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주니치 드래곤즈/간략(포수))] ||
'''{{{#ffffff 키노시타 타쿠야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
'''{{{#ffffff [[주니치 드래곤즈|'''{{{#ffffff 주니치 드래곤즈}}}''']] 등번호 35번}}}''' || || 츠지 타케히코 [br] (2012-2014) || {{{+1 →}}} || '''{{{#69b4df 키노시타 타쿠야[br](2016~)}}}''' || {{{+1 →}}} || 현역 || }}} || ---- ||<-2>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키노시타 타쿠야.jpg|width=100%]]}}} || ||<-2> '''주니치 드래곤즈 No.35''' || ||<-2> '''{{{#FFFFFF {{{+2 키노시타 타쿠야}}}[br]木下拓哉 / Takuya Kinoshita}}}''' || || '''생년월일''' ||[[1991년]] [[12월 18일]] ([age(1991-12-18)]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 '''출신지''' ||[[고치현]] [[고치시]] || || '''신체조건''' ||183cm / 95kg || || '''포지션''' ||[[포수]] || || '''투타''' ||[[우투우타]] || || '''출신교''' ||고치고등학교(高知高等学校)[br][[호세이대학]](法政大学) || || '''프로입단''' ||2015년 드래프트 3순위([[주니치 드래곤즈|주니치]]) || || '''소속팀''' ||'''[[주니치 드래곤즈]] (2016~)'''|| || '''연봉''' ||2023년 / ¥68,000,000 || || '''응원가''' ||[[https://www.youtube.com/watch?v=HIB0Qrd35w0|자작곡]][*가사 [br] '''魅せろ今 勝利のため[br]미세로 이마 쇼리노 타메[br]보여줘라 지금 승리를 위해[br][br]己の道を信じて ゆけ拓哉[br]오노레노 미치오 신지테 유케 타쿠야[br]자신의 길을 믿고서 가라 타쿠야[br][br](かっとばせー きのした!)[br](캇토바세 키노시타)[br](날려버려 키노시타)'''] || [목차] [clearfix] == 개요 == [[주니치 드래곤즈]]의 주전 [[포수]]. == 선수 경력 == === 프로 입단 전 === 고치고등학교 2학년 봄부터 주전 포수 자리를 꿰찼고, 2학년 여름과 3학년 여름에 고시엔에 출전했다. [[호세이대학]]에 진학하여 3학년 봄에는 도쿄 6대학 포수 부문 베스트나인에 선정되었다. 대학 시절에는 [[미시마 카즈키]], 이시다 켄타(石田健大)[* 미시마와 마찬가지로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에 입단하였다.]와 배터리를 짜기도 했고, 대학 리그 통산 47경기 121타수 23안타 2홈런 14타점 타율 .190을 기록했다. 사회인 야구 실업팀 [[토요타]]에서 주전 포수가 되어 팀이 사회인야구 일본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는데 공헌하였다. 2015년 일본프로야구 신인선수 선택회의에 [[주니치 드래곤즈]]에 3순위로 지명되어 계약금 6500만엔과 연봉 1000만엔에 사인하고 입단하였다. === [[주니치 드래곤즈]] === ==== 2016년 ==== 8월 17일 요코하마전에 프로 데뷔전을 치러 첫 안타에 홈런까지 기록하였다. 하지만, 더 이상의 기회는 받지 못하고 9경기 출전에 그쳤다. ==== 2017년 ==== 기회를 받기 시작하며 51경기에 출전했다. ==== 2018년 ==== [[마츠이 마사토]]의 주전자리가 굳건했고, 닛폰햄에서 이적한 오노 쇼타도 있었는 데다가 키노시타 본인도 부상으로 16경기밖에 나오지 못했다. ==== 2019년 ==== 드디어 1군 개막 로스터에 포함되었지만, 왼쪽 무릎 부상으로 나오지 못하는 사이에 [[카토 타쿠마]]가 주전 자리를 차지했다. [[마츠이 마사토]]는 6월 말에 [[오릭스 버팔로즈]]로 트레이드되었지만, 결국 39경기 출전에 그쳤다. 주전 자리 꿰차는 데 험난한 상황... ==== 2020년 ==== 개막 로스터에 포함되었지만, 시즌 초반에는 [[카토 타쿠마]]가 주전을 차지했지만, 후반기에 키노시타가 출전 기회를 잡고 좋은 성적을 내며 주전 자리를 빼앗았다. 최다 출장 시즌을 만들어내며 88경기 .267 6홈런 32타점을 기록했고, 도루저지율은 .455로 2020년 NPB 전체 1위였다. 이같은 활약에 월간 최고 배터리상 3회 수상과 2020년 최고 배터리상을 수상하는 기염을 토했다. ==== 2021년 ==== 드디어, 카토를 완전히 밀어내고 주전을 굳혀 123경기 출장, 팀내 일본인으로서의 최다 홈런 11개와 43타점을 기록하며 물빠따 주니치 타선에서 그나마 공격에서 활약하였다. 도루저지나 수비, 투수 리드에서도 탁월한 능력으로 팀 방어율 12구단 전체 1위(3.22)인 주니치 마운드를 이끌었다. 생애 첫 올스타 출전은 덤. ==== 2022년 ==== 지난 해에 이어서 2년 연속 올스타에 선정되었다. [[오노 유다이(야구선수)|오노 유다이]]를 이어서 차세대 에이스를 맡을 성골 루키 [[타카하시 히로토]]가 마운드에서 분전하며 그에 화답하듯 수비로 공헌하고는 있으나 답이 없는 팀 타선 때문에 험난한 시즌을 보내고 있다. == 플레이 스타일 == 2022년 현재 세리그 최고의 타격 - 특히 장타력을 자랑하는 포수[* 정교함이라면 야쿠르트의 [[나카무라 유헤이]]가 있지만 이쪽은 똑딱이고, 장타 포텐은 한신의 [[우메노 류타로]]나 교진의 [[오오시로 타쿠미]]에게도 있지만 아무래도 최악의 투수 구장인 나고야 돔에서 두 자릿수 홈런을 치는 키노시타에게 가산점이 있다. 이전 세리그 최고의 공격형 포수인 [[아이자와 츠바사]]는 장기계약 이후 몰락했고, 공격면에서 토탈 패키지에 가까운 카프의 신성 [[사카쿠라 쇼고]]는 1루, 외야, 22년부터는 3루수 출장이 많아 주전 '포수'라고 하기는 어렵다.]로, 원투 120m의 강한 어깨를 통해 포구해서 2루까지 던지는데 1.83초에 불과한 빠른 송구로 뛰어난 도루 저지 능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프레이밍에도 정평이 나있어 투수 리드 역시 최상급. == 기타 == * 팀의 간판 타자로 자리잡은데다 밝은 성격으로 팀의 무드 메이커를 담당하고 있다. * 같은 팀에 2016년 육성선수 드래프트 1위로 입단했던 동성의 [[투수]] 키노시타 유스케(木下雄介)가 있었으나, 2021년 시즌 도중 [[심장마비]]로 요절하고 말았다.[* 사망 1년 후 [[주간문춘]]에 의해 [[코로나19]] 백신 부작용으로 인한 극심한 [[심근염]]이 사망 원인이 되었다고 보도된 바 있다. 다만 해당 기사에선 백신 부작용보다 키노시타가 쓰러진 후 [[구급차]]를 부르는 데 6분 가량이 지연되어 [[골든 타임]]을 놓치는 등 주니치 구단의 불충분한 대처에 초점을 두며 지적했다. [[https://bunshun.jp/articles/-/56342|#]]] 이에 관한 에피소드가 있는데, 2021년 4월 27일 한신전에서 결승타를 날린 뒤의 히어로 인터뷰 때, 당시 마지막 [[시범경기]]에서 오른쪽 [[어깨]] 부상을 입어 재활 중이었던 유스케를 응원하기 위해 [[마타요시 카츠키]]와 함께 유스케의 얼굴이 프린트된 티셔츠를 입고 단상에 오르며 그를 격려했으나 몇달 뒤 유스케가 급사하면서 두번 다시 1군에서 재회하지 못하게 되었다. 유스케가 죽은 후, 타쿠야는 자신의 미트에 그와 함께한다는 의미로 유스케의 이름을 적었고 2022년에는 유스케의 등번호 98번을 새겨 기념하고 있다. 또한 생전 둘의 성이 같았기에 경기장에서의 선수명 표기를 타쿠야 쪽은 木下拓로, 유스케 쪽은 木下雄로 했는데[* [[일본프로야구]]는 동성인 선수가 2명일 경우, 선수명 표기를 [[성씨]]+[[이름]] 첫 글자로 하여 구분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다만 몇몇 예외적인 경우도 있는데 [[한신 타이거스]]의 [[아라이 타카히로]]-[[아라이 료타]] 형제의 경우엔 동생인 료타만 성씨 앞에 이름 첫 글자인 良을 붙이는 것으로, [[주니치 드래곤즈]]의 니무라 카오루(형)-니무라 토오루(동생) 형제는 성씨 앞에 형제 관계를 뜻하는 兄, 弟를 붙이는 것으로 선수명을 구분하기도 했다.] 키노시타 성을 가진 선수가 본인밖에 안 남았음에도 그의 몫까지 함께할 것이라는 의미로 기존의 표기를 고수할 것이라 밝혔다. * 미트, 배트, 포수 마스크 등 장구는 [[미즈노(브랜드)|미즈노]]의 것만 사용하고 있다. 2022년부터 미즈노와 스폰서 계약을 맺었다. * [[스기모토 유타로]] 만큼의 임팩트는 아니지만 이쪽도 대졸 사회인을 끝까지 안고 가다 결실을 본 케이스. 입단 이후 4년간은 이렇다 할 활약이 없다가 2020년부터 주니치의 오랜 고민이던 포수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팀의 어엿한 주전 포수로 자리잡게 되었다. * 딸이 있으며, 딸에게 [[날아라 호빵맨]]의 캐릭터 [[베이비맨]] 인형을 선물받기도 했다. == 연도별 성적 == ||<-17><#003595> '''{{{#ffffff 통산 기록}}}''' || || 년도 || 소속 || 경기 || 타석 || 타점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도루 || 볼넷 || 삼진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2016 ||<|7> [[주니치 드래곤즈|中[br]日]] || 9 || 19 || 2 || 1 || 5 || 2 || 0 || 1 || 0 || 1 || 6 || .278 || .316 || .556 || .871 || || 2017 || 51 || 94 || 4 || 4 || 15 || 5 || 0 || 0 || 0 || 10 || 21 || .192 || .289 || .256 || .545 || || 2018 || 16 || 28 || 2 || 4 || 3 || 1 || 0 || 1 || 0 || 3 || 9 || .120 || .214 || .280 || .494 || || 2019 || 39 || 98 || 8 || 5 || 20 || 6 || 0 || 2 || 0 || 5 || 22 || .227 || .289 || .364 || .652 || || 2020 || 88 || 269 || 32 || 19 || 67 || 14 || 1 || 6 || 0 || 12 || 49 || .267 || .303 || .402 || .705 || || 2021 || 123 || 393 || 43 || 33 || 95 || 17 || 0 || 11 || 1 || 35 || 58 || .270 || .336 || .412 || .748 || || 2022 || 120 || 466 || 48 || 24 || 103 || 16 || 3 || 6 || 2 || 27 || 38 || .246 || .289 || .341 || .630 || ||<-2> '''[[일본프로야구|NPB]] 통산''' [br] (7시즌) || 446 || 1367 || 139 || 90 || 308 || 61 || 4 || 27 || 3 || 93 || 203 || .250 || .304 || .372 || .676 || [[분류: 일본의 야구 선수]][[분류:1991년 출생]][[분류:고치시 출신 인물]][[분류:2016년 데뷔]][[분류:우투우타]][[분류:포수]][[분류:호세이대학 출신]][[분류:주니치 드래곤즈/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