '''다시''' 걷는다.|| ==== 4형 접미사- 사역 ==== == 기본 회화 == 이하는 클링온 문자가 아닌 클링온어의 [[라틴 문자]] 표기법을 따라서 작성했다. || 안녕하세요. || Qapla batlh je.[* 성공과 명예라는 뜻이다] 카플라 바틀 제. || || 클링온어 할 줄 아세요? || tlhingan Hol DajatlhlaH'a'? 틀링안 홀 다자틀라흐 아? || || 영어 할 줄 아세요? || DivI' Hol DajatlhlaH'a'? 디비 홀 다자틀라흐 아?[* 스타트렉 시리즈에서는 영어를 '연방어'라 칭한다.] || || 네. || HISlaH. 히슬라흐. || || 아니오. || ghobe'. 고베. || || 틀렸다. || bIlughbeʼ 비루그베. || || 저는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 jIyajbe' 지야지베 || || 오늘은 참 죽기 좋은 날이군요![* [[아메리카 원주민]] 추장 [[타슝카 위트코|크레이지 호스]]의 유언에서 따온 것으로, '''전투종족인 클링온족의 특성을 반영한 문안인사'''이다. [[해적선(스타크래프트 시리즈)|스타크래프트의 해적선]]에도 같은 대사가 들어가 있다.] || HeghluʼmeH QaQ jajvam. 헤글루메흐 카크 자지밤. || 그 외 예시 || 복수는 알맞은 때를 기다려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 bortaS blr jablu'Dl' reH QaQqu' nay'. 보르타쉬 비르 자블루디 레흐 카크쿠 나이 || == 들어보기 == [youtube(/a9NSj6jXOwE)] [youtube(6kodVSVwJRc)] -- 어딘가 아파 보인다 -- [youtube(/CiRMGYQfXrs)] [youtube(/-XTce38ef98)] [youtube(UWiH582PcRc)] 시트콤 [[프레이저]]의 클링온어 축사 장면. 주인공인 프레이저가 아들을 위한 축사를 [[히브리어]]로 한다고 번역을 받아 왔는데, 번역한 사람이 장난으로 클링온어로 번역을 해놨기에 저런 상황이 벌어졌다. 그리고 친구가 트레키인지 클링온어를 영어로 번역해서 대신 읽어주는 위엄을 보였다. == 기타 == * [[트레키|스타트렉의 극성 팬]]들 중에는 '''클링온어로 회화가 가능할 만큼 학습하는 사람들도 있다.'''[* 영화 [[스탠바이, 웬디]]의 뒷부분에서 다코타 패닝이 연기한 주인공 웬디와 웬디를 도와주려는 남자 경찰관이 웬디를 안심시키기 위해 클링온어로 말을 걸어 둘이 클링온어로 대화를 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옆에 있던 여경은 외국어를 배운 줄 알 정도이다.] 실제로 한 트레키 부부가 자신들의 아들에게 클링온어를 가르쳐 모국어로 만든 사례도 있다. [[빅뱅이론]]에서도 가끔 나온다. [[NCIS]]에서도 맥기가 클링온어를 어느 정도 할 줄 알아서 깁스와 디노조에게 통역해 준 적이 있다. * [[구글]]에도 [[트레키]]가 있는지, 클링온어판 구글이 있다(…). 주소는 [[http://www.google.com/intl/xx-klingon/]]. 다만 번역의 질이 좋지 않다. * [[셰익스피어]]의 클링온어 번역본도 있는데 [[https://www.youtube.com/watch?v=CiRMGYQfXrs|더더욱 감칠맛 난다고 한다]]. 이 셰익스피어 번역은 나름대로의 의미가 있다. 극장판 6편 초반에 커크 선장이 클링온의 고관들과 대화에서 클링온어로 번역된 셰익스피어 작품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양측의 불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근데 그 내용이 "클링온어로 번역된 셰익스피어를 모른다면 셰익스피어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것이다."라는 클링온 측의 주장. 뭔 개소리냐고 하겠지만, DVD 서플리먼트에 의하면, 독일의 유명인이 "독일어로 번역된 셰익스피어를 모른다면 셰익스피어를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것이다."라고 실제로 말했던 것에서 따왔다고 한다. 클링온의 국수주의적인 면을 잘 보여준 부분. * 덕력으로 둘째 가라면 서러울 [[독일|덕국]]의 국제방송국인 [[도이체 벨레|DW-QO']]에는 클링온어 [[http://klingon.dw-world.de/klingon/index.php|홈페이지]]가 있다. 방송국과 독일을 소개하는 간단한 클링온어 페이지로, 홈페이지 개통 10주년을 기념해서 제작했다고 한다. * [[Bing]] 번역기에 클링온어가 있다. 구경해보고 싶다면 [[http://www.bing.com/translator|여기]]로. * 프랑스인과 미국인이 스타트렉 컨벤션에서 만나 사귀었는데 통하는 말이 없어 [[http://cafe.daum.net/cs11sz/LG19/157405?svc=live_story&q=%B8%B6%C0%BD%BF%A1+%B5%E5%B4%C2+%BF%A9%C0%DA%B8%A6+%B8%B8%B3%B5%B4%C2%B5%A5&DA=IMGO|몇 달간 클링온어로 소통했다]]고 한다. * 참고로 클링온어에는 '고맙다(thank you)'라는 단어가 없지는 않다. qatlho'(풀이 → qa- : I-you; tlho' : thank)라고 하면 '나는 고맙다'로 해석할 수 있는데, 당연히 잘 안 쓰고, 대신 고맙다는 말을 할 상황이면 maj(good, 잘 했다)라고 한다. 대신 "미안하다"는 어휘는 없고, 굳이 적어보면 "jIQoS"가 "Sorry"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겠다. * 클링온들이 하는 말을 들어보면 뭔가 1대의 버드 오브 프레이로 여러 대의 함선들을 격침시켰다든가 전투 중 머리통에서 기도를 찢어버렸다든가 하는데 이건 클링온 특유의 과장법이라고 한다. 보이저 에피소드 Prophecy에서 EMH 닥터가 설명해주는 말. * [[듀오링고]]에서 영어 사용자를 위한 클링온어 학습 과정이 현재 [[https://incubator.duolingo.com/courses/tlh/en/status|베타 상태로 제공]]되고 있다. 영어가 가능하다면 도전해 볼 수 있으나, 한때 알파벳을 만렙 찍었을 때 다시 익히려 하면 작동되지 않는 오류가 있었다. * 넷플릭스에서 서비스하는 [[스타트렉: 디스커버리]]에서 자막으로 클링온어를 제공한다. * 여담으로, 물고기를 [[ghoti|'ghotI']]라고 한다. * [[스타트렉: 로워 덱스]]의 시즌 2 9화의 제목이 클링온어다. 다만 상술했듯 컴퓨터에서는 클링온 문자를 적을 수 없기에 프라임 비디오와 메모리 알파에서는 [ruby(wej Duj, ruby=세 함선들)] 라고 써놨다. * 과거 2003년부터 2010년까지 사용된 [[위키백과]]의 로고에 클링온어가 포함되어 있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위키백과 로고(2003년~2010년).sv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lingon_letter__r__from_a_Wikipedia_logo_variant.jpg|width=100%]]}}} || * 2004년 6월, 클링온어 [[위키백과]]도 있었으나 2005년 8월에 폐쇄되었다. 대신 [[FANDOM]]에서 클링온어로 된 별도의 위키가 개설되었다. [[https://klingon.fandom.com|링크]] [[분류:인공어]][[분류:스타트렉/설정]][[분류:교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