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1차 세계대전/영국 함선)] [[파일:t109w_35_king_edward_vii.jpg]] 1번함 HMS 킹 에드워드 7세 '''King Edward VII-class battleship''' [목차] ||<-2>1번함 HMS 킹 에드워드 7세함 기준|| ||전장||138.2 m|| ||전폭||23.8 m|| ||흘수선||8.1 m|| ||기준배수량||16,350톤|| ||만재배수량||17,500톤|| ||보일러||밥콕 & 윌콕스 수관 보일러 16기|| ||터빈||마린 증기 터빈 2기 2축|| ||출력||18,000 마력|| ||최고속도||18노트|| ||항속거리||10노트로 5,270해리|| ||승무원||777명|| ||주무장||<-2>BL 12인치 Mk.IX 함포 4문|| ||부무장||<-2>BL 9.2인치 Mk.X 부포 10문|| ||<|4>기타무장||QF 6인치 부포 6문|| ||QF 3인치 대공포 14문|| ||QF 3파운드 47mm 기관포 14문|| ||17.72인치 Mk.I 어뢰발사기 5문|| ||현측장갑||최대 9인치|| ||갑판장갑||최대 6.4인치|| ||포탑장갑||최대 12인치|| ||바벳장갑||최대 12인치|| ||함재기||없음|| == 개요 == 1905년부터 취역한 전함급이며,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참전한 [[전드레드노트급 전함]]으로 총 8척이 건조되었다. 1차 대전 중에 2척이 침몰하였으며 1차 대전이 끝난 이후 1918 ~ 21년 3년에 걸쳐 8척 모두 퇴역하였으며 전부 1921년에 스크랩되었다. 일본의 [[카토리급 전함]] 설계에 큰 영향을 줬다. == 상세 == [[https://en.wikipedia.org/wiki/King_Edward_VII-class_battleship|참조]] == 함선 일람 == [[대영제국]]을 구성하는 주요한 지역들인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연합왕국, 아일랜드, 캐나다 자치령, 호주 연방, 인도 제국, 남아프리카 연방에서 함명을 따왔다. * HMS [[에드워드 7세|킹 에드워드 7세]](HMS King Edward VII) * HMS [[호주 연방|커먼웰스]](HMS Commonwealth) * HMS [[인도 제국|힌두스탄]](HMS Hindustan) * HMS [[브리튼 섬|브리타니아]](HMS Britannia) * HMS [[캐나다 자치령|도미니언]](HMS Dominion) * HMS [[뉴질랜드]](HMS New Zealand) → HMS 질랜디아(HMS Zealandia) * HMS [[남아프리카 연방|아프리카]](HMS Africa) * HMS [[아일랜드|하이버니아]](HMS Hibernia) == 매체에서 == [[파일:WFC_Ships_KingEdwardVII.png]] * [[워쉽 플릿 커맨드]]에서 1등급의 전함으로 등장한다. 12인치 연장포 2기를 장착하고 있다. 동급의 전함에 비해 속도가 조금 빠르다. [[분류:전함]][[분류:해상 병기/세계 대전]][[분류:1905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