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왕가위 감독 장편 연출 작품)] ||<-2>
{{{#ff8c00 {{{+2 '''타락천사'''}}} (1995)[br]Fallen Angels, 墮落天使}}} || ||<-2>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파일:타락천사_리마스터링_포스터.jpg|width=100%]]}}} || ||<-2> {{{#ff8c00 {{{#!wiki style="margin: -6px -10px" {{{#!folding 개봉 당시 포스터 ▼ [[파일:external/65a8691faf5e658a34ec9a1467fe4a293f10608fdc228578305df000c8aa7f10.jpg|width=100%]]}}}}}}}}} || || '''장르''' ||드라마, 멜로, 로맨스 || || '''감독''' ||[[왕가위]] || || '''각본''' ||[[왕가위]] || || '''촬영''' ||[[크리스토퍼 도일]] || || '''국가''' ||[[파일:영국령 홍콩 기.svg|width=22]] [[영국령 홍콩]] || || '''화면비''' ||1.85:1 [* 원본 화면비] · 2.39:1 [* 2020년에 리마스터링 되면서 화면비가 변경되었는데, 이에 대한 얘기가 많다.]|| || '''상영 시간''' ||105분 || || '''개봉일''' ||[[파일:영국령 홍콩 기.svg|width=22]] [[1995년]] [[9월 2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1995년]] [[12월 23일]], [[2021년]] 2월[*재개봉] || || '''출연''' ||[[여명(홍콩)|여명]], [[이가흔]], [[카네시로 타케시]], 양채니, 막문위 외 || || '''흥행''' ||서울 개봉관 151,163명 || || '''[[영상물 등급 제도|{{{#ff8c00 상영 등급 }}}]]''' ||'''[[15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 15세 이상 관람가}}}]]'''[* [[https://www.kmrb.or.kr/kor/CMS/TotalSearch/gradeResultView.do?mCode=MN132&site_code=&category_code=ORS&category_code2=MV&category_code3=&grade_name=15%EC%84%B8%EC%9D%B4%EC%83%81%EA%B4%80%EB%9E%8C%EA%B0%80&rcv_no=2240358&return_url=&searchKeyword=%ED%83%80%EB%9D%BD%EC%B2%9C%EC%82%AC|등급분류 결정내용]]: 비일상적인 삶을 사는 홍콩 젊은이들의 방황을 그린 영화로, 선정성이 다소 높고, 청부살인을 위한 권총과 칼 등 흉기 살상에서의 유혈과 신체훼손 장면으로 인해 폭력성과 공포 수위도 높으며, 이밖에 음주와 흡연 장면, 모방위험 등도 고려해 15세이상관람가[br](내용정보 표시항목: [[파일:영등위_선정성_2021.svg|width=40]][[파일:영등위_폭력성_2021.svg|width=40]][[파일:영등위_모방위험_2021.svg|width=40]])] || || '''국내 스트리밍''' ||[[https://www.netflix.com/title/81580525|[[파일:넷플릭스 로고.svg|width=60]]]] [[https://www.wavve.com/player/movie?movieid=MV_CX01_CX0000011525|[[파일:wavve 로고.svg|height=20]]]] || [목차] [clearfix] == 소개 == [youtube(_5rBXuQHHro)] [[왕가위]]가 연출하고, [[여명(홍콩)|여명]], [[이가흔]], [[카네시로 타케시]], 양채니(楊采妮, Yang Cai Ni, Charlie Yeung), 막문위(모원웨이, 莫文蔚, Mok Man Wai, Karen Mok)가 출연한 장편 영화. 원제는 《墮落天使》이고, 영어 제목은 《''Fallen Angels''》이다. 《타락천사》는 본시 [[왕가위]]의 직전 작품인 《[[중경삼림]]》의 [[카네시로 타케시]]-[[임청하]] 이야기와 [[양조위]]-[[왕페이|왕비(왕정문)]] 이야기에 뒤이어지는 이야기로 구성하려 하였으나, 이렇게 하면 중경삼림의 러닝타임이 너무 길어지는지라 중경삼림과는 별개의 영화로 독립시킨 작품이다.[* 때문에 중경삼림과 스타일이 매우 유사하다. 아니 사실 똑같다고 보는 게 맞다. 다만 전개 방식은 다소 다르다. 중경삼림은 1부와 2부가 명확히 분리되어 있지만, 타락천사는 두 개의 스토리가 교차적으로(라고도 하지만 일부 섞이기도 하며) 진행된다. 그리고 중경삼림이 어느 정도 플롯과 미장센이 밸런스를 잡은 작품인데 비해 타락천사는 왕가위식 미장센의 극치를 보여주지만 반대로 스토리 진행 면에서는 다소 과하게 느슨하고 불친절하다. 이 때문에 스타일 과잉에 불과하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제32회 [[대만]] 금마장영화제에서 편집상(장숙평(張叔平), 황명림(黃銘林))과 미술디자인상(장숙평)을, 제15회 [[홍콩]] 금상장영화제에서 여우조연상(막문위)과 촬영상(크리스토퍼 도일[* Christopher Doyle, '두가풍(杜可風)'이라는 이름도 사용한다.]) 및 음악상(진훈기(陳勳奇), 로엘 A. 가르시아) 등을 수상했다.[* [[https://ko.wikipedia.org/wiki/%ED%83%80%EB%9D%BD%EC%B2%9C%EC%82%AC_(1995%EB%85%84)|위키백과 한국어판 - 타락천사 (1995년)]]와 [[https://zh.wikipedia.org/wiki/%E5%A2%AE%E8%90%BD%E5%A4%A9%E4%BD%BF_(1995%E5%B9%B4%E9%9B%BB%E5%BD%B1)|위키백과 중국어판 - 墮落天使 (1995年電影)]] 참조.] == 줄거리 == [include(틀:스포일러)] 기억상실증에 걸린 황지명([[여명(홍콩)|여명]] 扮)은 동업자(이가흔 扮, 이하 '에이전트'로 칭함.) 외엔 아무 연고가 없는 고독한 킬러였고, 에이전트는 동업자인 이 킬러에게 사랑을 느끼게 된다. 황지명은 완벽한 사업을 위해서는 사적인 감정이 개입되어서는 안 된다는 생각에 에이전트와 만나는 걸 철저히 피했다. 하지만 에이전트는 그런 황지명을 그리며, [[짝사랑|일방적인 사랑]]의 감정을 가슴에 묻어둔다. 그러자 황지명은 의식적으로 에이전트를 피하기 위해 낯선 여자인 펑키([[블론디|금발]], 베이비, 막문위 扮)에게 몸을 맡기고 에이전트와의 동업을 끝내려고 한다.[* 줄거리: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7058#|네이버 영화 - 타락천사]]를 참조. 등장인물 이름: [[http://www.imdb.com/title/tt0112913/|Fallen Angles (Do lok tin si) - IMDb]]를 참조.] 다섯 살 때 유통기한이 지난 파인애플 통조림을 먹은 뒤 병을 앓았던 후에 말을 잃게 된 하지무([[카네시로 타케시]] 扮)는 --[[중경삼림|25살에 먹게될지도]]...--[* 정확히 어떤 병인지는 나오지 않는다. 다만 노래를 따라부르는(입모양이지만) 걸로 보아 말하는 법은 알고 있는 듯하다.] 하나 뿐인 가족인 아버지를 모시고 친구도 직장도 없이 살아가던 중 남의 가게에 숨어들어가 폭력적인 방법으로 장사를 한다. 사랑이란 걸 몰랐던 그에게 어느 날 실연당한 여인 챨리(체리, 양채니 扮)를 만나 왠지 모를 사랑의 감정을 싹틔운다.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fallen-angels, critic=71, user=7.8)]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allen_angels_hong_kong, tomato=95, popcorn=87)] [include(틀:평가/IMDb, code=tt0112913, user=7.6)]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fallen-angels, user=4.2, list=Letterboxd Top 250, rank=216)]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14388, presse=없음, spectateurs=3.7)]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22844, user=7.8)]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50324, user=4.0)]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34806, user=3.8)]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10530, user=7.5)]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1298112, user=8.3)] [include(틀:평가/왓챠, code=m6dRlrW, user=3.6)]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26626, light=78.91)]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17058, expert=없음, audience=8.93, user=8.63)]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7032, user=7.9)] [include(틀:평가/CGV, code=84280, egg=89)] == 한국 방영 == 1997년 11월 1일 KBS [[토요명화]]에서 더빙 방영했으며 1999년 1월 31일 재방영했다. 갓 프리된 23기 성우(구자형, 이선, 배정미, 김소형, 성완경)를 전면에 내세운 꽤 파격적인 캐스팅이다. * [[구자형]] - 황지명([[여명(홍콩)|여명]]) * [[김준(성우)|김준]] - 하지무([[카네시로 타케시]]) * [[정미숙]] - 가흔([[이가흔]]) * [[이선(성우)|이선]] - 찰리(양채니) * [[배정미]] - 베이비(막문위) * [[장승길]] - 하지무의 아버지(진만뢰) * [[유동현]] - 정육점 남자(장지평) * [[최병상]] - 아이스크림 먹는 남자(진휘홍) * [[홍승섭]] - 이자카야 주인(사이토 토오루) * [[김소형(성우)|김소형]] - 황지명의 친구(강도해) * [[성완경]] - 가게 남자(오욱호) * 우리말 연출 - [[이원희(PD)|이원희]]([[KBS 미디어]]) == 여담 == * 광각 렌즈로 찍은 세련된 화면과 왕가위 감독의 전매특허와도 같은 스텝 프린팅 기법은 이 영화가 개봉한 지 20년이 훌쩍 지난 지금에 봐도 세련미가 넘친다. 소위 '[[인스타그램]] 감성'등 현재 취향에 부합하는 면도 있을 정도로 시간을 뛰어넘는 영상미를 보여준다. 다만, 느슨한 스토리 전개와 전작과의 어정쩡한 연결성, [[왕가위]] 특유의 [[탐미주의]]는 보는 이에 따라서는 호불호가 갈릴 수 있다. * [[중경삼림]]과 함께 한국 대중문화계에 큰 영향을 끼친 최후의 홍콩영화로 꼽힌다. [[정우성]] 주연의 한국 영화 《[[비트(영화)|비트]]》를 비롯해 숱한 국내 영화나 광고들이 타락천사의 상당 부분을 모방했다. 특히나 [[김선아]]가 데뷔 초에 출연하여 화제가 되었던 한 화장품 CF의 카피인 "낯선 여자에게서 그의 향기를 느꼈다."는 이 영화의 한 장면을 그대로 차용한 것이다.[* [[https://youtu.be/U3y0NOlsk_Y|한불화장품 TV CF (1996)]]와 영화 타락천사 中 [[https://youtu.be/daL7QKM4lEo?t=1m35s|이가흔-막문위 교차 씬]].][* 촬영 기법뿐만 아니라 영화 비트에서의 [[정우성]] 헤어스타일도 [[여명]]의 스타일을 거의 그대로 빌린듯 하다.] * [[수지(1994)|수지]]의 솔로 앨범 뮤직비디오 [[https://youtu.be/b34ri3-uxks|Yes No Maybe]]는 왕가위의 다양한 영화에 대한 오마주를 담고 있으나, 그중에서도 타락천사의 주요 장면과 스타일을 가장 중점적으로 차용하고 있다. 원작 영화에서 이가흔이 [[딤섬]]을 먹는 장면을 수지가 거의 같은 카메라 각도에서 그대로 재현하는 장면이 백미. * 극중 킬러인 [[여명(홍콩)|여명]]이 [[쌍권총]]을 들고 나오는 장면은 [[오우삼]]이 연출한 [[영웅본색]]의 [[주윤발]]을 연상케 하는 부분으로, [[홍콩 느와르]]의 전성기를 만들어낸 오우삼에 대한 [[오마주]]. * 여명과 이가흔은 《타락천사》 이전에도 1993년 [[TVB]]의 드라마 《원진협》, 영화 《[[요수도시#s-3]]》에 함께 출연한 바 있다. * 영화에 삽입된 곡들 중 정식 발매된 [[OST]]에는 수록되지 않았으나 인상적인 것 몇 개를 전한다. || [youtube(Gboe7AT8sTA)] || || 關淑怡(관숙이) - 忘记他(망기타, 그를 잊어요)[* 황지명이 에이전트에게 결별의 의미로 선곡한다. 관숙이가 [[등려군]]의 원곡을 리메이크하였다. [[https://youtu.be/DgCXBDqEXu8|鄧麗君 - 忘記他]]] || || [youtube(AIGIYAwv2kw)] || || Flying Pickets - Only You[* 국내 극장 개봉판의 엔딩곡이다. 헌데 이후 [[VHS|비디오]] 출시판의 엔딩곡으로는 [[https://youtu.be/O1p3wXe0MCw|Dennis Brown - Things in Life]]가 쓰였다. 이 노래는 중경삼림에서 가네시로 다케시-임청하 에피소드에 쓰여진 노래인데 이 영화가 만들어질 땐 중경삼림의 마지막 에피소드로 만들어질 예정이라 그랬을 지도.] || * [[https://www.youtube.com/watch?v=jBGF0VZENSo|삭제된 장면]]으로 엔딩에서 하지무가 에이전트를 주유소까지 데려다준 뒤 키스를 하고 오토바이로 새벽거리를 달리며 떠나는 장면이 있었다. 뜬금없어서 잘린 듯. 또한 찰리가 하지무의 아버지에게 막무가내로 함께 찾아가는 장면도 있었다. * 일본 록 밴드인 [[서니 데이 서비스]] 2집 사랑과 웃음의 밤 [[앨범 아트]]는 이 영화의 오마주를 의도했다고 한다. 아예 홍콩 가서 찍었다고. * 원래 [[시네마스코프]] 화면비로 만들 영화였으나, 당시 기술로는 [[35mm 필름]] 스탠더드 비율을 아나모픽 렌즈식 시네마스코프로 만드는게 불가능해서[* 시네마스코프 화면비 작업은 보통 아나모픽 렌즈, 수퍼 35mm, 크롭으로 이뤄지는데 아나모픽 렌즈는 특성상 초광각대로 가는게 불가능하다. 크롭으로 아나모픽을 만드는 작업을 할 생각이었던 걸로 보인다.] 1.85:1 화면비가 되었다고 한다. 2020년 새 복원판에서는 기술의 발전으로 2.35:1 시네마스코프 화면비로 변경해서 호불호가 갈리고 있다. 장면들은 전부 쌩으로 1.85:1 → 2.35:1로 위아래를 뭉텅 크롭해서 바꾸지는 않았고, 분량의 상당수인 광각 렌즈 장면들은 스코프 효과로 좌우를 늘려서 위아래를 덜 크롭했다.[* 일반 렌즈 장면들은 그냥 크롭이지만 헤드 룸은 유지해뒀고, 배우가 화면을 벗어나지 않도록 화면에 1.85:1 버전에는 없던 상하 움직임이 추가된 부분들도 있다.] 문제는 이 때문에 배우가 화면의 좌우 외곽에 있을 경우, 특히 클로즈업 샷에선 얼굴이 1.85:1 버전 이상으로 과하게 왜곡되어 보인다. 그 외에도 2010년대 후반 이후 왕가위 영화 리마스터에서 빠지지 않는 색감 수정 논란도 있다. 일부 장면이 흑백으로 바뀌거나 반대로 원래 흑백이었던 장면에 부분적인 컬러가 추가되어 있는데, 후자가 촌스럽다는 불호가 있다. * '기억에 관한 예술'을 지향하는 왕가위 작품답게, 이 작품에도 기억에 관련된 요소들이 어김없이 등장한다. 과거 베이비와 한번 만났었지만 그 일을 전혀 기억하지 못하고 그저 새로운 인연으로만 생각하려다 마지막에 가서야 그녀를 잊지 않겠다던 황지명과, 천진난만한 모습을 시종일관 유지하다가 캠코더로 영상 편지를 녹화해 가족에게 보내는 사토를 보고 아버지의 모습을 캠코더에 담는 하지무 등 영화는 기억이 가지는 많은 의미들을 다각도에서 보여주려고 시도한다. == [[OST]] == * 01 [[https://youtu.be/Ol_XDBdEm0M|First Killing]] * 02 [[https://youtu.be/RSVS89Bmktk|完成任務]] * 03 [[https://youtu.be/xHK3ct5roiU|Bar Scene #1]] * 04 [[https://youtu.be/L72XngJftpA|神交]][* [[1990년대]] 중반의 [[VHS|비디오]] 출시판에 쓰였다. 물론 당시에 [[http://www.yes24.com/24/goods/195169?scode=029|정식 발매된 OST]]에도 수록된 곡이다. 헌데, [[2010년대]]에 --[[IPTV]]의 [[VOD]]서비스 등을 통하여-- 유통되는 버전에는 이 곡이 삽입되었던 장면에서 편곡된 버전이 대신 나온다.] * 05 [[https://youtu.be/CjMGel6po84|Second Killing]] * 06 [[https://youtu.be/5kbezyMjnFg|中伏]] * 07 [[https://youtu.be/SxKIsWuRoL0|殺手悲歌 #1]] * 08 [[https://youtu.be/92-5GwNRzgA|Bar Scene #2]] * 09 [[https://youtu.be/OusmjmQ3_iE|雪羔車]] * 10 [[https://youtu.be/1pESlwzXquE|大火捕]] * 11 [[https://youtu.be/ti8EVf_4R2Y|思慕的人]] ([[보컬리스트|Voc.]] 齊秦) * 12 [[https://youtu.be/sTRLGtcROTo|Young Lover Blues #1]] * 13 [[https://youtu.be/DLkdMwL2S7M|奔馳樂]] * 14 [[https://youtu.be/NKLxg9F88BQ|Young Lover Blues #2]] * 15 [[https://youtu.be/VqeSeGz_Gsc|浪子本色]] * 16 [[https://youtu.be/h31n85eZqSA|最後任務]] * 17 [[https://youtu.be/R0tQcVlzRck|The Killer's Death]] * 18 [[https://youtu.be/HC4yGYfuWFY|殺手悲歌 #2]] ※이어서 듣기[[https://youtu.be/Ol_XDBdEm0M?list=PL540nWhD207kCBMF9LB-8ZynoyWCl9RQY|#]] == 관련 문서 == * [[중경삼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타락천사, version=26)] [[분류:왕가위]][[분류:홍콩의 드라마 영화]][[분류:홍콩의 로맨스 영화]][[분류:홍콩의 범죄 영화]][[분류:1995년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