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킨테츠 그룹)] ||<-2><:>{{{#white {{{+1 '''近畿車輛株式会社'''}}}[br]'''THE KINKI SHARYO CO.,LTD.''' [br]'''킨키차량 주식회사'''}}}|| ||<-2> [[파일:긴키차량 로고.svg|width=300]] || || '''약칭''' ||KS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 '''업종명''' ||운송장비 제조업 || || '''창립일''' ||[[1939년]] [[11월 18일]] || || '''대표자''' ||야마다 모리히로 (山田守宏) || || '''본사''' ||[[오사카부]] [[히가시오사카시]] 이나다우에마치2초메 2-46[br](大阪府東大阪市稲田上町2丁目2番46号) || || '''법인형태''' ||[[도쿄증권거래소]] 1부 [[https://www.nikkei.com/nkd/company/?scode=7122&ba=1|7122]] || || '''법인번호''' ||[[https://www.houjin-bangou.nta.go.jp/henkorireki-johoto.html?selHouzinNo=5122001001729|5122001001729]] || || '''사업영역''' ||철도 차량·건설 기계 등의 제조·판매 || || '''자본금''' ||52억 5,200만 [[일본 엔|엔]] {{{-1 ([[2020년]] [[3월]])}}} || || '''매출''' ||410억 5,300만 [[일본 엔|엔]] {{{-1 ([[2020년]] [[3월]])}}} || || '''영업이익''' ||2억 9,500만 [[일본 엔|엔]] {{{-1 ([[2020년]] [[3월]])}}} || || '''순이익''' ||7억 400만 [[일본 엔|엔]] {{{-1 ([[2020년]] [[3월]])}}} || || '''순자산''' ||224억 5,000만 [[일본 엔|엔]] {{{-1 ([[2020년]] [[3월]])}}} || || '''총자산''' ||759억 1,200만 [[일본 엔|엔]] {{{-1 ([[2020년]] [[3월]])}}} || || '''직원 수''' ||1372명 {{{-1 ([[2020년]] [[3월]])}}} || || '''주요 주주''' ||일본 마스터 트러스트 신탁은행 주식회사[* [[킨키 일본 철도]] 주식회사 퇴직급부신탁구] 30.29%[br][[킨테츠 그룹 홀딩스]] 주식회사 14.11%[br][[JR 서일본|서일본 여객철도 주식회사]] 5.02% || || '''모기업''' ||[[킨테츠 그룹 홀딩스|[[파일:킨테츠 그룹 로고 타입1.png|width=180]]]] || || '''링크''' ||[[https://www.kinkisharyo.co.jp/|[[파일:긴키차량 로고.svg|width=30]] {{{#0098D5 공식 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 [[오사카부]] [[히가시오사카시]]를 기반으로 하는 일본의 철도 차량 제조사이다. 한때는 철도차량 외에도 다양한 사업 분야에 뛰어들었으나, 현재는 철도차량 제작에 전념하고 있다. 또한 [[미쓰비시 중공업]]과 업무제휴를 하고 있다. 원래 회사의 시작은 다나카 가문이 [[아마가사키시]]에 설립했던 다나카 차량공장이었다. [[한신 전기철도]]의 301형 전동차 수주를 시작으로 이후 고베 시영 전차와 [[오사카 시영 전차]]에 투입되는 차량을 만들고 [[1924년]]과 [[1941년]], [[1943년]]에 각각 오사카[* 현재의 [[이온몰]] 쿄바시점이다.], 토쿠안, 치토세 공장을 만들면서 잘 나갔다. 하지만, 패전 이후 다나카 차량의 주식이 모두 [[킨키 일본 철도]]에 매각되면서 회사의 이름이 킨키차량으로 변경되게 된다. 이후로는 1954년 오사카 증권거래소에, [[1961년]]에는 [[도쿄증권거래소]] 1부에 상장되었으며, [[2015년]]에는 신칸센 차량 1000량 제조와 전동차 15,000량 제조를 맞았으며, [[2020년]]에는 전신인 다나카 공장까지 합하면 설립 100주년을 맞이하였다. == 특징 == 현재 킨키차량의 고객은 JR과 간사이 지역의 사철[* 킨키차량은 [[도쿄메트로]]가 에이단 시절부터 차량을 발주한 회사이기도 하다.]이며, 국내에선 [[ITX 청춘]]을 통해 처음으로 선보인 2층 열차를 '''1958년에''' 최초로 도입한 회사이기도 하다. 최초의 2층 열차는 특급 비스타카로 운행했던 [[킨테츠 10000계 전동차|10000계]]였다.[* 이 차량은 1971년에 폐차되었다.] 이 차종 이후로 킨테츠에서 "비스타카"라는 이름을 달고 나오는 특급에는 전부 2층 객차가 들어가 있다.[* 현재도 [[킨테츠 30000계 전동차|30000계]]는 운행중인데, 1978년산이니 올해로 41세..(...)] 이외에도 킨테츠는 차량면에서 선진적인 면모를 많이 보여줬는데, 이미 1957년부터 [[킨테츠 6800계 전동차|6800계]]와 [[킨테츠 1460계 전동차|1460계]]를 시작으로 통근형 전동차에 통유리를 적용한다거나, 오늘날의 전동차에는 기본적으로 갖추어져 있는 보조송풍기인 라인데리어를 최초로 도입했다.[* 1967년에 미쓰비시와 공동으로 개발해서 1810/2410/8060계 전동차에 처음으로 장착했으며, 덕분에 간사이 이외 지역의 전동차가 선풍기를 계속 쓰고 있던 1970년대 초반에 간사이 지방 대형 사철들은 '''라인데리어와 평천장이 이미 대세'''가 되고 말았다. (...) 간토지방 대형 사철인 [[도큐 전철]], [[케이세이 전철]], [[사가미 철도]]는 '''80년대 후반~90년대 초반'''에 와서야 겨우 도입하였고, 한국의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역시 간토지방 대형 사철과 비슷한 시기에서야 라인데리어와 평천장을 도입하게 된다.] 또한 경쟁사인 [[JR 서일본]]의 [[221계 전동차]]의 개발 컨셉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그런데 수주는 킨키차량이 했다.~~ 특히 VVVF 인버터의 도입은 일본의 [[대형 사철]] 중에서 가장 앞장서서 도입하던 회사 중에 하나였으며, 다른 회사가 초퍼제어차량을 한참 뽑아내던 80년대 중반에 이미 킨테츠는 VVVF-GTO 차량들을 대량으로 뽑아내고 있었다.[* 그런데 특급차는 1986년에도 계자초퍼로 뽑아냈다.(..)] 예컨대 1984년에 등장한 VVVF 제어방식 시제차인 1420계도 일본 최초의 1500V VVVF 완전 신조 전동차 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었고, 롱시트와 크로스시트를 자유자재로 넘나드는 LC카도 매우 신통방통했다. 그러나, 정작 모회사인 [[킨키 일본 철도|킨테츠]]에게는 2021년 기준으로 등장한지 20년이 다 되어가는 시리즈 21 이외의 통근형 전철의 신차가 도입되고 있지 않다고 한다. 그나마도 대부분은 1980~90년대 생산된 차종이 주력이며 [[노인 학대|1970년부터 운행하는 차들도 수두룩하다.]] == 제작 차량 == === [[일본국유철도]] === ==== [[신칸센]] 차량 ==== * [[신칸센 1000형 전동차]] * [[신칸센 0계 전동차]] * [[신칸센 100계 전동차]] * [[신칸센 200계 전동차]] * [[신칸센 962형 전동차]] ==== 구형 전동차 ==== * [[30계 전동차]] * [[31계 전동차]] * [[32계 전동차]] * [[40계 전동차]] * [[42계 전동차]] * [[51계 전동차]] * [[63계 전동차]] * [[70계 전동차]] * [[72계 전동차]] * [[80계 전동차]] ==== 신성능 전동차[* 일반적으로 [[101계 전동차]] 이후의 전동차를 일컫는다.] ==== * [[101계 전동차]] * [[103계 전동차]] * [[105계 전동차]] * [[113계 전동차]] * [[115계 전동차]] * [[117계 전동차]] * [[121계 전동차]] * [[143계 전동차]] * [[151계 전동차]] * [[153계 전동차]] * [[165계 전동차]] * [[181계 전동차]] * [[183계 전동차]] * [[185계 전동차]] * [[193계 전동차]] 0번대 * [[201계 전동차]] * [[203계 전동차]] * [[205계 전동차]] * [[211계 전동차]] * [[213계 전동차]] * [[381계 전동차]] * [[415계 전동차]] * [[443계 전동차]] * [[457계 전동차]] * [[485계 전동차]] * [[583계 전동차]] * [[키하 10계 동차]] * [[키하 80계 동차]] === [[JR 동일본]] === * [[205계 전동차]] * [[211계 전동차]] * [[251계 전동차]] * [[253계 전동차]] * [[255계 전동차]] * [[E257계 전동차]] * [[E259계 전동차]] * [[E491계 전동차]] * [[E653계 전동차]] * [[E657계 전동차]] * [[E751계 전동차]] === [[JR 도카이]] === * [[신칸센 100계 전동차]] * [[신칸센 300계 전동차]] * [[211계 전동차]] * [[213계 전동차]][* [[이다선]] 투입용 개조를 담당하였다.] * [[285계 전동차]] * [[311계 전동차]] * [[313계 전동차]] (3차차까지 한정) === [[JR 서일본]] === * [[신칸센 100계 전동차]] * [[신칸센 500계 전동차]] * [[신칸센 700계 전동차]] (3000번대, 7000번대 한정) * [[신칸센 N700계 전동차]] (3000번대, 7000번대 한정) * [[신칸센 W7계 전동차]] (W7, W10편성 한정) * [[205계 전동차]] (1000번대 한정) * [[207계 전동차]] * [[211계 전동차]] * [[213계 전동차]] * [[221계 전동차]] * [[223계 전동차]] (5000번대, 9000번대 제외) * [[225계 전동차]] * [[227계 전동차]] * [[271계 전동차]] * [[273계 전동차]] * [[281계 전동차]] * [[283계 전동차]] * [[285계 전동차]] * [[287계 전동차]] * [[321계 전동차]] * [[323계 전동차]] * [[521계 전동차]] * [[681계 전동차]] * [[683계 전동차]] * [[트와일라이트 익스프레스 미즈카제|87계 동차]] * [[DEC741형 동차]] === [[JR 시코쿠]] === * [[7000계 전동차]] * [[1500형 동차]] === [[JR 큐슈]] === * [[신칸센 N700계 전동차]] * [[303계 전동차]] * [[783계 전동차]] * [[787계 전동차]] * [[811계 전동차]] * [[813계 전동차]] * [[유후(열차)|키하 72계 동차]] === [[킨키 일본 철도]] === '''[[킨테츠 니시시기 강삭선|니시시기 강삭선]]용 차량을 제외한 모든 차량''' === [[도부 철도]] === * [[도부 70000계 전동차]] === [[제도고속도교통영단]], [[도쿄메트로]] === * [[도쿄메트로 01계 전동차]] * [[도쿄메트로 02계 전동차]] * [[도쿄메트로 03계 전동차]] * [[도쿄메트로 05계 전동차]] * [[영단 500형 전동차]] * [[영단 2000형 전동차]] * [[도쿄메트로 2000계 전동차]] * [[영단 3000계 전동차]] * [[도쿄메트로 5000계 전동차]] * [[도쿄메트로 6000계 전동차]] * [[도쿄메트로 7000계 전동차]] * [[도쿄메트로 8000계 전동차]] * [[도쿄메트로 13000계 전동차]] * [[도쿄메트로 17000계 전동차]] === [[도쿄도 교통국]] === * [[도쿄도 교통국 5300형 전동차]] * [[도쿄도 교통국 6300형 전동차]] * [[도쿄도 교통국 6500형 전동차]] * [[도쿄도 교통국 10-000형 전동차]] === [[오사카시 교통국]], [[오사카메트로]] === * [[오사카메트로 10계 전동차]] * [[오사카메트로 20계 전동차]] * [[오사카메트로 신20계 전동차]] * [[오사카시 교통국 30계 전동차]] * [[오사카시 교통국 50계 전동차]] * [[오사카메트로 66계 전동차]] * [[오사카메트로 70계 전동차]] * [[오사카메트로 80계 전동차]] * [[오사카메트로 100계 전동차]] * [[오사카메트로 30000계 전동차]] === [[교토시 교통국]] === * [[교토시 교통국 10계 전동차]] * [[교토시 교통국 20계 전동차]] * [[교토시 교통국 50계 전동차]] === [[후쿠오카시 교통국]] === * [[후쿠오카시 교통국 1000계 전동차]] * [[후쿠오카시 교통국 2000계 전동차]] === [[히로시마 전철]] === 전 차량들이 [[미쓰비시 중공업]]과 토요전기와 제휴한 [[JTRAM]]을 기반으로 한 차량이라는 것이 특징이다. * [[히로시마 전철 5100형 전동차]] * [[히로시마 전철 1000형 전동차]] * [[히로시마 전철 5200형 전동차]] === 기타 === * [[681계 전동차|호쿠에츠 급행 681계 전동차]] * [[521계 전동차|IR 이시카와 철도 521계 전동차]] * [[이치바타 전차 7000계 전동차]] * [[키타오사카 급행전철 9000형 전동차]] * [[센보쿠 고속철도 9300계 전동차]] * [[키타큐슈 고속철도 1000형 전동차]] * [[사이타마 고속철도 2000계 전동차]] * [[욧카이치 아스나로 철도 260계 전동차]] * [[도부 70000계 전동차]] * [[센다이시 교통국 2000계 전동차]] === 해외수출 열차 === ==== [[아시아]] ==== * [[MTR 튄마선|MTR 마온산선, 서철선]]의 대부분의 차량 * [[MTR SP1900형 전동차]] * 알렉산드리아시 노면전차의 모든차량 * [[태국국유철도 NKF형 동차]] * [[싱가포르 MRT C151형 전동차]] * [[마닐라 LRT 1200형 전동차]] * [[두바이 메트로]]의 모든 차량 * [[도하 지하철]] 레드라인의 모든 차 ==== [[아프리카]] ==== * [[카이로 지하철]], 카이로 노면전차의 모든 차량 * [[페루]] 철도의 동차와 객차 ==== [[북아메리카]] ==== * 달라스 에리어 래피드 트랜짓 * 메사추세츠만 교통국 그린라인용 차량 * 뉴저지 트랜짓 LRV * VTA 라이트레일 저상 차량 * 밸리 메트로레일 * 사운드 트랜짓 * [[LFX-300]] *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도시권 교통국 P3010형 전동차]] * [[치와와 태평양 철도]]용 일등객차 * [[멕시코 국철]] 객차 ==== [[남아메리카]] ==== * [[솔로카바나 철도 100형 전동차]] * [[Toshiba]][* 일본의 대기업인 [[도시바]]와도 관련이 있는데, 당시 이 차량의 대차와 전기기기를 도시바가 제조하였다. 하지만 이름마저도 도시바가 된 이유는 불명.] [[분류:일본의 철도차량 제조사]][[분류:킨테츠 그룹]][[분류:나무위키 일본철도 프로젝트]][[분류:1939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