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바다의 여신 == ||<#000080>{{{#ffffff '''{{{+2 탈라사 (Thalassa)}}}'''}}}[br]{{{#FFFFFF 바다의 여신}}} || ||<#000080> [[그리스어|{{{#ffffff 그리스어}}}]] ||<(> Θάλασσα || ||<#000080> [[라틴어|{{{#ffffff 라틴어}}}]] ||<(> MARE || ||<#000080> [[라틴 문자|{{{#ffffff 그리스어 라틴문자 표기}}}]] ||<(> Thalassa || 바다를 의인화한 [[프로토게노이]]로, [[그리스어]]로 탈라사 그 자체가 [[바다]]를 의미한다. [[폰토스]]의 여성판이라 할 수 있다. [[지중해]]를 의인화했다 여긴 작가도 있다. [[암피트리테]]나 [[테티스]] 같은 바다의 여신과 동일시되기도 했다. 탈랏사(Θάλασσα, Thalassa), 또는 탈랏타(Θάλαττα, Thalatta)라고 한다. 이름 자체는 [[그리스어]]의 고유어는 아니고, [[그리스어 기층설|그리스 선주민들의 언어]]에서 차용된 것이다. [[그리스인]]의 선조인 [[원시 인도유럽인]]은 멀리 우크라이나의 내륙 평원에서 유목 생활을 하던 기마 유목민이었던 만큼, [[바다]]와 접할 기회는 많지 않았다. 따라서 탈라사와 [[폰토스]], [[오케아노스]]와 [[포세이돈]][* [[미노타우로스]] 설화에서 나오는 하얀 황소 이야기에 [[포세이돈]]이 관련된 것으로 보아서, 포세이돈은 본래 [[미노스 문명]]에서 섬기던 신이 [[그리스 로마 신화|그리스 신화]]에 차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등의 바다의 신들은 원시 그리스인들이 [[그리스]] 선주민들과 접촉하는 과정에서 바다에 대한 이들의 인식을 자기들 신화에 수입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콥트어]]로 ⲑⲁⲗⲁⲥⲥⲁ(thalassa, 탈라사)는 [[호수]]를 뜻한다. === 특징 === 가이우스 율리우스 휴기누스에 따르면 [[아이테르]]와 [[헤메라]]의 딸로 폰토스와의 사이에서 [[물고기]]의 일족을 낳았다. 또 탈라사의 아이는 텔키네스(Telchines, Τελχῖνες) 일족과 남매인 바다 여신 할리아, 혹은 [[헤카톤케이레스]]가 있었다고도 전해진다. [[아프로디테]]는 [[우라노스]]의 생식기와 바다([[폰토스]])와 닿아 생긴 거품에서 태어났다고 하는데, 그 때문에 폰토스의 여성형으로 여겨지는 바다의 여신 탈라사가 아프로디테의 어머니라 묘사되기도 한다. 파우사니아스는 [[코린토스]], 이스트모스의 [[포세이돈]] 신사의 경내에는 탈라사의 상이 있었다고 전한다. 신전실 내에는 동제의 포세이돈 상 2체, [[암피트리테]]의 상과 함께 탈라사의 상이 있다. 또 실내에는 고대 [[아테네]]의 헤이로데이스가 봉납한 제상이 있어 그 중의 하나인 암트리테이와 포세이돈의 상이 서는 전차의 대좌에는, 어린 아프로디테를 껴안는 탈라사의 모습과 레이데스가 부조되어 있다. 또 갤리네와 탈라사의 상도. 태초신 중 바다의 여신이자 [[카오스]], [[가이아]]와 더불어 세상의 1/3을 잉태했다는 점에서 판게아와 더불어 원시 바다를 [[판탈라사]]라고 한다. === 등장 문헌 === * 아이소포스 「우화」(71 & 245) * 「호메로스 찬가」(II데메텔, v. 5) * 「오르페우스 찬가」(XXII 타랏사) * 논노스 「디오뉴소스담」(XII, 43) * 키리키아의 옵피아노스 「어로」(I, 74) == [[탈라사(위성)|해왕성의 위성]]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탈라사(위성))] == [[탈라사(렘넌트 2)|렘넌트 2의 보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탈라사(렘넌트 2))] [[분류:그리스 로마 신화/신]][[분류:바다의 신]][[분류:해왕성의 위성]][[분류:동음이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