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Hearts of Iron IV/국가/고유 중점 국가]] [include(틀:상위 문서, top1=Hearts of Iron IV/국가/고유 중점 국가)] [include(틀:Hearts of Iron IV/국가)] [목차] [clearfix] == 개요 == [[Hearts of Iron IV]]에서 터키의 시작 정보와 공략을 다루는 문서이다. '''Battle for the Bosporus DLC를 소유해야 중점이 해금된다.''' >[[튀르키예 독립전쟁|오스만 제국의 잿더미에서 터키 공화국이 태어났습니다. 터키의 독립은 1923년의 전국적인 전역에서 피와 총알로 얻어졌고]], 투쟁은 정당화하였지만 그로 인한 비용은 터키인들에게 계속 큰 부담이 되고 있습니다. > >신앙심이 깊은 보수주의자들은 내륙 지역에서 강경한 조건으로 전국적인 현대화 시도에 저항하며, [[쿠르드]] 민족주의자들은 동부 지역을 아수라장으로 만들고 있습니다. 존경받는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 대통령은 [[2차세계대전|유럽에서 분란]]이 일어나기 전에 국가를 통합하거나 이를 해낼 [[이뇌뉘|적절한 지도자]]에게 횃불을 넘겨야만 합니다... >---- >간략한 역사(1936년) >터키의 아버지인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가 세상을 떠났습니다. 터키는 지금 존경받는 정치가인 [[이스메트 이뇌뉘]]가 이끌고 애도를 표하고 있는 국가입니다. 이뇌뉘는 지도자의 사망으로 인해 분열이 뚜렷해진 나라를 몰려받았습니다. > >국내 상황은 차치하고도, 이뇌뉘는 파괴 면에서 [[1차세계대전|대전쟁]]을 능가할 수 있는 유럽의 전쟁에 직면해 있습니다. 아타튀르크는 종종 자신의 구호인 "집에 평화가 있다면, 세계에도 평화가 온다"라고 선전하였습니다. 이뇌뉘는 이 격동의 시대 동안 평화를 유지할 수 있을까요? >---- >간략한 역사(1939년) == 시작 정보 == ||<-4> '''국기''' || || [[파일:민주-중립 터키.png|width=50%]] || [[파일:공산 터키.png|width=50%]] || [[파일:파시 터키.png|width=50%]] || [[파일:민주-중립 터키.png|width=50%]] || || {{{#dodgerblue '''터키 공화국'''}}} || {{{#orangered '''터키 사회주의 공화국'''}}} || {{{#darkkhaki '''터키 제국'''}}} || {{{#silver '''터키'''}}} || ||<-2> 수도 ||<-2> [[앙카라]] || === 통계 === ||<-5> '''인력''' || || '''핵심 영토 인구''' || || '''14.55M'''[* 1936년 시나리오에서 메르신, 반, 디야르바키르, 하카리, 에르주룸의 비핵심인구가 1.72M이다. 하타이는 1936년 시나리오에선 터키 영토가 아니다.] || ||<-4> '''공장''' || || '''민간 공장''' || '''군수 공장''' || '''해군 조선소''' || '''수송선''' || || '''11''' || '''4''' || '''1''' || '''20''' || ||<-6> '''자원''' || || [[파일:HoI IV 석유 자원.png]] || [[파일:HoI IV 고무 자원.png]] || [[파일:HoI IV 강철 자원.png]] || [[파일:HoI IV 알루미늄 자원.png]] || [[파일:HoI IV 텅스텐 자원.png]] || [[파일:HoI IV 크롬 자원.png]] || || '''0''' || '''0''' || '''51''' || '''0''' || '''0''' || '''274''' || === 정부 === ||<-4> '''정부''' || || '''[[젤랄 바야르]]'''[br][[파일:젤랄 바야르.jpg|width=40%]] || '''셰피크 휘스뉘'''[br][[파일:셰피크 휘스뉘.jpg|width=40%]] || '''메흐메트 레제프 페케르'''[br][[파일:메흐메트 레제프 페케르.jpg|width=40%]] ||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br][[파일:호이4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jpg|width=40%]] || || '''[[민주당(튀르키예 1946년)|{{{#dodgerblue 민주당}}}]]''' || '''{{{#orangered 터키 공산당}}}''' || '''{{{#94580B 국가당}}}''' || '''[[공화인민당|{{{#silver 공화인민당}}}]]'''[br],,(집권당),,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e90ff 0%, #1e90ff 6%, #FF4500 6%, #FF4500 6%, #94580B 6%, #94580B 6%, #C0C0C0 6%, #C0C0C0 100%)" }}} || === 법률 === ||<-3> '''법률''' || || '''징병법''' || '''무역''' || '''경제''' || || [[파일:제한적 징병(Hearts of Iron IV).png|width=40%]][br]'''제한적 징병'''[* 징병 가능 인구: {{{#orange '''2.5%'''}}}] || [[파일:수출 중점(Hearts of Iron IV).png|width=40%]][br]'''수출 중점'''[* 건설 속도: '''{{{#green +10%}}}'''[br]연구 속도: '''{{{#green +5%}}}'''[br]공장, 조선소 생산량: {{{#green '''+10%'''}}}[br]시장으로 가는 자원: {{{#orange '''+50%'''}}}[br]타국으로 가는 민간 정보: {{{#indianred '''+20%'''}}}[br]타국으로 가는 해군 정보: {{{#indianred '''+10%'''}}}] || [[파일:민간경제(Hearts of Iron IV).png|width=40%]][br]'''민간경제'''[* 예상되는 소비재 공장: {{{#orange '''35%'''}}}[br]민간공장 ↔ 군수공장 전환 비용: {{{#indianred '''+30%'''}}}[br]석유당 연료 획득량: {{{#indianred '''-40%'''}}}[br]연료 뵤유량: {{{#indianred '''-25%'''}}}[br]군수공장, 민간공장 건설 속도: {{{#indianred '''-30%'''}}}] || === 군대 === ==== 육군 ==== || '''아이콘''' || '''사단명''' || '''사단 설계'''[* 각주 참고] || '''사단 개수''' || '''비고''' || || [[파일:호이4 보병.png|width=50%]] || Piyade Tümeni || 9보병[* {{{#!wiki style="text-align:center" || 지원중대 ||<|6> ||<-5> 전열 대대 || || [[파일:76-42.png|width=100%]] || [[파일:호이4 보병.png|width=100%]] || [[파일:호이4 보병.png|width=100%]] || [[파일:호이4 보병.png|width=100%]] || [[파일:76-42.png|width=100%]] || [[파일:76-42.png|width=100%]] || || || [[파일:호이4 보병.png|width=100%]] || [[파일:호이4 보병.png|width=100%]] || [[파일:호이4 보병.png|width=100%]] || || || || || [[파일:호이4 보병.png|width=100%]] || [[파일:호이4 보병.png|width=100%]] || [[파일:호이4 보병.png|width=100%]] || || || || || [[파일:76-42.png|width=100%]] || || || || || || || [[파일:76-42.png|width=100%]] || || || || || }}}] || 20개 || || || [[파일:산악보병.png|width=50%]] || Dag Tugayi || 6산악병[* {{{#!wiki style="text-align:center" || 지원중대 ||<|6> ||<-5> 전열 대대 || || [[파일:76-42.png|width=100%]] || [[파일:산악보병.png|width=100%]] || [[파일:산악보병.png|width=100%]] || [[파일:76-42.png|width=100%]] || [[파일:76-42.png|width=100%]] || [[파일:76-42.png|width=100%]] || || || [[파일:산악보병.png|width=100%]] || [[파일:산악보병.png|width=100%]] || || || || || || [[파일:산악보병.png|width=100%]] || [[파일:산악보병.png|width=100%]] || || || || || || [[파일:76-42.png|width=100%]] || || || || || || || [[파일:76-42.png|width=100%]] || || || || || }}}] || 3개 || 특수부대 || || [[파일:호이4 보병.png|width=50%]] || Bogazi Tugay || 6보병[* {{{#!wiki style="text-align:center" || 지원중대 ||<|6> ||<-5> 전열 대대 || || [[파일:76-42.png|width=100%]] || [[파일:호이4 보병.png|width=100%]] || [[파일:호이4 보병.png|width=100%]] || [[파일:76-42.png|width=100%]] || [[파일:76-42.png|width=100%]] || [[파일:76-42.png|width=100%]] || || || [[파일:호이4 보병.png|width=100%]] || [[파일:호이4 보병.png|width=100%]] || || || || || || [[파일:호이4 보병.png|width=100%]] || [[파일:호이4 보병.png|width=100%]] || || || || || || [[파일:76-42.png|width=100%]] || || || || || || || [[파일:76-42.png|width=100%]] || || || || || }}}] || 5개 || 예비 || || [[파일:기병.png|width=50%]] || Süvari Tümeni || 6기병[* {{{#!wiki style="text-align:center" || 지원중대 ||<|6> ||<-5> 전열 대대 || || [[파일:76-42.png|width=100%]] || [[파일:기병.png|width=100%]] || [[파일:기병.png|width=100%]] || [[파일:76-42.png|width=100%]] || [[파일:76-42.png|width=100%]] || [[파일:76-42.png|width=100%]] || || || [[파일:기병.png|width=100%]] || [[파일:기병.png|width=100%]] || || || || || || [[파일:기병.png|width=100%]] || || || || || || || [[파일:기병.png|width=100%]] || || || || || || || [[파일:76-42.png|width=100%]] || || || || || }}}] || 2개 || || || [[파일:호이4 경전차.png|width=50%]] || Zirhli Tümeni || 2경전차 4기병+기병 수색 지원[* {{{#!wiki style="text-align:center" || 지원중대 ||<|6> ||<-5> 전열 대대 || || [[파일:기병 수색.png|width=100%]] || [[파일:호이4 경전차.png|width=100%]] || [[파일:기병.png|width=100%]] || [[파일:76-42.png|width=100%]] || [[파일:76-42.png|width=100%]] || [[파일:76-42.png|width=100%]] || || || [[파일:호이4 경전차.png|width=100%]] || [[파일:기병.png|width=100%]] || || || || || || [[파일:기병.png|width=100%]] || [[파일:기병.png|width=100%]] || || || || || || [[파일:기병.png|width=100%]] || [[파일:기병.png|width=100%]] || || || || || || [[파일:76-42.png|width=100%]] || || || || || }}}] || 1개 || || ||<-5> 총 31개 사단 || ==== 해군 ==== || '''함종''' || '''대수''' || '''비고''' || || [[파일:순양전함.png]][br]순양전함 || 1 || 함대의 자랑 ''TCG Yavuz'' || || [[파일:경순양함.png]][br]경순양함 || 2 || || || [[파일:구축함.png]][br]구축함 || 6 || || || [[파일:호이4 잠수함.png]][br]잠수함 || 5 || || ||<-3> 총 16척 || ==== 공군 ==== || '''기종''' || '''대수''' || '''비고''' || || [[파일:근접항공지원기.png]][br]근접항공지원기 || 16 || || || [[파일:호이4 전투기.png]][br]전투기 || 45 || || ||<-3> 총 61기 || === 국민정신 === ||<-2> '''국민정신''' || ||<-2> '''케말주의자 장교들''' || ||<|2> [[파일:케말주의자 장교들.png|width=25%]] || 육군 경험치 획득: {{{#indianred '''-10%'''}}}[br]안정도: {{{#green '''+5%'''}}}[br]최대 계획: {{{#green '''+10%'''}}} || || {{{-2 터키의 장교단은 케말주의의 가정 헌신적인 수호자들 중 하나입니다. 아직 케말주의는 국가 이념으로써 비난받고 있지만, 장교단은 나라를 지키기 위한 것이라면 무엇이든 현 정부와 협력할 준비가 되어있습니다.}}} || ||<-2> '''종파 문제''' || ||<|2> [[파일:종파 문제.png|width=25%]] || 안정도: {{{#indianred '''-15%'''}}}[br]전쟁 지지도: {{{#indianred '''-15%'''}}} || || {{{-2 터키의 분열된 내부는 {{{#orange '''지역 변동치'''}}}에 따라 각 세력을 대표합니다.[br][[파일:케말주의자.png]]{{{#orange '''케말주의자'''}}}들은 서쪽과 북쪽 지역에, 종교적인 [[파일:전통주의자.png]]{{{#orange '''전통주의자'''}}}들은 내륙 중앙과 아래 쪽에, 그리고 [[파일:쿠르드족.png]]{{{#orange '''쿠르드족'''}}}은 국가의 남동쪽에 자리잡고 있습니다.[br][br]각각의 {{{#orange '''파벌들'''}}}과의 교류는 {{{#orange '''결정 탭'''}}}에서, 또한 일부 {{{#orange '''중점으로 인한 효과'''}}}, {{{#orange '''사건 선택'''}}}을 통해 진행할 수 있습니다.[br][br]터키는 이념, 종교, 민족을 넘나드는 내부의 분열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케말주의자들은 터키를 세속국가로 만들기를 원하지만, 이미 수많은 사람들이 근본적으로 세속주의에 반대하고 있습니다. 동쪽에서는, 쿠르드인들은 터키 정부에 큰 골칫덩어리이며, 이들은 동화에 대항하여 군을 조직하고 반란을 일으키려는 듯 보입니다. 이 파벌들과의 관계를 개선하려면, 우리는 이 문제들을 온화하게 풀어나가야 할지, 또는 강경하게 대응할지 선택하여야 합니다.}}} || ||<-2> '''체계적이지 못한 군대''' || ||<|2> [[파일:체계적이지 못한 군대.png|width=25%]] || 함대 협조성: {{{#indianred '''-15%'''}}}[br]사단 속도: {{{#indianred '''-10%'''}}}[br]사단 조직력: {{{#indianred '''-8%'''}}}[br]항공기 사고 확률: {{{#indianred '''+15%'''}}}[br]전쟁 지지도: {{{#indianred '''-15%'''}}}[br]훈련 시간: {{{#indianred '''+25%'''}}}[br]최소 훈련 수단: {{{#green '''-10%'''}}} || || {{{-2 터키군은 아직 터키 국가처럼 미숙한 점이 많습니다. 비록 협상국과 오스만 제국에 대항한 독립전쟁에서 승리하였지만, 우리는 피로 자유의 대가를 치렀습니다. 대전쟁에서 우리 인구의 거의 4분의 1을 잃어버린 이후, 전쟁에 대한 열정이 전혀 없었으나, 다시 한번 전 세계에 전쟁의 유령이 나타남에 따라 우리는 군을 빠르게 현대화하거나 전쟁이 우리 국경에 절대 도달하지 않도록 하는 수밖에 없어 보입니다.}}} || === 외교 === * 타국의 독립보장 * 루마니아 * 타국이 지배중인 핵심주 * 프랑스 - 하타이 * 기타 * 발칸 동맹(우호) * 루마니아 * 유고슬라비아 * 그리스 왕국 * 발칸 동맹(적대) * 불가리아 * 헝가리 왕국 == 공략 == 난이도 : ★★★★★ 아타튀르크를 제외하면 성능이 영 안 좋아서 플레이어가 잡아도 난이도가 꽤나 험난하다. 초반 몽트뢰 협정에서 걸리는데, 소비에트가 흑해의 영공 통과권을 주장하지 않는 이상 전쟁이 벌어질 일은 없다. 간혹 멀티에서도 영국이 터키를 지원하지 않아 트롤이 발생하는 사태가 벌어지기도 하는데, 이럴 경우에는 독보건 루마니아까지 전쟁에 휘말려 버리는 괴악함을 자랑한다. 당연히 터키는 소비에트의 따까리가 된다. 또한, 쿠르드족이 수시로 깽판치고 다니기 때문에 인력, 안정도, 장비 등이 대거 갈려 나간다. 그러니 주둔군을 없음으로 설정해서 쿠르드족이 반란을 일으키도록 유도하자. 또 쿠르드족이 반란을 일으키면 전쟁 정당화 긴장도를 100%이나 올리는 국민정신을 부여하는 중점을 스킵할 수 있다. 하지만 1.12.5 패치로 쿠르드족 반란을 유도해서 쿠르드족 디버프를 떼는 꼼수가 불가능해졌다. 유일하게 좋은 점인 아타튀르크는 하필이면 또 일찍 죽는 편이라서 아타튀르크가 죽으면 유저도 묘하게 슬퍼지고 난이도도 험난해진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dokpponghansabal&no=141704&exception_mode=recommend&page=2|#]] 터키가 선택 할 수 있는 루트는 3가지인데, 모두 하나같이 정신 나간 루트들이라 싱글 외에는 거의 쓸 일이 없다고... 아타튀르크가 지도자일때 몽트뢰 협정에서 터키와 소련이 끝까지 발을 빼지 않아 터키-소련 전쟁이 일어나면 "우리나라의 생존을 위한 전투"[* 믿을 수 없는 일이 일어났습니다! 소비에트 연방이 우리 조국에 전쟁을 선포한 것 입니다.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는 젊은 이들에게 우리나라의 생존을 위해 입대를 독려하고 있지만 이 열정이 얼마나 오래 갈까요?] 라는 강력한 버프가 일시적으로 추가된다. === 오스만 제국 === 이 루트는 이슈은행 완전통합루트와 여섯 화살 비준으로 먼저 찍어둬야 한다. 몽트뢰 협정에서 이슈은행 완전통합 등 좌측으로 찍으면서 멘데레스가 집권해야 외부를 둘러보다 중점이 장교 숙청으로 바뀐다. 장교 내전시 터키의 동부와 서부 끝자락에서 캬즘 오르바이의 군대가 몰려오지만, 사단 숫자가 적어서 빠르면 1달내로 컷이 가능하다. 내전 발생시 아래쪽을 선택하면 아나톨리아 임시국으로 국가가 바뀌며 색상도 흰색에서 분홍으로 화사하게 바뀐다. 케말리스트 핵심주가 삭제되면서 전통주의인 초승달 모양의 아이콘이 점점 넓어진다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니 디시전으로 어떻게든 진화 해주자. 문제는 독일과 헝가리인데 헝가리가 오헝루트를 찍어 버리면 전쟁을 걸 수 있는 명분이 사라지게 되므로 확장이 힘들어진다. 사다바드 조약을 찍었다면 아프간 / 이란 / 이라크 3국이 괴뢰국으로 딸려온다. 만약 선거에서 바야르를 선택하면 절대 오스만 제국이 될 수 없다. 주의하자. === 투란 === 공산주의나 파시스트를 추천한다. 파시스트의 경우는 징병 인구 2%를 더 주며, 추축국에 가입할 수 있어 실력이 된다면 초반에 선엘랑이나 선네덜이 가능해 빠르게 팽창할 수 있다. 공산주의 루트의 경우 파시스트보다 덜 하지만 징병 인구를 1%나 주고 공장을 많이 준다. 지도자 성능도 괜찮은 편. 연합 / 추축 / 코민 어디에서든 세력가입이 편하고, 자신이 팩션 리더인 중점도 2개나 있기 때문에 편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투란을 만들려면 결국 소비에트나 소비에트의 땅을 다 뜯어먹은 독일과 싸워야 한다. 그리고 이 기간이 너무 길어서 60년까지는 장기적으로 바라봐야 하므로 인내심 싸움이 주가 될 것이다. === 발칸 연방 === 발칸 연방의 경우 그리스, 헝가리, 루마니아, 유고슬라비아를 초대할 수 있고, 불가리아는 양자택일. 그 후 이탈리아나 소비에트에게 전쟁을 걸면 끝나는 단순한 루트다. 다만 세력을 만드는 루트이기 때문에 불가리아와는 달리 그 국가들을 핵심 주로 삼을 수는 없다. == 도전과제 == ||<|2> [[파일:심각할 것 없는.png]] ||'''{{{+2 심각할 것 없는}}}'''[br],,Hardly Anything Sèvres,, || ||오스만 제국으로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일본의 수도들을 점령하시오. || ||<|2> [[파일:내가 보스포루스를 점령하고 받은건 이 도전과제 뿐이었어.png]] ||'''{{{+2 내가 보스포루스를 점령하고 받은건 이 도전과제 뿐이었어}}}'''[br],,I Captured the Bosporus and All I Got Was This Lousy Achievement,, || ||그리스나 불가리아로 보스포루스 해협의 양쪽을 다 소유하거나 터키로 그리스와 불가리아를 종속시키시오 || ||<|2> [[파일:튀르크 외 그 누구의 일도 아닌.png]] ||'''{{{+2 튀르크 외 그 누구의 일도 아닌}}}'''[br],,Nobody's Business but the Turks,, || ||오스만 술탄국을 재수립하시오. || ||<|2> [[파일:아타튀르크 아래 불가분한 하나의 국가.png]] ||'''{{{+2 아타튀르크 아래 불가분한 하나의 국가}}}'''[br],,One Nation Under Atatürk, Indivisible,, || ||비동맹주의 터키로 0개의 디버프 모디파이어를 가지시오. || ||<|2> [[파일:우리 밴드는 재결합합니다.png]] ||'''{{{+2 우리 밴드는 재결합합니다}}}'''[br],,We're Putting the Band Back Together,, || ||터키로 독일과 오스트리아-헝가리와 같은 세력에 가입하시오.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Hearts of Iron IV/국가/고유 중점 국가, version=7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