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키노)] [목차] == 개요 == 소련의 락 밴드 [[키노(밴드)|키노]]의 앨범을 다룬 문서이다. == 앨범 목록 == > 들어가기 전에: > 01. 제목 뒤에 (사) 표시가 붙은 앨범은 [[빅토르 초이]] 사후 발매된 앨범임을 의미한다. > 02. 제목 뒤에 (무) 표시가 붙은 앨범은 초이 및 키노 멤버의 동의 없이, 혹은 무단으로 발매된 앨범임을 의미한다. > 03. 제목 뒤에 (폐) 표시가 붙은 앨범은 제작 중 프로젝트가 엎어지거나 정식 발매가 취소된 앨범임을 의미한다. > 04. 실황 및 컴필레이션 앨범의 경우 상당히 많은 앨범들이 난립하고 있기에 항목의 난립을 막기 위해 가급적 키노의 역사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거나[* 예: 빅토르 초이 생전 키노가 직접 제작한 리믹스 앨범 Последний герой 등.],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앨범[* 예: 키노 멤버들의 동의 없이 데모 및 연습곡 녹음을 무단 발매해 반발을 샀으나, 실질적으로 두 번째 정규 앨범으로 인정받는 앨범 46 등.]을 위주로 항목을 작성한다. === 스튜디오 앨범 === ==== 45 (1982) ==== > (Понятно. Виктор, вот Вы записали уже несколько альбомов. Но, насколько я знаю Ваше мнение, «Мелодия» выбрала далеко не лучшую Вашу работу. Если взять Ваши предыдущие альбомы, исключая «Группу крови», какая бы работа, по Вашему мнению, представила группу КИНО?) [br] Знаете, один альбом, конечно, не представил бы группу КИНО, и больше всего похоже на то, что мы есть сейчас — конечно, это альбом «Группа крови». А из старых альбомов мне больше всего нравится первый альбом… [br] («45»?) [br] «45», потому что… Ну, я не знаю, почему, но нравится. Другое дело, что я из него немножко как бы вырос уже. > ----- > (좋습니다. 빅토르, 당신은 이미 몇 차례나 앨범을 녹음하였죠. 하지만, 제가 아는 한 말입니다, 당신 의견에는 멜로디야 측에서 당신 작품 중 최고와 동떨어진 것들만 골랐다죠. "혈액형"을 제외하고 당신의 이전 앨범들 중에서 고른다면 말입니다, 당신 생각에는, 어떤 앨범이 "키노"라는 밴드를 소개해 줄 수 있으리라 생각하십니까?)[br]알다시피 앨범 하나만으로는 키노라는 밴드를 소개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당연히, 현재 우리 밴드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이를 가장 잘 드러내는 앨범은 "혈액형"이라고 봅니다. 허나 옛 앨범들 중에서는, 저는, 첫 번째 앨범을 제일 좋아합니다...[br]("45" 말인가요?)[br]왜 "45"인가 하니... 글쎄요, 저도 잘은 모르겠습니다만, 전 이 앨범을 좋아합니다. 또 다른 이유로는, 제가 그 시절보다 조금은 더 성장했다는 것을 들 수 있겠군요.[* 빅토르 초이, 무르만스크 TV 방송 인터뷰 중, 1989년 4월] 키노의 기념비적인 첫 앨범. 1982년 안트로프(АнТроп)에서 발매되었다. (카테고리 번호 АнТроп P-82) 이후 러시아 모로즈 레코드(Moroz Records) 측에서 1994년부터 2012년까지 CD, LP, 카세트 등의 매체로 발매하였다. 2021년 안트로프 측에서 데모 녹음 및 공연 실황 등을 추가하여 3CD/2LP 버전으로 재간하였다. || 인원 || 소속 || 역할 || ||빅토르 초이(Виктор Цой) || 키노 ||보컬, 가사, 기타 || ||알렉세이 리빈(Алексей Рыбин) || 키노 ||기타 || ||보리스 그레벤시코프(Борис Гребенщиков) || [[아크바리움]] ||기타, 메탈로폰, 백보컬, 총괄 프로듀서 || ||미하일 바실리예프(Михаил Васильев) || [[아크바리움]] ||드럼 머신, 백보컬 || ||프셰볼로트 가켈(Всеволод Гаккель) || [[아크바리움]] ||첼로 || ||안드레이 로마노프(Андрей Романов) || [[아크바리움]] ||플루트 || ||안드레이 트로필로(Андрей Тропилло) || 안트로프 ||플루트, 백보컬, 사운드 엔지니어 || ==== Последний герой (1983) (폐) ==== ==== Начальник Камчатки (1984) ==== ==== Это не любовь (1985) ==== 1985년 중반, "밤" 앨범을 녹음하던 중 2주간의 작업으로 나온 앨범이다. 위에서 언급되었듯 "밤" 앨범은 1985년 봄부터 작업 중이었으나 안트로프 스튜디오가 갑작스런 수리에 들어가 가을까지는 녹음을 진행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이에 키노는 그 기간 동안 친분이 있던 음악가이자 사운드 엔지니어였던 알렉세이 비시냐의 집에 찾아갔다. 비시냐는 집에 스튜디오 시설을 구비하고 있었기에 비시냐와 키노 멤버들은 같이 담배를 피고 차를 마시며 2주 동안 "이건 사랑이 아니야" 앨범을 녹음하였다. 홈 스튜디오다 보니 당시 멤버들이 사용할 수 있는 악기는 기타 세 대와 드럼 머신 한 대 뿐이었다. 이에 초이는 처음에는 낙담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마음에 들게 되었다고 후에 밝혔다. 키노 멤버들은 전반적으로 예상을 뛰어넘은 결과물에 만족했지만, 몇몇 동료 음악가들은 해당 앨범을 [[모리세이]]를 너무 따라했다는 이유로 비판하기도 했다. 한편 이 앨범은 티토프가 참가한 마지막 앨범이다. 당시 티토프는 [[아크바리움]]과 키노 두 밴드에서 동시에 베이시스트로 활동하고 있었는데, 두 밴드에서 동시에 뛰는 것은 불가능했기에 결국 아크바리움에 남게 되었다. 이에 남은 키노 멤버들은 이 결정에 화를 냈으며 특히 티토프를 훌륭한 음악가로 보고 있던 초이의 실망은 컸다고 한다.[* 밤 앨범의 커버에 티토프의 사진이 빠진 것은 이 때문. 후에 티토프는 이를 회고하며 자신은 자신이 빠진 커버에 실망했지만 한편으로는 이해가 간다며 소회를 밝힌 바 있다.] 이후 베이스는 이고리 티호미로프가 맡게 되었다. 한동안 1996년 모로즈 레코드 판본이 정본으로 통했으나, 2022년 ~~거의 석 달간의 연기 끝에~~ 마시나 레코드 측에서 리마스터링과 함께 새로 발매하였다. 모로즈 판본과 마시나 판본이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앨범으로, 마시나 판본은 피치와 속도가 상당히 낮아졌다. 정확히 말하자면 마스터 테이프에 더 가깝게 마스터링한 것인데, 기존 청자들에게 익숙하던 모로즈판 앨범과 상당히 이질적인데다 마스터링 상태가 불량한 부분이 몇군데 있어 평가는 의외로 복합적인 편이다. ==== Ночь (1985) (무) ==== ==== Любовь — это не штука / Кино '86 (1986) (폐) ==== '''Любовь — это не штука'''(사랑은 장난이 아니야) 1986년 얀시바 셸라(Яншива шела)에서 녹음하였으나 2020년 공식적으로 발매된 스튜디오 앨범. 티토프가 떠난 후인 1986년 초이는 당시 레닌그라드 락 클럽에서 활동 중이던 베이시스트이자 아방가르드 음악가였던 이고리 티호미로프를 영입하는 데 성공했고, 실제로 상당한 실력을 선보였기에 키노 멤버들 모두가 티호미로프의 영입에 만족하였다. 이후 이들은 다시 비시냐의 홈 스튜디오인 "얀시바 셸라"에 찾아가 새 앨범을 녹음하였으나 "이건 사랑이 아니야" 앨범과 달리 결과가 좋지 않았다. 당시 비시냐는 자신의 본업만 해도 바빴기에 키노의 녹음본을 제대로 봐 줄 수 없는 상황이었고, 멤버들 또한 결과물에 만족하지 않았기에 이 녹음본은 공개되지 않았다. 1986년 키노는 [[키이우]]에 가서 단편영화 "휴가의 끝"(Конец каникул)에 출연했는데[* 정확히는 러시아의 영화감독 세르게이 리센코(Сергей Лысенко)의 대학 졸업 과제다.] 여기에는 "사랑은 장난이 아니야"의 수록곡 중 몇 곡이 삽입되었다. 키이우에서 돌아온 뒤 이들은 조안나 스팅그레이가 밀수해 온 스튜디오 설비를 받았고, 약 여섯 달 이후부터 앨범 녹음은 홈 스튜디오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해당 앨범은 공식으로 발매되지는 않았으나 부틀랙 형태로 인터넷에서 유포되었기에[* 일반적으로 "Любовь — это не штука"라는 제목으로 유통되었으나, 부틀랙 판본에 따라 약간씩 차이를 보이긴 했다. 이 외 대부분의 곡들은 모로즈 레코드에서 발매한 컴필레이션 앨범에 수록되었기 때문에 미공개곡이나 신곡은 딱히 없다.] 그 존재 자체는 잘 알려진 편이었다. 이후 2020년 마시나 레코드 측에서 마스터 테이프를 바탕으로 카스파랸과 티호미로프의 도움 하에 앨범 형태로 재발매하였다. 일단 앨범 커버에 나와 있는 제목은 "Кино '86"이지만, 부틀랙의 전례에 따라 "Любовь — это не штука"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져 있으며 마시나 레코드 공식 홈페이지에도 이 제목으로 올라와 있다. ==== [[혈액형(키노)|Группа крови]] (1988)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혈액형(키노))] ==== [[Звезда по имени Солнце]] (1989)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Звезда по имени Солнце)] ==== Кино / Чёрный альбом (1990)[* 실제 이 앨범의 명칭은 '''없다'''. "Кино"나 "Чёрный альбом"라는 제목 모두 편의상 붙인 이름이다. 후술.] ==== === 실황 앨범 === ==== 46 (1983) (무) ==== ==== Первые записи, Гарин и гиперболоиды (2002) ==== ==== Кино в Севкабеле (2021) ==== === 컴필레이션 앨범 === ==== Последний герой (1989) ==== ==== Неизвестные песни (1992) ==== ==== История этого мира (2000) ==== 우크라이나 음반사 리얼 레코드(REAL RECORDS)를 통해 발매되었다. 수없이 많이 출판된 무허가 히트곡 컴필레이션 앨범 중 하나이다. 허나 당시까지 미공개 상태였던 곡 "질문"(Вопрос)[* "태양이라는 이름의 별"(Звезда по имени Солнце) 세션 중 같이 녹음된 곡인데, 알 수 없는 이유로 빠진 뒤 초이 생전에는 공개되지 않았다.]과 "아이"(Малыш)[* 초이가 집에서 개인 카세트 테이프에 녹음한 저질 어쿠스틱 녹음이 현존하는 유일한 판본이며, 해당 앨범에도 이 버전이 실렸다. 1980년대 말 키노는 세르게이 펜킨(Сергей Пенкин)이라는 가수와 같이 어느 공연에 참석했다. 당시까지만 해도 데뷔 초기에 무명이었던 펜킨은 공연을 앞두고 어쩔 줄 몰라 했고 키노 멤버들은 이걸 보고 웃음을 참지 못했다고 한다. (다만 펜킨에 대한 조롱의 의미는 없었고, 후에 카스파랸 및 구리야노프 등은 펜킨을 좋은 사람이었고 친구가 되었으면 했다고 회고했다) 초이는 이런 펜킨과 만난 뒤 "아이"라는 희극적인 곡을 즐겁게 썼는데, 노래의 주체가 누군지 일부러 애매하게 썼고 이걸 즐겼다고 한다. 해당 노래는 별 뜻 없는 농담성 곡이라고 키노 멤버들이 공언했으며, 추측상 초이는 이 곡을 정규 앨범에 실을 생각이 없었던 걸로 보인다. 이런 사실이 잘 알려져 있지 않던 시기에는 러시아권 인터넷을 중심으로 이 곡이 누구에게 바친 곡인지 팬들 사이에서 상당히 많은 토론이 오갔다. 당시에는 아내 마리안나 초이에게 바쳤다는 설과 내연녀였던 나탈리야 라즐로고바에게 바쳤다는 설, 아들 사샤에게 바쳤다는 설 이렇게 세 설이 주류였다.]를 최초로 수록한 앨범이라 [[https://ru.wikipedia.org/wiki/%D0%98%D1%81%D1%82%D0%BE%D1%80%D0%B8%D1%8F_%D1%8D%D1%82%D0%BE%D0%B3%D0%BE_%D0%BC%D0%B8%D1%80%D0%B0|러시아 위키피다아에 문서가 개설되어 있는 등]] 상당히 유명한 컴필레이션 앨범 중 하나이다. ==== Последние записи (2002) ==== ==== Кино в кино / В кино (2002) ==== ==== 12_22 (2022) ==== 키노 멤버들이 발매한 컴필레이션 앨범. 신곡은 없으며, 초이 보컬을 그대로 사용하고 반주만 새로 재녹음하였다. 기존 키노 유튜브 채널에 선공개된 몇몇 곡들도 그대로 들어갔으며, 라이브 녹음도 두 곡 들어갔다. === 싱글 앨범 === ==== Из альбома «Начальник Камчатки» (1987) ==== ==== Из альбома «Ночь» (1988) ==== ==== Maman (1989) ==== ==== Атаман (2018) ==== [[분류:아티스트별 음반 목록]][[분류:키노(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