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ffffff '''올림픽 스피드 스케이팅 남자 10000m 우승자'''}}} || ||<-5> [[파일:오륜기(여백X).svg|width=200]] || ||<-5> ||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5]] [[요리트 베르스마]][br]([[2014 소치 동계올림픽|2014]]) || {{{+1 →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테드얀 블로먼[br]([[2018 평창 동계올림픽|2018]])''' || {{{+1 → }}}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5]] [[닐스 반 데르 포엘]][br]([[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2022]]) || ||<-5> || ---- ||<-2>
'''{{{+1 테드얀 블로먼}}}[br]Ted-Jan Bloeme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 || ||<|2> '''출생''' ||[[1986년]] [[8월 16일]] ([age(1986-08-16)]세) || ||[[네덜란드]] [[자위트홀란트]] 레이데르도르프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네덜란드)] (1986~2014)[br][include(틀:국기, 국명=캐나다)] (2014~현재)|| || '''신체''' ||177cm, 74kg || || '''종목''' ||[[스피드 스케이팅]] || || '''주종목''' ||5000m, 10000m || || '''SNS'''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tedjan, 크기=24)] [[https://www.facebook.com/tjbloemen|[[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https://www.instagram.com/tedjanb|[[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스벤 크라머]]와 그 외 네덜란드 동료들의 아성을 넘지 못해, 끝내 국적을 바꾸고 황제를 넘은 케이스이다. 32살이란 늦은 나이에 크라머가 가지고 있던 5000m, 10000m 세계기록[* 현재 10000m 세계기록은 스웨덴의 닐스 반 데르 폴이 경신했다.]과 10000m 올림픽 기록을 깨고 롱트랙의 새로운 장을 연 선수이기도 하다. == 선수 경력 == === 주니어 시절~[[2014 소치 동계올림픽]] === 2006년 에어푸르트에서 열렸던 주니어 세게선수권에서 5위를 차지한 후 본격적으로 성인 무대에 등장했다. 그러나 [[스벤 크라머]], [[보프 더용]], 칼 베르하연 등이 버티고 있던 네덜란드의 장거리 판에서 그가 설 자리는 보이지 않았다. 2008-09 시즌 월드컵에서 팀추월 최종 1위가 최고 성적이였다. 2010년 선발전 부진 이후 프로 선수 생활을 잠시 접고 프리슬란드에서 아마추어 선수로 활동하다가, 다시 2011-12 시즌에 국가대표로 선발되었으나, 소치 동계올림픽 선발전에서 5000m 12위, 10000m 8위로 탈락했다. === 2014-15 시즌 === 2014년 7월, 의사였던 아버지의 출신지를 따라 캐나다로 국적을 변경한 블루먼은 2014-15 시즌 캐나다 국가대표에 선발되었다. === 2015-16 시즌 === 월드컵에서 10000m 금메달 1개, 5000m 동메달 2개를 따냈다. 특히 금메달을 따낸 솔트레이크 시티 월드컵에서 '''12분 36초 20으로 10000m 세계신기록'''을 갈아치우며 주목받았다. 또 종목별 세계선수권에서 10000m 은메달을 획득하며 네덜란드가 독식하던 장거리 부문에 균열을 냈다. === 2016-17 시즌 === 월드컵에서도 계속 랭킹 상위를 유지했다. === 2017-18 시즌 === 2017년 12월 10년 간 유지되던 스벤 크라머의 5000m 세계 신기록을 6분 01초 86으로 새로 세웠다. 그리고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스피드 스케이팅]] 5000m에서 은메달을 따낸 후, 10000m에서 올림픽 신기록을 수립하며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 2018-19 시즌 === 종목별 세계선수권에서 이렇다할 성적을 내주지 못했다. 그러나 월드컵 파이널에서 2위를 차지하였다. === 2019-20 시즌 === 월드컵에서 디비전 A의 성적을 계속 유지해 오다가 종목별 세계선수권 5000m에서 금메달을 차지하였다. 다만 자신의 세계기록은 다시 쓰진 못했다. 10000m에서는 2위를 차지했는데, 1위가 다름 아닌 캐나다 장거리 유망주 --였던-- 그레이엄 피쉬였고, 그레이엄 피쉬는 12:36.30이었던 블로먼의 기록을 12:33.86으로 앞당기며 2위 블로먼에게 12초 가량을 앞섰다. 블로먼은 자신의 기록이 깨졌음에도 불구하고 경기 종료 후에 피쉬를 안아주면서 축하함을 표현했다. == 평가 == 동갑내기 라이벌 크라머와 상당히 흡사한 플레이 스타일을 가지고 있다. 초반에 올려놓고 마지막에도 버티는데, 결국 이 스타일은 5000m와 10000m 세계신기록으로 만들었다. 심지어는 크라머보다 뛰어난 부분이 있는데, 바로 랩 타임을 아주 고르게 끌고 가는 능력이다. 거기에, 크라머는 가끔씩 부상이라던지 예상하지 못한 부진으로 경기가 망해버리는 경우가 있는데, 블로먼은 그런 것이 전혀 없다. 다시 말해 기복이 적다. 전성기가 [[고다이라 나오]]처럼 늦게 찾아와서 임팩트가 약해서 그렇지, 그 전성기 동안은 크라머 이상의 활약을 펼친 스피드 스케이팅 역사에 여러 발자취를 남긴 인물이다. == 수상 기록 == ||<-3>
{{{#white 올림픽}}} || || 금메달 || [[2018 평창 동계올림픽|2018 평창]] || 10000m || || 은메달 || [[2018 평창 동계올림픽|2018 평창]] || 5000m || ||<-3> {{{#white 세계선수권(종목별)}}} || || 금메달 || 2020 솔트레이크시티 || 5000m || || 은메달 || 2020 솔트레이크시티 || 10000m || || 은메달 || 2015 헤이렌베인 || 팀추월 || || 은메달 || 2016 콜룸나 || 10000m || || 은메달 || 2021 헤이렌베인 || 팀추월 || || 동메달 || 2016 콜룸나 || 팀추월 || ||<-3> {{{#white 사대륙선수권}}} || || 금메달 || 2022 캘거리 || 5000m || || 은메달 || 2022 캘거리 || 1500m || [각주] [[분류:캐나다의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분류:1986년 출생]][[분류:레이데르도르프 출신 인물]][[분류:캐나다의 올림픽 스피드 스케이팅 메달리스트]][[분류:2018 평창 동계올림픽 스피드 스케이팅 메달리스트]][[분류: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스피드 스케이팅 참가 선수]][[분류:네덜란드계 캐나다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