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Tamara de Lempicka / Tamara Łempicka(타마라 웸피츠카) 폴란드 태생의 화가. [[아르데코]]의 여왕이라는 별명을 가졌다. 1898년 5월 16일 생. 1980년 3월 18일 사망. 태어났을 때의 이름은 타마라 로잘리아 구르비크고르스카(Tamara Rozalia Gurwik-Górska). == 생애 == 변호사인 아버지 보리스 고르스키와 부유한 가정 출신의 어머니 말비나 사이에서 출생했다. 1911년 할머니와 함께 이탈리아와 코트 다쥐르를 여행하며 이탈리아 거장들의 회화를 가까이 접하게 된다. 1912년 부모님이 이혼하고 이모가 사는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주했다. 1916년 변호사 타데우시 웸피츠키와 결혼하여 성을 웸피츠카로 바꾼다. 잘 알려진 '렘피카'라는 이름은 Łempicka라는 성을 폴란드 국외에서 Lempicka로 표기한 것을 그대로 읽은 이름. 1917년 남편이 볼세비키 혁명에 연루되어 총살 위기에 처하자 파리로 망명한다. 파리에서 이름을 타마라 드 렘피카로 바꾸고 아카데미 드 라 그랑드 쇼미에르에서 공부한다. 큐비즘을 배우면서 자신만의 화풍을 확립하며, 살롱 도톤과 살롱 데 앙데팡당 등에서 전시회를 개최하게 되었고, 1927년 보르도 국제미술전에서 딸 키제트를 그린 그림 <발코니에 있는 키제트>로 1등상을 받는다. 1928년 남편과 이혼하고 라울 쿠프너 남작과 재혼하고, 1939년 남작과 함께 미국으로 이주한다. == 화풍 == 아르데코의 거장으로, 유리알을 연상캐하는 투명한 색채감과 단순한 형태가 어우러진 그림을 그렸다. 특이사항으로 인물을 그릴 때 [[삼백안]]으로 표현한다. 아마 본인 자신이 [[삼백안]]의 소유자인지라 인물을 그릴 때 자신을 무의식적으로 투영한 듯하다. 말년에는 1950년대 이후로 미국에서 유행하던 [[추상주의]]의 영향을 받은 작품들을 내놓았지만, 자신의 개성을 상실한 그녀의 작품은 외면 받았고, 한 번 그녀의 손을 떠난 화풍과 인기는 다시는 예전 수준으로 돌아오지 못하였다.[[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7166010&memberNo=45998005|#]] 이 시기에 그린 그림들은 2차 세계대전 이전 시기 그녀의 작품과 비교해 볼 때 같은 사람이 그렸다는 것을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몰개성하고 평범한 작품들이라 수십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재평가되고 있지 못할 정도이다. == 여담 == 국내에서 유명한 여성 향수인 롤리타 렘피카는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의 소설 [[롤리타]]와 이 화가의 이름 렘피카를 따서 작명한 것이다.[[https://www.hddfs.com/shop/dm/bran/brand.do?onlnBranCd=032201|#]] [[분류:폴란드의 화가]][[분류:1898년 출생]][[분류:1980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