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타타자동차|[[파일:타타자동차 로고.jpg|width=150]]]]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타타 스모 골드.png|width=100%]]}}} || || {{{#ffffff '''Sumo'''}}} || '''Tata Sumo[* [[일본]]의 [[스모]] 경기에서 따온 것이라고 알려져 있었으나 실제로는 [[타타자동차|타타]]의 [[상무이사]] 출신이었던 수만트 물가오카르(Sumant Moolgaokar)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라고 한다.]''' [목차] [clearfix] == 개요 == [[인도]]의 자동차 제조사인 [[타타자동차|타타]]에서 제조했던 SUV 차량이다. == 상세 == === 1세대(1994~2004) === || [[파일:1세대 타타 스모.png|width=700]] || || '''1세대 차량''' || [[1994년]]에 처음 출시되었으며, [[인도]] 푸네 지역의 타타 공장에서 생산되었다. 차량은 도시형, 농촌형, 군용으로 출시되었으며 10인승 형태의 차량이었다. 출시 이후 동급 차종 시장에서 성공을 거두었고,[* 사실 경쟁 차량이라 해 봐야 [[지프]]를 기반으로 한 [[마힌드라]]의 차량들만 있었기 때문에 사실상 블루오션과도 같은 상황이었다.] 3년 간 10만대 이상을 판매하는 실적을 올리기도 했다. 일반적으로 판매된 차량은 [[후륜구동]]이 기본이었지만, 군용차 및 관용차 등은 [[4륜구동]] 사양으로 납품되었고, 수출 시장에선 4WD 사양이 2WD 사양과 함께 판매되기도 했다. 독자적으로 설계된 인도산 자동차 중 하나이며, [[토요타 끼장|토요타 쿠아리스]]와 [[마힌드라 커맨더]]와 같은 경쟁차량들이 있었다. 차량은 픽업 트럭용 플랫폼을 사용했으며, [[타타 시에라]], [[타타 에스테이트]]와 같은 바디 온 프레임 방식의 X2 플랫폼을 공유하였다. 이외에도 파트타임 4륜구동 기능, 최대 60km/h까지 제공되는 접지력 시스템, 자체 잠금 방식이 적용된 후면 디퍼렌셜, 수동 잠금 전면 허브가 적용되었다. [[파워트레인]]으로는 [[타타 텔코라인]]에 탑재된 63마력의 1.9L [[푸조]]제 XD88형 디젤 I4 엔진이 적용되었으며, 이와 함께 G76형 5단 [[수동변속기]]가 탑재되었다. 이후 해당 엔진을 기반으로 한 터보 엔진 사양이 수출 시장에서 [[1998년]]부터 판매되기 시작하였다. 해당 엔진은 [[유로규제|유로2]] 기준을 충족했으며, 92마력의 출력을 냈다. [[2001년]]형부터는 '디럭스 터보'라는 이름의 2.0L 디젤 TDi I4 엔진 라인업이 추가되었다. 차량의 전장은 4,450mm, 전폭은 1,756mm, 전고는 1,906mm, 휠베이스는 2,400mm~2,425mm였다. 전면 서스펜션은 이중 스윙 사다리꼴형 토션 바가 적용되었으며, 후면부는 솔즈베리형 후륜 차축이 적용되었는데 안티 롤 바가 적용되었으며 포물선 형태의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이 탑재되었다. 전륜 브레이크는 [[디스크 브레이크|V디스크]], 후면부는 자동 조정식 [[드럼 브레이크]]를 적용하였다. 이후 [[타타 스파시오]]와 [[마힌드라 스콜피오]] 등 많은 회사들에 이러한 형태의 차량들을 개발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1996년]]에 약간의 개선을 거쳤으며, 3세대 차량인 '스모 빅타'가 출시되던 [[2004년]]에 단종되었다. === 2세대: 타타 스모 스파시오 (2000~2011) === || [[파일:타타 스모 스파시오.png|width=700]] || || '''타타 스모 스파시오''' || [[2000년]]에 출시되었으며, [[2004년]]까지는 1세대 차량과, 이후에는 '타타 빅타'와 함께 병행 판매되었다. 1세대 차량에 비해 휠베이스가 늘어난 편이며, 연비 개선을 위해, 변속기, 후륜 차축 및 타이어 등에도 변화가 이루어졌다. 또한, 기존 스모와 다르게 둥근 헤드램프가 적용된 것 역시 차별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인도]]의 시골 지역 한정으로 출시된 사양으로 '스파시오 ST'라는 차량이 있었는데, 해당 차량은 [[4륜구동]] 사양 역시 존재했다. 해당 차량이 출시된 후 스파시오는 저가형 사양을, 일반 스모는 2.0L 엔진을 탑재한 상위 라인업으로 판매되었다. [[파워트레인]]의 변화가 이루어져 65마력의 3.0L 4SP형 디젤 I4 엔진이 탑재되었다.[* 이는 상용차였던 [[타타 407]]과 공유하던 엔진이다.] [[2007년]]에는 '스모 스파시오 골드 플러스' 사양이 출시되었는데, 같은 엔진이 탑재되었지만 출력은 70마력으로 상승했고, 토크 역시 223Nm으로 늘어났다. [[2011년]]에 타타 스모 빅타와 함께 단종되었으며, 후속 포지션은 타타 스모 골드가 담당하였다. === 3세대: 타타 스모 빅타 (2004~2011) === || [[파일:타타 스모.png|width=700]] || || '''타타 스모 빅타 (2004~2011)''' || [[2004년]]에 나온 스모 스파시오의 [[페이스리프트]] 사양으로, 해당 차량과 함께 병행 판매가 이루어졌다. 타코미터, 다기능 계기판, [[파워 스티어링]] 및 윈도우, 키리스 엔트리 등 다양한 기능들이 적용되었다. [[2007년]]에는 상품성 개선 사양인 '스모 빅타 터보 DI' 사양을 추가했는데, 이는 스페어 타이어의 위치가 차량 후면 테일게이트에서 차체 밑부분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그에 따른 실내 및 차체 디자인 등이 스파시오와 비슷하게 수정이 이루어졌다. [[2011년]]에 스모 스파시오와 함께 단종되었다. === 4세대: 타타 스모 골드 (2012~2019) === || [[파일:타타 스모 후면부.png|width=700]] || || '''차량의 후면부 (앰뷸런스 사양)''' || [[2012년]] 2월에 출시된 타타 스모 시리즈의 마지막 라인업이다. 타타 스모 빅타의 [[페이스리프트]] 사양 겸 해당 차량을 대체한 후속 차종이기도 하다. [[2013년]] 10월에 최종적인 연식변경을 거쳤다. [[파워트레인]]은 [[타타자동차|타타]]의 85마력의 출력과 250Nm의 토크를 내는 3.0L 디코르(Dicor) CR4형 [[CRDi]] 방식의 디젤 I4 엔진을 탑재하였다. 또한 기존 3.0L 엔진 역시 그대로 탑재되어 70마력의 출력과 225Nm의 최대 토크를 냈다. 실내의 경우에는, 인조 마감재 외에 새로운 직물, 새로운 공조 장치 및 새로운 계기판 등이 추가되었다. 기계적으로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개선과 충격 흡수장치의 적용으로 승차감을 덜 딱딱하게 만든 것이 특징이었다. 최종 연식변경 사양은 실내 부분에 개선이 다소 이루어졌는데, 새로운 라디오 CD와 MP3 장치, 듀얼 존 A/C, 새로운 차체 색상과 스티커 등이 적용되었다. [[2019년]] 4월에 생산이 중단되면서 후속 차종 없이 완전히 단종되었다. === 파생 라인업 === [[타타 스모 그랜드]] 문서 참고 == 둘러보기 == [include(틀:타타의 차량)] [[분류:타타/생산차량]][[분류:오프로더]][[분류:1994년 출시]][[분류:2019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