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파일:external/images4.wikia.nocookie.net/126577.jpg]] [[기동무투전 G건담]]에 등장하는 용어로, [[셔플동맹]]의 일원이자 수장에게 주어지는 칭호이다. 셔플 동맹의 리더격으로 묘사되며, 작중 킹 오브 하트의 칭호를 받은 사람은 마이런 K 하트, [[마스터 아시아]], [[도몬 캇슈]] 총 3명이 있다.[* 초대 킹 오브 하트의 경우 SD건담 G제네레이션 쪽의 오리지널 설정이다.] 여담으로 마스터 아시아는 7회와 [[건담 파이트]]에, 도몬 캇슈는 13회 건담 파이트에 [[네오 재팬]]의 대표로 참전했다. 마스터 아시아는 12회 대회에서는 네오 홍콩 대표로 참가하여 우승했다. [[파일:kingofheart4711_2.jpg]] 참고로 손등에 나타나는 킹 오브 하트의 문장은 대체로 나타나자마자 빛나거나 작화의 한계로 전체적인 형상만 그려지고 그 안의 세부적인 디테일은 단순화 하거나 생략하는 경우도 많은데, 상기의 이미지와 같이 13과 4711이라는 숫자가 적혀 있다. 여기서 13이란 트럼프 카드에서 킹이 13번째 카드라는 의미와 [[기동무투전 G건담]] TV판 본편에서 개최된 [[건담 파이트]]가 13회 째라는 의미, 그리고 아래의 4,7,1,1 이라는 숫자를 서로 합친 수가 13(4+7+1+1=13)이라는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퀸 오브 하트]]와는 무관...한가?~~ == 동명의 모빌 파이터 == [[파일:external/images2.wikia.nocookie.net/Kingofheart.jpg]] [[셔플동맹]]들은 그 증표에 걸맞는 MF를 타고 다니는데, 이 기체는 킹 오브 하트가 탑승하는 기체이다. 기체명은 당연히 킹 오브 하트(셔플 하트라고도 불린다). [[파일:external/images2.wikia.nocookie.net/Kingofheart-ma.jpg]] 이 기체 역시 MA 모드로 변신이 가능. [* 타 [[셔플동맹]]들도 자신의 문장과 동명인 기체를 사용하며 모든 기체가 그 문장의 형태로 변신한다.] --왜 안 썼는지 여러모로 납득이 간다.-- 무장은 마스터 아시아의 기술 특징대로 빔 클로스[* 마스터 건담이나 쿠롱 건담이 사용했던 무기이다]와 하트풀 핑거가 사용 가능하며 MS형태일 때는 머리 꼬랑지, MA일 때는 하트의 열쇠고리 체인 같은 부분에서 빔포를 사용 가능하다. 본편에선 등장이 없지만 설정상 [[쿠론 건담]] 제작에 이 기체의 잔해가 사용되었다. 쿠론 건담이 DG세포의 의해 [[마스터 건담]]으로 변이되었으니 마스터 건담의 원본이 되는 모빌파이터라 할 수 있다. G제네레이션 F에선 마스터 건담을 개발하면 등장. 개발시 초대 킹 오브 하트가 렌탈 가능해진다. 개발하려면 붓시->노붓시+MA계->판토마+건담계->라이징 건담+곳조라->샤이닝과 갓을 제외한 다른 셔플동맹기 아무거나->셔플 클럽 에이스+쉔롱 건담 계열->쿠롱 건담[* 그냥 G건담 시나리오 초반에 ACE 등록할 기회가 있으니 여기서 시작해도 된다]+데스 아미->마스터 건담-> 셔플 하트로 제작 가능. 다른 셔플 기체들은 4 기체들이 하나의 적 혹은 아군을 둘러싼 상태에서 사용 가능한[* 효과는 적일 경우 즉사 아군일 경우 완전 회복] 맵병기가 있는 반면 이건 그런 거 없다. 개발해도 그리 성능은 좋지 못한 편. 마스터 건담에는 슈퍼 모드에 강력한 무장까지 달린데 비해 그런 게 없다 보니.. 건담파이트 모드에선 기본적으로 이 기체가 등록되어 있고 마스터 아시아가 파일럿으로 등록되어 있다. 이 상태로 이겨 봐야 아무 보상도 얻지 못하지만. 건담 빌드 파이터즈 23화에서 첫 영상화가 되었다! 하지만 상대는 건담 페니체 리나시타를 사용하는 리카르도 펠리니였기에 빠르게 썰린다. 그래도 MA에서 MF로 변하는 모습이나 적어도 한 번이라도 리나시타의 공격을 막긴 하였다. --막은체로 썰리긴 했지만-- 여담으로 설정상 빔포인 것을 빔 사벨로 사용하는 모습을 보인다. [[분류:기동무투전 G건담/설정]][[분류:기동무투전 G건담/등장 메카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