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요 == 산-염기 화학반응 에서 [[브뢴스테드-로리 산염기]](간단히 브뢴스테드 이론)이 화학양론을 따를때 [[수소]](H)의 [[수소 이온]](H^^-^^)의 이동을 기준으로 양성자(H^^+^^)의 상태를 (탈)양성자화(deprotonated)로 다루어 볼수있다. == 공액 쌍 == 공액산(conjugate acid)과 공액염기(conjugate base) 관계에서 [[카테콜]](catechol)과 카테콜레이트(catecholate)는 탈양성자화와 관련해 공액 쌍(conjugate pairs)의 예를 보여준다. == 알코올 == [[알코올]]을 환원시키기 위해 단순히 [[하이드라이드 (물리화학)|하이드라이드]](hydride)를 포함한 시약을 가해 주면 단순히 알코올이 탈양성자화되고 환원은 일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바톤-맥콤비 탄산소화(Barton-Mccombie deoxygenation)를 통해 해당 반응은 알코올을 환원시킨 것과 같은 구조의 생성물을 얻기 위해 사용될수있다.[* 알코올을 카보닐 화합물로 산화시킨 후 Mozingo reduction이나 Wolff-Kishner reduction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기는 하다.] 해당 반응에서는 알코올을 먼저 [[크산테이트]](xanthate) 화합물로 변환시킨 후 AIBN 등의 라디칼 개시제 존재 하에 라디칼 메커니즘을 거쳐 환원이 일어난다. [[파일:bm_rxn.png|width=600px]] 위 그림의 조건 대신 ClC(S)OR'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 관련문서 == *[[루이스 산염기]] * [[중성자]] *[[수소 원자 모형]] [[분류:물리학]][[분류:화학]][[분류:생화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