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mberley Process 2003년 [[다이아몬드]]의 수출입에 관한 세계적인 협의기구이다. 정식명칭은 킴벌리 프로세스 인증체계(Kimberley Process Certification Scheme, KPCS)이나 흔히 킴벌리 프로세스로 간략하게 불리운다.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자면 협약을 맺은 국가들만이 다이아에 대한 수출입를 실행한다는 것으로 명분은 [[아프리카]] 대륙 여러 곳에서 발생하는 전쟁자금으로 사용되는 다이아의 불법 유통을 통제하기 위해서 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유럽연합]], [[미국]], [[중국]], [[일본]], [[인도]], [[브라질]] 등 대다수 주요국가들이 가입해 있다.[* 2017년 기준 81개국 가입(유럽연합 가입국을 합해)] 우리나라에서도 이 협약이 이슈가 된 적이 있다. 바로 'CNK 주가조작 사건' 때문이다. CNK인터내셔널이 2010년 카메룬 다이아몬드 광산 개발권[* 그때 언론기사로는 [[경남]]+[[경북]]을 합한 것보다 더 넓은 면적을 채굴한다고 발표했다.]을 취득하자, 주가가 5배나 뛰게 된다. 문제는 그 당시 [[카메룬]][* 카메룬은 이후 2012년 킴벌리 프로세스에 가입한다.]이 이 협약에 가입하지 않아서 채굴권이 있어도 국내로 다이아를 들여올 수 없다는 것이다. 이 사건은 관련자로는 이명박 대통령의 형 [[이상득]]과 김은석 에너지자원대사 등이 관여되었다. [[분류:국제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