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중국대만' 또는 '중국 대만', other1=중화민국의 행정구역, rd1=타이완성, other2=중국과 대만의 외교관계, rd2=양안관계)] [include(틀:중국의 행정구역)] ||<-3>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출력= )] {{{#000,#ddd '''[[중국|{{{#000,#ddd 중국}}}]]의 성'''}}} || ||<-3> {{{#ff0 '''{{{+1 타이완성}}}'''[br][ruby(台湾, ruby=Táiwān)][ruby(省, ruby=Shěng)][* 또는 [ruby(台湾省, ruby=Tâi-oân-Séng)].] | Taiwan Province}}}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타이완성(중국) 위치.svg|width=100%]]}}}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타이완,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지역}}}''' ||[[화둥]] || ||<-2> '''{{{#ffff00 면적}}}''' ||35,581km² || ||<-2> '''{{{#ffff00 성도}}}''' ||[[타이베이시]]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6지급시 3 현급시 11현 || ||<-2> '''{{{#ffff00 시간대}}}''' ||UTC+8[* [[중국]]은 전 지역([[홍콩]], [[마카오]], [[대만]] 포함)이 [[중국 표준시]]를 사용한다.][* 실제 [[대만]]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타이완 섬의 시간대도 UTC+8이다.]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인구}}}''' || 23,580,000명 || ||<-2> '''{{{#ffff00 인구밀도}}}''' || 660명/km² || ||<-2> '''{{{#ffff00 HDI}}}''' || 0.911 ^^(2018)^^ || ||<-2> '''{{{#ffff00 서기}}}''' || 없음[* 중공 중앙대만공작판공실에서 대행.] || ||<-2> '''{{{#ffff00 성장}}}''' || 없음[* 국무원 대만사무판공실에서 대행.]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7,591억 400만 ^^(2021)^^ || || '''{{{#ffff00 1인당}}}''' || $32,122 ^^(2021)^^ || ||<-2> '''{{{#ffff00 행정구역 약칭}}}''' || '''台'''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71'''0000--[br]'''83'''0000[* '''71'''0000은 본 타이완성 코드이나 미사용 상태이며, 실질적으로 사용하는 '''83'''0000은 양안간의 왕래시에만 쓰인다.]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0886'''[*명목상] || ||<-2> '''{{{#ffff00 우편번호}}}''' || '''1000'''00 ~ '''9820'''00[*명목상]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TW'''[*명목상] ||}}}}}}}}} || ||<-3> [[http://www.gwytb.gov.cn/|국무원 대만사무판공실/중공 중앙대만공작판공실 공식 웹사이트]][* 타이완성 공식 웹사이트가 존재하지 않고 대신 판공실 웹사이트가 존재한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타이완성'''(台湾省, 대만성)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성급 행정구역으로, 명목상의 성도(성회, 省会)는 [[타이베이시]](台北市)이다. 실제로 타이완성이 관할하는 구역은 현재 [[대만|중화민국(대만)]]이 실효지배 중이므로, [[헌법]]과 [[법률]]에만 존재하는 명목상의 행정구역이다. 이는 [[양안관계]]에 따른 중화인민공화국의 대만에 대한 영유권 주장에 기인한다. [[대한민국]]이 [[이북 5도]]를 두고 있는 것[* 그러나 중화인민공화국은 대한민국의 이북 5도청과 같은 타이완성의 행정기관을 두고 있지는 않다는 차이가 있다.]과도 유사하다. == 중화인민공화국 [[타이완성]]에 대한 규정 == 중화인민공화국은 [[하나의 중국]]을 내세워 중화민국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고 [[타이완섬]]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어, 건국 이래 타이완 지역을 포괄하는 명목상의 행정구역인 타이완성을 두고 있다. [[1956년]]부터 [[2018년]]까지 중화민국 [[타이완성]]의 성 정부 소재지는 [[난터우시]]였지만 중화인민공화국은 중화민국의 [[존재]]를 부정하고 있으므로 [[1956년]] 이전의 성 정부 소재지이자 [[일본 제국]]의 [[대만총독부]] 소재지였던 [[타이베이시]]를 여전히 명목상 성 정부 소재지로 두고 있다. 허울뿐인 행정구역이다 보니 성 정부 따위는 없으며 성장(성 정부 수장)이나 공산당 서기도 임명되지 않는다. 중화인민공화국에서 타이완 관련 일은 모두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대만사무판공실 또는 [[중국공산당]] 중앙대만공작판공실에서 처리한다. 두 개는 같은 [[조직]]인데 때에 따라 명의를 달리한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는데, 중화인민공화국은 [[민주진보당]] 등 [[대만 독립운동]] 세력을 인정하지 않아 대등한 입장에서의 교류를 거부하며, [[중국국민당]] 등 [[양안통일]]에 호의적인 정당과는 [[정당]] 간 교류의 형태로 교류하기 때문이다. 만약 대만의 정당과 교류를 하면서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명의로 하면 대만 일대를 외국처럼 취급한 게 돼서 [[하나의 중국]] 원칙을 스스로 훼손할 우려가 있고, 또한 양안통일에 호의적이지만 그 주체는 중화민국이 되어야 한다는 [[중국국민당]] 입장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을 온전히 받아들이기 힘들다. 그래서 국가가 아닌 정당([[중국공산당]])이 교류하는 것으로 하기 위해 '중공 중앙대만공작판공실'이라는 명의를 추가로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2015년]] [[시진핑]] [[중화인민공화국 주석]]과, 국민당 [[주석]]이 아닌 상태였던 [[마잉주]] [[대만 총통|중화민국 총통]]이 [[싱가포르]]에서 회담한 것은 [[현대]] 중국의 [[역사]]에서 상당히 의미가 큰 사건이다. == 중국 본토에서 지정한 명목상의 하위 [[행정구역]] == 휘하 행정구역은 [[대만/행정구역|대만에서 지정한 행정구역]]과 거의 동일하지만 약간씩 차이가 있다. [[현(행정구역)|현]]을 비롯해서 그 외의 행정구역 변동은 중화민국 정부(또는 타이완성 정부)가 바꾼 것을 참고해서 반영하지만, '대만 정권이 멋대로 정한' [[직할시]]같은 것은 타이완성을 해체할 수 있는 조치라 받아들이지 않는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aiwan-map.png|width=350]]}}}|| || 중화인민공화국이 명목상 설정한 타이완성의 행정구역 || 현재는 중화민국 측이 변경한 행정구역을 인정하여 직할시만 [[지급시]]로 내렸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g.hiphotos.baidu.com/500fd9f9d72a6059d3a183a52b34349b023bbad8.jpg|width=100%]]}}}|| || 2010년대 중화민국 정부의 행정구역 개편을 반영한 중화인민공화국의 타이완 성 지도 || 현재 중화인민공화국이 설정한 타이완성의 행정구역 중에는 1949년 당시에 없었던 것도 꽤 되는데, [[1951년]] 격하된 장화와 핑둥을 반영하지 않는 것, [[1950년]] 단행된 현 분할을 인정한다는 점이[* 대만 반환 후 국민당 정부가 타이완성의 행정구역을 중국 본토식으로 개편하면서 주할시를 성할시로, 주와 청을 현으로 별다른 조정 없이 개편하였는데, 이 때문에 성할시가 9개나 되고 현들도 너무 비대하다는 문제가 있어 1950년에 행정구역 개편을 하면서 신주, 자이, 장화, 핑둥의 4개 성할시를 현할시로 전환하여 성할시를 5개로 줄이고, 현도 분할을 거쳐 16개로 늘렸다.] 현재 행정구역을 반영한 사례이다. 이는 오늘날 양안 간 교류가 활발해져서 중국 본토인이 대만에 방문하는 게 어렵지 않은 것과도 관련이 있을 듯하다. 만약 중화인민공화국측이 대만에 적용하는 명목상의 행정구역이 실제 중화민국 정부가 설치해서 운용 중인 행정구역과 너무 다르면 혼란이 클 것이다. 그래서 중화인민공화국이 중화민국 정부가 행한 행정구역 변동을 가급적이면 반영하는 것일 수 있다. 직할시의 경우는 타이완성을 점진적으로 해체하는 조치라 중화인민공화국이 대만을 자국의 일개 행정구역으로 간주하는 입장과 충돌할 여지가 있으니까 반영하지 않는 것이고. 그래서 [[신베이]]시가 설치된 뒤 한 동안 중화인민공화국의 명목상 행정구역으로 여전히 타이완성 타이베이현이라고 했다가 현재는 명칭은 수용하되 자신들의 행정구역 체계상 [[지급시]]가 된 것으로 간주해 타이완성 신베이시로 바꿨다. 도무지 계속 거기가 여전히 타이베이현이라고 우기기가 어려웠던 듯하다. [[2010년]]에 중화인민공화국은 톈디투(天地图)라는 국가 웹 지도망을 내놓았는데 중화민국 정부에서 정해놓은 타이완 섬의 행정구역을 다음과 같이 대응시키고 있다. || 중화민국 정부의 행정구역 ||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의 행정구역 || || 직할시(直轄市) || 지급시(地级市)[* 중국 본토의 지급시 중에도 현을 관할하지 않고 시할구만 관할하는 지급시가 있기 때문에(대표적으로 [[선전시]]가 그 예) 이렇게 대응시켜도 중국 본토의 행정구역 체계와 크게 어긋나지는 않는다.] || || 성할시(省轄市) || 현급시(县级市) || || 현할시(縣轄市) || 가도(街道)[* 그러나 톈디투에서 나타나는 주소 표기 등에서는 그냥 市를 쓴다.] || || 현(縣) || 현(县) || || 구(區) ||<|2> 구(区) || || 산지원주민구(山地原住民區) || || 진(鎮) || 진(镇) || || 향(鄉) ||<|2> 향(乡) || || 산지원주민향(山地鄉) || || 리(里) || 사구(社区) || || 촌(村) || 촌(村) || || 린(鄰) || - || == 타이완 [[특별행정구]] == [[1983년]] [[6월 26일]] [[덩샤오핑]] 이론 중에 "'타이완 특별행정구"'(台湾特别行政区)라는 것이 있다. 이는 대만 사람들에게 [[홍콩]], [[마카오]]와 유사한 [[일국양제]] 방식의 [[양안통일]]을 제안하는 것으로, 현재에도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의 [[양안통일]]에 대한 공식 입장이다.[* [[바이두 백과]]에 [[http://baike.baidu.com/view/612968.htm|이에 대한 문서]]가 있으며 [[중국어 위키백과]]에서도 대만특별행정구(台湾特别行政区)로 검색하면 "대만 성(중화인민공화국)" 문서로 리다이렉트된다.] 물론 중화민국 정부에서는 이러한 제안을 거부하고 있으며, 대만 사람들도 대만 독립에 대한 찬반여부와 상관없이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 취급에는 부정적이다. 보다 자세한건 [[대만/정치]] 참조. 중화민국 정부가 이 제안을 거부하고 있기 때문에 '타이완 특별행정구'도 아직 중화인민공화국의 제안에 불과하다. == 기타 == *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일본]]이 실효지배하는 [[댜오위다오]](센카쿠 열도)도 명목상 타이완 성 관할로 두고 있다. 이 점에서는 중화민국 타이완 성과 같다. * [[둥사 군도]]와 [[난사 군도]]는 중화민국에선 둘 다 [[가오슝]]시 치진 구로 두지만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둥사 군도는 [[광둥성]] 산웨이 시(汕尾市) 관할로 하고 있고, [[동남아시아]] 각국과 분쟁중인 난사 군도는 [[하이난성]] 관할로 간주하고 있다.[* 본래 두 지역 모두 하이난 특별행정구 관할이었는데, 중화민국은 국부천대 이후에 하이난 특별행정구를 폐지하고 군정하에 두었다가 가오슝시가 직할시로 승격될 때 이 쪽으로 편입해 관리하게 되었고, 중화인민공화국은 하이난 특별행정구를 광둥성에 편입시키면서 실질/명목상 관할구역 전체를 [[광둥성]] 관할로 했다가 [[하이난성]]을 분리 신설할 때 난사 군도는 하이난성의 관할 구역으로 하였고 둥사 군도는 명목상 광둥성 관할인 것으로 남겨두어서 이 같은 차이가 생기게 되었다.] * 명목상 존재하는 행정구역이기 때문에 중화인민공화국의 [[전국인민대표대회]]나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도 타이완 성을 지역구로 두는 의원을 선출한다. 전국인민대표대회 타이완 성 지역구의 경우 원칙적으로는 타이완 성 하위 행정구역에 인민대표대회가 꾸려져서 보통선거로 인민대표자를 선출하고 이들이 전국인민대표대회 타이완 성 인민대표자를 선출해야 하겠지만 그럴 수가 없으므로 타이완 성 호적을 가진 중화인민공화국 국민(과 그의 자녀) 중 120명을 [[선거인단]]으로 하여 인민대표자를 선출한다. 전국인민대표대회 인민대표자 2980명 중 13명이 타이완 성 지역구 의원이다. 타이완 성의 인구에 비해 의석이 적은 편인데 어차피 전인대 자체가 [[실권]]은 없는 [[거수기]]이므로 별 상관은 없을 것이다. 해당 의석은 [[중국 공산당]] 당원과 함께 [[타이완 민주자치동맹]]의 당원들 역시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소수민족]] 배려랍시고 전국인민대표대회 타이완 성 인민대표자 중에는 [[대만 원주민|고산족]] 할당 의석(1석)도 있다. * 대만을 통치중인 [[중화민국]]도 명목상 중국이지만, 오늘날 대만 사람들은 '중국 타이완성'이란 표현에 거부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이미 대만에서도 '중국'이 자국인 중화민국보다 중화인민공화국을 떠올리는 경우가 많아졌고,[* [[중화 타이베이]] 참고. 중화민국이 자국이 정통 중국임을 자임함에도 '중국'이라는 표현을 꺼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 설명돼 있다.] 타이완성 앞에 구태여 중국이라는 말을 넣는 경우는 십중팔구 중화인민공화국이 대만이 자기 영토라고 주장하는 맥락에서 쓰이는 경우가 많다. 그러니 [[대만인]]들로서는 본인이 철두철미한 대만 독립론자[* 철저한 대만 독립론자들은 중화민국 대신 [[대만 공화국]]을 세우는 게 목표이므로 당연히 대만과 관계된 것을 가리킬 때 중국이나 [[중화(중국)|중화]] 같은 표현을 사용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가 아니더라도 '중국 타이완성'이란 표현에 거부감을 느끼는 것이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타이완성, version=272, paragraph=2)] [[분류:중국의 행정구역]][[분류:중화민국]][[분류: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