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A31D1A '''{{{+1 키메라}}}''' (2023)[br]La Chimera}}}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23 키메라 국내 메인 포스터.jpg|width=100%]]}}} || || '''장르''' ||[[시대극]], [[판타지]], [[범죄]], [[로맨스]], [[코미디]] || || '''감독''' ||[[알리체 로르바케르]] || || '''각본''' ||알리체 로르바케르, 카르멜라 코비노, 마르코 페테넬로 || || '''제작''' ||카를로 크리스토 디나, 파올로 델 브로코 || || '''출연''' ||[[조쉬 오코너]], 알바 로르바케르, [[이사벨라 로셀리니]] ,,외,, || || '''촬영''' ||엘렌 루바르[* [[행복한 라짜로]], [[바닷가의 쥐들]] 촬영감독.] || || '''편집''' ||넬리 퀘티에 || || '''미술''' ||에미타 프리가토 || || '''의상''' ||로레다나 부세미 || || '''제작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 템페스타[br][[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 라이 시네마[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아드 비탐 프로덕션[br][[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0]] 암카 필름스 || ||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M&M 인터내셔널]] || || '''배급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 01 Distribution[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Neon]][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M&M 인터내셔널]] || || '''개봉일''' ||[[파일:칸 영화제 로고.svg|width=20]] 2023년 5월 26일[br][[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 2023년 11월 23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4년]] [[4월 3일]] || || '''화면비''' ||1.66:1 || || '''상영 시간''' ||132분 (2시간 11분 33초) || || '''제작비''' ||'''960만 유로''' || || '''월드 박스오피스''' ||'''$4,225,552''' ^^(2024년 6월 2일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tt14561712|기준]])^^ || || '''북미 박스오피스''' ||'''$860,265''' ^^(최종)^^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12,588명''' ^^(2024년 6월 6일 기준)^^ || || '''상영 등급''' ||'''[[12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12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알리체 로르바케르]] 감독, [[조쉬 오코너]] 주연의 2023년작 판타지, 로맨스 영화. 1980년대 이탈리아를 배경으로 잃어버린 연인을 찾아 헤매는 초능력자 도굴꾼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제76회 칸 영화제]] 경쟁 부문 초청작. ==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 키메라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 키메라 국내 티저 포스터.jpg|width=100%]]}}} || || '''이탈리아 포스터'''[* [[타로카드]]의 매달린 남자(The Hanged Man)에 대한 패러디이다.] || '''티저 포스터''' ||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oKlgC2VNdU)]}}}|| || {{{#A31D1A '''▲ 국내 메인 예고편'''}}} || == 시놉시스 == > '''잃어버린 사랑을 찾는 도굴꾼 이야기''' > > 도굴꾼 아르투에겐 땅속 유물을 감지하는 특별한 능력이 있다. > 부의 꿈에 도취된 동료들 사이에서 > 그는 잃어버린 연인, 베니아미나를 찾아 헤맨다. == 등장인물 == * [[조쉬 오코너]] - 아르투 역 * 캐롤 두아르테 - 이탈리아 역 * 빈첸소 네모라토 - 피로 역 * 알바 로르바케르[* <헝그리 하트>로 [[제71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에서 [[베니스 국제 영화제/볼피컵 여우주연상|볼피컵 여우주연상]]을 수상한 배우이며, 감독의 언니이기도 하다.] - 프리다 스파르타코 역 * [[이사벨라 로셀리니]] - 플로라 역 * 루 루아레콜리네 - 멜로디 역 * 지안 피에로 카프레토 - 마리오 역 * 라모나 피오리니 - 파브리아나 역 * 일 비아넬로 - 베니아미나 역 == 줄거리 == == 평가 ==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메타크리틱=la-chimera, 메타크리틱_critic=90, 메타크리틱_user=6.5, 메타크리틱_highlight=display, 로튼토마토=la_chimera, 로튼토마토_tomato=93, 로튼토마토_popcorn=69,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IMDb=tt14561712, IMDb_user=7.3, IMDb_highlight=display, 레터박스=la-chimera, 레터박스_user=4.0, 알로시네=292560, 알로시네_presse=3.6, 알로시네_spectateurs=3.7, ## MYmoviesit=, MYmoviesit_MYMOVIES=, MYmoviesit_CRITICA=, MYmoviesit_PUBBLICO=, ## 키노포이스크=, 키노포이스크_user=, ## 야후재팬영화=, 야후재팬영화_user=, Filmarks=109461, Filmarks_user=4.1, 도우반=35448539, 도우반_user=8.0, ## 무비스=, 무비스_user= ## 야후키모=, 야후키모_user=, 왓챠=mOPVm6X, 왓챠_user=, 키노라이츠=122303, 키노라이츠_light=80, 키노라이츠_star=3.7, ## 네이버영화=, 네이버영화_audience=, ## 다음영화=, 다음영화_user=, ## CGV=, CGV_egg=, ## 롯데시네마=, 롯데시네마_user=, ## 메가박스=, 메가박스_user=, ## MRQE=, MRQE_user=, ## 시네마스코어=, TMDB=837335-la-chimera, TMDB_user=76, ## 무비파일럿=, 무비파일럿_user=, ## RogeEbertcom=, RogeEbertcom_user=, ## MyDramaList=, MyDramaList_user=, ## 라프텔=, 라프텔_user=, ## MyAnimeList=, MyAnimeList_분야=, MyAnimeList_user=, ## GooglePlay무비=, GooglePlay무비_user=, ## 네이버시리즈온=, 네이버시리즈온_user=, 네이버시리즈온_heart=, ## JustWatch=, JustWatch_user=, ## 맥스무비=, 맥스무비_user=, ## 씨네21=, 씨네21_expert=, 씨네21_user=, ## 갤럭시시네마=, 갤럭시시네마_user=, ## 파리부시네벌스=, 파리부시네벌스_user=, ## 엠파이어=, 엠파이어_user=, ## 인디와이어=, 인디와이어_user=, )] === 평론가 평 === > If La Chimera is a wild, improbable pursuit, this marvelous and magical tale by Alice Rochrwacher is the pie in the sky to behold. >---- > '''거칠고도 현실과 거리가 먼 듯한 추적극 <키메라>는 알리체 로르바케르 감독이 만들어낸 이 경이롭고도 마법같은 이야기로서 마치 그림 속의 떡처럼 바라보게 되는 작품일 것이다.''' > - [[로튼 토마토]] 평론가 총평 > <[[행복한 라짜로]]>(2018)를 연출한 알리체 로바허의 신작 <키메라>는 이탈리아 토스카나 지역의 한 마을에 사는 톰바롤로(유적 도굴꾼 집단)을 소재로 한 작품으로, [[페데리코 펠리니]]의 <로마>(1972)의 벽화 발굴 신을 오마주한다. 영국의 젊은 고고학자 아서(<더 크라운>에서 찰스 황태자 역을 열연한 조쉬 오코너)는 사랑했던 여자와의 추억을 되찾기 위해 마을로 되돌아온다. 그에게는 땅 밑 어디에 유물이 있는지 감지하는 능력이 있다. 영화는 꿈과 현실 사이에서 길을 잃고 부유하는 아서의 행적을 쫓는다. 그가 에트루리아 무덤에서 발견한 거대한 키메라 조각상은 사라진 그의 옛 연인과 어떤 관련이 있을까? 알리체 로바허 감독은 죽음과 시간을 초월한 사랑을 찾는 한 남자에 관한, 아주 낭만적인 영화 한 편을 완성했다. > - [[제28회 부산국제영화제]] 프로그램 노트 >'''이탈리아영화의 유산 속에서 잃어버린 영성을 찾다.''' >---- > - [[김소미]] (★★★★) >'''사라진 기억을 말할 때조차, 탄식하지 말고 명랑하게 노래하기.''' >---- > - 김신 (★★★★) >'''삶 저편의 얼굴들을 목격하게 만드는 환상 속의 민요.''' >---- > - 김철홍 (★★★★☆) >'''애달픈 몽상에 얹힌 ‘비바 이탈리아, [[페데리코 펠리니|펠리니]]’.''' >---- > - [[박평식]] (★★★☆) >'''찬란한 태양 아래서 애타게 그리는 순수와 영원.''' >---- > - 유선아 (★★★★) >'''마지막 필름 사이를 떠도는, 주체할 수 없는 아나키의 가벼움.''' >---- > - [[이용철(평론가)|이용철]] (★★★★☆) >'''현재와 과거를, 지상과 지하를, 현실과 환상을, 삶과 죽음을 초월하다.''' >---- > - 허남웅 (★★★★) >'''신화로 이탈리아의 과거와 현재를 비추는 더없이 매혹적인 필름''' >---- > - 추아영 (★★★★) >'''묻혀버린 시원의 향수와 사라져버린 고전의 향취를 희구하는 몽환의 발걸음.''' >---- > - [[이동진]] (★★★☆) == 흥행 == ||<-4>
출처: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링크)/|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 '''전 세계''' || (최초개봉일) || '''$(세계누적)''' || '''(기준일자)''' || ||<-4>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캐나다, 출력= )][[북미]]''' || 미정 || '''미개봉''' || 미정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 미정 || '''미개봉''' || 미정 || ||[include(틀:국기, 국명=)] || 미정 || '''미개봉''' || 미정 || === [[대한민국]] === ||<-7>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 개봉 전 || || -명 || -명 || 미집계 || -원 || -원 || ||<|7> 1주차 ||20XX-XX-XX. 1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2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3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4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5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6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7일차(화) || -명 || -위 || -원 || ||<|7> 2주차 ||20XX-XX-XX. 8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9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10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11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12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13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14일차(화) || -명 || -위 || -원 || ||<|7> 3주차 ||20XX-XX-XX. 15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16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17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18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19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20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21일차(화) || -명 || -위 || -원 || ||<|7> 4주차 ||20XX-XX-XX. 22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23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24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25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26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27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28일차(화) || -명 || -위 || -원 || || '''합계''' ||<-6> '''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 ~ 20XX/XX/XX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1위를 차지할 시 순위에 볼드체를 적용해 주세요. ## 날짜는 개봉 일정에 맞게 변경해 주세요. === [[북미]] ([[미국]]·[[캐나다]]) === === [[중국]] === === [[대만]] === === [[일본]] === === [[영국]] === === 기타 국가 === == 기타 == ## 문단 분리가 되지 않은 잡다한 정보들을 서술하는 문단입니다. * 이탈리아 중부의 [[토스카나]], [[움브리아]], [[라치오]]주에서 촬영되었다. * 주인공 오디션 공고에 라치오 출신 남성이 참여 조건이라고 명시되어 있었으나 조쉬 오코너의 합류로 인해 시나리오가 수정되었다. * 2023년 칸 영화제 경쟁 부문 공개 당시 별점 최상위권인 영화 중 하나였다. * 2023년 11월 이탈리아 개봉 당시 독립 예술 영화라는 점, 칸 영화제 호평 이후 반년이나 지나서 개봉하는 등의 이유로 소규모로 개봉하여 금방 묻히는 듯 했다. 그러나 알리체 로르바케르 감독과 조쉬 오코너가 영화를 소개하는 영상이 이탈리아 웹에서 화제를 모으고 좋은 영화의 상영관을 늘려달라는 네티즌들의 요구로 인해 역주행하여 개봉 3주차에 이탈리아 박스오피스 5위까지 올라갔다. * 영화를 만들면서 [[인디아나 존스]] 시리즈, [[페데리코 펠리니]]의 《로마》, [[로베르토 로셀리니]]의 《이탈리아 여행》, [[피에르 파올로 파졸리니]]의 《아카토네》에게 영향 받았다고 한다. * 극 중 페스티벌 장면이 있는데, 이는 1월의 [[성탄 시기#주님 공현 대축일|주현절(Epiphany, 주님 공현 대축일)]]을 기념하는 페스티벌이다. * 극 중 장발의 아코디언 연주자는 감독의 남편인 음악가 피에로 크루치티이다. * 이탈리아가 술잔을 들고 아르투에게 접근하는 장면에서 여성 길거리 가수가 부르는 노래는 이탈리아 가수 클라우디오 빌라의 [[https://www.youtube.com/watch?v=R-Ly_iGXjEE|Tango delle capinere]]이다. 또한 이 노래 부분이 끝나고 단체로 춤추는 장면에서 남성 길거리 가수가 부르는 노래는 역시 이탈리아 가수 니콜라 아릴리아노(Nicola Arigliano)의 [[https://www.youtube.com/watch?v=M0nmugTJttc|Venti km al giorno(20km al giorno)]]이다. * 극 중에 나오는 리파르벨라 역은 [[피사]]에 실존하는 역이다. 하지만 실제 촬영은 이곳에서 진행되지 않았고, 다른 역에서 새 표지판을 붙여서 촬영했다고 한다. * 감독의 전작 《더 원더스》의 주인공 마리아 알렉산드라 룽구, 《행복한 라짜로》의 탄크레디 역을 맡은 루카 키코바니 배우가 후반부에 등장한다. * 조쉬 오코너의 이탈리아어 연기는 현지에서 호평받았다. * 영화의 시대적 배경인 80년대에 대해 알리체 감독은 이탈리아의 80년대는 민영 TV 방송의 성장으로 [[베를루스코니]]의 미디어 권력이 성장하고 대중들에게 만연한 소비주의가 농촌에도 흘러들어오던 시절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이탈리아의 80년대는 70년대 오일 쇼크로 인한 경기침체가 끝나고 경기 호황을 맞아 향락주의, 소비주의 현상이 나타났던 시절이다.[* 일명 Milano da bere. 일본의 버블 경제시대처럼 이 시기를 낭만적으로 생각하며 동경하는 시선도 있다.] * 알리체 감독은 80년대를 물질주의가 도래한 시대라고 생각하며 영화를 통해 자본주의가 자신에게 어떤 것인지에 대해 이미지를 만들고 싶었다고 한다. * 70~90년대는 이탈리아 문화재의 도굴과 밀수가 가장 활발한 시기로 이탈리아 고고학계에서는 이 시기를 '대공습'이라고 칭한다. 이탈리아 정부에서는 당시 사라진 유물을 찾기 위해 현재까지도 전세계 박물관을 뒤지고 있다고. [[분류:이탈리아의 드라마 영화]][[분류:이탈리아의 코미디 영화]][[분류:이탈리아의 판타지 영화]][[분류:2023년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