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키프로스의 대외관계)] [include(틀:이스라엘의 대외관계)] || [[파일:키프로스 국기.svg|width=100%]]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100%]] || || [[키프로스|{{{#4e5b31 '''키프로스'''}}}]] || [[이스라엘|{{{#fff '''이스라엘'''}}}]] || [목차] [clearfix] == 개요 == [[키프로스]]와 [[이스라엘]]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양국은 교류, 협력이 매우 활발한 편이다. == 역사적 관계 == === 20세기 === 1948년에 이스라엘이 건국되고 1960년에 키프로스가 영국의 지배에서 벗어난 뒤, 양국은 수교했다. 이스라엘과의 수교에 따라 양국은 협력을 자주 했다. 키프로스내에 거주하던 유대인들이 이스라엘 건국 이후에는 대부분 이스라엘로 이주했다. === 21세기 === 양국은 교류, 협력을 하고 있다. 이스라엘과 키프로스는 군사적으로도 협력이 활발하며 양국간의 문화교류도 활발하다. [[이스라엘인]] 관광객들이 키프로스로 자주 오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스라엘인들중에는 키프로스에서 결혼식을 진행하기도 한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0935417?sid=104|#]] 2012년에 양국은 가스관 건설을 모색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5516829|#]] 2016년에 그리스, 터키, 이스라엘은 유럽행 가스관 건설에 협력하기로 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8152622|#]] 6월에 키프로스에서 산불이 일어나자 그리스, 이스라엘은 키프로스를 지원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03&aid=0007303162|#]] 2020년 1월 3일에 그리스, 키프로스, 이스라엘은 동부 지중해 가스관을 건설하기로 합의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11314297|#]] 2021년 2월에 양국은 백신여권으로 여행이 가능하도록 합의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421&aid=0005164430|#]] == 교통 교류 == 양국은 일반적으로 항공노선을 통해 교류하고 있다. 양국을 잇는 항공노선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스라엘인 관광객들이 키프로스로 자주 가고 있다. == 대사관 == 양국은 대사관을 두고 있다. == 관련 문서 == * [[키프로스/외교]] * [[이스라엘/외교]] * [[키프로스/역사]] * [[이스라엘/역사]] * [[키프로스/경제]] * [[이스라엘/경제]] * [[키프로스/문화]] * [[이스라엘/문화]]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남유럽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서아시아 국가]] [[분류:키프로스의 대국관계]][[분류:이스라엘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