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만의 공항)] [include(틀:타이베이 권역의 대중교통)] ||<-2> '''{{{+1 {{{#fff 타이베이 쑹산 공항}}} }}}''' [br] {{{#fff 臺北松山機場[br]Taipei Songshan Airport}}} || ||<-2> [[파일:쑹산 국제공항 로고.svg|width=100%]] || ||<-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Taipei_Songshan_Airport_1st_Terminal_Building_20090926.jpg|width=100%]] || ||<-2> '''{{{#fff 공항코드}}}''' || || [[IATA#s-2]] ||'''TSA''' || || [[ICAO#s-2]] ||'''RCSS''' || ||<-2> '''{{{#fff 개요}}}'''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만)] || || 주소 ||[[타이베이시]] [[쑹산구(타이베이)|쑹산구]] 징중리 || || 종류 ||군 ・ 민 공용공항 || ||<|2> 운영기관 ||[[중화민국 공군]] || ||[[대만 교통부|중화민국 교통부]] 민용항공국 || || 허브 항공사 ||[[유니항공]] || || 고도 ||5m (18 ft) || || 좌표 ||북위 25도 04분 11초[br]동경 121도 33분 09초|| ||<-2> '''{{{#fff 개항}}}''' || ||<-2> [[1936년]] [[4월]] (타이베이 비행장) || ||<-2> '''{{{#fff 활주로}}}''' || || 주 활주로 ||'''10/28''' (2,605m x 60m) 콘크리트 || ||<-2> '''{{{#fff 홈페이지}}}''' || ||<-2> [[https://www.tsa.gov.tw|[[파일:쑹산 국제공항 로고.svg|width=30%]]]] || ||<-2> '''{{{#fff 지도}}}''' || ||<-2>[include(틀:지도, 장소=臺北松山機場, 너비=100%, 높이=200)]|| [목차] [clearfix] == 개요 == [[대만]] [[타이베이시]] [[쑹산구(타이베이)|쑹산구]] 징중리(精忠里)에 위치한 [[공항]]이다. == 상세 == [[1936년]] [[일본 제국|일제]]에 의해 공군 기지인 타이베이 비행장(臺北 飛行場)으로 건설되었으며 마츠야마(松山) 비행장으로도 불린다.[* 마츠야마(松山)는 원래 [[일본 제국|일제]]가 붙인 [[일본]]식 지명이다. 또 [[일본]] [[에히메현]]에 [[마츠야마 공항|동명의 공항]]이 있는데 [[에히메현]] 지사가 전세기로 쑹산에 방문했지만 정기 노선으로 이어지진 못했다.~~마츠야마발 마츠야마행, 쑹산발 쑹산행~~] 1945년 [[일본 제국|일제]] 패망 이후 마츠야마(松山)를 중국어식으로 읽은 쑹산 비행장이 되었고, 재건을 마친 [[1950년]] [[4월 16일]] 민간에 개방되었다. 당시 운항 노선은 국내선 [[가오슝]], [[타이중]], [[타이난]], [[화롄]], [[펑후]]와 국제선 [[도쿄]], [[부산]], [[홍콩]], [[방콕]], [[마닐라]], [[시애틀]]이었다.[* 이때 취항한 국제선 항공사 중에는 [[캐세이퍼시픽항공]]과 지금은 사라진 [[노스웨스트 항공]], [[팬 아메리칸 항공]]이 있다.] 그러다가 [[1979년]] [[2월 26일]]에 신 공항인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 당시 이름은 중정국제공항(中正國際機場, [[장제스|Chiang Kai-Shek]] International Airport)]이 개장하면서 국내선 전용 공항으로 격하되었다가, [[2007년]] [[타이완 고속철도]]가 개통하면서 국내선 승객이 급감해 [[김포국제공항|서울(김포)]], [[도쿄 국제공항|도쿄(하네다)]], [[상하이 훙차오 국제공항|상하이(훙차오)]]행 등의 단거리 셔틀 국제선이 부활했다. 이렇듯 일본의 군 비행장 → 일본 패망 후 군 공항 → 국제공항 개항 후 국내선 공항으로 전환 → 단거리 국제선 부활로 이어지는 역사적 맥락과 지리적 입지로 볼 때 쑹산공항은 [[타이베이]]의 [[김포국제공항]]이라고 볼 수 있다. [[대한민국]] [[김포국제공항|서울(김포)]]에서 [[중화항공]], [[에바항공]], [[티웨이항공]], [[이스타항공]]을 이용하면 이곳으로 올 수 있다. [[인천국제공항|서울(인천)]] - [[타오위안 국제공항|타이베이(타오위안)]] 노선보다 운항 편수는 적지만 [[티웨이항공]]의 출도착 시간이 나쁘지 않고, [[중화항공]]과 [[에바항공]]도 출도착 일자를 조정하면 괜찮은 스케줄이 나오기 때문에 비즈니스 이용객에게 적합하다. 또 광동체기([[보잉 747|B747]], [[보잉 777|B777]], [[A330]], [[A380]]) 탑승이나 면세점 쇼핑에 욕심이 없다면 [[타이베이]], [[서울특별시|서울]] 시내에서 40km 가량 떨어진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 [[인천국제공항]]보다 [[타이베이]], [[서울특별시|서울]] 시내에 있는 이 공항과 [[김포국제공항]]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시내 접근성이 우수하고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타오위안 공항]]보다 훨씬 짧은 출입국수속 소요 시간이 큰 메리트다. 청사 내부에서 창 밖으로 보이는 [[타이베이]] 풍경과 쑹산공항 이착륙시 보이는 [[타이베이]]의 모습은 일품이다. 또 쑹산공항 근처 활주로 선상에 위치한 타이베이엑스포공원(花博公園新生園區)이나 지룽강에서는 머리 위로 비행기가 이착륙하는 장관을 볼 수 있다. 특히 [[https://www.google.com/maps/place/%E9%A3%9B%E8%A1%8C%E6%A9%9F%E3%81%8C%E9%A0%AD%E4%B8%8A%E3%81%AB%E8%BF%AB%E3%82%8B%E9%81%93%E8%B7%AF/@25.0701378,121.5378327,19z/data=!3m1!4b1!4m5!3m4!1s0x3442abfe3ff4f393:0x79dac42e46debef!8m2!3d25.0701366!4d121.5383799|이곳은 항덕을 비롯한 일반 관광객에게도 비행기가 초근접하여 이착륙하는 장관을 볼 수 있는 뷰포인트로 인기가 많다.(飛機巷 feijixiang 으로 검색하면 나온다.)]] 좋은 시내 접근성과 효율적인 시간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타이베이]] 시내 한복판에 위치하다 보니 소음 문제가 심각하다. 그래서 [[오사카 국제공항|이타미 공항]]처럼 쌍발기 초과는 운항할 수 없으며, 대형기는 [[보잉 777|B777]]이 한계다. [[대만]] 정부는 단거리 국제선을 부활시키면서 쑹산공항을 근거리 비즈니스 수요 위주의 국제공항으로 육성할 방침이었다. 그러나 소음 문제로 [[타이완 고속철도]] 개통 후 쑹산공항을 폐쇄하고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타오위안]]으로 모든 기능을 이전하자는 의견이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어서, 정부 차원의 가능성 여부를 조사할 방침이다. 한국과 비유하자면 김포국제공항에 가깝지만 실제로는 [[여의도공항|여의도 위치 쯤에 국제공항이 있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시내 한 가운데에 위치해 있다.]] 시내 중심상권인 둥취(東區)까지는 지하철로 세 정거장 거리고 [[타이베이역]]까지 환승 시간 포함 20여분이면 도달할 수 있는데 여의도역에서 서울역까지 전철을 이용할 때 소요되는 시간과 비슷하다. 민군겸용 공항으로, [[대만 공군]] 기지가 있다. 따라서 활주로나 공항 주변 시설을 허가 없이 촬영해선 안 된다. 하지만 실제로는 큰 제재가 없는 것으로 보이며, 오히려 제1터미널 서측을 통해 3층으로 올라가면 비행장이 훤히 보이는 전망대가 구비되어 있을 정도로 사진 촬영에 관대하다. 특히 전망대는 공항 당국에서 [[항공기 동호인|항덕]] 양성을 위해서 신경쓴 건지 비행기 모형 여러 대와, 쑹산공항 취항 항공사 일람으로 벽을 장식하는 등 대체로 시설이 잘 구성되어 있다. 대만 총통 등 주요 국가 요인이 전세기 등을 통해 외국으로 출국할 때에도 쑹산 공항을 이용한다. [[낸시 펠로시]] 미 하원의장의 [[SPAR19]]도 이곳에 내렸다. [[마잉주]] 정권이 들어서면서 [[중국]] 대륙과의 교류가 확대돼 현재까지 쑹산발 [[중국]] 대륙 약 10개 공항에 취항하는 직항편도 존재한다.[* 알다시피 [[대만]] 국적기는 양안직항만 대륙에 진입이 가능하다.] [[대만]]은 [[중국]] 본토도 자신들의 땅이라 주장하고 있지만 [[중국]]과 마찬가지로 모든 [[중국]] 노선은 국제선으로 취급한다. 다만 행선지당 편수나 행선지 수가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타오위안]]보다 적어 중국으로 향하는 모든 비행편의 총합은 주 80회에 불과하며 베이징 노선이 없어 타오위안으로 가야한다. 양안 정부 소재지(근교가 아닌 그 도시 관내)간 직항편은 없는 셈. 주 80회 중 홍차오와 푸동으로 향하는 비행편이 주 44회이며, 가까운 샤먼이나 푸저우를 제외하면 나머지 행선지는 주 7회 미만으로 운행한다. == 터미널 == 터미널은 2개가 있으며 각 터미널은 겉으로는 별도의 건물로 보이지만 내부는 1, 2터미널의 경계를 느낄 수 없을 정도로 완전히 붙어있다. === 제1터미널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E5%8F%B0%E5%8C%97%E6%9D%BE%E5%B1%B1%E6%A9%9F%E5%A0%B4.jpg|width=500]] 국제선 및 양안간 항공편 전용 터미널로 운항노선은 다음과 같다. || '''항공사''' || '''국가''' || '''편명''' || '''취항지''' || || [[중화항공]] ||[[파일:대만 국기.svg|width=30]]|| CI ||'''동아시아''' [br][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김포국제공항|서울(김포)]][br][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도쿄 국제공항|도쿄(하네다)]][br]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출력= )][[상하이 훙차오 국제공항|상하이(훙차오)]]|| || [[에바항공]] ||[[파일:대만 국기.svg|width=30]]|| BR ||'''동아시아''' [br][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김포국제공항|서울(김포)]][br][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도쿄 국제공항|도쿄(하네다)]][br]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출력= )][[상하이 훙차오 국제공항|상하이(훙차오)]], [[충칭 장베이 국제공항|충칭]], [[톈진 빈하이 국제공항|톈진]]|| || [[만다린항공]] ||[[파일:대만 국기.svg|width=30]]|| AE ||'''동아시아''' [br]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출력= )][[우한 톈허 국제공항|우한]], 원저우, 푸저우|| || [[유니항공]] ||[[파일:대만 국기.svg|width=30]]|| B7 ||'''동아시아''' [br]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출력=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상하이(푸둥)]], [[샤먼 가오치 국제공항|샤먼]], [[항저우 샤오산 국제공항|항저우]]|| || [[티웨이항공]]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TW ||[[김포국제공항|서울(김포)]]|| || [[이스타항공]]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ZE ||[[김포국제공항|서울(김포)]]|| || [[일본항공]]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JL ||[[도쿄 국제공항|도쿄(하네다)]]|| || [[전일본공수]]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NH ||[[도쿄 국제공항|도쿄(하네다)]]|| || [[중국국제항공]]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CA ||[[상하이 훙차오 국제공항|상하이(훙차오)]], [[충칭 장베이 국제공항|충칭]], [[톈진 빈하이 국제공항|톈진]]|| || [[중국동방항공]]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MU ||[[상하이 훙차오 국제공항|상하이(훙차오)]]|| || [[상하이항공]]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FM ||[[상하이 훙차오 국제공항|상하이(훙차오)]],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상하이(푸둥)]]|| || [[쓰촨항공]]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3U ||[[청두 솽류 국제공항|청두]], [[충칭 장베이 국제공항|충칭]]|| || [[샤먼항공]]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MF ||[[샤먼 가오치 국제공항|샤먼]], 푸저우|| === 제2터미널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Taipei_Songshan_Airport_2nd_Terminal_Building_20091018.jpg|width=500]] 현재는 국내선 전용 터미널이지만, 본래 국제선 도착 전용 터미널이었다. 2008년 이후 제 1터미널에 국제선을 몰아넣으면서 국내선이 제 2터미널로 옮겨온 것. || '''항공사''' || '''국가''' || '''편명''' || '''취항지''' || || [[유니항공]] ||[[파일:대만 국기.svg|width=30]]|| B7 ||[[화롄 공항|화롄]], [[타이둥 공항|타이둥]], [[핑둥|헝춘]], [[진먼 공항|진먼]], [[펑후 공항|펑후(마궁)]], [[롄장|난간(마쭈)]], [[롄장|베이간(마쭈)]]|| || [[만다린항공]] ||[[파일:대만 국기.svg|width=30]]|| AE ||[[타이둥 공항|타이둥]], [[진먼 공항|진먼]], [[펑후 공항|펑후 (마궁)]]|| == 연계교통 == |||||||| {{{#white 도시철도 }}} || || 노선 || 경로 || 간격(분) || 막차 || || [[타이베이 첩운 원후선]] || [[난강전람관역]] ↔ [[네이후역]] ↔ [[쑹산공항역]] ↔ [[중샤오푸싱역]] ↔ [[동물원역]] ||<|2><:> 1분20초~12분 || 00:25 || |||||||||| {{{#white 시내버스 }}} || || 노선 || 방면 || 역방향 || ||214直[* 直達車(express) 표시가 없는 214번 본선은 쑹산공항 앞으로 지나갈 뿐 공항 내로 들어오지 않으니 주의] ||쑹산공항 ↔ [[둥먼역]] ↔ [[구팅역]] ↔ [[융안시장역]] ||운행 || ||225/225區 ||쑹산공항 ↔ [[민취안시루역]] ↔ [[루저우역]] ||운행 || ||254 ||[[슈랑교역]] → 대만과기대학 → [[류장리역]] → [[국부기념관역]] → 민성셔취(회차) →[br]쑹산공항 → [[난징푸싱역]] → [[중샤오신성역]] → [[구팅역]] → [[궁관역]] → [[슈랑교역]] ||운행 || ||262/262區 ||민셩셔취 → 쑹산공항 → [[중샤오둔화역]] → [[중샤오푸싱역]] → [[타이베이역]] → [[시먼역]] → [[징안역]] ||미운행 || ||275 ||쑹산공항 ↔ [[중샤오둔화역]] ↔ 대만과기대학 ↔ [[난스자오역]] ↔ 투청방면 ||운행 || ||617/617副 ||[[타이산역]] ↔ [[타이베이대교역]] ↔ 쑹산공항[* 양방향 동일정류장 정차] → [[네이후역]] / [[다후공원역]] ||운행 || ||688 ||[[슈랑교역]] → [[궁관역]] → [[커지다러우역]] → [[중샤오둔화역]] → 쑹산공항 → 싱톈궁 ||미운행 || ||BR1(棕1) ||쑹산공항 ↔ [[중산중학교역]] ↔ 민셩셔취 ↔ [[쑹산역]] ||운행 || |||||||||| {{{#white 시외버스 }}} || || 노선 || 경로 || 간격 || 첫차 || 막차 || || 1662 ||쑹산공항 ↔ [[싱톈궁역]] ↔(무정차)↔ [[타오위안역]] || || || || || 1840 ||쑹산공항 ↔ 싱톈궁 ↔ 민취안푸싱교차로 ↔(무정차)↔ 타오위안공항 || 20-25분 간격 || 04:30 || 22:45 || || 1841 ||쑹산공항 ↔ [[중산초교역]] ↔ [[민취안시루역]] ↔(무정차)↔ 난칸 ↔ 타오위안공항 || 20-25분 간격 || 05:50 || 00:05 || || 1842 ||쑹산공항 ↔ [[중산초교역]] ↔ [[민취안시루역]] ↔(무정차)↔ 난칸 ↔ 타오위안공항 ↔ 다위안 || || || || || 2002 ||쑹산공항 ↔ [[난징싼민역]] ↔(무정차)↔ [[지룽역]] ↔ 지룽창겅병원 || || || || || 5116 ||쑹산공항 ↔ 싱톈궁 ↔(무정차)↔ 린커우창겅병원 ↔ 구이산 ↔ [[타오위안역]] || || || || || 5250 ||쑹산공항 ↔ [[민취안시루역]] ↔(무정차)↔ 난칸 ↔ 주웨이|| || || || || 5350 ||쑹산공항 ↔ [[중샤오둔화역]] ↔ [[징안역]] ↔(무정차)↔ 룽탄 ↔ 육복촌 || 60-140분 간격 || 06:00 || 19:20 || || 9025 ||쑹산공항 ↔ 싱톈궁 ↔(무정차)↔ [[중리역]] || || || || 대중교통으로는 [[타이베이 첩운 원후선]] [[쑹산공항역]]을 이용할 수 있고, 평시 4~6분 간격으로 매우 자주 다니며 23시 이후로는 12분 간격 운행 중이다. [[에바항공]]의 김포발 수요일 스케쥴이 저녁 10시 도착인데 MRT를 이용할 경우 이동에 큰 문제가 없다.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을 가려면 1840번 직통(싱톈궁 경유)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가격은 NT$120(원화로 약 4,500원). 다만 코로나 이후로는 대폭 감축 운행중이므로 1841번 버스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시내버스 편은 그렇게 많지 않은데다 노선자체도 꽤 복잡하다. 254번은 시내방향과 공항방향 노선이 완전히 다른 노선이고 262번의 경우 복편은 공항을 경유하지 않아 시내버스 이용 난이도가 다소 높다. 그래도 차량이 매우 좁은 원후선 MRT에 비해, 버스는 대부분 [[저상버스]]에 도착층 바로 앞에 승강장이 있고 시내가 가까운데다 목적지에 따라서는 환승이 불필요하므로 버스가 편리하다. 바로 가는 버스 편이 있다면 MRT보다 훨씬 이용이 편리하므로 구글지도에서 미리 확인해두자. 대표적으로 타이베이역으로 갈 때는 환승 필요없이 262번 버스를 탑승하면 된다. 요금은 NT$15원으로 대만 시내버스는 잔돈을 주지 않으니 교통카드를 사용하는 게 좋다. 이 노선은 위에 언급했듯 시내에서 올 때는 공항을 경유하지 않는다. 공항으로 올 때는 해당 노선을 타고 오다가 공항으로 들어가는 노선으로 환승할 수도 있으나[* Chang Gung Memorial Hospital에서 하차하여 걸어가거나 906, 909, 913번 등 쑹산공항 종착 버스로 환승할 수 있다. 다만 시간이 급하지 않다면 짐이나 비용을 생각한다면 내려서 걷거나 환승하느니 아예 회차지점까지 갔다가 다시 타이베이역으로 돌아갈 때 내리는 것도 추천한다. 회차지점을 찍고 돌아오면 대략 30분 정도 추가 소요되는 점을 참고하면 된다.] [[타이베이 버스|대만 시내버스]]는 노선간 환승시 할인조차 적용되지 않으므로 짐이 많으면 택시 타는게 정신건강에 더 나을 수도 있다. [[신베이]] 지역으로 갈 경우에도 상황에 따라 MRT보다 시내버스가 편한 경우가 있다. 공항철도 역세권 지역은 617번 버스를 산샤방면은 707번을 이용하거나, [[중허신루선]] 대신 801, 803번을 이용하면 MRT를 환승하는 것보다 훨씬 편리하게 신베이 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 외에 [[중산고속공로|고속도로]]를 타고 더 외곽으로 빠지는 900번대 버스들도 이 곳을 기종점으로 운행하고 있다. 타오위안 공항과 [[타오위안]] 각지로 향하는 시외버스가 이 곳을 기종점으로 삼고 있어 굳이 기차나 시외버스를 이용하기 위해 무거운 짐을 끌고 타이베이역까지 갈 필요는 없다. 타이베이에서 테마파크인 육복촌(六福村)으로 가는 유일한 노선인 5350번은 아예 이 곳에서만 출발한다. 무정차는 아니고 중허까지 시내투어를 한 후에 고속도로로 올라가기에 시내에서 육복촌을 갈 경우 중간 정류장을 이용하면 된다. 한국의 [[김포선]]처럼 여기도 [[쑹산역]]과 연결되는 [[http://zh.wikipedia.org/wiki/松山飛機場線|쑹산공항선(松山機場線)]]이 존재했다. 1936년 완공되었으며 당시 구간으로는 [[쑹산역]]을 기점으로 하여 쑹산발전소역을 거쳐서 쑹산공항역에 도착하는 노선이었다. 해당 노선 역시 도로교통의 발달로 한국보다 약간 앞선 1976년에 폐선. ~~이쪽도 화물열차 노선이라서 정말 김포국제공항과 닮았다.~~ == 사건사고 == * [[트랜스아시아 536편 활주로 이탈 사고]][* 이공항에서 사건이 발생했다] * [[트랜스아시아 235편 추락사고]][* 이공항을 이륙한 후 엔진 고장으로 지룽강으로 추락했다] == 관련 문서 == * [[공항/목록]] [[분류:대만의 공항]][[분류:타이베이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