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순우리말 == === 그릇의 금 === 질그릇이나 놋그릇의 깨진 금. > “이것 좀 보게. 먼저 것보다도 때깔이 맑고 아름답지 않은가? 이 기막힌 __식은태__ 좀 보게나.” [br] > “그러게. 갈수록 솜씨가 느는구먼. 이건 임금님께 진상을 해도 손색이 없겠네. 그것참, 볼수록 균열이 아름답네.” [br] > 아우는 무슨 말인지 도무지 종잡을 수 없었습니다. 아우는 형의 눈치부터 살폈습니다. [br] > 형은 당초문 항아리를 넋 나간 듯이 바라보고 있었습니다. 항아리에 눈길을 주던 아우도 깜짝 놀랐습니다. 항아리에 잔뿌리처럼 섬세한 __식은태__가 생겨 소박하면서도 은은한 아름다움이 돋보였기 때문입니다.[br] > 아우는 자기 눈을 의심했습니다. 헛것을 보지 않았나 넓적다리를 꼬집어보았습니다. 형을 골탕 먹이려다가 오히려 형을 도와준 꼴이 되고 말았습니다. 더구나 이번 가마에서 나온 도자기들은 흠잡을 데 없어 좋은 값에 팔려 나갔습니다.[br] > 아우는 무릎을 쳤습니다. 그 기막히게 섬세한 __식은태__의 비법을 자기가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초등학교 5-6학년 읽기 책에서는 '식은태'라는 단어가 나오기도 했다. '유약을 바른 표면에 가느다란 금이 가 있는 상태.'라는 뜻의 빙렬(氷裂)을 순화한 단어이다. 사실 깨진 금이라는 의미에서의 '태' 자체가 그다지 쓰이지 않아서, '식은태'라는 단어도 초등학생에게는 꽤 생소했을 듯하다. [[https://www.google.co.kr/search?q=%EC%8B%9D%EC%9D%80%ED%83%9C&oq=%EC%8B%9D%EC%9D%80%ED%83%9C&aqs=chrome..69i57.1530j0j4&sourceid=chrome&ie=UTF-8#newwindow=1&q=%EC%B4%88%EB%93%B1%ED%95%99%EA%B5%90+%EC%9D%BD%EA%B8%B0+%22%EC%8B%9D%EC%9D%80%ED%83%9C%22|초등학교 읽기 "식은태" google 검색 결과]] 그리고 시험 문제에는 해당 단어의 뜻을 묻는 문제가 많이 출제된다. === 농업 용어 === 1. 논밭의 새를 쫓는데 쓰는 기구. 짚이나 삼 또는 실을 꼬아 만들며, 머리는 굵고 꼬리는 가늘다. 2. 볏단이나 보릿단을 개상에 메어쳐 이삭을 떠는 일. === 방언 === 1. '일을 마무리하여 끝맺음'의 평안도 방언. 2. '판'의 평안북도 방언. == 1자 한자어 == === 태(態) === 1. 맵시. 2. 겉에 나타나는 모양새. 3. 일부러 꾸며 드러내려는 태도. === [[태(언어학)|태]](態), 언어학 voice의 번역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태(언어학))] === 태(胎), 주련 === 병풍 등을 배접할 때 끝에 모자라는 종이를 채워서 넣는 종이. '태지'(胎紙)라고도 한다. === 태(胎), 신체 기관 === 태아를 싸고 있는 조직인 [[태반]]과 [[탯줄]]을 말한다. === 태(胎), 불교 용어 === 밀교의 이대 법문의 하나. === 태(泰), [[태국]]의 줄임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태국)] [[한태관계]], 주태 한국대사관 등에서 쓰인다. [[태국]] 문서에서 보듯 이 '태'는 'Thai'(ไทย)의 [[음역(번역)|음역]] 글자이다. '[[자유]]'를 뜻한다고 한다. 글자는 秦(진), 奏(주)과 모양이 비슷하다. == 한자 == [include(틀:주요 한국 한자음/107~308)] [[교육용 한자]]로 태라 읽는 글자는 아래 5자이다. * [[太]] (클 태) * [[泰]] (클 태) * [[怠]] (게으름 태) * [[態]] (모양 태): 능할 능(能)에 마음 심(心)이 결합하여 형성된 한자. '능히 할 수 있는 마음'이라는 식으로 '모양'이라는 뜻이 된 회의자이다. 아래 부분을 연화발(灬)로 바꾸면 곰 웅(熊)이 된다. 통자로 太를 써서 态라고 쓰기도 한다. * [[殆]] (위태할 태) 그밖에는 다음의 글자가 있다. * [[台]] (별 태): 태정 [台鼎] 예전에, 영의정(領議政), 좌의정(左議政), 우의정(右議政)의 세 정승을 통틀어 이르던 말. * [[汰]] (사치할 태): [[국악]]에서 쓰이는 음계 중 하나. 단소에서는 모든 구멍을 다 열고 내는 음이다. 자세한 것은 [[국악/음률]] 항목 참고. * [[兌]] (기쁠 태): '바꿀 태'라고도 한다. 민속 용어로 태방(兌方)은 [[서쪽]]을 의미한다. * [[胎]] (아이밸 태): 육달월(月)에 태(台)가 붙어 만들어진 형성자. 台는 음을 표시하기도 하지만 시작한다(始)는 의미도 고려해서 붙은 것이라고 한다. 이체자로 孡나 囼를 쓰기도 한다. 태반이나 탯줄과 같이 태아를 둘러싸고 있는 여러 조직을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로 쓰인다. == 인명 == === [[태(성씨)|태씨]](太), 성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태(성씨))] == 고유명사 == === [[태(영화)|태]](胎), [[1986년]] [[대한민국]]의 영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태(영화))] [[분류:동음이의어]][[분류:문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