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타이베이 첩운 운행노선)] ||<-4><:>[[타이베이 대중첩운 주식회사|[[파일:타이페이 첩운 로고.svg|width=80]]]]{{{#!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타이베이 첩운 쑹산신뎬선 아이콘.svg|width=100]]||<(>{{{#008659 '''台北捷運''' {{{+1 '''松山新店線'''}}}[br]{{{-1 Taipei Metro}}} Songshan-Xindian Line[br]{{{-1 타이베이 첩운}}} 쑹산신뎬선}}}||}}}|| ||<-4><:>[[파일:38061318351_4f59f68998_b.jpg|width=100%]]|| ||<-4><#fff> [[타이베이 첩운 C381형 전동차|{{{#008659 타이베이 첩운 C381형 전동차}}}]] || ||<-2> '''{{{#ffffff 노선 정보}}}''' || ||<:>'''분류'''||<-3><:>도시철도|| ||<:>'''기점'''||<-3><:>[[쑹산역]](松山)|| ||<:>'''종점'''||<-3><:>[[신뎬역]](新店)|| ||<:>'''역 수'''||<-3><:>21개|| ||<:>'''구성 노선'''||<-3><:>신뎬선(新店線), 샤오난먼선(小南門線), 쑹산선(松山線)|| ||<:>'''개업일'''||<-3><:>[[1998년]] [[12월 24일]]|| ||<:>'''소유자'''||<-3><:>[[신베이|[[파일:신베이시 휘장.svg|width=100]]]][br][[타이베이|[[파일:타이베이시 휘장.svg|width=110]]]]|| ||<:>'''운영자'''||<-3><:>[[타이베이 대중첩운 주식회사|[[파일:타이페이 첩운 로고.svg|width=120]]]]|| ||<:>'''사용차량'''||<-3><:>[[타이베이 첩운 C371형 전동차]][br][[타이베이 첩운 C381형 전동차]]|| ||<:>'''차량기지'''||<-3><:>신뎬차량기지|| ||<-2> '''{{{#ffffff 노선 제원}}}''' || ||<:>'''노선연장'''||<-3><:> 21.3km[br](신뎬선 9.3km, 샤오난먼선 1.6km, 쑹산선 9.3km, 샤오비탄 지선 1.9km)|| ||<:>'''궤간'''||<-3><:>1,435㎜[* [[표준궤]].]|| ||<:>'''선로구성'''||<-3><:>[[복선]]|| ||<:>'''사용전류'''||<-3><:>[[제3궤조집전식|제3궤조]] 직류 750V|| ||<:>'''신호방식'''||<-3><:>ATC|| ||<:>'''운영속도'''||<-3><:>80㎞/h|| ||<:>'''통행방향'''||<-3><:>우측통행|| ||<:>'''개통연혁'''||<-3><:>1991. 1. 착공[br]1998. 12. 24. 중정기념당↔구팅 개통[br]1999. 11. 11. 구팅↔신뎬 개통[br]2000. 8. 31. 중정기념당↔시먼 개통(샤오난먼선)[br]2004. 9. 29. 치장↔샤오비탄 개통([[샤오비탄 지선]])[br]2013. 11. 24. 샤오난먼선 타이완전력역 연장[br]2014. 11. 15. 시먼↔쑹산 개통|| || [youtube(JtJKn7JxcrA)] || || 전구간 주행영상 || [목차] [clearfix] == 개요 == [[타이베이 첩운]]의 노선. 주로 녹선(綠線)으로 불린다. 중정기념당-신뎬 간은 신뎬선(新店線), 시먼-중정기념당 구간은 샤오난먼선(小南門線), 쑹산-시먼 구간은 쑹산선(松山線)으로 구분된다. [[타이베이 첩운 단수이신이선]]의 [[단수이선]]처럼 이 노선도 원래는 [[완화역]]-[[신뎬역]] 사이를 운행하던 [[신뎬선]]이라는 이름의 협궤철도구간이였다. 그러나 신뎬선이 폐선되고 첩운 신뎬선이 건설되기까지 너무 오랜 시간이 흘렀기 때문에 도시화가 진행되어버려 단수이선처럼 지상으로 만들지는 못하고 전 구간 지하 노선이 되었으며, 일부 구간은 노선 자체가 변경되었다. 현재의 노선과 예전의 노선은 [[http://maps.google.com.tw/maps/ms?ie=UTF8&hl=zh-TW&msa=0&msid=100498105186151439657.000451684f39bed51948a&ll=24.995056,121.521015&spn=0.111865,0.150375&z=13|여기]]에서 비교 가능하다. 1998년 12월 24일 중정기념당-구팅 구간이 처음으로 개통되었는데 [[타이베이 첩운 단수이신이선|단수이선]]-[[타이베이 첩운 중허신루선|중허선]] 직통열차가 이 구간을 경유해야 했기 때문에 일단 먼저 개통시킨 것이다. 1999년에 구팅-신뎬 구간이 개통되면서 신뎬선이 일단 완공되었으며, 신뎬선 [[신뎬역]]에서 출발해 단수이선 [[단수이역]]에서 종착하는 운행계통이 신뎬선 구간의 운행을 맡았다. 이후 2000년에는 중정기념당-시먼 구간, 즉 샤오난먼선이 개통했는데, 당시에는 이 구간을 다른 구간과 직결시키지 않고 시먼-중정기념당 사이를 운행하는 셔틀열차 방식으로 운행하였다. 거리가 지나치게 짧기 때문에 교행의 필요성 자체가 적어 복선으로 만들어놓고 단선으로 운행했으며, 선로에 가는 부담을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선로는 4개월에 1번씩 교체되었다. 이후 신이선이 개통되면서 신뎬선 구간의 선로용량에 약간 여유가 생겨 샤오난먼선 운행계통은 [[타이완전력역]]까지 연장되었다. 신뎬션만 있던 시절에는 주로 단수이-신뎬으로 운행하다가 2014년 쑹산선이 개통되면서 현재와 같이 쑹산-신뎬간을 운행하는 행태가 되었다. || [youtube(_JjwxPsgwCk)] || || '''2014년 쑹산선 개통 홍보영상''' || [[https://youtu.be/Dy6Ihth6o-0|홍보영상 촬영연습컷]] / [[https://youtu.be/8rRma28f0tg|연습과 실제 광고를 섞은 영상]] 쑹산선이 개통된 이후에는 샤오난먼선 운행 계통과 신뎬선-단수이선 직통열차가 폐지되고, 현재 열차는 신뎬역에서 샤오난먼선을 거쳐 쑹산역까지, 혹은 그 반대로 운행된다. 쑹산역-타이완전력역 운행계통도 있으며 쑹산역-신뎬역 계통과 1:1 정도의 운행비율을 나타낸다. 지선으로는 샤오비탄 지선이 있으며, 치장-샤오비탄 간을 운행 중이다. 본래 계획에는 없었으나 차량기지 인근 주민의 요청으로 지선을 두어 운영하게 되었다. 원래 공관역과 타이완전력역 사이에 타이완대학역을 세우려고 했으나 세상은 예산이 지배하는 관계로(…) 취소되고 역 위치를 조정했다. 쑹산선 구간도 베이먼역과 중산역 사이인 닝샤루 야시장(寧夏路夜市) 인근에 톈수루역(天水路站)이 건설될 뻔했으나 취소되었다. 쑹산선(松山線)은 ~~[[티스푼 공사]]가 적용되어~~ 공사기간이 계속 연장되었다. 2012년 완공을 목표로 했는데 2013년 12월로 연기되었다가 또 2014년 12월로 연기되었다가 [[http://www.trtc.com.tw/ct.asp?xItem=90376737&ctNode=70050&mp=122035|11월 15일에 정식 개통했다.]] [[신뎬선]] 구간은 일반철도를 [[타이베이 첩운]]으로 [[재건축]] 하면서, [[1994년]]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천수이볜]] 타이베이시장은 [[신뎬역]]이 아니라 [[우라이구]]까지 지하철을 연장하는 안을 검토했다. 그러나 당시 [[타이완성]] 소속이던 타이베이현(현재의 [[신베이시]])과 [[타이베이시]] 간 협의가 제대로 되지 않아 무산됐다. == 차량 == * [[타이베이 첩운 C371형 전동차]] * [[타이베이 첩운 C381형 전동차]] == 역 일람 == ||<-8><#008659><:>{{{#ffffff 타이베이 첩운 쑹산신뎬선}}}|| ||<|2><:>노선명||<|2><:>역번호||<|2><:>한국어||<|2><:>중국어||<|2><:>영어||<-2><:>승강장||<|2><:>환승노선|| ||<:>형태||<:>횡단|| ||<|7><:>쑹산선[br](松山線)|| G19 || [[쑹산역|쑹 산]] || 松 山 || Songshan || │■│ || ○ || --{{{#ffdb00 ●}}}[[타이베이 첩운 환상선]]-- || || G18 || [[난징싼민역|난징싼민]] || 南京三民 || Nanjing Sanmin || │■│ || ○ || || || G17 || [[타이베이 아레나역|타이베이 아레나]] || 台北小巨蛋 || Taipei Arena || │■│ || ○ || || || G16 || [[난징푸싱역|난징푸싱]] || 南京復興 || Nanjing Fuxing || │■│ || ○ || {{{#c48c31 ●}}}[[타이베이 첩운 원후선]] || || G15 || [[쑹장난징역|쑹장난징]] || 松江南京 || Songjiang Nanjing || ■││■ || ○ || {{{#fca311 ●}}}[[타이베이 첩운 중허신루선]] || || G14 || [[중산역|중 산]] || 中 山 || Zhongshan || │■│ || ○ || {{{#e3002d ●}}}[[타이베이 첩운 단수이신이선]] || || G13 || [[베이먼역|베이먼[br]{{{-2 (다다오청난)}}}]] || 北 門[br]{{{-2 (大稻埕南)}}} || Beimen[br]{{{-2 (Dadaocheng South)}}} || ■││■ || ○ || {{{#9E56A2 ●}}}[[타오위안 공항 첩운]]([[타이베이역(타오위안 공항 첩운)|타이베이역]])[* 타오위안 공항 첩운 타이베이역이 베이먼역에서 그리 멀지 않기 때문에 연결통로가 개설되었고, 요금은 별도로 징수한다.] || ||<|3><:> 샤오난먼선[br](小南門線)|| G12 || [[시먼역|시 먼]] || 西 門 || Ximen || ■│ (지하 2층) [br] ■│ (지하 3층) || ○ || {{{#0070BD ●}}}[[타이베이 첩운 반난선]] || || G11 || [[샤오난먼역|샤오난먼]] || 小南門 || Xiaonanmen || │■│ || ○ || || || G10 || [[중정기념당역|중정기념당[br]{{{-2 (난먼)}}}]] || 中正紀念堂[br]{{{-2 (南門)}}} || Chiang Kai-Shek Memorial Hall[br]{{{-2 (Nanmen)}}} || │■ (지하 2층) [br] │■ (지하 3층) || ○ || {{{#e3002d ●}}}[[타이베이 첩운 단수이신이선]] [br] --{{{#a3db83 ●}}} [[타이베이 첩운]] 완다선-- || ||<|9><:> 신뎬선[br](新店線)|| G09 || [[구팅역|구 팅]] || 古 亭 || Guting || │■ (지하 2층) [br] │■ (지하 3층) || ○ || {{{#fca311 ●}}}[[타이베이 첩운 중허신루선]] || || G08 || [[타이완전력역|타이완전력]][* [[도쿄전력]]처럼 타이완전력이라 써야한다. [[외래어 표기법]]상 조금 복잡한데, 회사명은 일반명사가 아닌 고유명사이기 때문. [[대한민국]] 언론사에서도 공식 표현은 [[http://www.ytn.co.kr/_ln/0104_201303031402003057|타이완전력]]이다.] || 台電大樓 || Taipower Building || │■│ || ○ || || || G07 || [[궁관역|궁 관[br]{{{-2 (타이완대학)}}}]] || 公 館[br]{{{-2 (台灣大學)}}} || Gongguan[br]{{{-2 (National Taiwan University)}}} || │■│ || ○ || || || G06 || [[완룽역|완 룽]] || 萬 隆 || Wanlong || │■│ || ○ || || || G05 || [[징메이역(타이베이)|징메이]] || 景 美 || Jingmei || │■│ || ○ || || || G04 || [[다핑린역|다핑린]] || 大坪林 || Dapinglin || │■│ || ○ || {{{#ffdb00 ●}}}[[타이베이 첩운 환상선]] || || G03 || [[치장역|치 장]] || 七 張 || Qizhang || ■││■ || || {{{#cfdb00 ●}}}[[샤오비탄 지선|타이베이 첩운[br]샤오비탄 지선]] || || G02 || [[신뎬구청역|신뎬구청]] || 新店區公所 || Xindian[br]District Office || ■││■ || || || || G01 || [[신뎬역|신 뎬[br]{{{-2 (비탄)}}}]] || 新 店[br]{{{-2 (碧潭)}}} || Xindian[br]{{{-2 (Bitan)}}} || │■│ || ○ || || [[분류:타이베이 첩운 쑹산신뎬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