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FFFFF><:>[[파일:2023년 대만시리즈.jpg|width=350]]|| ||||<#00133E><:> {{{#ffffff '''[[2023년 타이완 시리즈|'''{{{#ffffff 2023년 타이완 시리즈}}}''']] 로고'''}}} || [목차] == 개요 == '''{{{+1 台灣大賽, Taiwan Series}}}''' [[대만 프로야구 리그]]의 최종 승자를 가리는 경기. 원년인 1990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상위권의 2개 팀이 모여, 4선승제로 진행하며 우승팀을 가린다. 개최 방식은 대만프로야구가 이런저런 사정으로 수시로 팀 수가 늘었다 줄었다 해왔기 때문에(...) 역사가 짧은 데도 불구하고 꽤나 많이 바뀌었다. 2002년까진 '''중화 직업야구 연맹 연간왕자 결승전[* 中華職棒年度總冠軍賽、CPBL Seasonal Championship Series]'''이라는 명칭이었고 때문에 우승 구단도 연간왕자(年間王者)란 명칭으로 불렀으나 2003년에 현재의 이름으로 개칭했다. == 개최 방식 == 개최 방식은 꽤 많이 바뀌었지만 기본 4선승제는 똑같다. 또 시리즈 명칭은 쉬운 이해를 위해 타이완 시리즈로 통일한다. ||<:> 연도 ||<:> 진행 방식 || ||<:> [[1990년]][br]~[[1997년]] ||<(> 전/후기 우승팀이 다를 경우, 전/후기 우승팀이 타이완 시리즈에 출장해 최종승자를 겨루며, 전/후기 전부 같은 팀이 우승했을 경우 시리즈를 개최하지 않고 전/후기 우승팀을 그 해의 최종 우승팀으로 정함. || ||<:> [[1998년]][br]~[[1999년]] ||<(> 시즌이 전/후기로 나뉘지 않고 단일시즌으로 치러진 유일한 시기이며, 시즌 승률 2, 3위 팀이 2선승제의 플레이오프를 치러 플레이오프 우승팀이 시즌 승률 1위 팀과 타이완 시리즈에서 격돌해 최종승자를 겨룬다. || ||<:> [[2000년]][br]~[[2004년]] ||<(> 전/후기 우승팀이 다를 경우, 전후기 우승팀이 타이완 시리즈에 출장해 최종승자를 겨루며, 전/후기 전부 같은 팀이 우승했을 경우 전/후기 우승팀과 시즌 승률 2위 팀이 타이완 시리즈에 출장해 최종승자를 겨룸. 이때 전/후기 우승팀에겐 1승 어드밴티지를 준다. || ||<:> [[2005년]][br]~[[2008년]] ||<(> 전/후기 우승팀이 다를 경우, 전/후기 우승팀 중 시즌 승률이 낮은 팀과 전/후기 우승팀 이외의 팀들 중에서 시즌 승률이 가장 높은 팀(와일드카드 획득팀)이 3선승제의 플레이오프를 치러 플레이오프 우승팀이 전/후기 우승팀 중 승률이 높은 팀과 타이완 시리즈에서 격돌해 최종승자를 겨루며, 전/후기 전부 같은 팀이 우승했을 경우엔 시즌 승률 2, 3위 팀이 3선승제의 플레이오프를 치러 플레이오프 우승팀이 전/후기 우승팀과 타이완 시리즈에서 격돌해 최종승자를 겨룸. || ||<:> [[2009년]][br]~2021년 ||<(> 전/후기 우승팀이 다를 경우, 그 중 한 팀이 시즌 승률 1위일 경우엔 전/후기 우승팀이 타이완 시리즈에 출장해 최종승자를 겨루며, 어느 팀도 시즌 승률 1위가 아닐 경우[* 즉, 승률 1위 팀이 전/후기 어느 쪽도 우승하지 못했을 경우.]엔 전/후기 우승팀 중 시즌 승률이 낮은 팀과 시즌 승률 1위 팀이 3선승제의 플레이오프를 치러 플레이오프 우승팀이 전/후기 우승팀 중 승률이 높은 팀과 타이완 시리즈에서 격돌해 최종승자를 겨룸.[br]전/후기 전부 같은 팀이 우승했을 경우, 시즌 승률 2, 3위 팀이 3선승제의 플레이오프를 치러 플레이오프 우승팀이 전/후기 우승팀과 타이완 시리즈에서 격돌해 최종승자를 겨룸. 이때 전/후기 우승팀에겐 1승 어드밴티지를 준다. || ||<:> [[2022년]][br]~현재 ||<(> 전/후기 우승팀이 다를 경우, 전/후기 우승팀 중 시즌 승률이 낮은 팀과 우승하지 못한 팀들 가운데 시즌 승률이 1위인 팀이 4판 3선승제의[* 우승했으나 시즌 승률이 낮아 플레이오프로 밀린 팀이 부전승을 갖는다.] 플레이오프를 치러 플레이오프 우승팀이 전/후기 우승팀 중 승률이 높은 팀과 타이완 시리즈에서 7판 4선승제로[* 이 경우 타이완 시리즈 직행팀도 부전승을 받지 못한다.] 격돌해 최종승자를 겨룸.[br]전/후기 전부 같은 팀이 우승했을 경우, 시즌 승률 2, 3위 팀이 5판 3선승제의 플레이오프를 치러[* 즉 시즌 2위팀이 전/후기 중 어느 리그도 우승하지 못한 경우에는 부전승이 없다. 전/후기 중 한 번 우승을 하고도 2위로 밀려야 부전승을 받는다/] 플레이오프 우승팀이 전/후기 우승팀과 타이완 시리즈에서 격돌해 최종승자를 겨룸. 이때 전/후기 우승팀에겐 1승 어드밴티지를 주기 때문에 6판 4선승제이다. || == 역대 시리즈 == 승패 현황의 기호는 우승팀을 기준으로 한다. 괄호 안은 부전승. 참고로 아직까지 타이완 시리즈에서 무승부가 나온 적은 없다. || 연도 || 우승팀 || 패전팀 || 전적 || 승패 현황 || || 1990 || [[웨이취안 드래곤스]] || [[싼상 타이거스]] || 4 - 2 || OXOOXO || || 1991 || [[퉁이 라이온스]] || [[웨이취안 드래곤스]] || 4 - 3 || XOXOOXO || || --1992-- || [[슝디 엘리펀츠]] || 없음 ||<-2> 통합우승으로 시리즈가 취소됨. || || 1993 || [[슝디 엘리펀츠]] || [[퉁이 라이온스]] || 4 - 2 || OOXOXO || || --1994-- || [[슝디 엘리펀츠]] || 없음 ||<-2> 통합우승으로 시리즈가 취소됨. || || --1995-- || [[퉁이 라이온스]] || 없음 ||<-2> 통합우승으로 시리즈가 취소됨. || || 1996 || [[퉁이 라이온스]] || [[웨이취안 드래곤스]] || 4 - 2 || OXOOXO || || 1997 || [[웨이취안 드래곤스]] || [[스바오 이글스]] || 4 - 2 || XXOOOO || || 1998 || [[웨이취안 드래곤스]] || [[싱농 불스]] || 4 - 3 || OXOXXOO || || 1999 || [[웨이취안 드래곤스]] || [[허신 웨일스]] || 4 - 1 || OOOXO || || 2000 || [[퉁이 라이온스]] || [[싱농 불스]] || 4 - 3 || OXOOXXO || || 2001 || [[슝디 엘리펀츠]] || [[퉁이 라이온스]] || 4 - 3 || OXXXOOO || || 2002 || [[슝디 엘리펀츠]] || [[중신 웨일스]] || 4 - 0 || (O)OOO || || 2003 || [[슝디 엘리펀츠]] || [[싱농 불스]] || 4 - 2 || OXOOXO || || 2004 || [[싱농 불스]] || [[퉁이 라이온스]] || 4 - 3 || OOXXXOO || || 2005 || [[싱농 불스]] || [[청타이 코브라스]] || 4 - 0 || OOOO || || 2006 || [[라뉴 베어스]] || [[퉁이 라이온스]] || 4 - 0 || OOOO || || 2007 || [[퉁이 라이온스]] || [[라뉴 베어스]] || 4 - 3 || OOXOXXO || || 2008 || [[퉁이 라이온스|퉁이 세븐일레븐 라이온스]] || [[슝디 엘리펀츠]] || 4 - 3 || XOXOOXO || || 2009 || [[퉁이 라이온스|퉁이 세븐일레븐 라이온스]] || [[슝디 엘리펀츠]] || 4 - 3 || OOXOXXO || || 2010 || [[슝디 엘리펀츠]] || [[싱농 불스]] || 4 - 0 || OOOO || || 2011 || [[퉁이 라이온스|퉁이 세븐일레븐 라이온스]] || [[라미고 몽키스]] || 4 - 1 || OOXOO || || 2012 || [[라미고 몽키스]] || [[퉁이 라이온스|퉁이 세븐일레븐 라이온스]] || 4 - 1 || OOXOO || || 2013 || [[퉁이 라이온스|퉁이 세븐일레븐 라이온스]] || [[EDA 라이노스]] || 4 - 0 || OOOO || || 2014 || [[라미고 몽키스]] || [[중신 브라더스]] || 4 - 1 || OOOXO || || 2015 || [[라미고 몽키스]] || [[중신 브라더스]] || 4 - 3 || OXXXOOO || || 2016 || [[이다 라이노스]] || [[중신 브라더스]] || 4 - 2 || XXOOOO || || 2017 || [[라미고 몽키스]] || [[중신 브라더스]] || 4 - 1 || (O)XOOO || || 2018 || [[라미고 몽키스]] || [[퉁이 라이온스|퉁이 세븐일레븐 라이온스]] || 4 - 2 || (O)OXXOO || || [[2019년 타이완 시리즈|2019]] || [[라미고 몽키스]] || [[중신 브라더스]] || 4 - 1 || OXOOO || || [[2020년 타이완 시리즈|2020]] || [[퉁이 라이온스|퉁이 세븐일레븐 라이온스]] || [[중신 브라더스]] || 4 - 3 || OXXXOOO || || [[2021년 타이완 시리즈|2021]] || [[중신 브라더스]] || [[퉁이 라이온스|퉁이 세븐일레븐 라이온스]] || 4 - 0 || OOOO || || [[2022년 타이완 시리즈|2022]] || [[중신 브라더스]] || [[라쿠텐 몽키스]] || 4 - 0 || OOOO || || [[2023년 타이완 시리즈|2023]] || [[웨이취안 드래곤스]] || [[라쿠텐 몽키스]] || 4 - 3 || OXXOXOO || == 우승횟수 == || '''{{{#ffffff 팀}}}''' || '''{{{#ffffff 우승}}}''' || '''{{{#ffffff 준우승}}}''' || '''{{{#ffffff 우승 연도}}}''' || '''{{{#ffffff 최근 우승 후 경과년도}}}''' || || '''[[퉁이 라이온스|{{{#ffffff 퉁이 라이온스}}}]]''' || '''10''' || 7 ||1991, 1995, 1996, 2000, 2007[br]2008, 2009, 2011, 2013, [[2020년 타이완 시리즈|2020]] || [age(2020-01-01)]년 || || '''[[중신 브라더스|{{{#ffd800 중신 브라더스}}}]]''' || 9 || '''8''' ||1992, 1993, 1994, 2001, 2002[br]2003, 2010, [[2021년 타이완 시리즈|2021]], [[2022년 타이완 시리즈|2022]] || [age(2022-01-01)]년 || || '''[[라쿠텐 몽키스|{{{#ffcc00 라쿠텐 몽키스}}}]]''' || 7 || 4 ||2006, 2012, 2014, 2015, 2017[br]2018, [[2019년 타이완 시리즈|2019]] || [age(2019-01-01)]년 || || '''[[웨이취안 드래곤스|{{{#ffffff 웨이취안 드래곤스}}}]]''' || 5 || 2 ||1990, 1997, 1998, 1999, [[2023년 타이완 시리즈|2023]] || '''[age(2023-01-01)]년'''[* 2000~2020년 동안 팀이 리그에 참가하지 않았다.] || || '''[[푸방 가디언즈|{{{#ffffff 푸방 가디언즈}}}]]''' || 3 || 5 ||2004, 2005, 2016 || [age(2016-01-01)]년 || || '''[[중신 웨일스|{{{#ffffff 중신 웨일스}}}]]''' || 0 || 2 || - || ''해체'' || || '''[[싼상 타이거스|{{{#ffffff 싼상 타이거스}}}]]''' || 0 || 1 || - || ''해체'' || || '''[[스바오 이글스|{{{#ffffff 스바오 이글스}}}]]''' || 0 || 1 || - || ''해체'' || || '''[[디미디어 티렉스|{{{#ffffff 디미디어 티렉스}}}]]''' || 0 || 1 || - || ''해체'' || == 기타 == * 2022년부터 전/후기 우승팀이 다를 경우 타이완시리즈 직행팀이 한국과 동일하게 1/2/5/6/7차전 홈구장 자격을 갖는다. 만약 한 팀이 전/후기 우승을 싹쓸이 한 경우는 그 팀이 부전승 1승 및 1/2/5/6차전에서 홈 경기 개최권을 가지며 플레이오프 승리팀은 3/4차전 홈 경기 개최권을 갖는다. * 경기 개최 구장은 출전 구단의 홈 구장이 아닌 경우가 종종 있다. 2005년 시리즈 4경기 중 두 팀의 홈구장 경기는 1경기가 개최되었고, 2009년은 시리즈 6경기가 5개 구장에서 개최되었다. 슝디 엘리펀츠가 4전 전승으로 우승한 2010년은 4경기 모두 각각 다른 구장에서 열렸다.(타이중-더리우-타오위안-신좡) 퉁이 라이온스가 4전 전승으로 우승한 2013년도 마찬가지.(타이중-타이난-신좡-가오슝) 2016년 EDA 라이노스는 홈경기를 가오슝이 아닌 라미고의 연고 타오위안에서 개최했다. 반면 라미고 몽키스는 쭉 타오위안에서만 홈경기를 가졌다. 2007시즌에는 양팀의 홈구장에서만 경기를 가졌으며. 최근 타이완시리즈는 과거와 달리 소속팀의 홈구장에서만 열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 * 팀이 적은 대만 특성상 포스트시즌 단계가 플레이오프-타이완시리즈로 심플하다 보니[* 메이저리그와 KBO 리그, 멕시칸리그는 4단계로, 일본프로야구는 3단계로 포스트시즌이 진행된다.] 업셋우승이 심심찮게 일어난다. 플레이오프가 있던 시즌이 2022년까지 총 9번 있었는데 이 중 무려 4번이나 업셋우승이 나왔다. 2023년에는 아예 플레이오프에서 업셋이 일어났는데 플레이오프 승리팀인 라쿠텐이 2010년 일본프로야구의 [[치바 롯데 마린즈]]마냥 하극상을 벌이게 될 수 있을지도 관건. [[분류:타이완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