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타이템.jpg|width=100%]]}}} || ||<-2> 이름 || タイテエム[br]Tai Tehm || ||<-2> 출생 || [[1969년]] [[4월 14일]] || ||<-2> 죽음 || [[1994년]] [[10월 23일]] (25세)[* 당시 기준으로 26세.] || ||<-2> 성별 || 수컷 || ||<-2> 털색 || 갈색 (鹿毛,카게) || ||<-2> 아비 || Saint Crespin || ||<-2> 어미 || Tehsilda || ||<-2> 외조부 || Venture || ||<-2> 성적 || 16전 8승 || ||<-2> 총상금 || 1억 2651만 2700엔 || ||<|2> 주요[br]우승 || 팔대[br]경주 || 천황상·春(1973) || || 중상 || 스프링 컵(1972)[br]고베신문배(1972)[br]교토신문배(1972)[br]마일러즈 컵(1973) || ||<-2> 상세 정보 || [[https://db.netkeiba.com/horse/000a000b68/|[[파일:netkeiba_logo.png|width=85]]]] | [[https://www.jbis.or.jp/horse/0000030382/|JBIS]]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taitehm3.jpg|width=100%]]|| || '''나의 그 녀석도, 언젠가는 영웅[* 이 문구는 [[하이세이코]], [[타케 호프]]의 히어로 열전 포스터에도 쓰였다.] [br]{{{-2 僕のあいつも、いつの日かヒーロー。}}}''' || || '''{{{#white 히어로 열전 No.3}}}''' || >'''언젠가는 언젠가는 타이틀을, 이 기도와 비슷한 외침을 얼마나 반복했는가. ''' >'''클래식을 이기지 못했다. 비운의 명마라는 형용마저 얻었다. ''' >'''하지만 타이 템, 너는 계속 믿어주었다. 어떤 슬픔도 결국은 기쁨으로 바뀔 순간이 찾아올 것을. ''' >'''그리고 잊을 수 없는 쇼와 48년... 사백유성, 무관의 귀공자에게 봄이 찾아온다. ''' >'''그 천황상이야말로 타이테엠 우리들의 비원의 골인이었던 것이다.''' >---- >1981년 JRA 히어로 열전 일본의 경주마. 명마들이 쏟아져 나왔던 꽃의 47년조[* 쇼와 47년(1972년) 클래식 세대 경주마를 통칭하는 말로, [[황금 세대#경마]]의 원조격이라 할 수 있다. 사츠키상 우승마 랜드 프린스, 더비마 롱 에이스, 킷카상·1972년 아리마 기념 우승마 [[이시노 히카루]], 1973년 천황상 봄 우승마 타이 템, 1973년 [[타카라즈카 기념]] 우승마 [[하마노 퍼레이드]], 1973년 천황상 가을·1974년 아리마 기념 우승마 [[타니노 치카라]], 1973년 아리마 기념 우승마 스트롱 에이트, 1975년 [[타카라즈카 기념]] 우승마 나오키 등등. 여기에 1972년 스프린터즈 스테이크스 우승마 노보루 토코와 1973년 스프린터즈 스테이크스 우승마 쿄에이 그린, 장애물 최초 현창마인 [[그랜드 마치스]]까지 포함시키기도 한다.]의 일원이었다. 네 다리의 끝이 하얗고 얼굴에 긴 유성이 있는 말을 칭하는 표현인 사백유성, 그리고 그걸 포함해 잘생긴 외모로 '사백유성의 귀공자'라는 별명이 붙었다. == 혈통 == || 1대 || 2대 || 3대 || ||<|4>Saint Crespin[br]{{{-2 1956}}}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2>Aureole[br]{{{-2 1950}}}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하이페리온(말)|Hyperion]]''' || ||Angelola|| ||<|2>Neocracy[br]{{{-2 1944}}}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Nearco]]'''|| ||Harina|| ||<|4>Tehsilda[br]{{{-2 1963}}}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2>Venturei[br]{{{-2 1957}}}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Relic|| ||Rose o'Lynn|| ||<|2>Temoignage[br]{{{-2 1956}}}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Tulyar|| ||Mehmany|| ||<-3>* Neocracy 2×4 31.25%[br]* Pharos 4×5 9.375% || 생 크레스팽은 1959년 [[개선문상]] 우승마였다. 타이 템 외에도 '제멋대로 죠지'라고 불리던 [[에리모 조지]] 등의 자마를 생산했으나, 1981년에 노령으로 종마 성적이 저하되자 용도변경 후 도축(...)되었다. ~~개선문마도 가차없이 도축하던 20세기 열도의 패기~~[* 하필 생크레스팽이 도축된 후 얼마 되지 않아서 JRA에서 은퇴마들 중 우수한 성적을 거둔 말들의 노후에 대해 지원하는 '공로마계양사업'을 시작하였다. 어쩌면 안락한 노후를 보낼 수도 있었을 것을 생각하면 운명의 장난이라고밖에 말할 수 없는 일.] 타이 템은 어미인 Tehsilda가 영국에서 교배되어 들어온 지입마였으나, 지입마의 클래식 출전 금지 규정은 1971년 6월 30일 이후에 들어온 말에게 적용됐기 때문에 아슬아슬하게 출전할 수 있었다. == 생애 == 데뷔 전에는 좋은 혈통으로 주목받았으나 1500만엔의 비싼 가격과 화려한 외모로 선뜻 나서는 사람이 없었다. 당시에는 화려한 외모의 경주마는 성공하지 못한다는 징크스가 있었기 때문. [[신잔]]의 조교사였던 타케다 분고 또한 외모 때문에 사지 않았고, 이후 메이타이 흥업의 하시다 슌조가 구입했다. 타케다는 이후 타이 템이 활약하자 구입하지 않은 걸 별로 후회하지 않는다고 말했지만, 이후 '그 말이 이기면 기분 나쁘다'라고 했다는 것을 보면 내심 신경쓰이긴 했던 것으로 보인다. 2세때는 쿠스노키 타카시가 기수를 맡았지만 3전 1승으로 매우 부진했다. 결국 이듬해 스가이 시로로 기수를 교체하고 3연승을 거뒀다. 원래대로라면 그래도 사츠키상 출전은 힘들었겠지만, 이때 마침 말 인플루엔자의 유행으로 상반기의 대회 일정이 많이 밀렸기 때문에 사츠키상에 나갈 수 있게 되었다. 사츠키상에서 야요이상 우승마인 롱 에이스에 이어 2번 인기를 받았으나 7착으로 침몰하고 랜드 프린스[* 모계가 혈통 미상인 서러브레드계다.]에게 우승을 내줬다. 7월에 열린 더비에선 마지막 직선에서 롱 에이스, 랜드 프린스에 밀려 3착으로 밀려났다.[* 롱 에이스를 탔던 기수는 [[타케 유타카]]의 아버지인 타케 쿠니히코로 이 우승으로 데뷔한지 무려 15년 만에 첫 더비 우승을 기록했었다.] 이후 고베신문배에서 랜드 프린스를, 교토신문배에서 롱 에이스를 꺾고 킷카상에 1번 인기로 나섰다. 하지만 마지막에 [[이시노 히카루]]에게 역전을 당해 2착을 하면서 클래식 경주를 무관으로 마무리하고 말았다. 1973년 첫 경기인 금배에서 4착하고, 경주 직후 허리 통증으로 잠시 휴식기를 가졌다. 이때 스가이 시로 기수도 병으로 휴양하여 그의 형인 스가이 히코조[* [[골드 십]]의 조교사인 스가이 나오스케의 아버지다.]로 교체됐다. 복귀전인 마일러즈 컵에서 승리하고 천황상 봄에 나섰지만, 경기 직전 내린 폭우로 엄청난 불량마장이 되었다. 이때 스가노 호마레라는 말은 골절로 경주를 중단할 정도로 상태가 매우 심각했으나 타이 템은 이를 극복하고 우승하면서 팔대경주 첫 승리를 거뒀다. 스기모토 아나운서는 무관의 귀공자에게 봄이 왔다는 실황을 남겼다. [[타카라즈카 기념]]에선 단승 지지율 66.6%라는 압도적인 인기로 출전했으나, [[하마노 퍼레이드]]의 도주를 따라잡지 못하고 2착을 거뒀다. 경주 직후 갑자기 등자가 부러지면서 기수는 낙마하고 타이 템도 넘어지면서 아킬레스건에 심각한 부상을 입고 말았다. [[아리마 기념]]에 복귀를 목표로 치료를 받았지만 상태는 나아지지 않았고, 결국 그대로 은퇴를 발표했다. 은퇴 후 씨수말로 전환되었다. 비록 G1 우승마는 나오지 못했지만, 일본산마 종마의 평가가 박하던 시절에 중상승리마를 여럿 배출하면서 나쁘지 않은 평가를 받았다. 1992년 씨수말도 은퇴하고 메이타이 팜에서 여생을 보냈고, 1994년에 노환으로 죽었다. == 여담 == * 옛날 경마 중계는 아나운서가 직접 쌍안경으로 마군을 쫓으며 해설하는 스타일이었는데, 타이 템이 활약한 1973년에는 시범적으로 텔레비전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보며 중계하는 방식이 도입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당시 [[간사이 테레비]] 아나운서 스기모토는 이게 제대로 될지 반신반의하며 쌍안경 중계를 선호했다. 그러다 천황상 봄에서 스기모토는 1번 인기인 타이 템을 중점으로 해설했는데, 3코너를 도는 상황에서 불량마장이라 진흙도 많이 튀고 중계석에서 너무 먼 곳에 있어서 결국 타이 템이 어디로 갔는지 놓치고 말았다. 이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타이 템은 마군 속에 있다는 식으로 애매하게 해설했지만, 하필이면 이때 타이 템은 마군 맨 바깥쪽에 있었고 카메라에는 타이 템의 마번이 선명하게 찍혀있었다. 이때까지는 타이 템을 놓친 걸 들킨 줄 모르고 무사히 넘겼다고 생각했지만, 다음날 출근길에서 한 경마팬에게 다 들켰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이후 스기모토는 쌍안경을 포기하고 카메라 영상을 보며 중계하게 되었다. * 주전기수인 스가이 시로와 스가이 히코조는 형제 관계인데, 이중 형인 히코조의 아들 스가이 나오스케는 [[골드 십]]의 현역 시절 조교사였다. * 2022년 1월 1일에 타이 템의 소유주인 메이타이 팜에서 트위터로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출연을 [[https://twitter.com/meitaifarm/status/1477137407346876418|요청했다.]] 거기에 우마무스메에선 클래식 제패와 천황상 이후의 스토리를 볼 수 있으면 좋겠다는 코멘트도 남겼다. 이전의 [[신잔]] 같이 소문만 무성한 우마무스메 출연설과는 달리 [[메이케이 옐]]처럼 권리자가 직접 출연을 요청한 경우로, 아직 현역 생활을 하고 있는 메이케이 옐과는 달리 협의만 된다면 빠른 시일 내에 출연이 가능한 만큼 우마무스메 팬덤에선 매우 호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여담으로 실제로 실장될 경우, 69년생이므로 역대 최연장자(74년)인 [[마루젠스키]]를 뛰어넘어 최연장자의 자리에 올라가게 된다.[* 트위터의 요청글에서도 '''최연장 우마무스메로서 채용해달라'''라고 써 있을 정도로 최고참이 된다. 실장 루머가 있는 말들 중 이보다 더 선대의 말은 신잔(61년) 뿐이다.]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가 2.5주년 맞이해 프로젝트 개선문 시나리오 육성 도중 '''[[스피드 심볼리]]''' 언급이 나왔으며 이미 타이 템이 최연장 우마무스메로 채용하는 건 사실상 실패로 확정. 스피드 심볼리는 1963년생, 타이 템은 1969년생이기 때문에 나이 차도 어느 정도로 있고, 한 번도 나오지 않는 60년대 클래식 경주마 중에서 스피드 심볼리가 먼저 실장될 가능성이 크다. * 메이타이 팜에서 소유마 중 하나의 이름을 "우마뾰이"로 짓기도 했다. [[https://db.sp.netkeiba.com/horse/2020105478/|#]] 2020년생, 부 골드 액터, BMS [[로드 카날로아]]. 마주는 공식적으로는 말이 튀어나오는 모습에서 따왔다면서 [[우마무스메]]와 무관하다고 밝혔으나, 경마 팬들은 우마무스메의 노래 [[우마뾰이 전설]]에서 이름을 따온 것으로 보고 있다. 마주 측에서 우마무스메에 왕성한 관심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메이타이 목장은 우마무스메 마케팅을 상당히 노골적으로 하고 있다. 이 말들의 소개 영상에 우마무스메의 노래를 삽입했으며, 공식 SNS에서 우마무스메 게임 관련트윗을 올리기도 하고, 메이타이 목장 소유마를 말딸화 한 팬아트를 RT하기도 했다. 목장들의 경우 인기가 중요해서 노이즈 마케팅을 하기도 한다. == 경주 성적 == || 경주일 || 경마장 || 경기명 || 트랙 || 착순 || 1착마[br](2착마) || ||<-6> 1971년 || ||<)>10.17|| 교토 || 3세 신마 || 잔디 1200m || 8착 || 히데 하야테 || ||<)>11.3|| 교토 || 3세 신마 || 잔디 1200m || '''{{{#red 1착}}}''' || (야마닌 로열) || ||<)>11.27|| 교토 || 오하나 특별 (200만 이하) || 잔디 1400m || 3착 || 하이 스피릿 || ||<-6> 1972년 || ||<)>3.11|| 한신 || 사와라비상 (200만 이하) || 잔디 1900m || '''{{{#red 1착}}}''' || (쿠피도 터프) || ||<)>3.26|| 한신 || 야마타케상 (500만 이하) || 잔디 1600m || '''{{{#red 1착}}}''' || (하시 에이스) || ||<)>5.7|| 도쿄 || 스프링 컵 || 잔디 1800m || '''{{{#red 1착}}}''' || (히데 하야테) || ||<)>5.28|| 나카야마 || [[사츠키상]] || 잔디 2000m || 7착 || 랜드 프린스 || ||<)>6.18|| 도쿄 || NHK배 || 잔디 2000m || 3착 || 랜드 재규어 || ||<)>7.9|| 도쿄 || [[일본 더비]] || 잔디 2400m || 3착 || 롱 에이스 || ||<)>10.1|| 한신 || [[고베신문배]] || 잔디 2000m || '''{{{#red 1착}}}''' || (랜드 프린스) || ||<)>10.22|| 교토 || [[교토신문배]] || 잔디 2000m || '''{{{#red 1착}}}''' || (마루부츠 사운드) || ||<)>11.12|| 교토 || [[킷카상]] || 잔디 3000m || 2착 || [[이시노 히카루]] || ||<-6> 1973년 || ||<)>1.7|| 교토 || 금배 || 잔디 2000m || 4착 || 유 몬드 || ||<)>4.15|| 한신 || [[마일러즈 컵]] || 잔디 1600m || '''{{{#red 1착}}}''' || (에리모 실버) || ||<)>4.29|| 교토 || '''[[천황상 봄|천황상 (봄)]]''' || 잔디 3200m || '''{{{#red 1착}}}''' || (카츠 타이코) || ||<)>6.3 || 한신 || [[타카라즈카 기념]] || 잔디 2200m || 2착 || [[하마노 퍼레이드]] || [include(틀:천황상 봄,grade=팔대경주)] ---- [include(틀:스프링 스테이크스)] [include(틀:마일러즈 컵)] [include(틀:고베신문배)] [include(틀:교토신문배)] [[분류:경주마/일본 생산]][[분류:경주마/일본 조교]][[분류:종마/일본]][[분류:죽은 경주마]][[분류:1969년 출생/경주마]][[분류:1994년 죽은 동물]][[분류:하이페리온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