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소울 칼리버 시리즈의 여성 캐릭터, rd1=탈림(소울 칼리버))] [include(틀:태풍 명칭)] [목차] [include(틀:기상 현황)] == 개요 == 탈림(Talim)은 [[필리핀]]에서 제출한 [[태풍]]의 이름으로, [[필리핀어]]로 '칼날' 또는 '(무언가의) 날카로운 가장자리'를 의미한다. == 2005년 제13호 태풍 == [include(틀:2005년 태풍)] || [[2005년|{{{#FFF '''2005년'''}}}]] [[태풍|{{{#FFF '''태풍'''}}}]] || || 제12호 [[구촐#s-2]] → '''제13호 탈림''' → 제14호 [[나비(태풍)#s-2|나비]] || |||||| '''{{{+5 {{{#!html 2005년 제13호 태풍 탈림}}}}}}''' || ||<#3594D3> {{{#ffffff 위성사진}}}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3594D3> {{{#ffffff 진로도}}}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3594D3> {{{#ffffff 활동 기간}}} ||||<:> 2005년 8월 27일 9시 ~ 2005년 9월 2일 15시 || ||<#3594D3> {{{#ffffff 영향 지역}}} ||||<:> 괌, 일본 류큐 제도, 대만, 중국 || || {{{#white 태풍 등급}}} ||<-2><:> {{{#000 '''4등급'''}}}[*JTWC] || || {{{#white 10분 등급}}} ||<-2><:> {{{#000 '''매우 강한 태풍'''}}}[*JMA] || ||<#3594D3> {{{#ffffff 태풍 크기}}} ||||<:> '''대형(직경 1070km)''' || ||<#3594D3> {{{#ffffff 최저 기압}}} |||| '''925hPa''' || ||<|2><#3594D3> {{{#ffffff 최대 풍속}}} ||<:>1분 평균 || '''67m/s''' || ||<:>10분 평균 || '''49m/s''' || == 2012년 제5호 태풍 == [include(틀:2012년 태풍)] || [[2012년|{{{#FFF '''2012년'''}}}]] [[태풍|{{{#FFF '''태풍'''}}}]] || || 제4호 [[구촐#s-3]] → '''제5호 탈림''' → 제6호 [[독수리(태풍)#s-2|독수리]] || ||<-3> '''{{{+5 {{{#!html 2012년 제5호 태풍 탈림}}}}}}''' || ||<#3594D3> {{{#ffffff 진로도}}} ||<-2>[[파일:1205track.png|width=100%]] || ||<#3594D3> {{{#ffffff 활동 기간}}} ||<-2> 2012년 6월 17일 15시 ~ 2012년 6월 21일 3시 || || {{{#white 태풍 등급}}} ||<-2><:> {{{#000 '''열대폭풍'''}}}[*JTWC] || || {{{#white 10분 등급}}} ||<-2><:> {{{#000 '''강한 열대폭풍'''}}}[*JMA] || ||<#3594D3> {{{#ffffff 태풍 크기}}} ||<-2> '''중형(직경 800 km)''' || ||<#3594D3> {{{#ffffff 최저 기압}}} ||<-2> '''985 hPa''' || ||<|2><#3594D3> {{{#ffffff 최대 풍속}}} || 1분 평균 || '''26 m/s''' || || 10분 평균 || '''26 m/s''' || === 2012년 제5호 태풍 탈림 진로 경과 === || 발표 시각 || 1분풍속 || 10분풍속 || SSHS 등급 || JMA 등급 || || 6월 18일 3시 || 20kn || 35kn ||<#80ccff> 열대요란 ||<|7><#00faf4> 약 || || 6월 18일 9시 || 30kn || 40kn ||<#5ebaff> 열대저기압 || || 6월 18일 15시 || 45kn || 40kn ||<|10><#00faf4> 열대폭풍 || || 6월 18일 21시 || 45kn || 40kn || || 6월 19일 3시 || 45kn || 40kn || || 6월 19일 9시 || 45kn || 40kn || || 6월 19일 15시 || 45kn || 40kn || || 6월 19일 21시 || 45kn || 50kn ||<|2><#ccffff> 중 || || 6월 20일 3시 || 45kn || 50kn || || 6월 20일 9시 || 45kn || 45kn ||<|3><#00faf4> 약 || || 6월 20일 15시 || 45kn || 40kn || || 6월 20일 21시 || 40kn || 40kn || || 6월 21일 3시 || 30kn || - ||<|2><#5ebaff> 열대저기압 ||<|2><#fff> '''소멸''' || || 6월 21일 9시 || 25kn || - || || 6월 21일 15시 ||<-4><#fff> '''소멸 및 감시 종료''' || == 2017년 제18호 태풍 == [include(틀:2017년 태풍)] || [[2017년|{{{#FFF '''2017년'''}}}]] [[태풍|{{{#FFF '''태풍'''}}}]] || || 제17호 [[구촐#s-4]] → '''제18호 탈림''' → 제19호 [[독수리(태풍)#s-3|독수리]] || ||<-3> '''{{{+5 {{{#!html 2017년 제18호 태풍 탈림}}}}}}''' || ||<#3594D3> {{{#ffffff 위성사진}}} ||<-2>[[파일:1718.jpg|width=100%]] || ||<#3594D3> {{{#ffffff 진로도}}} ||<-2>[[파일:1718track.png|width=100%]] || ||<#3594D3> {{{#ffffff 활동 기간}}} ||<-2> 2017년 9월 9일 21시 ~ 2017년 9월 18일 3시 || ||<#3594D3> {{{#ffffff 영향 지역}}} ||<-2> [[대만]], [[중국]], [[대한민국]], [[일본]], [[러시아]] || || {{{#white 태풍 등급}}} ||<-2><:> {{{#000 '''4등급'''}}}[*JTWC] || || {{{#white 10분 등급}}} ||<-2><:> {{{#000 '''매우 강한 태풍'''}}}[*JMA] || ||<#3594D3> {{{#ffffff 태풍 크기}}} ||<-2> '''대형(직경 1,000 km)''' || ||<#3594D3> {{{#ffffff 최저 기압}}} ||<-2> '''935 hPa''' || ||<|2><#3594D3> {{{#ffffff 최대 풍속}}} || 1분 평균 || '''62 m/s''' || || 10분 평균 || '''49 m/s''' || ||<|2><#3594D3> {{{#ffffff 피해}}} || 사망자 || '''5명''' || || 피해총액 || '''7억 5,000만 달러'''[* 2017 USD] || 북미 카리브해 지역과 [[플로리다]] 지역에 강타했던 [[허리케인]]인 '[[어마]]'와 동급으로 강해질 거라는 예보가 있었으나, 메이저 허리케인 어마의 '''914 hPa, 1분 평균 풍속 80 m/s'''에 한참 못 미친 '''935 hPa, 1분 평균 풍속 62 m/s'''로 최전성기를 맞았으며, [[대한민국]]에는 큰 피해를 주지 않고 소멸되었다. 다만 9월 15일부터 17일까지 제주도와 남해안, 부울경 동해안에 많은 비를 뿌렸고, 일본 열도도 9월 15일부터 영향권에 들었다. 서울에서도 탈림이 지나가는 15일 오후부터 17일 오전까지 구름이 많았다. == 2023년 제4호 태풍 == [include(틀:2023년 태풍)] || [[2023년|{{{#FFF '''2023년'''}}}]] [[태풍|{{{#FFF '''태풍'''}}}]] || || 제3호 [[구촐#s-5]] → '''제4호 탈림''' → --제5호 [[독수리(태풍)#s-4|독수리]]-- || ||<-3> '''{{{+5 {{{#!wiki style="text-shadow: 2px 2px 0px #999; color:#ffffff" 2023년 제4호 태풍 탈림}}}}}}''' || || 위성사진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0717_231124_1.jpg|width=100%]]}}} || || 진로도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탈림티비.png|width=100%]]}}} || || 활동 기간 ||<-2> 2023년 7월 15일 15시 ~ || || 영향 지역 ||<-2>[include(틀:국기, 국명=팔라우)] 전역[br][include(틀:국기, 국명=필리핀)] [[루손 섬]], 중부[br][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중난'''[* '''[[광둥성]]''', '''[[하이난성]]''', [[광시 좡족 자치구]]], [[홍콩]], [[마카오]]|| || 태풍 등급 ||<-2> {{{#000 '''1등급'''}}}[*JTWC] || || 10분 등급 ||<-2> {{{#000 '''강한 열대폭풍'''}}}[*JMA] || || 태풍 크기 ||<-2> '''중형(직경 770km)''' || || 최저 기압 ||<-2> '''970hPa'''[* '''KMA 중심기압 970hPa, 10분 평균 풍속 32m/s'''] || ||<|2> 최대 풍속 ||1분 평균 || '''39m/s'''[* [[https://www.nrlmry.navy.mil/tcdat/tc2023/WP/WP042023/txt/trackfile.txt|JTWC 탈림 세력 경과]]] || ||<:>10분 평균 || '''31m/s''' || === 발생 이전 소멸된 열대요란들 === ====# 99W 열대요란 → TDa #==== 6월 1일 9시, [[PAGASA]]에서는 98W 열대요란과 동시에 PAR[* Philippine Area of Responsibility]구역 내에서 발생할 것으로 전망중인 [[열대요란]]에 대한 [[열대저기압]] 발달 가능성을 MODERATE(보통)로 분석하였다. 동시에 PAGASA에서는 이 요란은 다음 주 후반~그 다음 주 초반에 중국 남부 지방으로 향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하였다. 6월 4일 9시, [[JTWC]]에서 [[남중국해]] 해상에 위치한 요란을 1분 평균 풍속 15kn, 중심기압 1006hPa의 [[열대요란]]으로 분석하여 99W 열대요란으로 지정하였다. 6월 4일 16시 30분, 필리핀 태풍 전문 예보업체 Typhoon2000에서 24시간 이내 99W 열대요란이 열대저기압으로 발달할 가능성을 LOW로 분석하였다. 6월 5일 18시 45분, 홍콩 기상대는 99W 열대요란이 몬순 저기압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고 분석하였다. 6월 6일 16시, 99W 열대요란이 [[중국]] [[하이난 성]]에 상륙하였다. 그러나, 향후 진로를 틀어 [[대만]]을 향해 이동한다는 예측이 존재해 경로를 지켜봐야 할 필요가 있다. 6월 7일 9시, [[JTWC]]는 99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3hPa, 1분 평균 풍속 20kn로 발달하였다고 분석하였다. 한편 [[JMA]]는 99W 열대요란을 단순 요란으로 보고 있으나, 향후 24시간 이내에 1006hPa의 열대요란으로 발달할 것으로 분석하였다. 6월 7일 15시, [[JMA]]는 99W 열대요란을 1006hPa의 열대요란으로 분석하였다. 6월 7일 21시, [[JMA]]는 99W 열대요란을 1004hPa의 열대요란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24시간 뒤까지는 열대요란으로서 세력을 유지하지만 48시간 뒤에는 소멸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6월 8일 3시, [[JMA]]는 99W 열대요란을 1004hPa의 열대저압부로 분석하였다. 6월 8일 9시, [[JMA]]는 99W 열대요란이 중국 [[광시]] 일대에 중심기압 1004hPa의 열대저압부로 상륙하였다고 분석하였다. 동시간 [[JTWC]] 역시 중국 [[광시]] [[팡청강시]] 일대에 상륙하였다고 분석하였다. 6월 8일 21시, [[JMA]]는 99W 열대요란을 1002hPa의 열대저압부로 분석하였다. 6월 9일 10시, [[JTWC]]는 99W 열대요란의 열대저기압 발달 가능성을 LOW로 분석하였다. >GLOBAL MODELS ARE IN AGREEMENT THAT INVEST 99W WILL TRACK SOUTHWARD OR SOUTHEASTWARD OVER THE GULF OF TONKIN AND SLOWLY INTENSIFY OVER THE NEXT 48-72HRS. >---- >전구모델[* GFS, ECMWF, GEM, ICON 등 전세계를 대상으로 모델 예보값을 제시하는 모델들을 의미한다. 우리나라 기상청에서 과거 사용한 UKM 모델과 현재 사용중인 KIM 모델 역시 전구모델이 존재한다.]은 열대요란 99W가 통킹만 남부 또는 남동부 너머로 이동하는 향후 48~72시간 동안 천천히 발달한다는데에 합의점을 가지고 있다. >---- >JTWC 99W 설명문 일부 6월 9일 15시, [[KMA]]는 TDa로서 99W 열대요란에 열대저기압 표기를 시작하였다. 6월 9일 19시, 마카오 기상대는 14일 저녁 쯔음 광둥성 부근에서 99W 열대요란이 [[태풍]]으로 발달할 가능성이 80~90% 가량으로 분석하였다. 6월 9일 21시, [[JTWC]]는 99W 열대요란이 통킹만으로 다시 진출하였다고 분석하였다. [[JMA]] 역시 동시간에 통킹만 해안가에 머물러 있다고 분석하였다. 6월 10일 9시, [[JMA]]는 99W 열대요란을 1000hPa의 열대저압부로 분석하였다. 6월 11일 12시 30분, 홍콩 기상대는 당초 예상과는 다르게 99W가 예상보다 늦게 발달하면서 추가적인 발달이 어려울 것으로 평가하였다. 6월 12일 9시, [[JMA]]는 99W 열대요란이 정체전선과 병합되는 과정 속에서 약화되며 단순 요란으로 약화된 것으로 분석하였다. 6월 13일 15시, [[JTWC]]에서 99W 열대요란의 LOW를 취소하였다. 한편 Typhoon2000에서는 아직 99W를 열대요란으로 표시하고 있다. =====# 진로 경과 #===== || 발표 시각 || 1분풍속 || 10분풍속 || SSHS 등급 || JMA 등급 || ||<#fff><-5> '''열대요란 형성''' || || 6월 4일 9시 || 15kn || -kn ||<|15><#80ccff> LPA ||<|13><#00bfff> 요란 || || 6월 4일 15시 || 15kn || -kn || || 6월 4일 21시 || 15kn || -kn || || 6월 5일 3시 || 15kn || -kn || || 6월 5일 9시 || 15kn || -kn || || 6월 5일 15시 || 15kn || -kn || || 6월 5일 21시 || 15kn || -kn || || 6월 6일 3시 || 15kn || -kn || || 6월 6일 9시 || 15kn || -kn || || 6월 6일 15시 || 15kn || -kn || || 6월 6일 21시 || 15kn || -kn || || 6월 7일 3시 || 15kn || -kn || || 6월 7일 9시 || 20kn || -kn || || 6월 7일 15시 || 20kn || 20kn ||<|2><#80ccff> 열대요란 || || 6월 7일 21시 || 20kn || 20kn || ||<#fff><-5> '''JMA TDa 감시 시작''' || || 6월 8일 3시 || 20kn || 25kn ||<|5><#80ccff> LPA ||<|5><#5ebaff> 열대저기압 || || 6월 8일 9시 || 20kn || 25kn || || 6월 8일 15시 || 20kn || 25kn || || 6월 8일 21시 || 20kn || 25kn || || 6월 9일 3시 || 20kn || 25kn || ||<#fff><-5> '''JTWC 열대요란 감시 시작''' || || 6월 9일 9시 || 20kn || 25kn ||<|14><#80ccff> LPA ||<|12><#5ebaff> 열대저기압 || || 6월 9일 15시 || 20kn || 25kn || || 6월 9일 21시 || 20kn || 25kn || || 6월 10일 3시 || 20kn || 25kn || || 6월 10일 9시 || 20kn || 25kn || || 6월 10일 15시 || 15kn || 25kn || || 6월 10일 21시 || 15kn || 25kn || || 6월 11일 3시 || 15kn || 25kn || || 6월 11일 9시 || 15kn || 25kn || || 6월 11일 15시 || 15kn || 25kn || || 6월 11일 21시 || 15kn || 25kn || || 6월 12일 3시 || 15kn || 25kn || || 6월 12일 9시 || 15kn || -kn ||<|2><#00bfff> 요란 || || 6월 12일 15시 || 15kn || -kn || ====# 90W 열대요란 #==== 6월 6일 9시, [[괌]] 남동쪽 해상에 머무르고 있는 요란을 JTWC에서 90W 열대요란으로 명명하여 감시를 시작하였다. 6월 7일 14시 10분, 필리핀 태풍 예보 업체인 Typhoon2000에서는 90W 열대요란을 Quasi-Stnry[* 거의 정지해 있는 저기압 등을 일컫는 용어.]로 표시하고 있으며, Shallow[* 약한 요란일 경우에만 표기함.]로 표기하며 열대저기압으로의 발달 확률이 '0'에 가깝다고 분석하고 있다. 6월 8일 10시 10분, Typhoon2000에선 열대요란 90W를 'Formerly LPA 90W'로 표시하며 소멸로 판정했다. 6월 9일 15시, 90W 열대요란이 와해되었다. ====# 91W 열대요란 #==== 6월 9일 9시, [[JTWC]]는 북위 19.2도, 동경 147.5도의 북마리아나 제도 먼 해상에 위치한 요란을 중심기압 1008hPa, 1분 평균 풍속 15kn의 열대요란 91W로 지정하였다. 해당 열대요란의 24시간 이내 열대저기압 발달 가능성은 '0'에 수렴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6월 9일 21시, [[JTWC]]는 열대요란 91W가 중심기압 1008hPa, 1분 평균 풍속 20kn로 발달하였다고 분석하였다. 6월 11일 15시, [[JTWC]]가 91W 열대요란이 소멸되었다고 판단하였다. ====# 92W 열대요란 #==== 6월 21일 9시, [[필리핀]] 동쪽 해상에 위치한 요란을 [[JTWC]]가 92W 열대요란으로 지정하였다. 한때 GFS에서는 7월 초에 한국에 길게 체류한다는 예측이 있었는데, 신뢰도가 매우 낮다. 6월 21일 21시 30분, 필리핀 태풍 예보 업체인 Typhoon2000에서는 92W 열대요란을 Quasi-Stnry로 표시하고 있으며, Shallow로 표기하고 있다. 열대저기압으로의 발달 확률은 LOW로 분석하고 있으며, 향후 48시간 동안은 열대저기압으로 발달할 것 같지 않다고 분석하였다. 6월 22일 3시, [[JMA]]에서는 92W [[열대요란]]을 단순 요란으로 보고 있으나, 48시간 후 1008hPa의 [[열대요란]]으로 승격될 것으로 보고 있다. 6월 22일 9시, [[PAGASA]]에서는 TCAD[* Tropical Cyclone Advisory Domain 열대 저기압 주의보 영역]구역 내에서 발생할 것으로 전망중인 [[열대요란]]과 동시에 92W [[열대요란]]에 대한 [[열대저기압]] 발달 가능성을 MODERATE(보통)로 분석하였다. 동시에 PAGASA에서는 이 요란은 다음 주 후반~그 다음 주 초반에 오키나와~규슈 부근 해상으로 향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하였다. 6월 24일 3시, 92W가 소멸 판정을 받았다. 이로써 같은 몬순 기압골 안에 있는 93W가 역할을 대신 할 것으로 보인다. ====# 93W 열대요란 #==== 6월 22일 9시, [[PAGASA]]에서는 92W [[열대요란]]과 동시에 93W 열대요란에 대한 [[열대저기압]] 발달 가능성을 MODERATE(보통)로 분석하였다. 동시에 PAGASA에서는 이 요란은 다음 주 후반~그 다음 주 초반에 오가사와라 제도 부근 해상으로 향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하였다. 6월 23일 3시, 6.7N 142.4E 부근 해상에 위치한 요란을 [[JTWC]]가 93W 열대요란으로 지정하였다. 6월 23일 12시, 필리핀 태풍 전문 예보업체 Typhoon2000에서 24시간 이내 93W 열대요란이 열대저기압으로 발달할 가능성을 LOW로 분석하였다. 6월 24일 9시, [[JMA]]는 93W 열대요란을 단순한 요란으로 보고 있으나 24~48시간 안에 열대요란으로 발달할 것으로 분석하였다. 6월 25일 9시, [[JMA]]는 93W 열대요란을 단순한 요란으로 보고 있으나 24시간 안에 열대요란으로 발달하고 48시간 안에 와해될 것으로 분석하였다. 6월 25일 21시, [[JMA]]는 93W 열대요란을 1008hPa의 열대요란으로 분석하였다. 6월 26일 9시, [[JMA]]는 93W 열대요란이 24시간 안에 와해될 것으로 분석하였다. 6월 26일 15시, [[JMA]]는 93W 열대요란이 와해된 것으로 분석하였다. 6월 30일 3시, [[JTWC]]가 93W 열대요란에 대한 감시를 종료했다. ====# 94W 열대요란 #==== 6월 27일 15시, [[JTWC]]가 94W 열대요란에 대한 감시를 시작했다. 7월 1일 3시, 94W 열대요란이 소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발생 이전 === ====# 95W 열대요란 → 04W TS #==== 7월 9일 3시, [[JTWC]]가 95W 열대요란에 대한 감시를 시작했다. 7월 10일 8시, [[JMA]]가 95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8hPa으로 표시했다. 7월 10일 15시, [[JMA]]가 95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6hPa으로 표기하며 약간 발달한 것으로 분석하였다. 7월 11일, GFS 모델 기준으로는 7월 15일경 태풍으로 발달할 전망이다. 7월 12일 15시, [[JTWC]]가 95W 열대요란의 발달 가능성을 LOW[낮음]로 지정했다. 그리고 [[JMA]]가 95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4hPa으로 표시했으므로 중심기압이 조금 더 하강했다. 7월 13일 15시, [[JMA]]가 95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2hPa으로 표기하며 약간 발달한 것으로 분석하였다. 7월 13일 21시, [[JMA]]가 95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2hPa의 열대저압부로 표시했다. 7월 14일 7시, [[JTWC]]가 95W 열대요란의 발달 가능성을 MEDIUM[보통]으로 격상하였다. 동시에 JTWC에서는 이 열대요란을 몬순 저기압으로 보고 있다.[* 왜인지 Zoom.earth에서는 이 몬순 저기압 주변에 열대요란들이 나타났다 사라지기를 반복하고 있다. 아마 같은 몬순골 내에서 생겼거나, 이 몬순 저기압에 흡수됐을 가능성도 있다.] 7월 14일 9시, [[JMA]]가 95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0hPa, 10분 평균 풍속 15m/s의 열대저압부로 해석하면서 태풍발생예보를 발표하였다. 7월 14일 15시, [[JTWC]]가 95W 열대요란의 발달 가능성을 HIGH[높음]로 격상하며 TCFA를 발령했다. 7월 14일 18시, [[JMA]]가 95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998hPa, 10분 평균 풍속 15m/s의 열대저압부로 해석하면서 중심기압이 조금 하강하였다. 7월 14일 예측으로는 태풍 발달 이후에 7월 19일 9시에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어 다낭 부근에서 소멸될 예정이다. 7월 14일 21시, [[JTWC]]가 95W를 25kt의 열대저기압으로 해석, 04W로 명명하였다. 7월 15일 9시, [[JTWC]]가 04W를 35kt로 해석하며 열대폭풍으로 먼저 승격했다. 그리고 [[JMA]]가 04W를 중심기압 996hPa, 10분 평균 풍속 15m/s의 열대저압부로 해석하면서 중심기압이 조금 하강하였다. === 발생 이후 === ==== 7월 15일 ==== 2023년 '''제4호 태풍 탈림(TALIM)'''은 [[7월 15일]] 15시에 중심기압 994hPa, 10분 평균 풍속 18m/s, 강풍 직경 660km[* 대칭 반경 330km]의 열대폭풍으로 [[중국]] [[홍콩]] 남동쪽 약 550km 부근 해상([[남중국해]])에서 04W TD가 발달하며 발생하였다. [[7월 15일]] 21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90hPa, 10분 평균 풍속 21m/s, 10분 순간풍속 31m/s의 세력으로 발달하였고, 강풍 직경이 660km에서 700km[* 남동쪽 370km, 북서쪽 330km]로 커졌다. ==== 7월 16일 ==== [[7월 16일]] 3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85hPa, 10분 평균 풍속 23m/s, 10분 순간풍속 33m/s의 세력으로 발달하였다. [[7월 16일]] 9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80hPa, 10분 평균 풍속 26m/s, 10분 순간풍속 36m/s의 세력으로 발달하였다. ==== 7월 17일 ==== [[7월 17일]] 3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75hPa, 10분 평균 풍속 28m/s, 10분 순간풍속 41m/s의 세력으로 발달하였고, 강풍 직경이 700km에서 770km[* 남동쪽 440km, 북서쪽 330km]로 조금 더 커졌다. [[7월 17일]] 12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70hPa, 10분 평균 풍속 31m/s, 10분 순간풍속 44m/s의 세력으로 발달하였다. ==== 7월 18일 ==== [[중국]] 레이저우 반도를 관통한 이후 [[7월 18일]] 3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75hPa, 10분 평균 풍속 28m/s, 10분 순간풍속 41m/s의 세력으로 약화되었고, 강풍 직경이 770km에서 660km[* 동쪽 440km, 서쪽 220km]로 작아졌다. === 진로 경과 === || 발표 시각 || 1분풍속 || 10분풍속 || SSHS 등급 || JMA 등급 || ||<#fff><-5> '''JMA 태풍발생예보 시작''' || || 7월 14일 9시 || 20kn || 30kn ||<|2><#80ccff> 열대요란 ||<|2><#5ebaff> 열대저기압 || || 7월 14일 15시 || 25kn || 30kn || ||<#fff><-5> '''JTWC 열대저기압 승격''' || || 7월 14일 21시 || 25kn || 30kn ||<|2><#5ebaff> TD ||<|3><#5ebaff> 열대저기압 || || 7월 15일 3시 || 30kn || 30kn || || 7월 15일 9시 || 35kn || 30kn ||<#00faf4> TS || ||<#fff><-5> '''JMA 태풍 승격''' || || 7월 15일 15시 || 35kn || 35kn ||<|6><#00faf4> TS ||<|3><#00faf4> 열대폭풍 || || 7월 15일 21시 || 40kn || 40kn || || 7월 16일 3시 || 45kn || 45kn || || 7월 16일 9시 || 50kn || 50kn ||<|8><#ccffff> 강한 열대폭풍 || || 7월 16일 15시 || 55kn || 50kn || || 7월 16일 21시 || 60kn || 50kn || || 7월 17일 3시 || 65kn || 55kn ||<|5><#ffffcc> 1등급 || || 7월 17일 9시 || 70kn || 55kn || || 7월 17일 15시 || 75kn || 60kn || || 7월 17일 21시 || 75kn || 60kn || || 7월 18일 3시 || 70kn || 55kn || === 여담 === [[파일:무제193.png]] {{{-2 7월 15일 15시경 촬영된 위성사진. 이 사진엔 오류가 있는데 위쪽의 열대요란이 99W이며, 아래쪽의 열대요란이 98W이다.}}} 본 사진을 보면 탈림과 98W와 99W의 거리가 매우 가까워 수일 내에 [[후지와라 효과]]로 인해 열대요란들을 먹고 세력이 강해지거나 크기가 커질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JMA]]와 [[KMA]], [[JTWC]] 그리고 [[NOAA]]와 GFS까지 그런 예측은 하지 않아 실질적으로 [[후지와라 효과]]는 이미 일어나고 있으나 흡수될 확률은 엄청나게 적다. 7월 15일 예측에 따르면 98W와 99W 모두 태풍으로 발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이 태풍이 [[베트남]] 또는 중국 남부 지방으로 상륙하면서 [[정체전선]]에 수증기를 공급하고 이 수증기는 정체전선을 더욱 활성화시켜 [[2023년 여름 한반도 폭우 사태|수자원 과잉]]을 더 심화시킬 수 있기에 상당히 우려스러운 상황이다. [[분류:2005년 태풍]][[분류:2012년 태풍]][[분류:2017년 태풍]][[분류:2023년 태풍]][[분류:슈퍼 태풍]][[분류:나무위키 태풍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