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미국의 여자 배구 선수]][[분류:포틀랜드 출신 인물]][[분류:1989년 출생]][[분류:페퍼다인 대학교 출신]][[분류:미국의 올림픽 배구 메달리스트]][[분류: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배구 메달리스트]][[분류:2020 도쿄 올림픽 배구 메달리스트]][[분류:이고르 고르곤졸라 노바라/은퇴, 이적]][[분류:바키프방크 SK/은퇴, 이적]][[분류:이모코 발리 코넬리아노/현역]] [include(틀:이모코 발리 코넬리아노)]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 #002664" {{{#fff '''킴벌리 힐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세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 MVP)] [include(틀:FIVB 클럽 세계 선수권 대회 여자부 베스트팀)] ---- [include(틀:CEV 챔피언스 리그 여자부 베스트팀)] ---- [include(틀:터키 여자 배구 리그 MVP)]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킴벌리 힐.jpg|width=100%]]}}}|| ||<-2> '''{{{+2 킴벌리 힐}}}[br]Kimberly Jaye Hill''' || ||<|2> '''출생''' ||[[1989년]] [[11월 30일]] ([age(1989-11-30)]세) || ||[[오리건]] 주 [[포틀랜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포지션''' ||윙스파이커 || || '''신체 조건''' ||신장 193cm, 체중 72kg || || '''점프 높이''' ||스파이크 320cm, 블로킹 310cm || || '''학력''' ||[[페퍼다인 대학교]] || || '''국가대표''' ||[[미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2013~2021) || || '''소속팀''' ||Atom Trefl Sopot (2013~2014, 폴란드) [br] [[이고르 고르곤졸라 노바라|AGIL 발리]] (2014~2015, 이탈리아) [br] [[바키프방크 SK]] (2015~2017, 터키) [br] [[이모코 발리 코넬리아노]] (2017~)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배구선수이자, [[2020 도쿄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이다. '''킴 힐'''이라는 애칭으로 더 많이 불린다. == 상세 == 2008년에 [[페퍼다인 대학교]]에 입학해 NCAA에서 뛰었다. 2013년 경 무명이나 다름없던 킴벌리 힐을 [[미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의 감독 [[카치 키랄리]]가 이례적으로 대표팀에 발탁했다. [[데스티니 후커]] 이후로 미국의 새로운 주포를 찾던 키랄리의 눈에 든 이후로 2014 FIVB 세계선수권에서 MVP를 수상하기도 했다. 몇년 전 힐이 이름도 알려져 있지 않은 미국의 수많은 배구 선수 중 하나 취급을 받던 걸 생각하면 괄목할만할 성장. 이후 급격한 실력 성장을 보이며 [[바키프방크 SK]]에 이적하여 좋은 성적을 보였고 특히 [[김연경]]의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페네르바체]]를 2015-16시즌 파이널에서 극적으로 이긴 후 MVP를 수상하였다. 하지만 2016-17시즌 팀으로 새롭게 이적한 [[주팅]]에 밀려 벤치에 앉아있는 시간이 길어지다가 [[이탈리아 여자 배구 리그|세리에 A]]의 [[이모코 발리 코넬리아노]]에 이적해 제 2의 전성기를 보내는 중이다. [[2020 도쿄 올림픽]]을 마지막으로 선수 은퇴를 결심했다고 한다. == 선수 경력 == === 국가대표 경력 === * 2013 FIVB 월드그랑프리 (6위) * 2013 NORCECA 북아메리카선수권 (1위) * 2013 FIVB 월드그랜드챔피언스컵 (2위) * 2014 몽트뢰볼리마스터스 (2위) * 2014 FIVB 월드그랑프리 (6위) * 2014 FIVB 세계선수권 (1위) * 2015 FIVB 월드그랑프리 (1위) * 2015 FIVB 월드컵 (3위) * 2016 FIVB 월드그랑프리 (2위) *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3위) * 2017 FIVB 월드그랜드챔피언스컵 (3위) * 2018 FIVB 네이션스리그 (1위) * 2018 FIVB 세계선수권 (5위) * 2019 NORCECA 북아메리카선수권 (2위) * 2019 FIVB 월드컵 (2위) * 2020 FIVB 네이션스리그 (1위) * 2020 도쿄 올림픽 (1위) === 클럽 경력 === * Atom Trefl Sopot (2013~2014) * 폴란드 리그 3위 (1회) : 2013-14 * 폴란드 슈퍼컵 준우승 (1회) : 2013-14 * [[이고르 고르곤졸라 노바라|AGIL 볼리]] (2014~2015) * [[이탈리아 여자 배구 리그|세리에A1]] 준우승 (1회) : 2014-15 * 이탈리아컵 우승 (1회) : 2014-15 * [[바키프방크 SK]] (2015~2017) * [[CEV 챔피언스 리그]] 우승 (1회) : 2016-17 * [[CEV 챔피언스 리그]] 준우승 (1회) : 2015-16 * FIVB 세계클럽선수권 3위 (1회) : 2016-17 * [[터키 여자 배구 리그|터키 리그]] 우승 (1회) : 2015-16 * [[터키 여자 배구 리그|터키 리그]] 3위 (1회) : 2016-17 * 터키컵 준우승 (1회) : 2016-17 * 터키 슈퍼컵 준우승 (1회) : 2015-16 * [[이모코 발리 코넬리아노]] (2017~) * [[CEV 챔피언스 리그]] 준우승 (1회) : 2018-19 * [[CEV 챔피언스 리그]] 3위 (1회) : 2017-18 * FIVB 세계클럽선수권 우승 (1회) : 2019-20 * [[이탈리아 여자 배구 리그|세리에A1]] 우승 (2회) : 2017-18, 2018-19 * 이탈리아컵 우승 (1회) : 2019-20 * 이탈리아컵 준우승 (2회) : 2017-18, 2018-19 * 이탈리아 슈퍼컵 우승 (2회) : 2018-19, 2019-20 * 이탈리아 슈퍼컵 준우승 (1회) : 2017-18 === 개인 수상 === * 2014 FIVB 세계선수권 MVP * 2014 FIVB 세계선수권 베스트 아웃사이드 스파이커 * 2015-16 CEV 챔피언스리그 베스트 아웃사이드 스파이커 * 2015-16 터키 리그 MVP * 2016 FIVB 월드그랑프리 베스트 아웃사이드 스파이커 * 2016-17 CEV 챔피언스리그 베스트 아웃사이드 스파이커 * 2017-18 CEV 챔피언스리그 베스트 아웃사이드 스파이커 * 2019 FIVB 세계클럽선수권 베스트 아웃사이드 스파이커 == 여담 == * 팀에서 가지는 위치나 비중에 비해, 중요한 순간에 좋은 퍼포먼스를 보여 실력 대비 상을 많이 받아가는 것으로 유명하며, '''한 번 사는 배구인생은 킴힐처럼 살자'''라는 말도 있을 정도이다. * 킴힐이 가는 팀마다 우승을 하기 때문에 배구팬들은 킴힐이 우승부적이 아니냐는 말도한다. * 실력대비 너무 많은 우승컵과 개인상을 받아가는 것 때문에 역으로 실력이 과소평가 되는 선수이기도 하다. * 2021년 최고의 국대팀 미국과 최강클럽팀 이모코에 소속되어 국대와 클럽 양쪽 다 전대회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며 금빛은퇴를 하였다. 최고의 배구선수 인생을 살아온 우승부적 킴힐다운 은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