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역법]] [[고려시대]]의 1052년(문종6)에 왕명을 받들어 김정(金正)이 펴낸 역서이다. 오는 해의 재앙을 막는 데 썼다고 한다. 당시 고려는 [[당나라]]의 선명력을 쓰고 있었다. 하지만 고려가 건국된지 100년이 지나자 오차가 발생학는 일이 많아졌자.. 대표적으로 1030년([[현종]] 21)의 일식(日蝕)의 계산이 틀린것. 그래서 우리만의 독자적인 역법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원래[[ 제후국]]은 역법제작을 할 수 없었으나 고려는 [[내왕내제]] 국가였기 때문에 가능했다. 역서의 이름을 보면 다소 미신적인 내용이 들어가 있는것으로 추측되며 우리의 고유의 독자적인 것이다. 하지만 고려는 계속 선명력을 사용하여서 이 역서가 실재로 사용되었는지는 확인할 수 없다. [[십정력]](十精曆), 칠요력(七曜曆), [[견행력]](見行曆), [[둔갑력]](遁甲曆)도 같은 시기에 편찬되었다. 아쉽지만 체계는 전하지지 않으며 전해지는 최초의 역법은 세종대왕 시절에 제작된 [[칠정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