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a6b1552cda0d263b1a7b276d41338ca0f0105b06521d636690d7a9b5c2115adc.jpg]] [[파일:New_Tangerine-Dream.jpg]] 현재의 라인업, 왼쪽부터 토르스텐 콰에슈닝 (Thorsten Quaeschning), 야마네 호시코 (Hoshiko Yamane; 山根星子), 파울 프릭 (Paul Frick). [[독일]]의 [[일렉트로니카]] 그룹. 크라우트록의 거장이자 [[크라프트베르크]], [[장 미셸 자르]]등과 함께 [[일렉트로니카]]의 탄생에 결정적 역할을 한 아티스트다. [목차] == 소개 == 1970년 [[살바도르 달리]] 등의 영향을 받은 미술학도 에드가 프로에제[* Froese에서 oe가 ö의 [[이중음자]]라면 '외'로 표기하는 것이 맞겠지만, 현지인 발음은 '프로이저'처럼 들린다.[[http://ko.forvo.com/word/froese/|#]] 일단 중립 표기를 따른다.]에 의해 결정된 팀이다. 팀명은 [[비틀즈]]의 [[페퍼상사]] 수록곡 [[Lucy in the Sky with Diamonds]]의 가사 'Tangerine Tree'에서 따왔다고 한다. 초기의 아방가르드적 크라우트록을 할 때는 3명의 멤버(에드가 프로에제, 크리스토퍼 프랑케, 페터 바우만)였지만 이후 멤버가 수도 없이 바뀌며 6명 이상의 팀으로 거듭나기도 하였다. 편집일 현재는 원년 멤버는커녕 20세기에 참여했던 멤버들조차 모두 나오고 에드가 프로에제마저 숙환으로 사망하여 [[홍철 없는 홍철팀|탠저린 드림 없는 탠저린 드림]]이 되었다. 이 때문에 에드가의 아들 제롬 프로에제가 해체하여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하기도 하였다. 정규 앨범만도 190장이 넘게(!) 낸 팀이기에 디스코그래피를 정리하는 건 무의미(...)하지만 크게는 7~80년대 전성기의 매우 긴 러닝타임을 가진 아방가르드 시절과 이후 보다 대중적인 음악을 했던 시절로 나뉜다. == 그 외 이야기 == 서울[[문화방송]] 기준으로 [[MBC 표준FM]], [[MBC FM4U]] [[57분 교통정보]] 끝날 때 나오는 경쾌한 음악이 탠저린 드림의 작품이다. 제목은 Optical Race로 동명의 앨범 제목이기도 하다. 에드가 프로에제는 [[Grand Theft Auto V]]의 사운드트랙에 참여했다. 사운드트랙을 듣다 보면나오는 거칠고 규칙적인 전자음과 비트가 기묘하게 나오는 부분이 바로 그의 작품. 영락없는 초기 탠저린 드림의 사운드다. 안타깝게도 지병이었던 폐색전 악화로 2015년 별세. 그 외에도 [[윌리엄 프리드킨]]의 걸작으로 꼽히는 영화 [[소서러]]와 [[마이클 만]]의 1981년작 영화 비정의 거리(the Thief)의 사운드트랙도 맡는 등[* 해당 영화의 사운드트랙 중 해변 장면에 나오는 음악은 대한민국에서 [[대우 맵시|새한 맵시]] 광고에 삽입되기도 했다.] 영화음악 쪽으로도 왕성한 활동을 보였다. 80년대 국내에서도 독수리 특공작전이라는 제목으로 방영된 미드 스트리트 호크(StreetHawk)의 음악을 맡기도 했다. [youtube(FzijFhkdbeA)] [youtube(ozXdx8BJpkI)] [[분류:독일의 록밴드]][[분류:크라우트록]][[분류:다크 앰비언트 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