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탈출: 프로젝트 사일런스}}}''' (2024)[br]PROJECT SILENC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탈출 포스터 3.jpg|width=100%]]}}} || || '''장르''' ||[[재난물|재난]], [[액션]], [[첩보물|첩보]], [[스릴러]], [[호러물|호러]], [[모험물|어드벤처]] || || '''감독''' ||[[김태곤(영화감독)|김태곤]] || || '''각본''' ||김태곤, [[김용화]], [[박주석]] || || '''제작''' ||김용화 || || '''촬영''' ||[[홍경표]] || || '''미술''' ||한아름[* [[1987(영화)|1987]]의 미술 감독.] || || '''편집''' ||허선미, 이건문 || || '''음향''' ||이민수 || || '''음악''' ||심현정 || || '''무술''' ||이건문 || || '''시각효과''' || || || '''출연''' ||[[이선균]], [[주지훈]], [[김희원(배우)|김희원]] 外 || || '''제작사''' ||[[블라드스튜디오]], CJ ENM 스튜디오스 || || '''배급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CJ ENM MOVIE]] || || '''스트리밍''' || || || '''촬영 기간''' ||[[2020년]] [[10월 8일]] ~ [[2021년]] [[6월 11일]] || || '''개봉일''' ||[[파일:칸 영화제 아이콘.svg|width=20]] [[2023년]] [[5월 21일]] [br]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4년]] [[7월 12일]] || || '''화면비''' || || || '''상영 타입''' ||[[2차원|2D]] | [[4DX]] || || '''상영 시간''' ||101분 (1시간 41분) || || '''제작비''' ||'''200억 원''' [[https://naver.me/xWBRGmXb|#]] || || '''손익분기점''' || || || '''월드 박스오피스''' ||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명''' || || '''상영 등급''' ||15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
짙은 안개 속 연쇄 추돌 사고가 일어나고, 붕괴 위기의 공항대교에 풀려난 통제불능의 군사용 실험견들로부터 살아남기 위해 극한의 사투를 벌이는 사람들의 이야기 || [[2024년]] [[7월 12일]] 개봉 예정인 [[한국 영화]]. [[제76회 칸 영화제]] 비경쟁 심야 상영 부문 초청작이다. == 포스터 == ||
[[파일:사일런스 티저포스터.jpg|width=100%]]||[[파일:: PROJECT SILENCE .jpg|width=100%]]|| || '''시나리오 표지''' || '''해외 포스터''' || ||<-2> {{{#!wiki style="margin: -16px -11px; letter-spacing: -0.3px" ||[[파일:탈출 포스터 1.jpg|width=100%]]||[[파일:탈출 포스터 2.jpg|width=100%]]|| ||<-2> '''티저 포스터''' ||}}} || ||<-2> {{{#!wiki style="margin: -16px -11px; letter-spacing: -0.3px" ||[[파일:탈출 포스터 4.jpg|width=100%]]||[[파일:탈출 포스터 3.jpg|width=100%]]|| ||<-2> '''메인 포스터''' ||}}} || == 예고편 == ||
[youtube(eirYdH45mR8)]|| || '''인터내셔널 예고편''' || ||[youtube(rMhRy2mdWic)]|| || '''메인 예고편''' || == 시놉시스 == >붕괴 위기의 공항대교, >생존자 전원이 타겟이 되었다. > >기상 악화로 한치 앞도 구분할 수 없는 공항대교. >연쇄 추돌 사고와 폭발로 붕괴 위기에 놓인 다리 위에 사람들이 고립된다. >이 때 극비리에 이송 중이던 '프로젝트 사일런스'의 군사용 실험견들이 풀려나고 >모든 생존자가 그들의 타겟이 되어 무차별 공격당하는 통제불능의 상황이 벌어진다. > >공항으로 향하던 안보실 행정관(이선균)부터 >사고를 수습하려고 현장을 찾은 렉카 기사(주지훈), >그리고 실험견들을 극비리에 이송 중이던 '프로젝트 사일런스'의 책임연구원(김희원)까지. > >'''사상 최악의 연쇄 재난 발생,''' >'''살아남기 위한 극한의 사투가 시작된다!'''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 등장인물 == === 주요 인물 === * '''차정원''' ([[이선균]] 扮) 재난이 닥친 공항대교에 갇힌 대통령 보좌관. * '''조박''' ([[주지훈]] 扮) 인생의 대박을 노리는 렉카 기사. * '''양 박사''' ([[김희원(배우)|김희원]] 扮) '프로젝트 사일런스' 책임 연구원. === 주변 인물 === * '''병학''' ([[문성근]] 扮) * '''순옥''' ([[예수정]] 扮) * '''미란''' ([[박희본]] 扮) * '''유라''' ([[박주현(배우)|박주현]] 扮) * '''정현백''' ([[김태우(배우)|김태우]] 扮) * '''차경민''' ([[김수안]] 扮) == 줄거리 == == 사운드트랙 == == 평가 ==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 메타크리틱=, 메타크리틱_critic=, 메타크리틱_user=, ## 메타크리틱_highlight=display, ## 로튼토마토=, 로튼토마토_tomato=, 로튼토마토_popcorn=, ##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 IMDb=, IMDb_user=, ## IMDb_highlight=display, ## IMDb_list=, IMDb_rank=, ## IMDb_date=, ## 레터박스=, 레터박스_user=, ## 레터박스_highlight=display, ## 레터박스_list=, 레터박스_rank=, ## 레터박스_date=, ## 알로시네=, 알로시네_presse=, 알로시네_spectateurs=, ## 알로시네_highlight=display, ## MYmoviesit=, MYmoviesit_MYMOVIES=, MYmoviesit_CRITICA=, MYmoviesit_PUBBLICO=, ## MYmoviesit_highlight=display, ## 키노포이스크=, 키노포이스크_user=, ## 키노포이스크_highlight=display, ## 야후재팬영화=, 야후재팬영화_user=, ## 야후재팬영화_highlight=display, ## Filmarks=, Filmarks_user=, ## Filmarks_highlight=display, ## 도우반=, 도우반_user=, ## 도우반_highlight=display, ## 왓챠=, 왓챠_user=, ## 왓챠_highlight=display, ## 키노라이츠=, 키노라이츠_light=, 키노라이츠_star=, ## 키노라이츠_highlight=display, ## 네이버영화=, 네이버영화_audience=, ## 네이버영화_highlight=display, ## CGV=, CGV_egg=, ## CGV_highlight=display, ## 롯데시네마=, 롯데시네마_user=, ## 롯데시네마_highlight=display, ## 메가박스=, 메가박스_user=, ## 메가박스_highlight=display, ## MRQE=, MRQE_user=, ## MRQE_highlight=display, ## 시네마스코어=, ## 시네마스코어_highlight=display, ## TMDB=, TMDB_user=, ## TMDB_highlight=display, ## 무비파일럿=, 무비파일럿_user=, ## 무비파일럿_highlight=display, ## RogerEbertcom=, RogerEbertcom_user=, ## RogerEbertcom_highlight=display, ## MyDramaList=, MyDramaList_user=, ## MyDramaList_highlight=display, ## 라프텔=, 라프텔_user=, ## 라프텔_highlight=display, ## MyAnimeList=, MyAnimeList_분야=, MyAnimeList_user=, ## MyAnimeList_highlight=display, ## GooglePlay무비=, GooglePlay무비_user=, ## GooglePlay무비_highlight=display, ## 네이버시리즈온=, 네이버시리즈온_user=, 네이버시리즈온_heart=, ## 네이버시리즈온_highlight=display, ## JustWatch=, JustWatch_user=, ## JustWatch_highlight=display, ## 맥스무비=, 맥스무비_user=, ## 맥스무비_highlight=display, ## 씨네21=, 씨네21_expert=, 씨네21_user=, ## 씨네21_highlight=display, ## 갤럭시시네마=, 갤럭시시네마_user=, ## 갤럭시시네마_highlight=display, ## 엠파이어=, 엠파이어_user=, ## 엠파이어_highlight=display, ## 인디와이어=, 인디와이어_user=, ## 인디와이어_highlight=display, )] 칸 영화제 심야 상영회 직후 첫 평가가 나왔는데 호불호에도 못 미치게 매우 좋지 않다. 이러한 초기 반응은 2021년에 촬영을 마치고 크랭크업했음에도 왜 2년간이나 개봉이 미뤄지면서 [[창고 영화]]로 남았었는지 설명이 되는 부분이기도 했다. 편집 등의 후반 작업 기간을 감안해도 코로나 사태가 끝난 이후에도 개봉이 1년 이상 미뤄진 것은 엄연한 사실이다. * [[https://www.ytn.co.kr/_ln/0106_202305231000017569|'탈출: 프로젝트 사일런스', 100분도 길게 느껴지는 신파·충격적 CG]] * [[https://imnews.imbc.com/news/2023/enter/article/6487390_36161.html|'탈출' 뻔하디 펀(fun)한 어린이용 재난영화★★☆]] * [[https://www.screendaily.com/reviews/project-silence-cannes-review/5182492.article|‘Project Silence’: Cannes Review]] * [[https://variety.com/2023/film/reviews/project-silence-review-1235621647/|‘Project Silence’ Review: Survivors Are Dogged by Disaster in a Silly but Serviceable Korean Action Flick]] 국내외 기자들의 리뷰 모두 지나치게 편의주의적인 전개와 난잡한 클리셰, 다른 영화를 베낀 듯 기시감이 드는 장면들, 질척하고 늘어지는 신파, 독창성과 서사의 부재 등을 공통적으로 지적하며 영화가 전체적으로 유치하고 조잡하다는 악평이 우세했다. 헐리우드의 유력 매체인 [[버라이어티]]는 "Silly(어리석은)"라는 표현으로 혹평을 남겼을 정도였다. 이는 관객 반응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배우들의 연기와 액션 연출이 그나마 괜찮았다고 호평을 받았으며, 덱스터 스튜디오가 시각효과에 참여한 작품답게 CG의 완성도는 대체로 준수했지만 일부 장면들 속 군견들의 CG 모델링이 눈에 띄게 어색했다는 비판도 일부 존재했다. == 흥행 == === 대한민국 === ||<-7>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 개봉 전 || || -명 || -명 || 미집계 || -원 || -원 || ||<|7> 1주차 ||2024-07-17. 1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24-07-18. 2일차(목) || -명 || -위 || -원 || ||2024-07-19. 3일차(금) || -명 || -위 || -원 || ||2024-07-20. 4일차(토) || -명 || -위 || -원 || ||2024-07-21. 5일차(일) || -명 || -위 || -원 || ||2024-07-22. 6일차(월) || -명 || -위 || -원 || ||2024-07-23. 7일차(화) || -명 || -위 || -원 || ||<|7> 2주차 ||2024-07-24. 8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24-07-25. 9일차(목) || -명 || -위 || -원 || ||2024-07-26. 10일차(금) || -명 || -위 || -원 || ||2024-07-27. 11일차(토) || -명 || -위 || -원 || ||2024-07-28. 12일차(일) || -명 || -위 || -원 || ||2024-07-29. 13일차(월) || -명 || -위 || -원 || ||2024-07-30. 14일차(화) || -명 || -위 || -원 || ||<|7> 3주차 ||2024-07-31. 15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24-08-01. 16일차(목) || -명 || -위 || -원 || ||2024-08-02. 17일차(금) || -명 || -위 || -원 || ||2024-08-03. 18일차(토) || -명 || -위 || -원 || ||2024-08-04. 19일차(일) || -명 || -위 || -원 || ||2024-08-05. 20일차(월) || -명 || -위 || -원 || ||2024-08-06. 21일차(화) || -명 || -위 || -원 || ||<|7> 4주차 ||2024-08-07. 22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24-08-08. 23일차(목) || -명 || -위 || -원 || ||2024-08-09. 24일차(금) || -명 || -위 || -원 || ||2024-08-10. 25일차(토) || -명 || -위 || -원 || ||2024-08-11. 26일차(일) || -명 || -위 || -원 || ||2024-08-12. 27일차(월) || -명 || -위 || -원 || ||2024-08-13. 28일차(화) || -명 || -위 || -원 || || '''합계''' ||<-6> '''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 ~ 2024/07/17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기타 == * 2023년 10월 19일 [[이선균]]의 [[이선균 마약 투약 의혹|마약 투약 의혹]]이 알려져 개봉에 차질이 생겼고, 2024년 개봉으로 일정을 미룬 뒤 경찰 수사 상황을 지켜보려는 입장을 취했으나 10월 23일 이선균이 [[피의자]] 신분으로 전환되자 패닉 상태에 빠진 것으로 전해졌다. [[https://v.daum.net/v/20231023092904712|#1]] [[https://v.daum.net/v/20231023151817062|#2]]거기다 2023년 12월 27일, 이선균이 극단적 선택으로 인해 사망하며 [[행복의 나라(영화)|행복의 나라]]와 함께 사실상 그의 유작이 되었다. * 주연 [[주지훈]]과 조연 [[김수안]]은 《[[신과함께-죄와 벌]]》에서 같이 출연한 적 있다.[* 신과함께-죄와 벌에서도 주지훈이 주연, 김수안이 조연이었다. 또한 해당 작품의 감독이었던 김용화는 본작에 제작자 겸 공동 각본가로 참여했다.] * 주지훈이 본인의 모든 헤어와 패션 스타일링을 했다. 장발에 탈색한 헤어스타일 등과 후줄근한 옷차림 등이 인상적인데, 어릴 때 무서운 형을 봤던 때 떠올렸던 이미지를 참고했다고. [[https://www.news1.kr/articles/?5056292|인터뷰 기사]] * 초기 제목은 '사일런스'였으나, 제작 과정에서 '''탈출: PROJECT SILENCE(프로젝트 사일런스)'''로 변경되었다. * 초기에는 [[괴수물|괴수 영화]]라고 알려졌다. * 본작에 조연으로 출연한 [[박주현(배우)|박주현]]은 [[이선균 사망 사건]] 이후 이선균과 함께 찍은 셀카를 올려 그를 추모했다. [[https://www.news1.kr/articles/?5274680|#]] * 포스터에 적힌 문구 중 '''타겟'''의 바른 외래어 표기법은 '''[[타깃]]'''이다. [[분류:2024년 영화]][[분류:한국 재난 영화]][[분류:한국의 액션 영화]][[분류:한국의 첩보 영화]][[분류:한국의 스릴러 영화]][[분류:한국 공포 영화]][[분류:한국의 모험 영화]][[분류:공개 예정 영화]][[분류:창고 영화]][[분류:김용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