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 등장하는 캐릭터, rd1=타니노 김렛(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include(틀:신세기의 명마 베스트 100)]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anino_Gimlet.jpg|width=100%]]}}} || ||<-2> 이름 || タニノギムレット[br]Tanino Gimlet || ||<-2> 출생 || [[1999년]] [[5월 4일]] ([age(1999-01-01)]세) || ||<-2> 성별 || 수컷 || ||<-2> 털색 || 갈색 (鹿毛, 카게) || ||<-2> 아비 || [[브라이언스 타임]] (Brian's Time) || ||<-2> 어미 || 타니노 크리스탈 (タニノクリスタル) || ||<-2> 외조부 || 크리스탈 팰리스 (Crystal Palace) || ||<-2> 생산자 || 컨트리 목장 || ||<-2> 마주 || 타니미즈 유조[* 컨트리 목장의 소유주다.] || ||<-2> 조교사 || [[마츠다 쿠니히데]] (릿토) || ||<-2> 성적 || 8전 5승 (5-1-2-0) || ||<-2> 총상금 || 3억 8601만 엔 || ||<|3> 주요[br]우승 || G1 || [[도쿄 우준|일본 더비]](2002) || || G2 || [[스프링 스테이크스]](2002) || || G3 || [[신잔 기념]](2002)[br][[알링턴 컵]](2002) || ||<-2> 주요 자마 || '''[[보드카(말)|보드카]]'''(2004) || ||<-2> 상세 정보 || [[https://db.netkeiba.com/horse/1999100226/|[[파일:netkeiba_logo.png|width=85]]]] | [[https://www.jbis.or.jp/horse/0000611525/|JBIS]]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Tanino_Gimlet_Portrait.jpg|width=100%]]|| || '''축배를 이 손에[br]{{{-2 祝杯をこの手に}}}''' || || '''{{{#white 2017년 명마의 초상}}}''' || >'''축배를 이 손에''' > >과신과 방심은 없었지만 >운 또한 없었다. >억울함이, 원념이, 분노가 더해진다. >승리의 미주를 뒤집어쓰는 것은 >나였을 것이다, 라고. > >오늘이야말로 취하자. >감정을 남기지 않고 >온 힘을 다해 잔디에 내던지자. >모든 것을 쏟아낸 앞에는 >분명 축배가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 >JRA 명마의 초상 일본의 경주마. 현역 시기가 극히 짧았으나 [[일본 더비]] 우승이라는 확실한 커리어가 있으며, 은퇴 후에도 [[보드카(말)|보드카]]를 포함한 다수의 중상마를 남기며 성공적인 종마 생활을 보냈던 말이다. 보드카와의 부녀 더비 제패는 JRA 역사상 유일한 기록이다. 이름의 유래는 관명인 타니노[* 타니노 관명을 지은 타니미즈 가문은 급사하신 아버지 타니미즈 노부오와 아들 타니미즈 유우조가 마주를 하며 타니노 해로모어와 [[타니노 무티에]]를 포함하여 총 4마리의 더비마를 배출시켰다.하지만 유우조의 후계자가 마주를 하지 않겠다고 오랫동안 밝힌 탓에 유우조씨는 2011년 목장을 팔고 점차 소유마를 줄여나가기 시작하여 2022년 6월자로 마지막 현역 말도 현역 은퇴하면서 사실상 타니노 관명은 51년의 역사를 뒤로 하게 되었다.]와 술 이름인 [[김렛]]. == 혈통 == || 1대 || 2대 || 3대 || ||<|4>[[브라이언스 타임]][br]{{{-2 Brian's Time[br]1985}}}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2>[[로베르토(말)|로베르토]][br]{{{-2 Roberto[br]1969}}}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헤일 투 리즌[br]{{{-2 Hail to Reason}}}|| ||브래멀리어[br]{{{-2 Bramalea}}}|| ||<|2>켈리스 데이[br]{{{-2 Kelley's Day[br]1977}}}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그라우스타크'''[br]{{{-2 Graustark}}}|| ||골든 트레일[br]{{{-2 Golden Trail}}}|| ||<|4>타니노 크리스탈[br]{{{-2 タニノクリスタル[br]1988}}}||<|2>크리스탈 팰리스[br]{{{-2 Crystal Palace[br]1974}}}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카로[br]{{{-2 Caro}}}|| ||에르미에르[br]{{{-2 Hermieres}}}|| ||<|2>타니노 시버드[br]{{{-2 Tanino Sea-Bird[br]1972}}}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시 버드[br]{{{-2 Sea Bird}}}|| ||플랙슨[br]{{{-2 Flaxen}}}|| ||<-3>* 그라우스타크 '''3×4''' 18.75%[br]* 시캉브르 M4×M5 9.375% [br]* 로만 5×5 6.25%|| 아비 [[브라이언스 타임]]은 [[나리타 브라이언]], [[마야노 탑건]], [[서니 브라이언]] 등의 G1 우승마들을 다수 배출한 명종마이다. 모부마 크리스탈 팰리스는 9전 4승, 1977년 조케 클뤼브상, 니엘상 우승마로 종마로서도 1985년 프랑스 리딩사이어에 올랐다. 1985년 일본에 수입되어 1991 [[천황상 가을]] 우승마[* 그 [[메지로 맥퀸]]이 1착으로 들어왔다가 진로방해로 '''18착'''으로 강착된 천황상 가을 대회다.] [[프레크라스니]]를 배출했지만 그 외에는 활약마가 없었다. 외조모 타니노 시버드는 타니미즈 유조와 컨트리 목장장이 미국 켄터키주에서 열린 경매에서 시 버드[* 프랑스의 경주마로 8전 7승, 1965년 더비 스테이크스, 개선문상 우승마로 타임폼 평가에서 145파운드를 받은 명마다.](Sea Bird)가 11세로 일찍 죽었기 때문에 그 자마의 희소성을 보고 7만 달러에 구입한 말로 일본에서 10전 2승을 기록하고 산구마로 중상마 타니노 스이세이[* 52전 7승, [[아사히 챌린지 컵]](1988), [[키타큐슈 기념]](1989) 우승마. 부마는 제단(Zeddaan).](タニノスイセイ)를 배출했다. 모마 타니노 크리스탈은 40전 6승, 1991년 아네모네 스테이크스(현 L 경주) 우승마다. == 커리어 == [include(틀:2002년 JRA G1 대회 우승마/간략)] 2001년 2세 8월 데뷔 전에서 2착 후 꼬리 골절로 오랜 휴양, 은퇴 위기를 극복하고 12월의 복귀 경기에서 2위에 7마신 차로 첫 승리를 따냈다. 이듬해 [[타케 유타카]]를 주전 기수로 정하고 중상 2경기에서 연승을 달렸다. 타니노 김렛의 경기 다음 날 타케 유타카가 낙마로 부상당해 2번째 경기에 기승했던 [[시이 히로후미]]가 대체 기수로 정해져 [[스프링 스테이크스]]에서 텔레그노시스[* 37전 5승, [[NHK 마일 컵]](2002) 우승마.](テレグノシス)를 꺾고 승리했다. 이어진 [[사츠키상]]에서도 시이 히로후미 기수로 나왔지만 최종 코너에서 바깥으로 크게 돈 손실을 극복하지 못하며 3착, 경마 평론가들은 시이 히로후미 기수의 기승 미스로 비판하기도 했다. 더비를 앞두고 부상에서 돌아온 타케 유타카 기승으로 [[NHK 마일 컵]]에 나와 직선 주로에서 텔레그노시스의 사행에 잠시 진로가 막혀 3위로 들어 왔다. 20분의 심의 시간을 가졌으나 결국 텔레그노시스 우승, 타니노 김렛 3착으로 결과는 바뀌지 않았고 타케 유타카는 텔레그노시스의 기수 카츠우라 마사키(勝浦正樹)에 화를 냈다고 전해진다. || [youtube(w25-R31De7E)] || || 2002년 [[일본 더비]] 영상 || 2주 후 열린 일본 더비에서는 최고의 컨디션으로 출주, 직선 주로에서 [[심볼리 크리스 에스]]를 제치고 승리, 타케 유타카는 사상 최초로 더비 3승을 올린 기수가 되었다. 더비 후 홋카이도의 요시자와 스테이블에서 조교를 받은 후 8월 25일 릿토로 돌아와 9월 1일 조교 후 왼쪽 앞다리 굴건염이 발견되었고, 해당 질환이 전치 6개월에 재활이 어려운 것과 더비 우승으로 이미 종마로서의 가치가 충분히 생겼다는 판단 때문에 결국 은퇴가 확정되었다. 그 뒤 2003년 8월 24일에 삿포로 경마장에서 은퇴식이 거행되었다. === 종마 생활 === ==== 주요 산구 ==== '''볼드체'''는 G1/Jpn1 우승. 2004년산 * 골드 아굴리 - [[니가타 2세 스테이크스]](2006) * '''[[보드카(말)|보드카]]''' - '''[[한신 쥬브나일 필리즈]](2006), [[일본 더비]](2007)[* 일본 경마 역사에 단 하나뿐인 '''부녀 더비 제패''' 기록이다. 암말이 더비에 도전하는 사례 자체가 흔하지 않고 우승하는 것은 더더욱 희귀하니까 당연하지만.], [[야스다 기념]](2008, 2009), [[천황상#s-3|천황상(가을)]](2008), [[빅토리아 마일]](2009), [[재팬 컵]](2009)''', [[튤립상]](2007) * 히라보쿠 로열 - [[아오바상]](2007) * 앱솔루트 - [[도쿄신문배]](2009), [[후지 스테이크스]](2009) * 니시노 블루 문 - [[나카야마 암말 스테이크스]](2010) 2005년산 * 스마일 잭 - [[스프링 스테이크스]](2008), [[세키야 기념]](2009), 도쿄신문배(2011) 2006년산 * 세이크리드 밸리 - [[니가타대상전]](2011) 2008년산 * 크레스코 그랜드 - [[교토신문배]](2011) * 올 댓 재즈 - [[후쿠시마 암말 스테이크스]](2012, 2013) 2009년산 * 미드서머 페어 - [[플로라 스테이크스]](2012) 2011년산 * 하기노 하이브리드 - 교토신문배(2014) * 메도 라크 - [[타나바타상]](2018), 한신 점프 스테이크스(2019) 2013년산 * 블랙 스피넬 - 도쿄신문배(2017) 2015년산 * 미스 맘마미아 - 플로럴 컵(2017) == 여담 == [[파일:김렛 아저씨 울타로 부수고 환호.jpg|width=500]] 2020년에 종마 생활을 은퇴하고 난 후에는 은퇴마 전용 목장인 [[베르사유 리조트 팜]]에서 여생을 보내고 있다. 현역 시절의 기성은 여전해서 구무원이 앞에서 촬영하는데도 대놓고 [[https://twitter.com/Versailles_Farm/status/1283964312256536577|울타리를 발로 차거나]][* [[https://mobile.twitter.com/suzuma555/status/1493729801815097344|박살낸 울타리 옆에서 그냥 대놓고 서있으면서]] 탈출할 생각은 없다는 의사를 분명히 표하고 있다.] [[당근]]을 줄기째로 줬을 때 [[https://www.youtube.com/watch?v=OmyMBDtJKi4|줄기를 탁 잘라 뱉는]][* 이는 주황색 뿌리 부분에 당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더 맛있기 때문이다. [[고양이]] 등 소수를 제외하면 대다수의 동물들이 가장 선호하는 맛이 단맛임을 고려하면...] 등의 기행으로 계속 주목을 끌고 있다. 오죽하면 [[https://www.youtube.com/watch?v=cqshf2M383s|이런 날뛰는 영상]]이 올라오기도 하며 울타리 격파는 구무원들도 체념했는지 계속 영상을 찍어서 올리고 있다. 아에 베르사유 팜에서 파는 커피잔에 프린팅으로 김렛의 뒷발차기와 날아가는 울타리를 넣거나, 목장 소유마들의 생일 도네이션을 받을 때 타니노 김렛만 생일 도네이션+목책 기금으로 제목을 짓는 등 목장 영업에도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팬들은 아예 ''''수리비는 얼마든지 대 줄테니 맘껏 부숴라''''라는 비뚤어진 애정(?)으로 기부를 하기도 한다고 한다.][* 목책을 너무 튼튼하게 지으면 목책이 아니라 말의 발모가지가 부러질 수 있기 때문에, 이런 버릇이 있는 말이 있을 경우 목책을 일부러 쉽게 부러지는 나무로 쓴다고 한다. 즉 애초에 소모품이지만 목책 영수증에는 무려 30만엔이 적혀있다.] 참고로 베르사유 리조트 팜은 비교적 최근에 만들어진 목장이라 마방도 상당히 좋은 데 김렛의 마방만은 지속적인 발차기 등으로 벽 곳곳에 구멍들이 생긴 게 영상을 통해서 확인되었다. 그리고 이런 기벽이 사실은 현역 시절부터 이어졌던 것이며 스트레스 해소 차원으로 일부러 저질러왔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졌다고 한다.(...) 최근에 베르사유 팜에는 우마무스메 팬들을 의식한 것인지 타니노 김렛에 보드카 태그를 달린 트윗이 많아지기 시작했다. 보드카 우마무스메 그림이 박힌 에너지 드링크 Zone 콜라보 음료수를 타니노 김렛에 갖다대는 건 덤.[[https://www.instagram.com/p/CaCNRjYvVMY/?utm_medium=copy_link|#]] 뜨겁고 이상한 냄새가 나서 기피하는 커피와는 달리 시원한 드링크에는 침까지 흘리며 기분좋게 얼굴을 비비는 것을 보고 팬들은 딸을 알아본 것이 아니냐는 농담과 동시에 [[보드카(말)|딸]]이 아버지보다 [[참척#s-1|먼저 세상을 떠나버렸단 사실에]] 씁쓸하다는 반응도 있다. 2021년 9월부터 [[https://dic.pixiv.net/a/人をダメにするソファ|사람을 글러먹게 만드는 소파(人をダメにするソファ)]]로 알려진 빈백 소파 메이커 [[요기보]]가 베르사유 리조트 팜의 스폰서로 서포트 중이다. [[https://news.netkeiba.com/?pid=news_view&no=192499|관련기사]] 다른 은퇴마들과 같이 김렛도 요기보 소파의 [[https://twitter.com/Versailles_Farm/status/1524582516925300740|홍보영상]]에 출연했는데, 거친 성격에 맞지않게 요기보 소파를 머리로 살짝 치는거로 끝났다. 2022년 3월 20일 경에 타니노 김렛의 발차기에 도전이라도 한 듯이 김렛의 방목장 울타리만 3단에서 '''5단'''으로 개수되었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umamusme&no=960410&search_head=50&page=1|#]] 하지만 개수한 보람도 없이 5단 목책도 파괴하는데 성공했다.[[https://twitter.com/Versailles_Farm/status/1522368444569886721|#]] 최근에는 바로 옆에 있는 로즈 킹덤도 보고 배운건지 가끔씩 목책을 부순다고(...) 이후 목장 측에서 주로 부수는 목책 구간에 아예 측백나무들을 심어 대김렛용 바리케이드(...)를 구축하였다. [[https://twitter.com/Versailles_Farm/status/1540273072749842432|#]] 그런데... 울타리를 못 찬다는 사실에 심통이 났는지 이제는 '''측백나무도 걷어찼다.'''[[https://www.youtube.com/watch?v=JTXt7YdZc4M|#]] 측백나무를 심은 지 며칠 되지도 않았는데 측백나무를 피해 울타리를 걷어차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https://twitter.com/Torikai_a/status/1541268483669135360|#]] --나무 따위 장벽에 불과하다고 온몸으로 시위 중인 김렛옹-- 현재 부순 목책들을 모아서 가공 굿즈로 판매하는 중인데 아무래도 목제 가공품이라 가격이 제법 나가는 편이지만 올라오는 족족 매진되고 있으며 목책 굿즈 말고도 다양한 상품들[* 가령 목책을 부수는 자세의 김렛을 캐릭터화해서 티셔츠 같은 걸 판다.]이 나오고 있어서 부순 목책 값은 충분하게 벌어주고 있다고 한다. 참고로 베르사유 리조트 팜 홈페이지에 의하면 씨종마 은퇴 후 본 목장으로 오면서 거세를 시키지 않았다고 한다. 올해 23세로 상당히 장수하고 있는 중이라 팬들로부터는 기무할배(ギム爺)라는 애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국내 커뮤니티나 우마무스메 유저들은 위 애칭을 그대로 번역한 '김렛옹'이라는 애칭을 쓰는 중. '파괴신'이라는 별명과 살벌한 인상 덕분에 오해를 받기 쉽지만, 목장 스탭들의 증언에 의하면 평소의 김렛은 기물 파손 상습범이긴 하지만 성격 자체는 굉장히 얌전하고 애교가 많으며 붙임성이 좋다고 한다. 실제로 베르사이유 리조트 팜에 가서 김렛을 만나본 팬들은 입을 모아 방문객에게 살갑게 대하는 팬 서비스가 왕성한 말이었다고 증언한다. 심지어 당근을 주면 쓰다듬어도 가만있거나 좋아하는 편이라고. 다만, 말 특유의 애정표현인 가끔 장난삼아 깨무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데 [[우마무스메 마이너 갤러리]]의 한 유저가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umamusme&no=1356844&search_pos=-1348293&s_type=search_subject_memo&s_keyword=.EA.B9.80.EB.A0.9B&page=1|두 번 방문해서]]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umamusme&no=1589702&search_pos=-1588293&s_type=search_subject_memo&s_keyword=.EA.B9.80.EB.A0.9B&page=2|두 번 모두 물린 케이스]]도 있다. --[[우리 업계에서는 포상입니다]]-- 이러한 성격 덕에 다른 말과의 관계도 굉장히 좋아서, 종마 시절에는 매우 온순하지만 겁이 많았던 [[나리타 탑 로드]]와 절친한 사이였고 김렛이 집목되었을때 탑 로드가 울면서 뛰거나 김렛이 떠난 방향을 바라보고 있을 정도로 김렛을 매우 의지하고 있었다. 그리고 씨수말 은퇴 후에는 마찬가지로 기성이 거친 편이었던 [[로즈 킹덤]][* 2019년 씨수말 은퇴, 그러니까 김렛보다 1년 먼저 베르사유 리조트 팜에 들어왔다.]과도 절친으로 유명한데, 김렛이 거세를 안했다는걸 감안하면 매우 이례적인 케이스다.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4th 라이브 요코야마 공연 2일차에서 예상을 뒤엎고 심볼리 크리스 에스와 함께 실장이 발표되었다. '''울타리를 걷어차서 부숴버리는 습관'''과 이로 인해 붙은 별명 '파괴신'이 우마무스메 [[타니노 김렛(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타니노 김렛]]에게 그대로 반영되었으며, 왼쪽 눈만 [[삼백안]]이라 오른쪽 얼굴에 비해 왼쪽 얼굴이 무척 살벌한 인상인 신체적 특성에 착안했는지 오른쪽 눈에 안대를 한 캐릭터로 디자인되었다. 2022년 8월 초에 삼백안인 왼쪽 눈의 각막에 염증이 생겨 치료가 끝날때까지 긁는 것을 방지하는 안대를 착용했는데, 이것이 무시무시하게 어울려서 댄디 미노년 속성이 증폭되었다.[[https://twitter.com/suzuma555/status/1554652329374515200|#]] 우연찮게도 우마무스메 쪽의 요소가 원본마 쪽에 역유입 된 셈이다.[* 다만 우마무스메 타니노 김렛과는 안대의 위치가 반대이긴 한데, 팬덤에서는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으니 안대 위치를 바꾸자''''는 의견도 많다.] 또한 당근스틱을 물고 찍은 사진([[https://twitter.com/suzuma555/status/1555869558803951616|##]])은 마치 담배를 꼬나물고 있는 듯한 분위기가 되어 ''''[[오오츠카 아키오]] [[솔리드 스네이크|보이스]]로 말할 것 처럼 생겼다''''며 화제가 되었다. --여기는 김렛, 베르사유 리조트 팜 잠입에 성공했다.-- 베르사유 리조트 팜에 있는 마운차 중 버스형 마운차 외부 디자인은 타니노 김렛 레핑. [[스테이 골드|그 일족]]도 아닌데 자기 대변 냄새를 맡고 우는 버릇이 있다. [[https://youtu.be/nJTj_KWl10U|#]] 2023년 2월 18일 최고령 더비마였던 [[위닝 티켓]]의 죽음으로 타니노 김렛이 최고령 더비마가 되었다. 2022년부터 왼쪽 눈에 백내장이 생겼는 데 치료가 어려운 모양인지 2023년 7월 22일 삿포로 경마장에 참석했을 때도 그 모습이 보였다고 한다.여담으로 2023년 삿포로 경마장 참석 당시 울타리는 베르사유 리조트 팜의 방목지에 설치된 울타리가 목재인 것과 달리 나무처럼 생긴 재질이라서 혹시 울타리를 찰까 걱정했으나 당일에는 울타리를 차지 않고 그냥 공중에서 발차기 시범 등을 보여주기도 하는 등의 모습을 보여주면서 사실상 울타리 차는 것은 [[골드 쉽]]의 표정개그처럼 일종의 팬 서비스 비슷한 게 아니냐는 소리도 있다. == 경주 성적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경주일 || 경마장 || {{{#!wiki style="min-width: 130px" 경기명}}} || 등급 || {{{#!wiki style="min-width: 80px" 트랙}}} || 배당 || 인기 || 착순 || 기수 || 1착마[br](2착마) || ||<-10> 2001년 {{{-1 (2세)}}} || || 8.5 || [[삿포로 경마장|삿포로]] ||<-2> 2세 신마 || 더트 1000m || 2.1 || 1 || {{{#BLUE 2착}}} || [[요코야마 노리히로]] || 레어 펄 || || 12.22 || [[한신 경마장|한신]] ||<-2> 2세 미승리 || 잔디 1600m || 3.6 || 3 || '''{{{#red 1착}}}''' || [[시이 히로후미]] || (하마노 호크) || ||<-10> 2002년 {{{-1 (3세)}}} || || 1.14 || [[교토 경마장|교토]] || [[신잔 기념]] || GIII || 잔디 1600m || 2.2 || 1 || '''{{{#red 1착}}}''' ||<|2> [[타케 유타카]] || (치어스 슈타르크) || || 2.23 || 한신 || [[알링턴 컵]] || GIII || 잔디 1600m || 1.3 || 1 || '''{{{#red 1착}}}''' || (호맨 위너) || || 3.17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스프링 스테이크스]] || GII || 잔디 1800m || 1.3 || 1 || '''{{{#red 1착}}}''' ||<|2> 시이 히로후미 || (텔레그노시스) || || 4.14 || 나카야마 || [[사츠키상]] || '''GI''' || 잔디 2000m || 2.6 || 1 || {{{#GREEN 3착}}} || [[노 리즌]][* 당시 단승 배당 115.9배의 15번 인기였는데 우승해버렸다. 어마어마한 규모의 역배가 터진 것. 그리고 노 리즌은 그 해 킷카상에서 1번 인기를 받고 레이스 시작과 동시에 기수를 낙마시키며 또 한번의 역배 파티를 펼쳤다.] || || 5.4 || [[도쿄 경마장|도쿄]] || [[NHK 마일 컵]] || '''GI''' || 잔디 1600m || 1.5 || 1 || {{{#GREEN 3착}}} ||<|2> 타케 유타카 || 텔레그노시스 || || 5.26 || 도쿄 || '''[[도쿄 우준]] (일본 더비)''' || '''GI''' || 잔디 2400m || 2.6 || 1 || '''{{{#red 1착}}}''' || ([[심볼리 크리스 에스]]) ||}}} [include(틀:일본 더비,grade=GI)] ---- [include(틀:스프링 스테이크스,grade=GII)] ---- [include(틀:신잔 기념,grade=GIII)] [include(틀:알링턴 컵,grade=GIII)] [[분류:경주마/일본 생산]][[분류:경주마/일본 조교]][[분류:종마/일본]][[분류:1999년 출생/경주마]][[분류:릿토 트레이닝 센터 소속/경주마]][[분류:브라이언스 타임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