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大圍站 | Tai Wai Station}}} ||<-6><)>[[MTR|[[파일:홍콩철도유한공사 심볼.svg|height=24&align=left]]]][[MTR(기업)|{{{#FFFFFF '''홍콩철도유한공사'''}}}]]|| ||<-6>{{{#ffffff,#000000 {{{+2 타이와이}}}[br]{{{+1 大圍 | Tai Wai}}}}}} || ||<-6> || ||<-2> [[애드미럴티역(홍콩)|{{{-1 {{{#585858,#dddddd 애드미럴티 방면}}}}}}]][br][[까우룽통역|까우룽통]][br]← 4.4 ㎞ ||<-2> [[동철선|{{{#ffffff 동철선}}}]] ||<-2> [[로우역|{{{-1 {{{#585858,#dddddd 로우}}}}}}]]·[[록마차우역|{{{-1 {{{#585858,#dddddd 록마차우[br]방면}}}}}}]][*이용안내 로우역과 록마차우역은 변경금구 내에 위치한 관계로 두 역에 설치된 홍콩-중국 본토 간 검문소를 이용하는 여행객이나 로우역 인근 거주민 또는 청명절/중양절 한정 공동묘지 참배객 외에는 이용이 금지되어 있으니 이용에 참고 바랍니다.][br][[샤틴역|샤 틴]][br]1.4 ㎞ → || ||<-2> [[튄문역|{{{-1 {{{#585858,#dddddd 튄문 방면}}}}}}]][br][[힌켕역|힌 켕]][br]← 1.3 ㎞ ||<-2><:>[[MTR 튄마선|{{{#ffffff 튄마선}}}]]||<:><-2> [[우카이샤역|{{{-1 {{{#585858,#dddddd 우카이샤 방면}}}}}}]][br][[체공묘역|체공묘]][br]0.8 ㎞ → || ||<-6>[include(틀:지도, 장소=MTR Tai Wai Station, 너비=100%, 높이=225px)]|| ||<-6> {{{#ffffff,#000000 '''주소'''}}} || ||<-6> [[홍콩]] [[신계(홍콩)|신계]] [[샤틴구]] 타이와이[br]Tsuen Nam Road[*한문 香港新界沙田區大圍 村南道][*영문 Tsuen Nam Road, Tai Wai, Sha Tin District, Hong Kong] || ||<-6> {{{#ffffff,#000000 '''개업일'''}}} || ||<-2> [[동철선|{{{#ffffff 동철선}}}]] ||<-4> [[1983년]] [[8월 15일]][* 임시역 개업. 정식 역사의 영업은 [[1986년]] [[4월 23일]]에 개시하였다.] || ||<:><-2>[[튄마선|{{{#ffffff 튄마선}}}]]||<:><-4>[[2004년]] [[12월 21일]][* 마온산선으로 개통. 이후 [[2020년]] [[2월 14일]]에 튄마선 1단계 구간으로 편입되었고, [[2021년]] [[6월 27일]]에 튄마선 전선개통과 동시에 튄마선으로 편입되었다.]|| ||[[파일:Tai_Wai_Station_201206.jpg|width=360]]|| || {{{#ffffff '''타이와이역 역사.'''}}} || ||[[파일:Tai_Wai_Station_2019_04_part3.jpg|width=360]]|| || {{{#ffffff '''타이와이역 동철선 1번 승강장(로우/록마차우 방면) 모습.'''}}} || ||[[파일:3240px-Tai_Wai_Station_2020_02_part6.jpg|width=360]]|| || {{{#ffffff '''타이와이역 튄마선 3번 승강장(튄문 방면) 모습.'''}}} || [목차] [clearfix] == 개요 == [[홍콩]] [[신계(홍콩)|신계]] [[샤틴구]]에 위치한 [[MTR]] [[동철선]]과 [[튄마선]]의 [[환승역]]으로, [[1983년]] [[동철선]] 전철화와 함께 개업하였다. == 역 정보 == [[동철선]]과 [[튄마선]] 모두 [[상대식 승강장]]으로, 북위 기준으로 동철선 승강장이 좌측, [[튄마선]] 승강장이 우측에 자리하고 있다. [[튄마선]]의 일부 구간이 우측통행을 실시하는지라, [[동철선]] [[까우룽통역]]/[[애드미럴티역(홍콩)|애드미럴티]] 방면 승강장과 [[튄마선]]의 [[카이탁역]] 방향 승강장 간 평면환승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있다. 2020년 2월 14일에 [[튄마선 1단계]] 구간으로 [[카이탁역]]까지 연장하기 전까지만 해도 [[튄마선|舊 마온산선]]의 시종착역이였으며, 지금도 심야시간에 [[튄마선]] [[우카이샤역|우카이샤]]발 일부 막차가 이 곳에서 종착한다. 역 이름은 과거에 있던 와이라는 접미사가 붙는 오래된 중국식 성채마을 중 하나인 타이와이(大圍, Tai Wai), 즉, 대위라는 마을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해당 마을은 [[1970년대]] 샤틴 신도시 건설계획과 함께 꽤 헐려 나갔고, 현재는 일부 오래된 주택들만이 남아있다. 이 역이 위치한 샤틴 지역은 [[신계(홍콩)|신계]]였지만 사실 신구룡이라 부르는 [[구룡반도]]의 연장선상에 있던 곳으로 택시도 도심용 빨간택시가 그대로 들어가는 등 실질적인 구룡 생활권이라 [[영국령 홍콩]] 시절부터 개발을 했다. 덕분에 [[샤틴역]]과 타이와이역 일대는 이미 상당히 번화한 상태이다. 99년 조차기한은 사실 신계뿐만 아니라 [[카이탁 국제공항]]이 있던 구룡반도 중부지역, 현재 쿤통이 있는 구룡 동부, 그리고 삼수이포가 있는 구룡 서부지역까지 해당되었다. 몽콕과 삼수이포를 가르는 바운더리 스트리트가 바로 이때 당시 [[청나라]] 신안현과 영국 치하의 홍콩을 나누는 국경이었다. [[구룡성채]] 역시 그때 신안현 맨 끝에서 [[팔기군]]이 영국을 감시하는 요새였다. 그러나 영국은 끝내 1899년 약해질 대로 약해진 [[청나라]]에게서 끝내 이 신안현을 삥뜯었고, 좀 머쓱해져서 99년 조차지 형식으로 뜯어냈다. 갑자기 영국 혼자 대규모로 중국에 식민지를, 그것도 본토 부분에 만들면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 [[벨기에]], [[포르투갈]], [[러시아]] 등 경쟁 열강들이 경계해 바로 딴지가 걸릴 가능성이 높았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얼마 후 이 바운더리 스트리트 이북의 카이탁에 공항을 만들고, 택시 시스템을 정리하면서 홍콩 최고봉산인 대모산과 두번째로 높은 산인 마온산 등을 경계로 삼아 산 북쪽으로는 도심진입이 안되는 초록 택시가 운행하는 진짜 신계, 그리고 그 남쪽으론 신구룡이라 하여 [[구룡반도]] 북부 신도시로 취급했으며 덕분에 샤틴 이북지역과 이남지역은 매우 다르다. 애초 딴 동네였다. 이런 역사 덕에 샤틴 일대는 일찍이 개발이 잘 되었으며, 산 하나만 넘으면 바로 몽콕과 침사추이라 그럭저럭 베드타운으로 인기를 끌게 되었다. == 역 내부 시설 == || [[파일:TaiWaiLayout.jpg|width=540]]|| || {{{#ffffff '''타이와이역 시설 안내도. [[http://www.mtr.com.hk/archive/ch/services/layouts/taw.pdf|원본(PDF)]]'''}}} || 하행선끼리의 평면환승, 즉 [[동철선]] [[애드미럴티역(홍콩)|애드미럴티]] 방면 승강장과 [[튄마선]] [[튄문역]] 방면 승강장 간의 평면환승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승강장 남단([[까우룽통역]] 쪽)에는 바로타 비스무리한 구조로 개찰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나머지 출구는 아래에 있는 대합실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대합실 개찰구 내부에는 화장실이 있다. == 역 주변 안내도 및 주변 정보 == || [[파일:TaiWaiStreet.jpg|width=540]]|| || {{{#ffffff '''타이와이역 주변 안내도. 필요할 경우 [[http://www.mtr.com.hk/archive/ch/services/maps/taw.pdf|원본 PDF 파일]]을 보는 것을 권장합니다.'''}}} || 샤틴구의 뉴타운 일대가 애초에 베드타운인지라, 쇼핑몰 빼고는 거의 다 아파트다. 위에 언급된 오래된 주택들도 상당 수 있으며, 이 외에는 Che Kung Miu Road Playground, Hung Mui Kuk Road Playground라는 [[공원]]이 있다. [[분류:MTR 동철선]][[분류:MTR 튄마선]][[분류:홍콩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1983년 개업한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