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국의 더빙업체)] ||<-2>
{{{#ffffff {{{+1 '''키워즈스튜디오스'''}}}[br]Keywords Studio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키워드 스튜디오 로고.png|width=100%]]}}} || || '''기업명''' ||키워즈스튜디오스[* 본래대로라면 '키워드 스튜디오' 등으로 표기해야 하겠지만 한국 지부의 법인명이 '주식회사 키워즈스튜디오스코리아'이기 때문에 '키워즈스튜디오스'로 표기한다.] || || '''설립''' ||[[1998년]] || || '''소재지''' ||(본사) [[아일랜드]] [[더블린]] 레퍼즈타운[br]{{{-2 South County Business Park Leopardstown Dublin 18}}}[br](LA 법인)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br]{{{-2 1115 South Flower Street Burbank CA 91502}}}[br](한국 법인)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396 || || '''대표''' ||베르트랑 보드슨 || || '''업종''' ||게임 현지화, 아트 제작, 음성 녹음, TV 프로덕션 || || '''기업 분류''' ||[[중소기업]] || || '''웹사이트''' ||[[https://www.keywordsstudios.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https://www.facebook.com/KeywordsStudio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keywordsstudios, 크기=20)] [[https://www.linkedin.com/company/keywordsstudios|[[파일:LinkedIn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KeywordsStudio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비디오 게임]] 전문 번역 업체이자 더빙사. 여러 게임들의 [[애셋|그래픽 애셋]]을 제작하기도 한다. 본사인 아일랜드 더블린 외에도 미국 로스앤젤레스, 미국 레드먼드, 캐나다, 멕시코, 싱가포르,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인도, 필리핀, 싱가포르, 중국, 대만, 일본, 한국 등 세계 각지에 수많은 지점과 산하 스튜디오를 두고 있으며 한국 법인 '''키워즈스튜디오스코리아'''는 2021년 1월 11일에 설립되었다. 1998년에 처음 설립되었을 때는 소프트웨어 전문 번역 업체였으나 2004년부터 게임 전문 번역 업체가 되었다. 2009년에 아시아로, 2010년에 북아메리카로 사업을 확장했다. 2019년부터는 로스앤젤레스 법인이 주축이 되어 영상 매체의 더빙 사업에도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는데, 주 거래처는 [[넷플릭스]], [[아마존 프라임]]이다. == 특징 == * 게임을 로컬라이징할 때 작업하는 언어는 공식 홈페이지의 소개에 따르면 2023년 기준으로 영어, 일본어, 중국어, 한국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독일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폴란드어, 러시아어다. 그렇다고 키워즈스튜디오스가 번역을 맡는 게임들이 언제나 이 모든 언어를 지원하는 것은 아니고 번역 업무를 맡긴 게임사하고의 계약에 따라 작업하는 언어의 숫자가 달라진다. 또한 외부 업체와 협업을 하는 것인지는 알 수 없으나 목록에 없는 언어도 지원할 때가 있다. 단순히 번역만 하는 게 아니라 산하의 더빙 스튜디오를 통해 더빙까지도 작업할 때도 많다.[* 단 기본적으로는 영어를 다른 언어로 로컬라이징할 때가 많다 보니 영어 더빙을 한 경우는 별로 없다. 영어 더빙은 게임 제작사가 계약을 맺은 별도의 더빙 전문 업체가 하기 때문. 키워즈스튜디오스는 주로 영어 외의 언어를 더빙하며 한국어와 중국어의 더빙은 지원하지 않는다.] * 한국 법인 키워즈스튜디오스코리아는 채용 공고를 봤을 때 주로 한국 게임을 다른 언어로 번역하는 회사인 것으로 추정된다. *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설립된 [[https://www.keywordsstudiosla.com/|Keywords Studios LA]]는 더빙 업체로 유명한데 [[Bang Zoom! 엔터테인먼트]], [[Studiopolis]], [[SDI 미디어]]와 마찬가지로 캘리포니아 계열의 업체로 [[SAG-AFTRA]] 조합에 소속되어 있다. == 영어 녹음을 제작한 작품(일부)[* 보다 자세한 작품 목록은 [[https://dubbing.fandom.com/wiki/Keywords_Studios|여기]]를 참고.] == === 애니메이션 === * [[얼터드 카본 리슬리브드]] === 모바일 게임 === * [[아틀라스 폴른]] * [[쿠키런: 오븐브레이크]] * [[쿠키런: 킹덤]] * [[FFBE WAR OF THE VISIONS]] === 외화 === * [[낙원의 밤]] * [[사냥의 시간]] * [[D.P.(시즌 1)|D.P.]] == 키워즈스튜디오스가 자주 기용하는 성우 == * [[제러미 셰이다]] * [[아나이리스 퀴노네스]] * [[카일 맥칼리]] * [[킴벌리 브룩스]] * [[제이미 켈튼]] * [[유리 로웬탈]] * [[엘리자베스 맥스웰]] * [[필라 우리베]] * [[에리카 멘데즈]] * [[오렌지 주스(유튜버 겸 성우)|OJ 게이밍]] * [[스티븐 푸]] * [[티아나 카마초]] * [[크리스티안 바나스]] * [[아리아나 래트너]] * [[베자드 다부]] * [[로라 포스트]] * [[GK 보우스]] * [[오스틴 리 매튜스]] * [[켈렌 고프]] * [[키스 실버스틴]] * [[숀 칩록]] * [[아날리사 피셔]] * [[에덴 리겔]] * [[지젤 페르난데즈]] * [[코트니 린]] * [[카메론 보웬]] * [[A.J. 베클스]] * [[빅토리아 그레이스]] * [[아이작 로빈슨스미스]] * [[맥스 미틀먼]] * [[알렉스 아인스타인]] * [[데이먼 밀스]] * [[아만다 리]] * [[케일러스(성우)|케일러스]] * [[키에라 브라운]] * [[콜린 오쇼너시]] * [[킴린 트란]] * [[데스몬드 치암]] * [[스테파니 셰이]] * [[커샌드라 리]] * [[비비안 라몰리]] * [[지노 로빈슨]] * [[제이슨 케이]] * [[잰더 모버스]] * [[코이 다오]] * [[루시언 도지]] * [[대니얼 애머먼]] * [[레이 체이스]] * [[패트릭 사이츠]] * [[에리카 이시이]] * [[알렉스 리(성우)|알렉스 리]] * [[잭 아귈라]] * [[앰버 리 코너스]] * [[크리스 파슨]] * [[미셸 판]] * [[릴리 키]] * [[로산나 판시노]] * [[엘리시아 로타루]] * [[지니 티라도]] * [[코트니 테일러]] * [[패트리샤 맥코맥]] * [[용 예]] * [[크리스티나 커크먼]] * [[발레리아 로드리게즈]] * [[크리스티나 푸셀리]] * [[케이틀린 엘리자베스]] * [[던 M. 베넷]] * [[수지 영]] * [[셰러미 리]] * [[크리스티나 발렌주엘라]] * [[코디 카비타]] * [[제이슨 마노카]] * [[콘래드 헤인즈]] * [[대니 체임버스]] * [[세라 위든헤프트]] * [[에런 디스뮤크]] * [[캠런 니카드]] * [[저스티스 워싱턴]] * [[엘리 레이]] * [[마리사 렌티]] * [[조슈아 데이비드 킹]] * [[데이브 펜노이]] * [[폴라 로즈]] * [[브라이슨 바우거스]] * [[베일리 스텐더]] * [[마라 주노]] * [[기디온 에머리]] * [[델라 사바]] * [[버갠디 트레호 피닉스]] * [[로비 데이먼드]] * [[케니 예이츠]] * [[애덤 골드]] * [[아리아나 몰카라]] * [[앤드루 모르가도]] * [[페이튼 크림]] * [[캣 크레시다]] * [[라나 맥키서크]] * [[마이클 슈월비]] * [[그레이스 루]] * [[제니 요코보리]] * [[에밀리 힝클러]] * [[메건 헨슬리]] * [[제시 길]] * [[라이언 콜트 리비]] * [[나디아 함제]] * [[네긴 파사드]] * [[크리스티나 코스텔로]] * [[그레그 빈치게라]] == [[베데스다 소프트웍스]]와의 관계 == 게임 업계에서는 2011년부터 [[제니맥스 미디어]]([[베데스다 소프트웍스]])의 전 세계 로컬라이징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정확히는 키워즈스튜디오스로 인수된 번역 업체인 신테시스(Synthesis)와 그 후신 스튜디오가 제니맥스 게임의 로컬라이징을 담당하고 있다.[* 키워즈스튜디오스에는 신테시스 외에도 다른 스튜디오가 많이 있으며, 다른 스튜디오들은 다른 게임 회사들의 로컬라이징을 담당하고 있다. 여러 스튜디오가 있는데 그중 신테시스가 제니맥스 전담 스튜디오인 것.] 원래 제니맥스 게임은 신테시스가 전 세계 로컬라이징을 담당하고 있었다. 그런데 2019년(추정)[* 키워즈스튜디오스는 2016년부터 신테시스의 인수를 시작했는데 2019년이 되어서야 신테시스의 인수가 완전히 종료된 것으로 보인다. 2018년까지 출시된 게임들은 신테시스가 로컬라이징을 맡았다고 표기되며, 2020년 이후에 출시된 게임들은 키워즈스튜디오스가 로컬라이징을 맡았다고 표기되는데, 2019년에 출시된 게임들은 신테시스와 키워즈스튜디오스가 공동으로 로컬라이징을 맡았다고 표기되기 때문.]에 신테시스와 그 직원들이 통째로 키워즈스튜디오스의 산하 스튜디오로 인수되었다. 신테시스라는 법인 자체는 키워즈스튜디오스의 산하 스튜디오가 되어 사라졌지만 직원은 그대로고 제니맥스도 여전히 키워즈스튜디오스의 신테시스 스튜디오에 로컬라이징을 맡기고 있다. 후술할 게임들의 상당수도 '''키워즈스튜디오스가 아니라''' 당시에는 키워즈스튜디오스하고는 별개의 회사였던 신테시스가 번역을 담당한 작품들이다. 참고로 신테시스 스튜디오는 키워즈스튜디오스에서 제니맥스의 로컬라이징을 전담하고 있는 스튜디오이기는 하지만 제니맥스 작품만 로컬라이징을 맡고 있는 것은 아니다. 대표적으로 [[CD PROJEKT]]의 이탈리아 로컬라이징도 담당하고 있다. [[더 위쳐 시리즈]]와 [[사이버펑크 2077]]을 작업했다.[* 이탈리아 외의 일부 언어를 담당할 때도 있기는 하지만 제니맥스 게임들과는 달리 전 세계 로컬라이징까지 담당하지는 않고 오직 이탈리아(+@)만 담당하고 있다. 그래서 한국어 번역도 신테시스(現 키워즈스튜디오스)가 아니라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 코리아]]나 [[무사이 스튜디오]]가 담당했다.] 또한 제니맥스의 모든 게임을 로컬라이징하는 건 아니고 드물기는 하지만 [[고스트와이어: 도쿄]]나 [[Hi-Fi Rush]]처럼 다른 업체가 전 세계 로컬라이징을 담당한 경우도 있다. 신테시스 스튜디오가 로컬라이징을 담당한 대표적인 제니맥스 작품들은 2023년 기준으로 다음과 같다. 한국어 번역도 지원하는 작품들은 '''굵은 글씨'''로 표기했다.[* 단, 한국어판이 출시되기는 했지만 신테시스하고는 별개로 한국 유통사가 따로 한국어판을 제작해서 출시한 작품들은 제외.] * [[레이지(게임)|레이지]](2011) *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2011) * [[둠 3: BFG 에디션]](2012) * [[디스아너드]](2012) * [[울펜슈타인: 더 뉴 오더]](2014) * [[디 이블 위딘]](2014) * [[울펜슈타인: 디 올드 블러드]](2015) * [[폴아웃 셸터]](2015) * [[폴아웃 4]](2015) * [[둠(2016)|둠]](2016) * [[디스아너드 2]](2016) * [[프레이(2017)|프레이]](2017) * '''[[디 이블 위딘 2]](2017)''' * [[울펜슈타인 2: 더 뉴 콜로서스]](2017) * '''[[폴아웃 76]](2018)'''[* 일단 신테시스(現 키워즈스튜디오스)가 전 세계 로컬라이징(한국어 포함)을 담당하긴 했는데 한국어의 경우 감수 및 지원만 맡았다고 한다. 그래서 한국어판은 글로벌판보다 늦게 출시되었다. 신테시스로부터 지원을 받아 한국어 로컬라이징을 직접적으로 담당한 회사는 여러 정황상 [[H2 인터렉티브]]로 추정되고 있다. 비록 한국어 로컬라이징을 직접적으로 하지는 않았으나 한국 유통사가 신테시스와는 별개로 독자적으로 한국어판을 제작한 작품들과는 달리 신테시스가 관여를 하기는 했으므로 굵은 글씨로 표기한다.] * '''[[엘더스크롤: 블레이드]](2019)'''[* 신테시스가 전 세계 로컬라이징을 담당했고 한국어도 지원하기는 하나, 신테시스가 직접 한국어 로컬라이징을 담당했다고 확실하게 명시된 다른 작품들과는 달리 폴아웃 76처럼 한국어판이 글로벌판보다 늦게 별개로 출시되었고 번역 퀄리티도 매우 심각하기에 한국어 로컬라이징은 신테시스가 직접 하지는 않고 [[카카오게임즈]]를 비롯한 다른 회사가 맡은 게 아니냐는 추측도 많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다른 회사가 맡은 게 분명하다는 구체적인 자료 또한 없고, 폴아웃 76처럼 한국어 로컬라이징을 직접적으로 하지는 않았으나 지원은 해줬을 가능성도 있기에 일단 굵은 글씨로 표기한다.] * '''[[레이지 2]](2019)'''[* 이 작품부터 신테시스가 키워즈스튜디오스로 인수되어서 키워즈스튜디오스가 표기되기 시작했다.] * '''[[울펜슈타인: 영블러드]](2019)''' * '''[[울펜슈타인: 사이버파일럿]](2019)''' * '''[[둠 이터널]](2020)''' * [[퀘이크(2021)|퀘이크]](2021) * '''[[데스루프]](2021)''' * '''[[레드폴]](2023)''' * [[퀘이크 2(2023)|퀘이크 2]](2023) * [[Starfield(게임)|Starfield]](2023) == 기타 == 한국에서는 원래 본업인 게임 현지화 및 애셋 제작보다는 넷플릭스 관련 더빙 업체로 유명했는데, 2023년에 베데스다 소프트웍스가 유통하고 키워즈스튜디오스가 로컬라이징을 담당한 게임인 [[Starfield(게임)|Starfield]]의 [[Starfield(게임)/논란 및 사건 사고/한국어 미지원 논란|한국어화 논란]]이 터진 이후로 게임 현지화 업체로서의 인지도가 폭등했다. [[분류:1998년 기업]][[분류:게임 관련 기업]][[분류:게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