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연호]] {{{+5 太和}}} [[중국]]의 연호. [목차] == [[삼국시대(중국)|삼국시대]] [[위(삼국시대)|조위]] 제2대 황제 [[조예]]가 사용한 연호 == ||<-5><:><#00008B>'''[[위(삼국시대)|{{{#fff 조위}}}]]{{{#fff 의}}} [[연호|{{{#fff 연호}}}]]'''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조비|문제]][br][[황초]](黃初)[br]{{{-2 ([[220년]] ~ [[226년]])}}}}}} ||<:> {{{+1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fff [[조예|{{{#fff 명제}}}]][br]태화(太和)[br]{{{-2 ([[227년|{{{#fff 227년}}}]] ~ [[233년|{{{#fff 233년}}}]])}}}}}}'''}}} ||<:> {{{+1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조예|명제]][br][[청룡(연호)|청룡]](靑龍)[br]{{{-2 ([[233년]] ~ [[237년]])}}}}}} || [[삼국시대(중국)|삼국시대]] [[위(삼국시대)|조위]]의 제2대 황제인 [[조예]]가 226년에 즉위한 뒤 사용한 첫 번째 연호이다. 233년까지 사용되었다. 위나라에서는 [[촉한]]의 지속적인 북벌과 오나라의 북벌을 막은 시기이다. === 주요 사건 === * 태화 원년([[227년]]): 태화 개원, 국영의 난, [[맹달]]의 난 * 태화 2년([[228년]]): [[가정 전투|제갈량의 1차 북벌]], [[석정 전투]], [[제갈량의 북벌#s-3.2|제갈량의 2차 북벌]] * 태화 3년([[229년]]): [[제갈량의 북벌#s-3.3|제갈량의 3차 북벌]] * 태화 5년([[231년]]): [[노성 전투|제갈량의 4차 북벌]] * 태화 7년([[233년]]): [[청룡(연호)|청룡]] 개원 == [[오호십육국시대]] [[후조]] 초대 황제 [[석륵]]이 사용한 연호 == ||<-5><:><#71a6d2>'''[[후조|{{{#fff 후조}}}]]{{{#fff 의}}} [[연호|{{{#fff 연호}}}]]''' || ||<:> - ||<:> {{{+1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fff [[석륵|{{{#fff 명제}}}]][br]태화(太和)[br]{{{-2 ([[328년|{{{#fff 328년}}}]] ~ [[330년|{{{#fff 330년}}}]])}}}}}}'''}}} ||<:> {{{+1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석륵|명제]][br]건평(建平)[br]{{{-2 ([[330년]] ~ [[333년]])}}}}}} || [[오호십육국시대]] [[후조]]의 초대 황제인 [[석륵]]이 사용한 첫 번째 연호이다. 328년부터 330년까지 사용되었다. 석륵은 319년부터 330년까지 왕을 칭했고 328년까지는 연호를 사용하지 않았다가 328년에 태화 연호를 사용하였다. == [[오호십육국시대]] [[성한]]의 황제 [[이세(성한)|이세]]가 사용한 연호 == ||<-5><:><#cd7f32>'''[[성한|{{{#fff 성한}}}]]{{{#fff 의}}} [[연호|{{{#fff 연호}}}]]'''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소문제[br]한흥(漢興)[br]{{{-2 ([[338년]] ~ [[343년]])}}}}}} ||<:> {{{+1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fff [[이세(성한)|{{{#fff 후주}}}]][br]태화(太和)[br]{{{-2 ([[344년|{{{#fff 344년}}}]] ~ [[346년|{{{#fff 346년}}}]])}}}}}}'''}}} ||<:> {{{+1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이세(성한)|후주]][br]건평(建平)[br]{{{-2 ([[347년]] ~ [[349년]])}}}}}} || [[성한]]의 황제인 [[이세(성한)|이세]]가 황제로 즉위한 뒤 사용한 연호로 344년부터 346년까지 사용되었다. == [[동진]] 제11대 황제 [[폐제(동진)|사마혁]]이 사용한 연호 == ||<-5><:><#800080>'''[[동진|{{{#fff 동진}}}]]{{{#fff 의}}} [[연호|{{{#fff 연호}}}]]'''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애제(동진)|애제]][br]흥령(興寧)[br]{{{-2 ([[363년]] ~ [[365년]])}}}}}} ||<:> {{{+1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fff [[폐제(동진)|{{{#fff 폐제}}}]][br]태화(太和)[br]{{{-2 ([[366년|{{{#fff 366년}}}]] ~ [[371년|{{{#fff 371년}}}]])}}}}}}'''}}} ||<:> {{{+1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간문제(동진)|간문제]][br][[함안(연호)|함안]](咸安)[br]{{{-2 ([[371년]] ~ [[372년]])}}}}}} || [[동진]]의 제11대 황제인 사마혁이 즉위한 뒤인 366년에 사용한 연호로 371년까지 사용되었다. 폐위된 이후에는 사마욱이 즉위하여 함안(咸安)이라는 연호를 사용하였다. == [[북위]] 제7대 황제 [[효문제]]가 사용한 연호 == ||<-5><:><#dc143c>'''[[북위|{{{#fff 북위}}}]]{{{#fff 의}}} [[연호|{{{#fff 연호}}}]]'''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효문제]][br][[승명]](承明)[br]{{{-2 ([[476년]])}}}}}} ||<:> {{{+1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fff [[효문제|{{{#fff 효문제}}}]][br]태화(太和)[br]{{{-2 ([[477년|{{{#fff 477년}}}]] ~ [[499년|{{{#fff 499년}}}]])}}}}}}'''}}} ||<:> {{{+1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선무제]][br]경명(景明)[br]{{{-2 ([[500년]] ~ [[504년]])}}}}}} || [[북위]]의 제7대 황제인 [[효문제]]가 재위 기간 중에 사용한 세 번째 연호로 477년부터 499년까지 사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