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 5D's/등장인물]]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Kodo.png|width=500]] '''来宮 虎堂''' / '''Commander Koda''' [목차] == 개요 == [[유희왕 5D's]]의 등장인물. 성우는 [[신가키 타루스케]] / [[이규석(성우)|이규석]] / [[마크 디라이슨]]. == 작중 행적 == [[유희왕 5D's/포츈 컵 편|포츈 컵 편]] 22화에서 등장. [[렉스 고드윈]]에게 돈으로 고용되어 [[포츈 컵]]에 참가한 듀얼리스트. 듀얼 프로파일러라고 한다. 8강에서 [[프로페서 프랭크]]의 기권으로 부전승으로 준결승에서 [[이자요이 아키]]와 듀얼한다. 듀얼하기 전부터 아키의 과거와 덱을 완벽하게 파악하여 그녀의 과거를 까발리고, 미리 준비해둔 전략을 바탕으로 꽤 선전한다. 그러나 아키 자신의 숨기고 싶었던 과거를 밝혀내고, 그 과정에서 아키에게 모욕을 준 나머지 분노한 아키가 사이코 파워로 듀얼에서 승리함과 동시에 실제 피해를 받아 쓰러졌고 구급차에 실려가게 된다. 북미판에서는 [[듀얼 아카데미아]] 학생이었으며 학생시절 아키에 의해 부상을 당한 과거가 있다는 설정이 추가되었다. == 사용 카드 == 패 코스트로 제외한 카드들을 제외하면 전부 [[유희왕/OCG화되지 않은 카드|OCG화되지 않았다.]] === OCG화된 카드 === * 몬스터 카드 * [[마인드 온 에어]] * 마법 카드 * [[리로드(유희왕)|리로드]] === [[유희왕/OCG화되지 않은 카드|OCG화되지 않은 카드]] === ==== 헤이트 에이전트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AgentofHatred-OW.png]] || 한글판 명칭 ||<-4>'''헤이트 에이전트'''|| || 일어판 명칭 ||<-4>'''ヘイト・エージェント'''|| || 영어판 명칭 ||<-4>'''Agent of Hatred'''||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속성|어둠]] || [[악마족]] || 0 || 0 || ||<-5>상대 배틀 페이즈에 1번, 1번의 공격으로 받은 전투 데미지와 같은 수치만큼 라이프 포인트를 회복할 수 있다.|| 죄와 벌의 효과로 특수 소환되어 바이올렛 마녀의 공격으로 받은 데미지만큼 라이프를 회복했다. ==== 매드 프로파일러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MadProfiler-OW.png]] || 한글판 명칭 ||<-4>'''매드 프로파일러'''|| || 일어판 명칭 ||<-4>'''マッド・プロファイラー'''|| || 영어판 명칭 ||<-4>'''Mad Profiler'''||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8 || [[유희왕/속성|어둠]] || [[악마족]] || 2600 || 1600 || ||<-5>자신 필드 위의 몬스터 3장을 릴리스하고,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그 경우에만, 이하의 효과를 얻는다. 패의 카드를 1장 묘지로 보낸다. 그 묘지로 보낸 카드와 같은 종류의 필드 위의 카드 1장을 게임에서 제외한다.|| 턴 제한 없이 필드의 카드를 제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 최상급 효과 몬스터. 작중에서는 [[블랙 가든|로즈 토큰]] 3장을 릴리스하고 특수 소환되었으며, [[리로드(유희왕)|리로드]]를 버리고 [[블랙 가든]]을, [[마인드 온 에어]]를 버리고 [[페니키시안 클러스터 아마릴리스]]를 제외했다. 후에 [[블랙 로즈 드래곤]]에 의해 공격력이 0이 되고, 이것이 커스 오브 로즈의 트리거가 되어서 패배. 디자인은 [[데스노트]]의 [[L(데스노트)|L]]을 참고한 것으로 추정. L처럼 다리를 오므린 채 의자에 앉아 책을 보고 있는 자세로 있다가, 공격할 때 의자에서 뛰쳐나가 책을 펼쳐 들이대는 등 뭔가 유희왕스럽지 않은 모습이 특징이다. ==== 마인드 몬스터 ==== || 한글판 명칭 ||<-4>'''마인드 몬스터'''|| || 일어판 명칭 ||<-4>'''マインド・モンスター'''|| || 영어판 명칭 ||<-4>'''Mind Monster'''|| ||<-5> 일반 마법 || ||<-5>몬스터 1장을 선언한다. 그 몬스터가 상대의 엑스트라 덱에 존재할 경우, 상대 플레이어는, 그 몬스터 1장의 공격력의 절반의 데미지를 받는다.|| 아키의 엑스트라 덱에 [[블랙 로즈 드래곤]]이 들어있는 것을 알았기 때문에 그것을 선언하여 아키에게 1200 데미지를 준다. 일러스트는 헤이트 에이전트의 촉수물스러운 모습이 그려져 있다. 회색 액체가 선언한 몬스터의 모습으로 바뀌며 데미지를 준다. ==== 디스트럭션 인슈어런스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DestructionInsurance-OW.png]] || 한글판 명칭 ||<-4>'''디스트럭션 인슈어런스'''|| || 일어판 명칭 ||<-4>'''デストラクション・インシュランス'''|| || 영어판 명칭 ||<-4>'''Destruction Insurance'''|| ||<-5> 장착 마법 || ||<-5>장착 몬스터가 파괴되었을 때, 그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의 절반만큼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블랙 로즈 드래곤]]의 전체 파괴 효과에 대비하여 매드 프로파일러에 장착했다. ==== 라이트 로 프로텍션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LightlowProtection-OW.png]] || 한글판 명칭 ||<-4>'''라이트 로 프로텍션'''|| || 일어판 명칭 ||<-4>'''ライト・ロー・プロテクション'''|| || 영어판 명칭 ||<-4>'''Lightlow Protection'''|| ||<-5> 장착 마법 || ||<-5>장착 몬스터의 공격력이 상대의 마법 / 함정 / 몬스터의 효과에 의해 변화했을 경우, 그 상대의 마법 / 함정 / 몬스터 카드를 파괴한다.|| [[블랙 로즈 드래곤]]의 공격력을 0으로 만드는 효과를 대비하여 매드 프로파일러에 장착했다. 그 효과로 블랙 로즈 드래곤을 파괴하지만, 커스 오브 로즈가 발동되어 패배한다. ==== [[죄와 벌]]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CrimeandPunishment-OW.png]] || 한글판 명칭 ||<-4>'''죄와 벌'''|| || 일어판 명칭 ||<-4>'''罪と罰'''|| || 영어판 명칭 ||<-4>'''Crime and Punishment'''|| ||<-5> 일반 함정 || ||<-5>자신이 직접 공격에 의해 데미지를 받았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 몬스터 1장을 파괴한다. 배틀 페이즈 종료시에 패에서 레벨 4 이하의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할 수 있다.|| [[바이올렛 마녀]]를 파괴하고 패에서 헤이트 에이전트를 특수 소환했다. 이름의 모티브는 표도르 도스토옙프스키의 5대 비극 <[[죄와 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