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이슬람 혁명 수비대 항공우주군]][[분류:단거리 탄도 미사일]][[분류:2018년 공개]][[분류:스커드]] [include(틀:이란의 미사일 전력)]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39f40 33%, #fff 33%, #fff 66%, #da0000 33%)" '''{{{+3 {{{#fff {{{#!html 키암-2}}}}}}}}}'''[br][[이란|[[파일:이란 국장.svg|height=15]]]] [[이란|{{{#fff {{{#!html 이란}}}}}}]] {{{#fff {{{#!html 키암 미사일의 한 종류}}}}}}}}}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키암-2의 발사 모습.jpg|width=100%]]}}}|| ||<-2> 발사 직전의 키암-2 || || '''이란 명칭'''([[페르시아어|{{{#fff 페르시아어}}}]]) || '''قیام-۲'''|| || '''영문 명칭''' ||Qiam-2 || || '''운용 부대''' ||이슬람 혁명수비대 우주항공군 || || '''최대사거리''' ||1,000km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란 [[혁명수비대]]가 운용하는 [[준중거리 탄도 미사일]]로, [[키암-1]]의 개량형으로 평가받는다. 이란 매체는 사거리가 1,000km로 연장되었다고 주장한다. 키암-1의 뿌리가 샤하브-2고 샤하브-2의 뿌리가 화성-6이고 화성-6의 뿌리가 SCUD-B이니 이 미사일도 [[스커드]] 계열 미사일이 되는 셈. == 역사 == 2018년 9월 24일 최초 시험 발사에 나섰다. [[https://twitter.com/BabakTaghvaee/status/1044563854154498049|#]] [[https://twitter.com/imamedia_org/status/1135531779488698368|다른 버전]] == 특징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키암-2의 탄두부.jpg|width=100%]]}}} || || 키암-2의 탄두부 || 탄두에 조종 날개가 달려있다. [[KN-18]]의 카나드보다는 작은 형태. 또한 후단 꼬리 날개가 전혀 없던 키암-1과 다르게 꼬리 날개가 깍인 델타(clipped delta) 형태로 조금 붙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 실전 투입 의혹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공중 분리된 추정 키암-2의 모습.jpg|width=100%]]}}} || || 공중 분리된 채 추락한 (추정) 키암-2 || [[순교자 솔레이마니 작전]]에서 [[키암]]과 함께 키암-2도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꼬리 날개가 보이기 때문. ||<-3>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순교자 솔레이마니 작전 당시 (추정) 키암-2 파편 분석.jpg|width=100%]]}}} || || 이라크 알아사드 기지 인근의 파편 || 후티의 부르칸-2 || 키암-2 || [[https://twitter.com/farhad965/status/1214863164468277254|#원 사진]] [[https://twitter.com/wslafoy/status/1214919081423450112/photo/1| 스콧 라포이의 분석]], [[https://www.frstrategie.org/publications/images-strategiques/operation-iranienne-contre-bases-el-asad-et-erbil-qu-enseigne-imagerie-seconde-partie-2020|프랑스 매체의 분석]] 모두 해당 미사일 파편이 키암-2임을 주장한다. 깎인 델타형 꼬리 날개는 [[키암]], 부르칸-2에서는 볼 수 없는 키암-2의 특징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