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드림 호스 2000)]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aikiblizzard.jpg|width=100%]]}}} || ||<-2> 이름 || タイキブリザード[br]Taiki Blizzard || ||<-2> 출생 || [[1991년]] [[3월 12일]]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 ||<-2> 죽음 || [[2014년]] [[8월 18일]] (23세) || ||<-2> 성별 || 수컷 || ||<-2> 털색 || 흑갈색 (黒鹿毛, 쿠로카게) || ||<-2> 아비 || [[시애틀 슬루]] (Seattle Slew) || ||<-2> 어미 || 트리 오브 놀리지 (Tree of Knowledge) || ||<-2> 외조부 || 사사프라스 (Sasafras) || ||<-2> 생산자 || H&Y Bloodstock || ||<-2> 마주 || 타이키 팜 || ||<-2> 조교사 || [[후지사와 카즈오]] (미호) || ||<-2> 성적 || 23전 6승 (6-8-2-7) || ||<-2> 총상금 || 5억 6193만 2000엔 || ||<|2> 주요[br]우승 || G1 || [[야스다 기념]] (1997) || || G2 || 산케이 [[오사카배]] (1996)[br][[케이오배 스프링 컵]] (1997) || ||<-2> 상세 정보 || [[https://db.netkeiba.com/horse/1991109979/|[[파일:netkeiba_logo.png|width=85]]]] | [[https://www.jbis.jp/horse/0000250204/|JBIS]]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Taiki_Blizzard_Portrait.jpg|width=100%]]|| || '''바람을 기르며[br]{{{-2 風を育みながら}}}''' || ||<#268300> '''{{{#white 2023년 명마의 초상}}}''' || 일본의 경주마. == 혈통 == || 1대 || 2대 || 3대 || ||<|4>[[시애틀 슬루]][br]{{{-2 Seattle Slew[br]1974}}}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2>볼드 리즈닝[br]{{{-2 Bold Reasoning[br]1968}}}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볼드네시안[br]{{{-2 Boldnesian}}}|| ||리즌 투 언[br]{{{-2 Reason to Earn}}}|| ||<|2>마이 차머[br]{{{-2 My Charmer[br]1969}}}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포커[br]{{{-2 Poker}}}|| ||페어 차머[br]{{{-2 Fair Charmer}}}|| ||<|4>트리 오브 놀리지[br]{{{-2 Tree of Knowledge[br]1977}}}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2>사사프라스[br]{{{-2 Sassafras[br]1967}}}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셰슌[br]{{{-2 Sheshoon}}}|| ||루타[br]{{{-2 Ruta}}}|| ||<|2>센시빌리티[br]{{{-2 Sensibility[br]1971}}}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헤일 투 리즌'''[br]{{{-2 Hail to Reason}}}|| ||판제[br]{{{-2 Pange}}}|| ||<-3>* 헤일 투 리즌 '''4×3''' 18.75%[br]* 스트라이킹, 부셔 S5×S5 6.25%[br]* 나스룰라 S5×S5 6.25%[br]* 코트 마셜 M5×M5 6.25%|| || 주요 반형제[* 중상마만 서술, 굵게 표시된 건 '''GI/JpnI'' 우승마.] ||||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 '''시어트리컬'''(父 누레예프)^^(1982)^^ || 부마는 1977년에 미국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한 [[시애틀 슬루]], 모부마 사사프라스는 [[니진스키 2|니진스키]]의 연승을 저지하고 1970년 [[개선문상]]을 우승한 말이다. 반형제 형인 시어트리컬[* 일본에서 활약한 대표 자마로 [[히시 아마존]]이 있다.](Theatrical)은 아일랜드에서 태어난 미국의 경주마로 22전 10승(GI 6승)으로 역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외조모 센시빌리티는 모계로 많은 활약마들을 배출했으며 일본의 모계 후손으로는 [[나카야마 페스타]]가 있다. == 생애 == [include(틀:1997년 JRA G1 대회 우승마/간략)] 좋은 혈통과 반형의 우수한 성적으로 데뷔 전부터 타이키 팜 소유의 첫 중상마가 될 거란 기대를 받았다. 1994년 4세(현 3세)로 다소 늦게 데뷔해 데뷔전에서 카네츠 크로스[* [[타마모 크로스]]의 자마, 통산 성적 28전 9승(중상 3승).], 2번째 경기에서 [[사쿠라 로렐]]을 꺾으며 우승, 바로 중상으로 도전했지만 2착, 이 후 허리 부상으로 휴양 후 복귀했지만 승리하지 못하며 결국 데뷔 시즌은 7전 2승에 GIII 2착 3회라는 아쉬운 성적표를 받았다. 1995년의 첫 경주 오픈 경기에서 우승하며 첫 GI 도전으로 [[야스다 기념]]에 나갔지만 하트 레이크와 [[사쿠라 치토세 오]]에 이은 3착, 이어진 [[타카라즈카 기념]]에서는 단츠 시애틀에 목차로 아깝게 2착을 기록한다. 여름 휴양 후에는 오픈으로 다시 내려가 봤지만 또 2착, [[재팬 컵]]에서는 4착, [[아리마 기념]]에서는 [[마야노 탑건]]에 이은 2착으로 큰 대회에서 호성적을 올리기는 하지만 우승은 못하는 명품 조연의 이미지만 강해져갔다. 1996년 첫 경기인 산케이 오사카배(GII)에서 마침내 첫 중상 우승을 거두었는데 1주 전 후배 타이키 포춘이 마이니치배(GIII)에서 우승했기 때문에 타이키 팜 소유마 첫 중상우승은 타이키 포춘의 것이었다. 이어진 케이오배 스프링 컵(GII)에서는 하트 레이크에 밀리며 2착, 다음 날에 타이키 포춘이 [[NHK 마일 컵]]에서 우승하며 타이키 팜 첫 GI 우승마 또한 차지하게 되었다. 다음 경기는 최대 목표였던 야스다 기념, 선행하고 있던 [[히시 아케보노]]를 제쳤지만 바깥에서 추격해 온 [[트로트 썬더]]와 나란히 결승점을 통과했고 사진판정 결과 단 14cm 차이로 패배하며 또 2착을 기록하게 되었다. 아쉬운 패배 속에 환경을 바꿔 보면 어떨까 하다 더트 2승의 전적도 있고 하니 미국 원정을 결정하고 [[브리더스컵 클래식]][* 이 해에는 캐나다 우드바인에서 개최]에 출주하지만 발열의 영향도 있어 13마리 중 13착을 기록하며 대패하고 몸 상태도 좋지 않아 오랜 휴식을 취한다. 7세(현 6세)가 된 1997년, 휴식으로 다행히 회복한 타이키 블리자드는 5월의 케이오배 스프링 컵(GII)에서 레코드를 세우며 1년 2개월만에 승리를 거두었다. [[야스다 기념]]에서도 [[제뉴인(말)|제뉴인]]을 목차로 꺾으며 염원의 첫 GI 제패를 이루어냈고 관중들도 주전기수 [[오카베 유키오]]의 기수콜을 해주며 승리를 축하해주었다. 이어진 타카라즈카 기념에서 4착 후 다시 미국 원정에 도전해 3착, 6착을 기록한 후 귀국해 [[아리마 기념]]에서 9착, 이후 은퇴했다. 은퇴 후, 타이키 블리자드는 홋카이도 브리더스 스탤리언 스테이션과 렉스 스터드 등에서 종마로 활동했지만 중앙 중상마 1마리를 배출한 성적으로 2005년에 종마에서 은퇴했다. 이 후 히다카 켄터키 팜에서 지내고 2009년에 은퇴마 전문 시설인 가고시마현 호스 트러스트로 옮겨 여생을 보내다 2014년 8월 18일 위파열로 죽었다. == 기타 == * 만화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스타 블로섬]]에 '스노윙 하자드'라는 가명으로 등장한다. 히시 아마존에 이끌려 사쿠라 로렐을 보러 온 의문의 우마무스메로 등장한다. 타이키 셔틀 못지않게 장신으로 설정된 것으로 보이며 추위를 잘 타는지 항상 두꺼운 외투를 껴입고 다닌다. 이미 같은 관명의 타이키 셔틀이 실장돼서 실장되지 않을 이유가 없음에도 스킵당해 일부 팬들이 의문을 제기했었는데, 스타브로에서 원본마가 역배로 키사라기상을 승리한 이후 클래식 전선 등에서 부진을 면치 못하다가[* 특히 나리타 브라이언이 삼관을 달성한 사츠키-더비-킷카는 뒤에서 2착(그마저도 뒤에서 1착은 심방세동)-뒤에서 1착-뒤에서 1착을 기록하며 역삼관마라는 불명예스러운 별명까지 붙었다.] 은퇴 후 00년대 이후로 소식이 끊긴 말인 [[삼손 빅(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삼손 빅]]이 기습적으로 실장되면서 왜 가명 처리됐는지 더더욱 의문에 빠져버렸다. == 경주 성적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경주일 || 경마장 || {{{#!wiki style="min-width: 130px" 경기명}}} || 등급 || {{{#!wiki style="min-width: 80px" 트랙}}} || 배당 || 인기 || 착순 || 기수 || 1착마[br](2착마) || ||<-10> 1994년 {{{-1 (4세, 현 3세)}}} || || 2.14 || [[도쿄 경마장|도쿄]] || 4세 신마 || || 더트 1400m || 1.5 || 1 || '''{{{#RED 1착}}}''' || 사카모토 카츠미 || (카네츠 크로스) || || 3.6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4세 500만 이하 || || 더트 1800m || 1.1 || 1 || '''{{{#RED 1착}}}''' || [[오카베 유키오]] || ([[사쿠라 로렐]]) || || 3.27 || [[한신 경마장|한신]] || 마이니치배 || GII || 잔디 2000m || 3.0 || 1 || {{{#blue 2착}}} || 사카모토 카츠미 || 메르시 스테이지 || || 7.3 || [[후쿠시마 경마장|후쿠시마]] || [[라디오NIKKEI상|라디오탄파상]] || GIII || 잔디 1800m || 1.7 || 1 || {{{#blue 2착}}} ||<|3> 오카베 유키오 || 야시마 소브린 || || 7.30 || [[삿포로 경마장|삿포로]] || 도신배 || OP || 잔디 1800m || 1.4 || 1 || 4착 || 와코 치카코 || || 8.21 || 삿포로 || [[하코다테 기념]] || GIII || 잔디 2000m || 4.2 ||<#c88d0d> 3 || {{{#blue 2착}}} || 와코 치카코 || || 10.9 || 후쿠시마 || 후쿠시마민포배 || OP || 잔디 2000m || 2.6 || 1 || 4착 || 사카모토 카츠미 || 야시마 소브린 || ||<-10> 1995년 {{{-1 (5세, 현 4세)}}} || || 4.23 || 후쿠시마 || 타니가와다케 스테이크스 || 오픈 || 잔디 2000m || 3.1 || 1 || '''{{{#RED 1착}}}''' || 사카모토 카츠미 || (에이피 드래곤) || || 5.14 || 도쿄 || [[야스다 기념]] || '''GI''' || 잔디 1600m || 13.0 ||<#fff> 6 ||<#c88d0d> 3착 ||<|2> 오카베 유키오 || 하트 레이크 || || 6.4 || [[교토 경마장|교토]][* 고베대지진의 영향으로 한신 경마장에서 교토 경마장으로 이전 개최.] || [[타카라즈카 기념]] || '''GI''' || 잔디 2200m || 7.8 ||<#fff> 5 || {{{#blue 2착}}} || 단츠 시애틀 || || 11.12 || 도쿄 || [[후지 스테이크스]] || OP || 잔디 1800m || 1.7 || 1 || {{{#blue 2착}}} || 사카모토 카츠미 || 후지야마 켄잔[* 일본의 경주마. 1995년 당시 국제 G2, 홍콩 G1이었던 [[홍콩 컵]]을 우승했다.] || || 11.26 || 도쿄 || [[재팬 컵]] || '''GI''' (국제) || 잔디 2400m || 9.2 ||<#fff> 4 || 4착 || 오카베 유키오 || 란도[* 독일의 경주마. 1994, 1995년 독일 연도대표마다.] || || 12.24 || 나카야마 || [[아리마 기념]] || '''GI''' || 잔디 2500m || 10.4 ||<#fff> 5 || {{{#blue 2착}}} || 사카모토 카츠미 || [[마야노 탑건]] || ||<-10> 1996년 {{{-1 (6세, 현 5세)}}} || || 3.31 || 한신 || [[오사카배|산케이 오사카배]] || GII || 잔디 2000m || 1.9 || 1 || '''{{{#RED 1착}}}''' ||<|4> 오카베 유키오 || (인터 유니크) || || 5.11 || 도쿄 || [[케이오배 스프링 컵]] || GII || 잔디 1400m || 3.0 || 1 || {{{#blue 2착}}} || 하트 레이크 || || 6.9 || 도쿄 || 야스다 기념 || '''GI''' || 잔디 1600m || 5.7 ||<#c88d0d> 3 || {{{#blue 2착}}} || [[트로트 썬더]] || || 10.26 || [[캐나다|[[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px]]]] 우드바인 || [[브리더스컵 클래식]] || '''GI''' || 더트 10f || - ||<#fff> - || 13착 || 알파벳 수프 || ||<-10> 1997년 {{{-1 (7세, 현 6세)}}} || || 5.10 || 도쿄 || 케이오배 스프링 컵 || GII || 잔디 1400m || 3.1 || 1 || '''{{{#RED 1착}}}'''[br][*레코드] ||<|5> 오카베 유키오 || (오스미 맥스) || || 6.8 || 도쿄 || '''야스다 기념''' || '''GI''' || 잔디 1600m || 2.3 || 1 || '''{{{#RED 1착}}}''' || ([[제뉴인(말)|제뉴인]]) || || 7.6 || 한신 || 타카라즈카 기념 || '''GI''' || 잔디 2200m || 3.1 || 2 || 4착 || [[마블러스 선데이]] || || 10.18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산타 아니타 || 오크 트리 브리더스컵 마일 핸디캡 || GIII || 더트 8f || 4.3 ||<#c88d0d> 3 ||<#c88d0d> 3착 || 판타스틱 펠로우 || || 11.8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할리우드 파크 || 브리더스컵 클래식 || '''GI''' || 더트 10f || 33.7 ||<#fff> 6 || 6착 || 스킵 어웨이[* 미국의 경주마. 이 경주를 포함해 GI을 통산 10회 우승했고, 1998년 미국 올해의 말에 올랐다.] || || 12.21 || 나카야마 || 아리마 기념 || '''GI''' || 잔디 2500m || 12.2 ||<#fff> 6 || 9착 || 마이클 로버츠[* 남아공 출신 영국 기수로 통산 3964승을 기록했다. 1995년 란도로 재팬 컵에서 우승했고 1998년 [[어드마이어 코진]]으로 아사히배 3세 스테이크스를 우승하면서 일본 말을 기승한 외국인 기수로는 처음으로 GI 우승을 기록했다. 그밖에 주요 기승마로는 1988년 KGVI&QES 우승마 음토토(Mtoto), [[오페라 하우스(말)|오페라 하우스]] 등이 있다.] || [[실크 저스티스]] ||}}} [include(틀:야스다 기념,grade=GI)] ---- [include(틀:오사카배,grade=GII)] [include(틀:케이오배 스프링 컵,grade=GII)] [[분류:경주마/미국 생산]][[분류:경주마/일본 조교]][[분류:1991년 출생/경주마]][[분류:미호 트레이닝 센터 소속/경주마]][[분류:시애틀 슬루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