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소행성]][[분류:2020년/사건사고]] ||<:><-5><#999999>{{{#ffffff MPC 번호 순 [[소행성체|{{{#ffffff 소행성체(Minor Planet)}}}]] }}}|| ||<:>136794 1997 AS,,19,,||←||<:>'''136795 타츠노킨고 '''||→||<:>136796 1997 BO,,6,,|| ||<:><-2>136795 Tatsunokingo[br](1997 BQ)|| ||<:> '''구분'''||[[아폴로(소행성)|아폴로]] 소행성군[br]([[지구접근천체]])|| ||<:> '''지름'''||0.668 ~ 1.493 km 추정 || ||<:> '''궤도 장반경'''||1.7472088 [[천문단위|AU]] || ||<:>'''[[원일점]]'''||2.5834399 AU|| ||<:>'''[[근일점]]'''||0.9109777 AU|| ||<:> '''궤도 경사각'''||10.9917157°|| ||<:> '''이심률'''||0.478609716 || ||<:> '''[[공전 주기]]'''||843.56 일 (2.31 년)|| ||<:> '''[[자전 주기]]'''||2.1 시간[* 출처 : [[https://www.naic.edu/~pradar/Taylor-R3037-HighPriority-2020.pdf|Arecibo Radar Observations of 14 High-Priority Near-Earth Asteroids in CY2020 and January 2021]]]|| ||<:> '''지구 최대 접근 거리'''||0.035826 AU (5,359,200 km)|| ||<:> '''절대 등급'''||18.15|| ||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파일:1997 BQ's orbit-viewer-snapshot.jpg|width=100%]]}}} || || 1997 BQ의 2020년 5월 21일 UTC 00:00 기준 위치 || == 개요 == [[1997년]] [[1월 16일]] 발견한 S형 소행성으로, 수 년 주기로 지구에 접근하는 천체다. 이름은 일본의 건축가이자 [[한국은행]] 본관 및 [[도쿄역]] 역사의 설계자인 다쓰노 긴고(辰野金吾)에게서 따왔다. == 상세 == S형 소행성의 평균 [[반사율]]인 0.2를 적용해서 평균 지름은 약 713 m로 추정 중이다. [[2020년]] [[5월 22일]] 11시 45분[* 미국 시간 5월 21일 21시 45분]에 지구에 접근했던 [[소행성]]으로, 5월 20일 기준 충돌한다는 설로 실시간 검색어에 이슈가 되었다. 다만 해당 날짜에 지구에 가장 근접하는 것은 맞지만, 지구와 달 사이 거리의 약 16배, 615만 km 지점을 통과할 뿐 충돌 가능성은 없으며, 일부 언론의 설레발일 뿐이다. [[https://www.spacereference.org/asteroid/136795-1997-bq|#]] 이 소행성처럼 140m보다 큰 천체들 중 2020년에 비슷한 거리를 지났거나 지날 예정인 지구접근천체들은 [[2020 BX12|2020 BX,,12,,]], 2002 PZ,,39,,, 1998 OR,,2,,, 2008 TZ,,3,,, 2010 NY,,65,,, 1990 MF, 1999 AP,,10,,, 1988 XB, [[류구]]가 있다. 이 소행성들 중 2020년 [[5월 10일]]에 가장 가까운 거리를 지났던 2008 TZ,,3,,도 지구-달 사이 거리의 7.3배를 지났을 정도로 상당히 떨어져 있었다. [* 다만 수 미터 크기의 소행성까지 포함한다면 2020 JJ가 가장 가까이 접근했었는데, 지표면 위로 7,000 km까지 접근했다.] 다음 1천만 km 이내 접근 시기는 2147년 [[5월 28일]]로, 9,497,614km까지 접근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