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NGC|{{{#FFFFFF '''NGC 천체'''}}}]] || ||<:> [[NGC 7007|{{{+1 '''NGC 7007'''}}}]][br]인디언자리의 렌즈형은하 ||<:> {{{+1 ←}}} ||<:> {{{#000000 {{{+1 ''' NGC 7008'''}}}[br]백조자리의 행성상성운 }}} ||<:> {{{+1 →}}} ||<:> [[NGC 7009|{{{+1 '''NGC 7009'''}}}]][br]물병자리의 행성상성운|| ||||<-3><:> {{{#FFFFFF '''NGC 7005'''[br]{{{+3 '''태아 성운'''}}}[br]Fetus Nebula}}} || ||<-3> [[파일:ngc7008-small.jpg|width=100%]] || ||<-3> {{{#FFFFFF '''관측 정보'''}}} || ||<|3> {{{#FFFFFF '''위치'''}}} || {{{#FFFFFF 적경}}} || 21h 00m 32.503s || || {{{#FFFFFF 적위}}} || +54° 32′ 36.18″ || || {{{#FFFFFF 별자리}}} || [[백조자리|{{{#3366aa 백조자리}}}]]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FFFFFF '''형태'''}}} || [[행성상성운|{{{#3366aa 행성상성운}}}]] || ||<-2> {{{#FFFFFF '''거리'''}}} || 2.800 [[광년|{{{#3366aa 광년}}}]][br]869 [[파섹|{{{#3366aa 파섹}}}]][* 1,400 광년 떨어져 있다는 연구도 있다.] || ||<-3> {{{#FFFFFF '''광학적 성질'''}}} || ||<-2> [[겉보기 등급|{{{#FFFFFF '''겉보기 등급'''}}}]] || 12.0 || ||<-3> {{{#FFFFFF '''규모'''}}} || ||<-2> {{{#FFFFFF '''겉보기 크기'''}}} || 1.4'x1.1' || ||<-2> {{{#FFFFFF '''지름'''}}} || 약 0.5 광년 || ||<-3> {{{#FFFFFF '''명칭'''}}} || ||<-3> 태아 성운[* 한국어로 태아 성운이라는 명칭을 검색하면 대부분 [[영혼 성운]](Sh2-199)으로 나와 영혼 성운을 태아성운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영어권에서는 태아성운이라는 명칭은 NGC 7008에만 사용되며 영혼 성운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NGC|{{{#3366aa NGC}}}]] 7008, PK 93+5.2 || [목차] == 개요 == {{{+1 태아성운/NGC 7008}}} NGC 7008은 [[백조자리]] 방향으로 약 2,800 광년 떨어진 [[행성상성운]]이다. == 상세 == 1787년에 [[윌리엄 허셜]]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모습이 마치 작은 [[태아]]같이 생겼기 때문에 태아 성운이라는 별칭이 붙었다. 행성상성운의 구조는 2개의 회전하는 타원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두 타원체는 내부의 성질이 달라 같은 폭발에서 생겨난 것이 아니라 각기 다른 원인으로 생성되었다고 하며 그 까닭은 쌍성이었던 두 별이 거의 동시에 폭발을 일으켰거나 헬륨 섬광[* [[프로키온]] 문서에 나와 있듯 [[백색왜성]] 상태에서 축퇴물질이 점점 늘어나거나 [[적색거성]]에서 [[백색왜성]]으로 변할 때 일시적으로 축퇴물질이 압력을 받아 최대 1억 켈빈까지 온도가 치솟아 헬륨 핵융합이 가능해지는 현상을 말한다.]이 일어나 1차적으로 물질을 내뿜은 뒤 바로 [[백색왜성]]화 되면서 2차적으로 물질을 내뿜었기 때문이라는 등 여러가지 가설이 있으나 확실하지는 않다고 한다.[* 이외에도 [[소행성체]]와 작은 [[행성]]들로 구성된 행성 물질과 항성에서 터져나온 가스와 먼지들이 서로 충돌하며 활모양의 충격파를 생성해 2개의 타원체가 만들어졌으며 후술할 비대칭적인 특징도 형성되었다는 가설과 중심별에 거의 붙은채로 공전하던 [[갈색왜성]]이 중심별이 폭발할 때 갈색왜성이 파괴되면서 [[제트]]가 발생해 2개의 타원체로 구성되게 되었다는 가설도 있다.] 또한 이중 구조와는 별개로 두 타원체 구조가 일반적인 [[행성상성운]]과는 달리 비대칭적이며 이는 성운 형성 과정에서 성간매질과 항성에서 배출된 가스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비대칭적으로 바뀌었을 것이라고 한다.[* 마침 [[백조자리]]도 은하수 부근인데다 2,800 광년이면 [[북아메리카 성운]]등이 위치한 거대한 별 형성 지역과 위치가 거의 일치해 이런 가설이 나왔다고 한다. ] 성운 중심에는 13.88등급의 [[백색왜성]]이 존재한다. == 관련 문서 == * [[NGC 목록]] * [[행성상성운]] * [[백조자리]] [[분류:성운]][[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분류:NG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