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콜드웰 천체 목록)] ||<-5><:> [[콜드웰 목록|{{{#FFFFFF '''콜드웰 천체'''}}}]] || ||<:> [[IC 2602|{{{+1 '''C 102'''}}}]][br] 용골자리의 산개성단 ||<:> {{{+1 ←}}} ||<:> {{{#000000 {{{+1 ''' C 103'''}}}[br]황새치자리의 전리수소영역 }}} ||<:> {{{+1 →}}} ||<:> [[NGC 362|{{{+1 '''C 104'''}}}]][br]큰부리새자리의 구상성단 || ||<-5><:> [[NGC|{{{#FFFFFF '''NGC 천체'''}}}]] || ||<:> [[NGC 2068|{{{+1 '''NGC 2068'''}}}]][br]오리온자리의 반사성운 ||<:> {{{+1 ←}}} ||<:> {{{#000000 {{{+1 ''' NGC 2069'''}}}[br]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NGC 2069는 독거미 성운의 북쪽 부분에 위치한 긴 꽃봉우리 모양의 성운을 의미한다. 즉 NGC 2070에 포함되는 하위 성운이다. ] }}} ||<:> {{{+1 →}}} ||<:> {{{+1 '''NGC 2070'''}}}[br]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 {{{+1 '''NGC 2069'''}}}[br]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1 ←}}} ||<:> {{{#000000 {{{+1 ''' NGC 2070'''}}}[br]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 {{{+1 →}}} ||<:> [[NGC 2071|{{{+1 '''NGC 2071'''}}}]][br]오리온자리의 반사성운 || ||||<-3><:> {{{#FFFFFF '''NGC 2070'''[br]{{{+3 '''타란툴라성운'''}}}[br]Tarantula Nebula}}} || ||<-3> [[파일:타란툴라 성운.jpg|width=100%]] || ||<-3> {{{#FFFFFF '''관측 정보'''}}} || ||<|3> {{{#FFFFFF '''위치'''}}} || {{{#FFFFFF 적경}}} || 05h 38m 38s || || {{{#FFFFFF 적위}}} || -69° 5.7’ || || {{{#FFFFFF 별자리}}} || [[황새치자리|{{{#3366aa 황새치자리}}}]]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FFFFFF '''형태'''}}} || [[전리수소영역|{{{#3366aa 전리수소영역}}}]] [br] [[방출성운|{{{#3366aa 방출성운}}}]] || ||<-2> {{{#FFFFFF '''거리'''}}} || 160,000 [[광년|{{{#3366aa 광년}}}]] [br]49,000 [[파섹|{{{#3366aa 파섹}}}]] || ||<-3> {{{#FFFFFF '''광학적 성질'''}}} || ||<-2> [[겉보기 등급|{{{#FFFFFF '''겉보기 등급'''}}}]] || +8.0 || ||<-3> {{{#FFFFFF '''규모'''}}} || ||<-2> {{{#FFFFFF '''크기'''}}} || 40' × 25' || ||<-2> {{{#FFFFFF '''지름'''}}}[* 어디까지를 성운의 영향권으로 잡느냐에 따라 다르다.] || 652~1,858광년 [br]200~570 파섹 || ||<-3> {{{#FFFFFF '''명칭'''}}} || ||<-3> [[NGC|{{{#3366aa NGC}}}]] 2070, [[콜드웰 목록|C]] 103, Doradus Nebula, 30 Doradus || [목차] == 개요 == 타란툴라성운은 [[대마젤란 은하]] 안에 있는 초대형 [[전리수소영역]]이며 방출성운이다. === 명칭 === 타란툴라성운은 독거미 성운이라고도 불리며,[* 당연히도 [[타란툴라]] 거미에서 따온 이름이다.] 플램스티드 명명법을 따라 황새치자리 30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과거에 황새치자리 30이라는 명칭은 중심부의 성단과 성운인 NGC 2070을 가리켰지만, 지금은 타란둘라 성운 전체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고 있다. == 상세 == 독거미 성운은 약 16만 광년 떨어져있지만 실시등급이 8등급일 정도로 극도로 밝은 성운으로 만약에 [[오리온 성운]]과 같은 거리에 있었다면 성운의 빛이 밤에 그림자가 생기게 될 정도로 밝게 보일 것이다. 대마젤란 은하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램 압력으로 인해 성간물질이 압축하면서 형성된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성운은 매우 폭발적으로 항성이 만들어지는 성운으로 국부 은하군에서 가장 규모가 큰 폭발적 항성 생성 영역이다. 직경 또한 200~570[[파섹]]으로 국부 은하군에서도 [[삼각형자리 은하]]의 NGC 604 "별들의 대요람" 성운(반지름 750광년)을 제외하면 타 성운들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큰 성운이며(반지름 500광년), 성운의 중심에는 직경 35광년의 무겁고 밝은 별들의 집단인 산개성단 [[R136]]이 자리잡고 있다. R136 성단에는 관측사상 가장 밝은 별과 네 번째로 밝은 별인 BAT99-98과 [[R136a1]]이 속해있다.[* 가장 밝은 별은 2020년까지는 [[R136a1]]이었지만 같은 성운 내의 BAT99-98과 우리은하 중심부의 G0.238-0.071이 더 밝은 별로 밝혀졌다.] 성단의 구성원이 각각 매우 무겁고 밝은 별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여기서 뿜어져 나오는 에너지가 성운을 보일 수 있게 하는 에너지의 대부분을 공급한다. 성단의 추정질량은 약 45만 태양질량으로 추정되며 미래에 구상 성단으로 진화할 예정이다. 이 성운의 가장자리에서 관측사상 가장 가까운 곳에서 발생한 초신성인 [[초신성 1987A|SN 1987A]]가 관측되었다. 또 2022년에는 태양 질량의 9배인 항성 질량 블랙홀 VFTS 243이 발견되기도 하였다.[[https://phys.org/news/2022-07-black-hole-police-dormant-milky.html|#]] 2022년 9월 7일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이 타란툴라성운을 관측하여 결과를 공개하였다. [[https://webbtelescope.org/contents/media/images/2022/041/01GA77EN9DSRGNGXWECYX1H1FP|3]] === [[R136]] 산개성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R136)] == 관련 문서 == *[[황새치자리]] *[[대마젤란 은하]] *[[마젤란은하]] *[[방출성운]] *[[R136]] [[분류:천문학]][[분류:성운]][[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분류:대마젤란은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