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external/whatscookingamerica.net/TamalePrepared.jpg|width=400]] || [[파일:nacatamal.jpg|width=400]] || || [[멕시코]]의 타말. || [[니카라과]]의 나카타말. || || [[파일:pasteles.jpg|width=400]] || [[파일:hallacasvenezolanas.png|width=400]] || || [[푸에르토리코]]의 파스텔. || [[베네수엘라]]의 아야카. || ||<-2> 다양한 지역의 타말과 그 이름. || 다진 고기, [[옥수수]] 등의 다양한 고기와 채소를 넣어서 납작한 반죽으로 감싼 다음 옥수수 껍질이나 열대 작물의 잎 같은 것으로 싸서 요리해 먹는 중남미 지역의 음식. 먹을 때에는 당연히 겉의 잎을 벗기고 잘 익은 속만 먹는다. 나라마다 이름도 다르고 요리법과 생김새도 다른데, [[멕시코]], [[과테말라]], [[코스타리카]], [[파나마]], [[콜롬비아]], [[페루]] 등에서는 타말(tamal), [[니카라과]]에서는 나카타말(nacatamal), [[푸에르토리코]], [[도미니카 공화국]]에서는 파스텔(pastel)[* 다른 지역 [[스페인어]]에서는 케이크를 뜻한다.], [[베네수엘라]]에서는 아야카(hallaca)라고 부른다. 중남미를 통틀어 [[https://www.texasmonthly.com/food/tamales-diverse-delicious/|350가지가 넘는 타말이 있다고 하지만]], [[라틴아메리카]] 바깥에서는 통틀어 타말이라고 부르는 편. [[멕시코]]에서는 주로 전채로 많이 먹는다. 한 때 미국에서 저렴한 한 끼 식사로 한국의 찐빵, 호빵처럼 유행했던 요리이다. 주로 길거리에서 아이스박스에 담아 판다. 가격은 미국 기준 2달러에서 4달러 정도. [[스페인어]]로 단수형은 '''타말''', 복수형은 '''타말레스'''이다. 그 어떤 지역에서도 단수형으로 '[[타말레]]'라고 부르는 일은 없다.[* 다만, [[쿠바]], [[푸에르토리코]], [[도미니카 공화국]], [[베네수엘라]] 등에서는 지역 방언으로 어말의 s가 약화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복수형이 타말레라고 들릴 수는 있다. 그러나 정식 명칭은 엄연히 타말레스이다.] 아마도 [[영어]] 화자들이나 [[영어]]는 알지만 [[스페인어]]는 모르는 한국인들이 복수형 tamales를 보고 단수형이 tamale겠거니 지레짐작한 것이 퍼져나간 듯하다.[* [[스페인어]]는 [[영어]]와 다르게 명사가 모음으로 끝날 경우에는 -s를 붙이고 자음으로 끝날 경우에는 -es를 붙여 복수형을 만들며, 예외는 없다. tamal의 경우에도 자음 l로 끝나기 때문에 -es를 붙여 tamales가 되는 것.] [[디즈니]] [[픽사]]의 2017년도 애니메이션 영화 [[코코(애니메이션)|코코]]의 초반부에 주인공 [[미겔 리베라]]의 할머니가 듬뿍 주는 음식이 바로 이 타말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타말레, version=18)] [[분류:멕시코 요리]][[분류:과테말라의 문화]][[분류:엘살바도르의 문화]][[분류:온두라스의 문화]][[분류:니카라과]][[분류:코스타리카의 문화]][[분류:파나마]][[분류:쿠바 요리]][[분류:푸에르토리코]][[분류:도미니카 공화국]][[분류:콜롬비아의 문화]][[분류:베네수엘라]][[분류:페루의 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