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1 턱수염물범}}}[br]bearded seal}}}'''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ㅌㅅㅇㅁㅂ.jpg|width=100%]]}}}|| || [[학명|{{{#000 '''학명'''}}}]] || ''' ''Erignathus barbatus'' '''[br]Erxleben, 1777 || ||<-2>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s-3.2|{{{#000 '''계'''}}}]] ||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s-3.3|{{{#000 '''문'''}}}]] ||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s-3.4|{{{#000 '''강'''}}}]] ||포유강(Mammalia) || || [[생물 분류 단계#s-3.5|{{{#000 '''목'''}}}]] ||식육목(Carnivora) || || [[생물 분류 단계#s-3.5|{{{#000 '''아목'''}}}]] ||개아목(Caniformia) || || [[생물 분류 단계#s-3.6|{{{#000 '''과'''}}}]] ||물범과(Phocidae) || || [[생물 분류 단계#s-3.8|{{{#000 '''속'''}}}]] ||턱수염물범속(''Erignathus'') || || [[생물 분류 단계#s-3.9|{{{#000 '''종'''}}}]] ||'''턱수염물범'''(''E. barbatus'') || [목차] [clearfix] == 개요 == [[북극]]에 사는 [[바다표범]] 가운데 큰 종으로 몸길이 2.9m, 몸무게 290kg이다. 입 주변에 촉모가 긴 것이 특징이어서 붙여진 이름이며 주로 쌍패류, 연체동물, 갑각류, 극피동물, 물고기 등을 잡아먹는다. 또 다른 바다표범들과 달리 무늬가 없는 편이다. == 특징 == 암수의 색깔의 거의 같고 암컷이 수컷보다 약간 크다. 몸빛은 밝은 회색에서 짙은 회색이고 등 가운데를 따라 어두운 얼룩이 있다. 배면은 등보다 색이 밝다. 모든 물범이 그렇듯이 몸빛은 몸이 물에 젖었는지 말랐는지에 따라 다르고, 갈색 빛이 흐르는 등 개체에 따라 차이가 있다. 노르웨이와 스발바르제도 가까이에 사는 개체는 머리와 앞지느러미가 종종 불그스름하다. 이는 물범이 먹이를 사냥하는 해저에 철 성분이 존재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몸통에 비해 머리가 작다. 앞지느러미는 짧고 발가락이 5개 있다. 다른 물범처럼 작은 귀 구멍이 있고 뒤쪽으로 난 짧은 뒷지느러미발로 물속에서 추진력을 낸다. 암컷은 유두가 4개 있다. 다른 물범들이 흰 새끼를 낳는 것과 달리 턱수염물범의 새끼는 푸른빛을 띠는 회색으로 어두운 편이며, 뺨과 눈 주변에 밝은 얼룩이 있고 이마에서 코로 짙은 줄무늬가 있다. 이빨의 개수는 40개이다. 깊이 50~80m에 10~20분 동안 잠수할 수 있다. [[고리무늬물범]], [[하프물범]], [[띠무늬물범]], [[두건물범]]과 공존한다. == 천적 == [[북극곰]]과 [[북극늑대]]가 가장 주요한 천적으로 그 외에는 [[범고래]]와 [[사람]]이 있다. 또 새끼 때에는 [[북극여우]]가 천적이다. [[분류:턱수염물범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