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냉전/소련 수상함)]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920px-Cruiser_Kynda.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280px-Kynda_class_cruiser_underway.jpg|width=100%]]}}} || || {{{#d81e05,#fa4027 '''Ракетные крейсера проекта 58 «Грозный»'''}}} || [목차] == 개요 == 프로젝트 58형 그로즈니는 러시아 해군 최초의 미사일순양함으로, [[NATO 코드명]]은 킨다급(Kynda-class)이다. 주임무는 [[대함 미사일]]을 이용한 대수상전이다. 1956년 발주되어 1960년부터 61년 사이에 건조를 시작하였으며 1962년 12월 30일 배치된 1번함 그로즈니(Grozny)를 시작으로 1965년 8월 20일 배치된 4번함 바랴그(Varyag)까지 총 4척이 Zhdanov yard Leningrad에서 건조됐다. 처음에는 [[구축함]]으로 진수되었지만 1962년 9월 29일 미사일순양함으로 재지정되었다. == 무장 == 킨다급은 [[북대서양 조약 기구]]에서 [[P-5 퍄툐르카|SS-N-3b 섀독]]이라는 이름을 붙인 P-35 프로그레스-M 함대함 미사일 4연장 발사대를 뱃머리와 끝부분에 각 1기씩 장착하였는데, 이 발사대는 상하좌우로 조정할 수 있으며, 뒷부분에 4발의 예비 미사일이 있다. 또 [[S-125|SA-N-1]] 고아(Goa) [[지대공 미사일]]의 함대함형 2연장 발사대 1기(16발 탑재)와 76.2㎜ 2연장 함포 2문·30㎜ [[CIWS]] 2문 등의 대공무장과 533㎜ 3연장 [[어뢰]] 발사관 2기·[[RBU-6000]] 대잠로켓 12연장 발사대 2기 등도 장착되어 대잠전 수행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연돌 앞에 설치된 3각형 레이더 돔(radar dome)은 이 함정에 처음 채용된 것으로 후에 등장한 러시아 미사일 순양함에 계승되었으며 실질적으로 [[헬리콥터]]를 탑재하지는 않았지만 뒷갑판에 비행갑판을 보유하여 미사일 유도용 헬리콥터의 운용도 가능했다. == 제원 == ||
<-3> {{{#d81e05,#fa4027 {{{+1 '''프로젝트 58형 미사일 순양함 그로즈니'''}}}[br]''Ракетные крейсера проекта 58 «Грозный»''}}} || ||<-2> '''이전급''' ||[[스베르들로프급 순양함|스베르들로프급]] || ||<-2> '''다음급''' ||[[크레스타급 순양함|크레스타-I급]] || ||<-2> '''계획''' ||16척 || ||<-2> '''건조''' ||4척 || ||<-2> '''표준배수량''' ||4,400t || ||<-2> '''만재배수량''' ||5,500t || ||<-2> '''전장''' ||141.7 ~ 141.9m || ||<-2> '''전폭''' ||15.8m || ||<-2> '''흘수''' ||5.3m || ||<-2> '''승조원''' ||390명 || ||<-2> '''출력''' ||100,000SHP || ||<-2> '''최고 속력''' ||34노트 (약 63km/h) || ||<-2> '''항속 거리''' ||34노트 기준 3,700km || ||<|3> '''동력''' ||<|2> '''기관''' ||KVN-95/64 [[보일러]] 4기 || ||TV-12 GTZA [[증기 터빈]] 2기 || || '''추진''' ||2축 [[프로펠러]] || ||<|4> '''레이더[br](그로즈니)''' || '''대공 / 대함''' ||MR-300 안가리 × 2기 || || '''항법''' ||돈 카이 || || '''대공 미사일 통제''' ||야타간 || || '''함포 통제''' ||MR-105 || || '''소나''' || '''고정식''' ||GAS-372 헤르쿨레스-2M || ||<|2> '''전자전''' || '''ECM''' ||크라브 || || '''ESM''' ||잘리프 || ||<|6> '''무장''' || '''대함''' ||[[P-5 퍄툐르카|SS-N-3b]] 세팔 × 64발[br](SM-70 4연장 [[발사대]] × 2기) || || '''대공''' ||[[S-125|SA-N-1]] 고아 × 16발[br](ZIF-101 2연장 발사대 × 1기) || ||<|2> '''대잠''' ||[[RBU-6000]] 12연장 212mm 로켓탄 발사대 × 2기[br](RGB-60 로켓탄 × 96발) || ||3연장 533mm [[어뢰]] 발사관 × 2기 || || '''함포''' ||[[AK-726 2연장 3인치 양용포]] × 2기 || || '''CIWS''' ||[[AK-630]] × 2기 || ||<-2> '''탑재 헬기''' ||[[Ka-27|Ka-25]] × 1기 || == 문제점과 퇴역 == 킨다급엔 치명적인 문제가 하나 있었는데, 무게중심이 상부에 몰려 운용에 피해를 입었다. 이를 인지한 [[소련 해군]]은 단 4척만을 건조하고 대형함인 [[크레스타급 순양함]] 건조로 신속히 이행됐다. 3척의 함선은 1991년~1993년 사이에 퇴역해 폐기됐지만 4번함은 1995년 예비역에서 현역으로 재취역한 후 1년간 흑해 함대의 기함으로 활동하다가 1997년 중반에 퇴역했다. == 목록 == ||
'''함명''' || '''배치''' || '''기공''' || '''진수''' || '''취역''' || '''퇴역''' || || [[그로즈니]] (Грозный) || [[발트함대]] || 1960년 2월 23일 || 1961년 3월 26일 || 1962년 12월 30일 || 1991년 ?월 ?일 || || 아드미랄 포킨 (Адмирал Фокин) || [[러시아 태평양함대|태평양함대]] || 1960년 10월 5일 || 1961년 11월 5일 || 1964년 11월 28일 || 1993년 6월 30일 || || 아드미랄 골로브코 (Адмирал Головко) || [[흑해함대]] || 1961년 4월 20일 || 1962년 6월 18일 || 1964년 12월 30일 || 2002년 12월 ?일 || || [[바랴크]] (Варяг) || [[러시아 태평양함대|태평양함대]] || 1961년 10월 13일 || 1963년 4월 7일 || 1965년 7월 20일 || 1990년 4월 19일 || == 관련문서 == [[http://cafe.daum.net/offensive|출처]] [[https://ru.wikipedia.org/wiki/%D0%9A%D1%80%D0%B5%D0%B9%D1%81%D0%B5%D1%80%D0%B0_%D0%BF%D1%80%D0%BE%D0%B5%D0%BA%D1%82%D0%B0_58|러시아 위키 킨다급 미사일순양함]] [[https://en.wikipedia.org/wiki/Kynda-class_cruiser|영어 위키 킨다급 미사일순양함]] [[분류:소련군/장비]][[분류:해상 병기/현대전]][[분류:순양함]][[분류:1962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