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로스터)] ||
'''{{{#fd5a1e 타일러 피츠제럴드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등번호 49번}}}''' || || [[딕슨 마차도]][br](2022) || {{{+1 →}}} || '''{{{#ffffff 타일러 피츠제럴드[br](2023~)}}}''' || {{{+1 →}}} || 현역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자이언츠피츠제럴드.jpg|width=100%]]}}} || ||<-2>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No.49''' || ||<-2> '''{{{#ffffff {{{+2 타일러 피츠제럴드}}}[br]Tyler Fitzgerald}}}''' || || '''본명''' ||타일러 조셉 피츠제럴드[br]Tyler Joseph Fitzgerald || ||<|2> '''출생''' ||[[1997년]] [[9월 15일]] ([age(1997-09-15)]세) || ||[[일리노이|일리노이 주]] [[스프링필드(일리노이)|스프링필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로체스터 고등학교 - [[루이빌 대학교]] || || '''신체''' ||190cm, 92kg || || '''포지션''' ||[[내야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16 MLB 신인드래프트|2016년 드래프트]] 30라운드 (전체 898번, [[보스턴 레드삭스|BOS]])--[br][[2019 MLB 신인드래프트|2019년 드래프트]] 4라운드 (전체 116번,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SF]]) || || '''소속팀'''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2023~) || || '''계약''' ||1yr / $720,000 || || '''연봉''' ||2023 / $720,000 || || '''가족''' ||아버지 [[마이크 피츠제럴드(1964)|마이크 피츠제럴드]] || || '''SNS''' ||[[https://www.instagram.com/tylerfitzgerald10/|[[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Tyler_Fitz10)] || [목차] [clearfix] == 개요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소속 내야수. MLB.com 선정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유망주 30위. == 선수 경력 ==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2023년|2023 시즌]] ==== 9월 21일 [[폴 데용]]이 방출되면서 40인 로스터에 등재되었고, [[션 젤리]]가 마이너로 내려가고 [[브랜든 크로포드]]가 10일 부상자 명단에 올라 [[트리스탄 벡]], [[마르코 루시아노]]와 함께 콜업되면서 처음 메이저 리그에 콜업되었다. 당일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전에 9번 중견수로 선발 출전해 3회초 첫 타석에는 [[엠멧 시한]]을 상대로 중견수 플라이로 물러났지만 0:2로 뒤진 5회초 2사 만루의 두 번째 타석에서는 밀어내기 볼넷을 골라내 데뷔 첫 타점을 만들고, 2:3이 된 7회초 2사 1루의 세 번째 타석에서는 [[셸비 밀러]]에게 2루타로 데뷔 첫 안타를 만들어내며 2타수 1안타 1타점 1볼넷을 기록했다. 다만 6회말 1사에 [[윌 스미스(1995)|윌 스미스]]의 타구를 다이빙 캐치에 실패해 3루타를 만들어주어 결승점의 원인을 제공했던건 아쉬운 부분이었다. 9월 22일 다저스전에서 첫 세 타석에서는 무안타 2삼진을 기록했지만 3:1로 앞선 9회초 2사 1루의 마지막 타석에서 [[라이언 야브로]]를 상대로 시즌 1호 홈런을 날리며 데뷔 첫 홈런을 기록했다. 자이언츠 신인이 [[다저 스타디움]]에서 데뷔 첫 홈런을 날린건 2011년 [[브랜든 벨트]] 이후 처음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xQXiw41UVW0&t=83s|#]] 하지만 9월 23일 다저스전에서는 2타수 무안타 1삼진에 그치고 8회초 [[마이크 야스트렘스키]]와 교체되었고 팀도 0:7로 패했다. 9월 24일 다저스전에서 0:2로 뒤진 5회초 [[랜스 린]]을 상대로 안타를 쳐내고 [[라몬테 웨이드 주니어]]의 동점 투런 때 득점을 올려 4타수 2안타로 멀티히트를 기록했지만 2:2로 맞선 9회초 1사 2, 3루 찬스에서는 [[에반 필립스]]를 상대로 좌익수 플라이로 물러났고, 결국 팀은 10회말 [[카밀로 도발]]이 [[크리스 테일러]]에게 끝내기 안타를 맞고 2:3으로 패했다. 9월 25일 샌디에이고전에서는 4타수 무안타 1삼진에 그쳤다. 9월 26일 샌디에이고전에서 2:0으로 뒤진 5회말 2사에 [[세스 루고]]를 상대로 2루타를 날리고 3타수 1안타 2삼진을 기록했다. 9월 27일 샌디에이고전에서 1:1로 맞선 5회말 2사 3루에 [[맷 월드론]]을 상대로 역전 적시타를 쳐내고 이후 시즌 1호 도루이자 데뷔 첫 도루를 성공시켰고, 2:2가 된 7회말 2사에도 [[스캇 발로우]]를 상대로 볼넷을 골라나간 후 시즌 2호 도루를 성공시키며 멀티도루를 기록했다. 9월 29일 다저스전에서 3타수 무안타 1삼진을 기록하고 팀은 6:2로 패했다. 9월 30일 다저스전에서 3회말 [[클레이튼 커쇼]]를 상대로 시즌 2호 홈런을 날리고 3타수 1안타 1홈런 1타점 1삼진을 기록했다. 10월 1일 다저스와의 시즌 최종전에서 4타수 무안타 1삼진을 기록하고 시즌을 마무리했고, 5:2로 뒤진 9회말 2사에 [[에반 필립스]]를 상대로 2루수 직선타로 물러나면서 팀의 2023 시즌 마지막을 장식했다. 10경기 32타수 7안타 2홈런 OPS .733으로 데뷔 시즌을 마무리했다. == 플레이 스타일 == == 연도별 성적 == ||<-19>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타일러 피츠제럴드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2023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SF]] || 10 || 34 || 7 || 2 || 0 || 2 || 3 || 5 || 2 || 2 || 10 || .219 || .265 || .469 || .733 || 0.2 || 0.2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1시즌) || 10 || 34 || 7 || 2 || 0 || 2 || 3 || 5 || 2 || 2 || 10 || .219 || .265 || .469 || .733 || 0.2 || 0.2 ||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야구 선수 자녀]][[분류:1997년 출생]][[분류:2023년 데뷔]][[분류:스프링필드(일리노이 주) 출신 인물]][[분류:루이빌 대학교 출신]][[분류:내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