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F0B10 0%, #FFF 20%, #FFF 80%, #DF0B10)" {{{#002664 '''타이릭 에반스의 수상 이력'''}}}}}} || || {{{#!folding ▼ ---- [include(틀:NBA 역대 라이징 스타 챌린지 MVP)] ---- [include(틀:NBA 역대 신인왕)]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틀:2009-10 NBA 올루키 퍼스트 팀|[[파일:NBA 로고.sv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4890; font-size: 0.9em" [[틀:2009-10 NBA 올루키 퍼스트 팀|{{{#fff '''2009-10 NBA 올루키 팀'''}}}]]}}}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타이릭에반스.jpg|width=100%]]}}} || |||| '''{{{+2 타이릭 자미어 에반스}}}[br]Tyreke Jamir Evans''' || ||<|2> '''출생''' ||[[1989년]] [[9월 19일]] ([age(1989-09-19)]세) || ||[[펜실베이니아|펜실베이니아주]] [[체스터#s-1.2]]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출신학교''' ||[[멤피스 대학교]] || || '''신장''' ||198cm (6' 6") || || '''체중''' ||100kg (220 lbs) || || '''윙스팬''' ||211cm (6' 11.25") || || '''포지션''' ||[[포인트 가드]] / [[슈팅 가드]] / [[스몰 포워드]] || || '''드래프트''' ||'''[[NBA 드래프트/2009년도|2009 NBA 드래프트 1라운드 4순위]] [br] [[새크라멘토 킹스]] 지명''' || || '''소속 팀''' ||'''[[새크라멘토 킹스]] (2009~2013)''' [br] [[뉴올리언스 펠리컨스]] (2013~2017) [br] [[새크라멘토 킹스]] (2017) [br] [[멤피스 그리즐리스]] (2017~2018) [br] [[인디애나 페이서스]] (2018~2019) [br] [[밀워키 벅스#s-7|위스콘신 허드]] (2022) [br] 인디오스 데 마야궤스 (2023~) || || '''등번호''' ||13번 - 새크라멘토 [br] 1번 - 뉴올리언스 [br] 32번 - 새크라멘토 [br] 12번 - 멤피스 / 인디애나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농구선수. 금지 약물 복용으로 인한 징계로 인해 NBA에서 쫓겨난 후 2023년부터 푸에르토리코 리그에서 뛰게 되었다. == 커리어 == === NBA 입성 이전 === === NBA 입성 이후 === ==== [[새크라멘토 킹스]] 1기 시절 ==== 신인 시절이었던 2009-10 시즌 무려 평균 20득점-5리바운드-5어시스트[* NBA 역사상 [[윌트 체임벌린]], [[오스카 로버트슨]], [[마이클 조던]], [[르브론 제임스]] 만이 달성하였던 기록이다. 이후 2018-19 시즌 [[루카 돈치치]]가 달성하며 총 6명으로 늘었다. ~~NBA 레전드 4명과 차세대 MVP 후보 사이에 껴있는 타이릭~~]라는 아름다운 슬래시라인을 기록하며 신인왕으로 선정되었다.[* 당시 그가 제쳤던 선수들이 무려 [[스테판 커리]]이다. 드래프트 동기 중에는 [[제임스 하든]], [[더마 드로잔]] 등도 있다.] 하지만 루키 시즌 이후에는 부상으로 골골대며 발전은 커녕 성장이 정체된 모습을 보였고, 2012-13 시즌 종료 후 [[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와 [[뉴올리언스 펠리컨스]]가 포함된 삼각딜을 통해 뉴올리언스로 이적하였다. ==== [[뉴올리언스 펠리컨스]] 시절 ==== 2014년 3월 14일 [[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와의 경기에서 41점을 기록하며 커리어하이를 경신하였다. 2015-16 시즌에는 오른쪽 무릎 부상으로 팀의 첫 17경기를 출전하지 못한 끝에 12월 1일 시즌 첫 경기를 치렀다. 하지만 2016년 2월 11일 오른쪽 무릎 부상이 재발하였고, 결국 시즌 아웃 되었다. 2016년 12월 15일에는 같은해 1월 25일 이후 첫 경기이자 복귀전을 치렀다. ==== [[새크라멘토 킹스]] 2기 시절 ==== [[드마커스 커즌스]], 옴리 카스피의 대가로 [[버디 힐드]], 랭스턴 갤로웨이, 2017년 1라운드 & 2라운드 지명권과 함께 이적하며 친정팀으로 복귀하였다. ==== [[멤피스 그리즐리스]] 시절 ==== 부상으로 52경기 출장에 그쳤지만, 평균 19.4득점에 5.1리바운드, 5.1어시스트를 기록하며 부활의 신호탄을 쏘아올렸다. ==== [[인디애나 페이서스]] 시절 ==== 인디애나 페이서스와 1년 $12M에 계약하며 벤치 에이스 스코어러로서의 역할을 기대받았지만, 부족해진 돌파 생산력과 슈팅 난조에 시달리며 기대받은 역할을 전혀 해내지 못했다.[* 2017-18 시즌 FG% 45.2% -> 2018-19 시즌 FG% 38.9%] 이후 현지 시각 2019년 5월 17일 금지약물 복용이 밝혀지며 2년간 뛸 수 없게 되었다. 복용한 약물이 어떤 것인지 공개되지 않았는데, 경기력 향상 약물을 복용했을 경우에는 CBA 규정에 따라 약물 명칭을 공개하도록 되어있으므로, 스테로이드나 호르몬 계통의 경기력 향상 약물이 아닌 [[마약]] 복용으로 추정된다. 그것도 [[대마초]] 정도가 아니라 그것보다 더 센 모종의 약물인 듯하다.[* 대마초의 경우에는 금지 약물로 지정은 되어 있는데 마약류로 분류되어 있지는 않아서 이 정도로 센 처벌이 내려지지 않는다. 실제로 가끔씩 대마초를 피우다 걸리는 선수가 나오기도 하지만 해프닝 정도로 취급되고 있고...] 2년 뒤 사무국의 복권 신청을 통과해야 선수로서 복귀가 가능해지는데, 복귀 시점의 나이가 영 애매한 데다가 죄질이 죄질인지라 사실상 은퇴 수순을 밟게 된 셈. == 선수 복귀 시도 == 2년 뒤인 2022년 2월 14일, NBA 사무국이 에반스의 복권 요청을 받아들이면서 선수 복귀의 길이 열렸다. 미국 동부시간 기준 2022년 2월 18일 정오부터 FA 자격을 얻어 전 구단과 협상이 가능해졌고, 2022년 3월 초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 밀워키 벅스 등과 미팅을 가졌다. 이후 3월 16일에 [[밀워키 벅스#s-7|밀워키 산하 G 리그 팀]]과 계약을 했'''었'''으나 일주일 뒤인 3월 23일에 방출되었다. 사실 G 리그 시즌 종료가 4월 2일이었고, 소속팀인 위스콘신 허드가 최악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던데다가, 상위 팀인 벅스에서도 롤플레이어들이 부족하지 않았던 터라, 굳이 타이릭 에반스와의 계약을 끝까지 끌고 갈 필요가 없었다. 이로써 복권됐음에도 불구, 21-22시즌 또한 통째로 날리게 된 것이나 마찬가지 결과가 되어 내리 세 시즌을 쉬게 되었고, NBA 복귀는 더욱더 불투명해졌다. 심지어 약물이 걸리기 전에 FA를 코앞에 두고 있었는데, 한순간의 실수로 모든 것을 날려버린 것이나 마찬가지. 이후 22-23 시즌에도 불러주는 팀이 없어 2023년 푸에르토리코 리그에서 뛰게 되었다. == 플레이 스타일 == '''다운그레이드 르브론''' 포인트 가드, 슈팅 가드, 심지어 스몰 포워드로까지 출장할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볼핸들러로서의 정체성을 가진 선수. 루키 시즌에는 3점슛이 없고 중거리 슈팅 능력도 부족했지만, 가드로서 충분한 사이즈와 섬세한 볼핸들링, 뛰어난 골밑 마무리 등을 바탕으로 평득 20을 적립할 수 있는 선수였다. 몸빵을 바탕으로 닥돌 후 킥아웃 패스를 뿌려주는 시야도 일품이었다. 괜히 [[오스카 로버트슨]], [[마이클 조던]], [[르브론 제임스]] 같은 전설적인 선수들만이 가지고 있는 신인 20-5-5를 달성한 것이 아니다. 하지만 잦은 부상과 부족한 퍼리미터 슈팅 능력이 발목을 잡았고, 새크라멘토 시절 [[아이제아 토마스(1989)|아이제아 토마스]], 마커스 쏜튼, 애런 브룩스 등 온볼러 성향이 강한 가드들과의 공존을 위해 [[스몰 포워드]]로 나서게 되며 장점을 잃어버리고 말았다. [* 에반스는 기본적으로 볼을 쥐고 상대 수비를 흔들며 득점 감각을 찾는 타입의 선수이기 때문에, 롤이 줄어들면 진가를 발휘하기 힘들다.] 수비도 부족하기 때문에 롤플레이어로서는 별다른 활약을 하지 못했다. 다행히도 2015-16 시즌 이후로 3점슛 장착에 성공했고, 2017-18 시즌 루키 시즌에 가까운 스탯을 올리며[* 대부분의 선수들이 루키 시즌 이후로 발전하는 것을 고려하면 안타까운 일이다. 가드로 뛰는 르브론으로 기대를 받은 것을 고려하면 더더욱..][* 2년차에 평균 20.1득점을 기록하고 별다른 발전이 없는 [[루디 게이]]가 떠오르기도 한다. 물론 게이는 [[샌안토니오 스퍼스]]에 정착한 이후에는 공수 양면에서 베테랑으로서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부활의 가능성을 내비쳤지만 2018-19 시즌 먹튀가 되며 재기가 힘들어진 상태이다. == 여담 == [[스테픈 커리]], [[제임스 하든]], [[블레이크 그리핀]], [[더마 드로잔]], [[즈루 할러데이]] 라는 미래의 스타들을 낳은 09년 드래프트 출신 중에서 신인왕을 차지한 선수가 바로 이 타이릭 에반스이다. 최근의 NBA 팬들은 앞에서 언급된 선수 중에 누군가가 당연히 신인왕을 탔겠거니 여겼다가 낯선 이름의 선수가 09-10 신인왕을 탔다는 사실에 놀라기도 한다. 사실 에반스는 드래프트 순위도 4순위로 제법 높았고, 데뷔 첫해 기록 또한 기라성 같은 동기들을 제치고 신인왕을 타기에 충분한 성적이었다. 게다가 09-10 시즌 가장 유력한 신인왕 후보로 여겨졌던 [[블레이크 그리핀]]이 시즌 시작하기 직전에 부상을 입어 데뷔가 1년 뒤로 늦춰졌고[* 이렇게 1년 늦게 데뷔한 그리핀은 이듬해 당연하다는 듯 신인왕을 차지했다.], 그 다음으로 기대를 모았던 [[리키 루비오]][* 루비오의 드래프트 순위 자체는 에반스의 바로 뒤인 5순위였는데, 유럽 리그 출신이라는 불확실성 + 드래프트 순위가 앞선 팀들 각각의 내부 사정 등으로 순위가 에반스보다 밀렸을 뿐, 언론의 관심은 에반스보다 루비오 쪽에 훨씬 더 많이 쏠려있었다.] 또한 원 소속팀과 바이아웃 협상이 지지부진해서 드래프트 2년 뒤에나 NBA로 넘어올 수 있는 상황이었기에 초장부터 신인왕 경쟁에 김이 새버렸던 것이다. 결국 이런 상황에서 스탯 상으로 가장 놓은 기록을 남긴 에반스가 신인왕을 차지할 수 있었던 것인데, '''단지 데뷔 첫해가 에반스의 커리어 하이였으며, 훗날 드래프트 동기들 중에 에반스와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성공을 거둔 슈퍼스타들이 다수 등장했을 뿐이다'''. [[NCIS: New Orleans]] 시즌2 3화에서 2014-15시즌 펠리컨스의 최다 어시스트를 기록한 선수로 언급되었다. [각주] [[분류:미국의 농구 선수]][[분류:체스터(펜실베이니아) 출신 인물]][[분류:1989년 출생]][[분류:2009년 데뷔]][[분류:2019년 은퇴]][[분류:멤피스 대학교 출신]][[분류:포인트 가드]][[분류:슈팅 가드]][[분류:스몰 포워드]][[분류:뉴올리언스 펠리컨스/은퇴, 이적]][[분류:새크라멘토 킹스/은퇴, 이적]][[분류:멤피스 그리즐리스/은퇴, 이적]][[분류:인디애나 페이서스/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