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편집자 메시지 ## 취소선과 관련해서, 글의 가독성을 떨어뜨리는 무분별한 남용이나 구식 정보를 줄로 긋는 등의 오용을 자제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 무기의 스탯, 재료의 개수, 확률 등의 수치는 게임의 버전이나 사용 환경, 게임 내의 변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사용 환경은 일반적으로 PC를 기준으로 하며, 해당 내용을 수정 시 테라리아 게임피디아(http://terraria.gamepedia.com/Terraria_Wiki)에서 교차 검증하는 작업을 반드시 거치시기를 바랍니다. [include(틀:상위 문서, top1=테라리아/도구)]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GarrulousKnowingChunkyLunchroom, 합의사항1=Chlorophyte의 한글표기를 '녹조류'로 한다.)] [include(틀:테라리아)] [include(틀:테라리아/도구)] [목차] == 개요 == 기본 도구는 종류마다 특정 기능성을 갖춘 아이템이다. 크게 [[#곡괭이|곡괭이]], [[#도끼|도끼]], [[#망치|망치]]로 나뉘며 곡괭이는 [[테라리아/블록#블록|블록]]을, 도끼는 [[테라리아/블록#나무|나무]]를, 망치는 [[테라리아/블록#벽면|벽면]]을 부수고 블록의 높낮이나 기울기를 바꿀 때 사용한다. 그 외 많은 도구들은 각 문단별로 사용 용도를 확인할 수 있다. 도구 자체에도 공격력이 있으며 모든 도구의 타입은 [[테라리아/무기/근접 무기|근접 무기]]에 속한다. 또한 모든 도구들은 자동 공격이 가능하다. 다만 이걸 무기로 쓸 수 있을 정도는 '''절대'''아니고 어디까지나 채집중 어이없게 공격당하는 것을 막기 위한 시간벌이에 가깝다. 도구의 중요도는 곡괭이 > 도끼 > 망치 순이다. 특히 블록을 부수기 위한 곡괭이가 없으면 광석 채취 및 진로 개척이 거의 불가능하므로[* 블록을 파괴할 수단은 [[테라리아/무기#폭발물|폭발물]]도 있긴 하지만 폭발물은 범위가 불필요하게 넓고 '점착형' 접두사가 없으면 어느정도 움직이기 때문에 정밀한 채굴 작업이 어렵고, 길을 한 번 뚫을 때마다 폭발물 하나 이상을 소모해야 하므로 괜찮은 곡괭이 하나 쓰는 것에 비해 돈이 심하게 많이 든다. 거기다 자폭 위험까지 있어서 극초반엔 한대만 맞아도 거의 즉사급 데미지가 들어간다. 어지간히 급한 상황이거나 초중반부에 오염/진홍지대 블럭을 부숴야 할 때 빼면 거의 쓰이지 않는다.] 곡괭이 하나는 항상 지니고 다니는 게 좋다. === 도구 효율(Tool Power) === 곡괭이, 망치, 도끼는 고유한 도구 효율을 가지고 있다. 해당 오브젝트를 타격할 때마다 그 오브젝트에게 도구의 효율을 전달시키며 일정 수치 이상의 대미지를 받으면 즉시 부서진다. 예를 들어 [[테라리아/블록#흙 블록|흙 블록]] 같은 흙 계열은 50%의 곡괭이 타격을 요구하며, 대부분의 블록은 100%의 곡괭이 타격을 요구한다. 흙 블록과 [[테라리아/블록#돌 블록|돌 블록]]을 35%의 효율을 지닌 구리 곡괭이로 채광할 경우 흙 블록은 두 번의 타격에 회수되며 돌 블록은 세 번의 타격에 회수된다. 반대로 100%의 곡괭이 효율을 지닌 몰튼 곡괭이는 흙 블록과 돌 블록을 단 한 번의 타격에 회수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곡괭이가 모든 블록을 회수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일부 블록은 높은 곡괭이 효율을 요구한다. 예로 [[테라리아/재료#흑요석|흑요석]]과 [[테라리아/재료#지옥석|지옥석]]은 60% 이상, [[테라리아/재료#녹조류|녹조류 광석]]은 200% 이상, [[테라리아/블록#리자드 벽돌|리자드 벽돌]]은 210% 이상의 효율을 지닌 곡괭이로만 회수할 수 있다. ||<|2> '''블록''' ||<|2> '''히트[br]포인트''' ||<-10> '''필요한 타격 횟수[br](최소 한도 곡괭이)''' || || {{{#!wiki style="margin: 0px -4px" [[파일:Terraria/CopperPickaxe.png]][br]'''(35)'''}}} || {{{#!wiki style="margin: 0px -4px" [[파일:Terraria/TungstenPickaxe.png]][br]'''(50)'''}}} || {{{#!wiki style="margin: 0px -4px" [[파일:Terraria/GoldPickaxe.png]][br]'''(55)'''}}} || {{{#!wiki style="margin: 0px -4px" [[파일:Terraria/악몽의 곡괭이.png]][br]'''(65)'''}}} || {{{#!wiki style="margin: 0px -4px" [[파일:Terraria/사신의 곡괭이.png]][br]'''(70)'''}}} || {{{#!wiki style="margin: 0px -4px" [[파일:Terraria/녹아내린 곡괭이.png]][br]'''(100)'''}}} || {{{#!wiki style="margin: 0px -4px" [[파일:Terraria/코발트 곡괭이.png]][br]'''(110)'''}}} || {{{#!wiki style="margin: 0px -4px" [[파일:Terraria/미스릴 곡괭이.png]][br]'''(150)'''}}} || {{{#!wiki style="margin: 0px -4px" [[파일:Terraria/녹조류 곡괭이.png]][br]'''(200)'''}}} || {{{#!wiki style="margin: 0px -4px" [[파일:Terraria/픽소우.png]][br]'''(210)'''}}} || ||[[파일:Terraria/흙 블록.png]] 흙 블록 [[파일:Terraria/ClayBlock.png]] 찰흙 블록 [[파일:Terraria/MudBlock.png]] 진흙 블록 [[파일:Terraria/AshBlock.png]] 재 블록 [[파일:Terraria/실트 블록.png]] 실트 블록 [[파일:Terraria/모래 블록.png]] 모래 블록 [[파일:Terraria/굳은 모래 블록.png]] 굳은 모래 블록 [[파일:Terraria/눈 블록.png]] 눈 블록 [[파일:Terraria/진창눈 블록.png]] 진창눈 블록 [[파일:Terraria/Spike.png]] 가시 [[파일:Terraria/WoodenSpike.png]] 나무 가시 || 50% || 2 || 1 || 1 || 1 || 1 || 1 || 1 || 1 || 1 || 1 || ||[[파일:Terraria/돌 블록.png]] 돌 블록 [[파일:Terraria/EbonsandBlock.png]] 칠흑모래 블록 [[파일:Terraria/GoldOre.png]] 금 광석 [[파일:Terraria/GrayBrick.png]] 회색 벽돌 그 외 모든 블록|| 100% || 3 || 2 || 2 || 2 || 2 || 1 || 1 || 1 || 1 || 1 || ||[[파일:Terraria/Meteorite.png]] 운석|| 100% || || 2 || 2 || 2 || 2 || 1 || 1 || 1 || 1 || 1 || ||[[파일:Terraria/DemoniteOre.png]] 데모나이트 광석 [[파일:Terraria/CrimtaneOre.png]] 크림테인 광석|| 100% || || || 2 || 2 || 2 || 1 || 1 || 1 || 1 || 1 || ||[[파일:Terraria/흑요석.png]] 흑요석|| 100% || || || || 2 || 2 || 1 || 1 || 1 || 1 || 1 || ||[[파일:Terraria/칠흑석 블록.png]] 칠흑석 블록 [[파일:Terraria/심홍석 블록.png]] 심홍석 블록 [[파일:Terraria/진주석 블록.png]] 진주석 블록 [[파일:Terraria/지옥석.png]] 지옥석 [[파일:Terraria/BlueBrick.png]][[파일:Terraria/GreenBrick.png]][[파일:Terraria/PinkBrick.png]] 던전 벽돌|| 200% || || || || 4 || 3 || 2 || 2 || 2 || 1 || 1 || ||[[파일:Terraria/CobaltOre.png]] 코발트 광석 [[파일:Terraria/PalladiumOre.png]] 팔라듐 광석|| 200% || || || || || || 2 || 2 || 2 || 1 || 1 || ||[[파일:Terraria/MythrilOre.png]] 미스릴 광석 [[파일:Terraria/OrichalcumOre.png]] 오리칼쿰 광석|| 300% || || || || || || || 3 || 2 || 2 || 2 || ||[[파일:Terraria/AdamantiteOre.png]] 아다만타이트 광석 [[파일:Terraria/TitaniumOre.png]] 티타늄 광석|| 400% || || || || || || || || 3 || 2 || 2 || ||[[파일:Terraria/LihzahrdBrick.png]] 리자드 벽돌|| 400% || || || || || || || || || || 2 || ||[[파일:Terraria/ChlorophyteOre.png]] 녹조류 광석|| 500% || || || || || || || || || 3 || 3 || 도끼는 나무와 선인장만 캘 수 있으므로 간단하게 설명할 수 있다. 모든 나무는 위치에 상관없이 500%, [[테라리아/블록#선인장|선인장]]은 170%의 효율을 요구한다. 예로 35%의 도끼 효율을 지닌 [[#구리 도끼|구리 도끼]]는 나무를 넘기는데 총 15번의 타격(525%)을, 선인장은 5번의 타격(175%)을 요구한다. 반대로 175%의 효율을 지닌 [[#디 액스|디 액스]]는 나무를 넘기는데 총 4번의 타격을, 선인장은 한 번의 타격을 요구한다. === 도구 속도(Tool Speed) === 도구 속도는 한 회 타격하고 다음 회 타격할 때까지의 시간이 얼마나 되는지를 결정짓는다. 곡괭이, 도끼, 망치는 무기에 적용되는 공격 속도와 별도로 고유한 도구 속도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서, 구리 곡괭이로 좀비를 공격하면 1번 휘두를 때마다 1번 좀비를 타격하고, 2회 휘두르면 2회 타격한다. 하지만, 블록을 채굴할 땐 2번 휘두를 때마다 3회 타격하며, 적을 공격할 때보다 속도가 약간 빠른 것을 볼 수 있다. 공격 속도와 도구 속도의 개념을 분리하는 것은 중요하다. 왜냐하면 근접 속도 증가 옵션을 가진 장비를 착용해도 도구 속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도구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다음과 같다. 1. 도구 자체에 붙은 속도 변화 옵션이 있는 수식어 1. 특정 장비, 장신구, 버프 (주의: 곡괭이와 드릴에만 영향을 미치고, 최대 한도가 70%로 한정됨) 채광 포션 (25%) / 채광용 복장 세트 (30%) / 천상의 조개 (15%) / 천상의 돌 (15%) / 해의 돌 (15%) / 달의 돌 (15%) 도구의 툴팁에서 나타나는 것은 공격 속도뿐이다. 게임 내에서 직접적으로 도구 속도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없지만, 도구 속도가 공격 속도보다 빠르거나 같으며, 모든 무기에 적용된다. 이 중 도구의 경우, 곡괭이+도끼 아이템은 채굴할 때와 벌목할 때의 속도가 같지만, 도끼+망치 아이템은 망치질할 때의 속도가 벌목할 때보다 2배 정도 빠르다. === 도구 범위(Tool Range) === 도구 범위는 현재 플레이어가 서 있는 곳으로부터 얼마나 넓은 범위까지 블록과 상호작용이 가능한가를 결정한다. 대부분의 도구는 10x9 타일의 범위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아래 목록처럼 예외가 있으며, 툴팁에서 변경된 범위가 따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구리 곡괭이의 경우 -1 범위를 가지고 있으며 상하좌우 1칸이 줄어든 8 x 7 타일의 범위를 가진다. ||
'''도구''' || '''범위 변동''' || || 구리 곡괭이 || -1 || || 구리 도끼 || -1 || || 구리 망치 || -1 || || 쉬루마이트 땅파기 손톱 || -1 || || 녹조류 곡괭이 || +1 || || 녹조류 드릴 || +1 || || 녹조류 대형도끼 || +1 || || 녹조류 전기톱 || +1 || || 녹조류 전투망치 || +1 || || 녹조류 착암기 || +1 || || 픽소우 || +1 || || 디 액스 || +1 || || 루미나이트 드릴 || +2 || || 유령의 곡괭이 || +3 || || 유령의 햄액스 || +3 || || 유령의 페인트붓 || +3 || || 유령의 페인트 롤러 || +3 || || 유령의 페인트 긁개 || +3 || || 루미나이트 곡괭이 || +4 || || 루미나이트 도끼 ('''{{{#red,#8D0000 획득 불가}}}''') || +4 || || 루미나이트 망치 ('''{{{#red,#8D0000 획득 불가}}}''') || +4 || || 루미나이트 햄액스 || +4 || || 레이저 드릴 || +10 || == 곡괭이류[anchor(곡괭이)] == 도구의 종류 중 하나로 [[테라리아/블록#블록|블록]], 잔디나 [[테라리아/재료#허브|허브]], [[테라리아/블록#도토리|묘목]]을 부술 수 있는 도구이다. 맵의 대부분이 블록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테라리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되는 도구이다. === 곡괭이 === 게임 전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되는 도구이다. 무기로서는 공격력도 초반 도구 중 그나마 높고, 속도도 좋아 무기가 없을 경우 자주 활용되지만, 넉백이 작아 적을 밀어버릴 용도로는 쓰기 힘들다. 캐릭터를 새로 만들 경우 [[#구리 곡괭이|구리 곡괭이]]가 지급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구리 곡괭이)][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Copper Pickaxe, 한=구리 곡괭이, 사진=Terraria/CopperPickaxe.png, 곡=35, v=1.0, 희소=white, ID=3509, 유형=도구, 자동=↻, 공=4, 시=23, 속=빠름, 넉=2, 강=매우 약함, 치=4, 툴탐=15, 보너스=-1)][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구리 주괴, 문서=재료, h=16px)] (8) + [include(틀:t캡션, 이름=아무 종류의 나무, 확장자=gif, 문서=블록, h=16px)] (4)[br]@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상인, 문서=NPC, h=24px)] (5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최초로 스폰 시 인벤토리에 자동 지급[br](여행 모드 제외)}}} 새로운 캐릭터를 생성할 경우 기본적으로 지급되는 도구로 가장 낮은 등급의 곡괭이이다. 채광 범위가 1칸 낮아서 좌우 4블록, 상하 2블록으로만 채광이 가능하다. 초반에는 낮에는 그저 땅 파고 돌 캐는 곡괭이이지만 [[테라리아/시스템#밤|밤]]이 되면 훌륭한 호신용 무기가 된다. [[테라리아/무기/근접 무기#단검|단검]]은 범위가 작아서 유용하지 않으며 도끼는 공격 속도가 느리지만, 곡괭이는 휘두르는 속도와 넉백도 좋아서 떼로 몰려오는 좀비들을 상대하기에도 의외로 좋은 무기이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주석 곡괭이)][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Tin Pickaxe, 한=주석 곡괭이, 사진=Terraria/TinPickaxe.png, 곡=35, v=1.2, 희소=white, ID=3503, 유형=도구, 자동=↻, 공=5, 시=21, 속=빠름, 넉=2, 강=매우 약함, 치=4, 툴탐=1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주석 주괴, 문서=재료, h=16px)] (8) + [include(틀:t캡션, 이름=아무 종류의 나무, 확장자=gif, 문서=블록, h=16px)] (4)[br]@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구리 곡괭이의 대체 곡괭이.구리 곡괭이가 가지는 범위 감소가 없어 양쪽 5블록, 상하 3블록의 채광 범위를 가진다. 구리 곡괭이의 채광 범위 감소를 못 버티겠거나 주석이 넘쳐흐른다면 적당한 곡괭이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철 곡괭이)][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Iron Pickaxe, 한=철 곡괭이, 사진=Terraria/IronPickaxe.png, 곡=40, v=1.0, 희소=white, ID=1, 유형=도구, 자동=↻, 공=5, 시=20, 속=매우 빠름, 넉=2, 강=매우 약함, 치=4, 툴탐=13)][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철 주괴, 문서=재료, h=16px)] (10) + [include(틀:t캡션, 이름=아무 종류의 나무, 확장자=gif, 문서=블록, h=16px)] (3)[br]@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최초로 스폰 시 인벤토리에 자동 지급[br](여행 모드에서)}}} 구리/주석 곡괭이보다 높으며 은/텅스텐 곡괭이보다 낮은 두 번째 등급의 곡괭이이다. 철은 테라리아 내에서 굉장히 많이 사용되는 재료 중 하나이기에 구리에서 곧바로 은 / 텅스텐 곡괭이로 갈아타는 경우가 많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납 곡괭이)][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Lead Pickaxe, 한=납 곡괭이, 사진=Terraria/LeadPickaxe.png, 곡=43, v=1.2, 희소=white, ID=3497, 유형=도구, 자동=↻, 공=6, 시=19, 속=매우 빠름, 넉=2, 강=매우 약함, 치=4, 툴탐=12)][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납 주괴, 문서=재료, h=16px)] (10) + [include(틀:t캡션, 이름=아무 종류의 나무, 확장자=gif, 문서=블록, h=16px)] (3)[br]@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철 곡괭이와 마찬가지로 일반 광물 곡괭이 중 나무를 1개 덜 사용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은 곡괭이)][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Silver Pickaxe, 한=은 곡괭이, 사진=Terraria/SilverPickaxe.png, 곡=45, v=1.0, 희소=white, ID=3515, 유형=도구, 자동=↻, 공=6, 시=19, 속=매우 빠름, 넉=2, 강=매우 약함, 치=4, 툴탐=11)][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은 주괴, 문서=재료, h=16px)] (10) + [include(틀:t캡션, 이름=아무 종류의 나무, 확장자=gif, 문서=블록, h=16px)] (4)[br]@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철, 납 곡괭이보다 높으며 금, 백금 곡괭이보다 낮은 세 번째 등급의 곡괭이이다. 성능은 납 곡괭이와 동일하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텅스텐 곡괭이)][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Tungsten Pickaxe, 한=텅스텐 곡괭이, 사진=Terraria/TungstenPickaxe.png, 곡=50, v=1.2, 희소=white, ID=3491, 유형=도구, 자동=↻, 공=6, 시=21, 속=빠름, 넉=2, 강=매우 약함, 치=4, 툴탐=19)][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텅스텐 주괴, 문서=재료, h=16px)] (10) + [include(틀:t캡션, 이름=아무 종류의 나무, 확장자=gif, 문서=블록, h=16px)] (4)[br]@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은 곡괭이보다 채광 속도가 느리지만 곡괭이 효율이 50%이기에 [[테라리아/재료#운석|운석]]을 채굴할 수 있는 가장 낮은 등급의 곡괭이이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금 곡괭이)][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Gold Pickaxe, 한=금 곡괭이, 사진=Terraria/GoldPickaxe.png, 곡=55, v=1.0, 희소=white, ID=3521, 유형=도구, 자동=↻, 공=6, 시=20, 속=매우 빠름, 넉=2, 강=매우 약함, 치=4, 툴탐=17)][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금 주괴, 문서=재료, h=16px)] (10) + [include(틀:t캡션, 이름=아무 종류의 나무, 확장자=gif, 문서=블록, h=16px)] (4)[br]@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은, 텅스텐 곡괭이보다 높은 네 번째 등급의 곡괭이이다. [[테라리아/재료#운석|운석]]과 [[테라리아/재료#데모나이트|데모나이트]]/[[테라리아/재료#크림테인|크림테인 광석]]을 채굴할 수 있는 곡괭이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백금 곡괭이)][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Platinum Pickaxe, 한=백금 곡괭이, 사진=Terraria/PlatinumPickaxe.png, 곡=59, v=1.2, 희소=white, ID=3485, 유형=도구, 자동=↻, 공=7, 시=19, 속=매우 빠름, 넉=2, 강=매우 약함, 치=4, 툴탐=15)][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백금 주괴, 문서=재료, h=16px)] (10) + [include(틀:t캡션, 이름=아무 종류의 나무, 확장자=gif, 문서=블록, h=16px)] (4)[br]@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일반 광물로 제작할 수 있는 곡괭이 중 가장 높은 성능을 가지고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화석 곡괭이)][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Fossil Pickaxe, 한=화석 곡괭이, 곡=55, v=1.4.0.1, 희소=blue, ID=4059, 유형=도구, 자동=↻, 공=8, 시=18, 속=매우 빠름, 넉=4, 강=약함, 치=4, 툴탐=1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튼튼한 화석, 문서=재료, h=16px)] (12) + [include(틀:t캡션, 이름=아무 종류의 나무, 확장자=gif, 문서=블록, h=16px)] (4)[br]@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금 곡괭이와 똑같은 효율이지만 굴착 속도가 굉장히 빨라서 한 번 만들어두면 하드 모드 이전에서도 쾌적한 채굴이 가능해진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약탈자 상어)][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Reaver Shark, 한=약탈자 상어, 사진=Terraria/ReaverShark.png, 곡=59, v=1.2.4, 희소=orange, ID=2341, 유형=도구, 자동=↻, 공=16, 시=22, 속=빠름, 넉=3, 강=매우 약함, 치=4, 툴탐=13)][include(틀:t낚시)] [[테라리아/지형#바다|바다]]}}} 백금 곡괭이와 동일한 성능에 좀 더 빠른 채굴 속도를 가지고 있다. 1.3 까지는 무려 지옥석으로 만드는 '''녹아내린 곡괭이'''와 동일한 성능을 지녔기 때문에 낚시로 얻으면 다른 일반 곡괭이들을 싸그리 스킵해버리는 엄청난 성능을 가지고 있었으나, 결국 [[테라리아/버전#1.4|1.4]] 버전에서 백금 곡괭이와 동일한 효율로 너프되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선인장 곡괭이)][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Cactus Pickaxe, 한=선인장 곡괭이, 사진=Terraria/CactusPickaxe.png, 곡=35, v=1.2, 희소=white, ID=882, 유형=도구, 자동=↻, 공=4, 시=25, 속=빠름, 넉=2, 강=매우 약함, 치=4, 툴탐=16)][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선인장, 문서=블록, h=16px)] (15) @ [include(틀:t캡션, 이름=작업대, 문서=가구, h=14px)]}}} 성능 자체는 구리 곡괭이와 동급이지만 범위 감소가 없고 사막에 널린 것이 선인장이므로 빠르게 선인장을 모아서 만들면 구리 곡괭이의 범위 감소를 면할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뼈다귀 곡괭이)][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Bone Pickaxe, 한=뼈다귀 곡괭이, 곡=55, v=1.2, 희소=blue, ID=1320, 유형=도구, 자동=↻, 공=8, 시=19, 속=매우 빠름, 넉=3, 강=매우 약함, 치=4, 툴탐=11)][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언데드 광부, 문서=몬스터, h=24px)] (5%)}}} 텅스텐 곡괭이와 같은 효율이라서 [[테라리아/재료#운석|운석]]을 채굴할 수 있으며 채굴 속도가 굉장히 빠르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사탕 지팡이 곡괭이)][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Candy Cane Pickaxe, 한=사탕 지팡이 곡괭이, 사진=Terraria/CandyCanePickaxe.png, 곡=55, v=1.2.2, 희소=white, ID=1917, 유형=도구, 자동=↻, 공=7, 시=20, 속=매우 빠름, 넉=2.5, 강=매우 약함, 치=4, 툴탐=16)][include(틀:t보물)] [include(틀:t캡션, 이름=선물 상자, 문서=소모품, h=16px)] (0.63%)[br](0.59%) {{{-2 (하드모드에서)}}}}}} [[#금 곡괭이|금 곡괭이]]와 성능이 동일하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악몽의 곡괭이)][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Nightmare Pickaxe, 한=악몽의 곡괭이, 곡=65, v=1.0, 희소=blue, ID=103, 유형=도구, 자동=↻, 공=9, 시=20, 속=매우 빠름, 넉=3, 강=매우 약함, 치=4, 툴탐=15)][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데모나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12) + [include(틀:t캡션, 이름=그림자 비늘, 문서=재료, h=16px)] (6)[br]@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테라리아/지형#오염지대|오염지대]]가 있는 세계에서 만들 수 있는 곡괭이. 여기서부터 [[테라리아/블록#칠흑석|칠흑석]]과 [[테라리아/재료#흑요석|흑요석]], [[테라리아/재료#지옥석|지옥석]], 그리고 [[테라리아/버전#1.3|1.3]] 버전에서는 [[테라리아/블록#던전 벽돌|던전 벽돌]]을 채굴할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사신의 곡괭이)][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Deathbringer Pickaxe, 한=사신의 곡괭이, 곡=70, v=1.2, 희소=blue, ID=798, 유형=도구, 자동=↻, 공=12, 시=22, 속=빠름, 넉=3.5, 강=약함, 치=4, 툴탐=1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크림테인 주괴, 문서=재료, h=16px)] (12) + [include(틀:t캡션, 이름=조직 샘플, 문서=재료, h=16px)] (6)[br]@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테라리아/지형#진홍지대|진홍지대]]가 있는 세계에서 만들 수 있는 곡괭이.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녹아내린 곡괭이)][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Molten Pickaxe, 한=녹아내린 곡괭이, 곡=100, v=1.0, 희소=orange, ID=122, 유형=도구, 자동=↻, 공=12, 시=23, 속=빠름, 넉=2, 강=매우 약함, 치=4, 툴탐=18)][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지옥석 주괴, 문서=재료, h=16px)] (20)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하드모드 이전의 가장 높은 등급의 곡괭이이다. 휘두르면 붉은 빛을 내뿜으며 가장 높은 곡괭이인만큼 하드모드 이전의 모든 토양, 석재 블록을 제거할 수 있다. 무기로 사용할 경우, 10% 확률로 [[테라리아/시스템#불이야!|불이야!]] 디버프를 입힌다. 곡괭이 효율이 100%나 되어 [[테라리아/블록#돌 블록|돌 블록]]도 한 번에 회수할 수 있지만 채굴 속도는 느려 [[테라리아/지형#정글|정글]]에서 채굴할 땐 많이 답답하다. 따라서 하드 모드 이후의 [[테라리아/재료#코발트|코발트]] 및 [[테라리아/재료#팔라듐|팔라듐]]을 채광하는 순간 버려진다.[* [[테라리아/버전#1.4|1.4]] 버전에서는 [[테라리아/블록#던전 벽돌|던전 벽돌]]을 채굴하는 용도로도 쓰인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코발트 곡괭이)][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Cobalt Pickaxe, 한=코발트 곡괭이, 곡=110, v=1.2, 희소=lightcoral, ID=776, 유형=도구, 자동=↻, 과정=ⓗ, 공=10, 시=25, 속=빠름, 넉=5, 강=보통, 치=4, 툴탐=13)][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코발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15)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하드모드의 첫 번째 곡괭이이다. [[테라리아/재료#미스릴|미스릴]]과 [[테라리아/재료#오리칼쿰|오리칼쿰 광석]]을 채굴할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팔라듐 곡괭이)][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Palladium Pickaxe, 한=팔라듐 곡괭이, 곡=130, v=1.2, 희소=lightcoral, ID=1188, 유형=도구, 자동=↻, 과정=ⓗ, 공=12, 시=25, 속=빠름, 넉=5, 강=보통, 치=4, 툴탐=12)][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팔라듐 주괴, 문서=재료, h=16px)] (18)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테라리아/재료#미스릴|미스릴]]과 [[테라리아/재료#오리칼쿰|오리칼쿰 광석]]을 채굴할 수 있으며, 모바일 한정으로, 상위 광물인 [[테라리아/재료#아다만타이트|아다만타이트]]와 [[테라리아/재료#티타늄|티타늄]]을 채굴할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미스릴 곡괭이)][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Mythril Pickaxe, 한=미스릴 곡괭이, 곡=150, v=1.2, 희소=lightcoral, ID=777, 유형=도구, 자동=↻, 과정=ⓗ, 공=15, 시=25, 속=빠름, 넉=5, 강=보통, 치=4, 툴탐=10)][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미스릴 주괴, 문서=재료, h=16px)] (15)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하드모드의 두 번째 곡괭이이다. [[테라리아/재료#아다만타이트|아다만타이트]]와 [[테라리아/재료#티타늄|티타늄]]을 채굴할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오리칼쿰 곡괭이)][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Orichalcum Pickaxe, 한=오리칼쿰 곡괭이, 곡=165, v=1.2, 희소=lightcoral, ID=1195, 유형=도구, 자동=↻, 과정=ⓗ, 공=17, 시=25, 속=빠름, 넉=5, 강=보통, 치=4, 툴탐=9)][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오리칼쿰 주괴, 문서=재료, h=16px)] (18)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테라리아/재료#아다만타이트|아다만타이트]]와 [[테라리아/재료#티타늄|티타늄]]을 채굴할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아다만타이트 곡괭이)][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Adamantite Pickaxe, 한=아다만타이트 곡괭이, 곡=180, v=1.2, 희소=lightcoral, ID=778, 유형=도구, 자동=↻, 과정=ⓗ, 공=20, 시=25, 속=빠름, 넉=5, 강=보통, 치=4, 툴탐=8)][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아다만타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18)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하드모드의 세 번째 곡괭이이다. 이전 티어 곡괭이인 미스릴/오리칼쿰 곡괭이에서 추가로 채굴 가능한 광물이 없기 때문에 아다만타이트를 아끼고 싶다면 제작하지 않는 것이 좋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티타늄 곡괭이)][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Titanium Pickaxe, 한=티타늄 곡괭이, 곡=190, v=1.2, 희소=lightcoral, ID=1202, 유형=도구, 자동=↻, 과정=ⓗ, 공=27, 시=25, 속=빠름, 넉=5, 강=보통, 치=4, 툴탐=7)][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티타늄 주괴, 문서=재료, h=16px)] (20)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아다만타이트 곡괭이보다 주괴를 2개 더 요구하고, 이전 티어 곡괭이인 미스릴/오리칼쿰 곡괭이에서 추가로 채굴 가능한 광물이 없기 때문에 티타늄을 아끼고 싶다면 제작하지 않는 것이 좋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녹조류 곡괭이)][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Chlorophyte Pickaxe, 한=녹조류 곡괭이, 곡=200, v=1.2, 희소=lime, ID=1230, 유형=도구, 자동=↻, 과정=ⓗ, 공=40, 시=25, 속=빠름, 넉=5, 강=보통, 치=4, 툴탐=7, 보너스=+1)][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녹조류 주괴, 문서=재료, h=16px)] (18)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이전 단계 곡괭이에서 추가로 채굴 가능한 광물은 없지만 범위가 한 칸 늘어나 양쪽 6블록, 상하 4블록의 채광 범위를 가진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유령의 곡괭이)][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Spectre Pickaxe, 한=유령의 곡괭이, 곡=200, v=1.2, 희소=yellow, ID=1506, 유형=도구, 자동=↻, 과정=ⓗ, 공=32, 시=24, 속=빠름, 넉=5.25, 강=보통, 치=4, 툴탐=10, 보너스=+3)][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유령의 주괴, 문서=재료, h=16px)] (18)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범위가 세 칸이나 늘어나 양쪽 8블록, 상하 6블록의 채광 범위를 가진다.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루미나이트 곡괭이)][anchor(태양 플레어 곡괭이)][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Solar Flare Pickaxe, 한=태양 플레어 곡괭이, 사진=Terraria/SolarFlarePickaxe.png, 곡=225, v=1.3.0.1, 희소=red, ID=2786, 유형=도구, 자동=↻, 과정=ⓗ, 공=80, 시=12, 속=매우 빠름, 넉=5.5, 강=보통, 치=4, 툴탐=6, 보너스=+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태양의 파편, 문서=재료, h=16px)] (12) + [include(틀:t캡션, 이름=루미나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10)[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가구, h=16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소용돌이의 곡괭이)][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Vortex Pickaxe, 한=소용돌이의 곡괭이, 사진=Terraria/VortexPickaxe.png, 곡=225, v=1.3.0.1, 희소=red, ID=2786, 유형=도구, 자동=↻, 과정=ⓗ, 공=80, 시=12, 속=매우 빠름, 넉=5.5, 강=보통, 치=4, 툴탐=6, 보너스=+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소용돌이의 파편, 문서=재료, h=16px)] (12) + [include(틀:t캡션, 이름=루미나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10)[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가구, h=16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성운의 곡괭이)][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Nebula Pickaxe, 한=성운의 곡괭이, 사진=Terraria/NebulaPickaxe.png, 곡=225, v=1.3.0.1, 희소=red, ID=2786, 유형=도구, 자동=↻, 과정=ⓗ, 공=80, 시=12, 속=매우 빠름, 넉=5.5, 강=보통, 치=4, 툴탐=6, 보너스=+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성운의 파편, 문서=재료, h=16px)] (12) + [include(틀:t캡션, 이름=루미나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10)[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가구, h=16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소성단의 곡괭이)][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Stardust Pickaxe, 한=소성단의 곡괭이, 사진=Terraria/StardustPickaxe.png, 곡=225, v=1.3.0.1, 희소=red, ID=2786, 유형=도구, 자동=↻, 과정=ⓗ, 공=80, 시=12, 속=매우 빠름, 넉=5.5, 강=보통, 치=4, 툴탐=6, 보너스=+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소성단의 파편, 문서=재료, h=16px)] (12) + [include(틀:t캡션, 이름=루미나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10)[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가구, h=16px)]}}}|| 가장 높은 등급의 곡괭이. 채광 범위가 '''4칸''' 증가한다. === 드릴[anchor(드릴)] === [[테라리아/시스템#하드모드|하드모드]]에서만 얻을 수 있는 기계형 곡괭이. 곡괭이처럼 휘두르는 방식이 아닌 발사체를 생성해서 마우스가 향하는 방향으로 돌아가는 방식이다. [[#전기톱|전기톱]], [[#녹조류 착암기|착암기]], [[#드랙스|드랙스]] 같은 돌아가는 방식의 도구는 뒤돌아서 블록 채굴이 불가능하며, 블록을 채광하면서 동시에 뒤에 있는 적을 공격하는 게 불가능하다. 휘두르는 게 아닌 드릴을 가져다대기 때문에 공격 범위가 좁고 넉백도 약하며, 공격력도 대체로 낮다. 이전에는 채굴 속도까지 낮아 기피되었지만, [[테라리아/버전#1.4|1.4]] 패치로 밸런스가 조정되어 [[https://www.youtube.com/watch?v=t1NwqgRc2NE|곡괭이보다 사거리가 2블록 짧아진 대신 채굴 속도가 훨씬 빨라졌다.]] 그러나 드릴은 채굴 속도 버프에 영향을 받지 못하는고로 채굴 속도를 올려주는 채굴 포션이나 고대의 끌, 썬,문스톤 장신구나 조각 케익같은 가구들을 사용한다면 여전히 곡괭이에 비해 밀린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코발트 드릴)][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Cobalt Drill, 한=코발트 드릴, 사진=Terraria/CobaltDrill.png, 곡=110, v=1.1, 희소=lightcoral, ID=385, 유형=도구, 자동=↻, 과정=ⓗ, 공=10, 시=15, 속=매우 빠름, 넉=0, 강=없음, 치=4, 툴탐=7, 보너스=-1)][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코발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15)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첫 번째 드릴이다. [[테라리아/재료#미스릴|미스릴]]과 [[테라리아/재료#오리칼쿰|오리칼쿰 광석]]을 채굴할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팔라듐 드릴)][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Palladium Drill, 한=팔라듐 드릴, 곡=130, v=1.2, 희소=lightcoral, ID=1189, 유형=도구, 자동=↻, 과정=ⓗ, 공=12, 시=15, 속=매우 빠름, 넉=0, 강=없음, 치=4, 툴탐=7, 보너스=-1)][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팔라듐 주괴, 문서=재료, h=16px)] (18)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테라리아/재료#미스릴|미스릴]]과 [[테라리아/재료#오리칼쿰|오리칼쿰 광석]]을 채굴할 수 있다. 모바일의 경우, 이보다 상위 광물인 티타늄과 아다만타이트를 채굴할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미스릴 드릴)][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Mythril Drill, 한=미스릴 드릴, 사진=Terraria/MythrilDrill.png, 곡=150, v=1.1, 희소=lightcoral, ID=386, 유형=도구, 자동=↻, 과정=ⓗ, 공=15, 시=15, 속=매우 빠름, 넉=0, 강=없음, 치=4, 툴탐=6, 보너스=-1)][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미스릴 주괴, 문서=재료, h=16px)] (15)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두 번째 드릴이다. 아다만타이트와 티타늄을 채굴할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오리칼쿰 드릴)][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Orichalcum Drill, 한=오리칼쿰 드릴, 곡=165, v=1.2, 희소=lightcoral, ID=1196, 유형=도구, 자동=↻, 과정=ⓗ, 공=17, 시=15, 속=매우 빠름, 넉=0, 강=없음, 치=4, 툴탐=5)][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오리칼쿰 주괴, 문서=재료, h=16px)] (18)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아다만타이트와 티타늄을 채굴할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아다만타이트 드릴)][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Adamantite Drill, 한=아다만타이트 드릴, 사진=Terraria/AdamantiteDrill.png, 곡=180, v=1.1, 희소=lightcoral, ID=388, 유형=도구, 자동=↻, 과정=ⓗ, 공=20, 시=15, 속=매우 빠름, 넉=0, 강=없음, 치=4, 툴탐=4, 보너스=-1)][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아다만타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18)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세 번째 드릴이다. 추가로 채굴 가능한 광물이 없기 때문에 아다만타이트를 아끼고 싶다면 제작하지 않는 것이 좋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티타늄 드릴)][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Titanium Drill, 한=티타늄 드릴, 곡=190, v=1.2, 희소=lightcoral, ID=1203, 유형=도구, 자동=↻, 과정=ⓗ, 공=27, 시=15, 속=매우 빠름, 넉=0, 강=없음, 치=4, 툴탐=4, 보너스=-1)][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티타늄 주괴, 문서=재료, h=16px)] (20)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추가로 채굴 가능한 광물이 없기 때문에 티타늄을 아끼고 싶다면 제작하지 않는 것이 좋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녹조류 드릴)][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Chlorophyte Drill, 한=녹조류 드릴, 사진=Terraria/ChlorophyteDrill.png, 곡=200, v=1.2, 희소=lime, ID=1231, 유형=도구, 자동=↻, 과정=ⓗ, 공=35, 시=15, 속=매우 빠름, 넉=1, 강=극도로 약함, 치=4, 툴탐=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녹조류 주괴, 문서=재료, h=16px)] (18)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이 드릴부터 범위 페널티가 없어지며, 드랙스보다 범위가 1칸씩 상향되었으나 나무를 베지 못한다는 단점은 아쉽다. 넉백 수치가 없어 최고 수식어가 Demonic인 다른 드릴과는 달리 넉백이 존재하므로 최고 수식어는 Godly이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레이저 드릴)][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Laser Drill, 한=레이저 드릴, 사진=Terraria/LaserDrill.png, 곡=200, v=1.3.0.1, 희소=yellow, ID=2798, 유형=도구, 과정=ⓗ, 공=35, 시=25, 속=빠름, 넉=4.75, 강=보통, 치=4, 툴탐=6, 보너스=+11)][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레이 거너, 사진=RayGunner.png, 문서=이벤트,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브레인 스크램블러, 사진=BrainScrambler.png, 문서=이벤트,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그레이 그런트, 사진=GrayGrunt.png, 문서=이벤트,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기가재퍼, 사진=Gigazapper.png, 문서=이벤트,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화성인 엔지니어, 사진=MartianEngineer.png, 문서=이벤트,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화성인 장교, 사진=MartianOfficer.png, 문서=이벤트,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화성인 워커, 문서=이벤트, h=36px)] (0.13%)}}}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Laser_drill_reach.gif]] [[테라리아/블록#리자드 벽돌|리자드 벽돌]]을 포함한 모든 블록을 캘 수 있고 채광 범위가 최대 10블록이다. 이동하지 않고도 블록이나 가구를 파괴 및 회수하는 것이 가능해 건축용으로 자주 활용된다. 근접 무기이므로 블록으로 막혀 있다면 공격을 가할 수 없다.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루미나이트 드릴)][anchor(태양 플레어 드릴)][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Solar Flare Drill, 한=태양 플레어 드릴, 곡=225, v=1.3.0.1, 희소=red, ID=2784, 유형=도구, 자동=↻, 과정=ⓗ, 공=50, 시=15, 속=매우 빠름, 넉=0, 강=없음, 치=4, 툴탐=2, 보너스=+2)][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태양의 파편, 문서=재료, h=16px)] (12) + [include(틀:t캡션, 이름=루미나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10)[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가구, h=16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소용돌이의 드릴)][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Vortex Drill, 한=소용돌이의 드릴, 곡=225, v=1.3.0.1, 희소=red, ID=2784, 유형=도구, 자동=↻, 과정=ⓗ, 공=50, 시=15, 속=매우 빠름, 넉=0, 강=없음, 치=4, 툴탐=2, 보너스=+2)][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소용돌이의 파편, 문서=재료, h=16px)] (12) + [include(틀:t캡션, 이름=루미나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10)[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가구, h=16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성운의 드릴)][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Nebula Drill, 한=성운의 드릴, 곡=225, v=1.3.0.1, 희소=red, ID=2784, 유형=도구, 자동=↻, 과정=ⓗ, 공=50, 시=15, 속=매우 빠름, 넉=0, 강=없음, 치=4, 툴탐=2, 보너스=+2)][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성운의 파편, 문서=재료, h=16px)] (12) + [include(틀:t캡션, 이름=루미나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10)[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가구, h=16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소성단의 드릴)][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Stardust Drill, 한=소성단의 드릴, 곡=225, v=1.3.0.1, 희소=red, ID=2784, 유형=도구, 자동=↻, 과정=ⓗ, 공=50, 시=15, 속=매우 빠름, 넉=0, 강=없음, 치=4, 툴탐=2, 보너스=+2)][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소성단의 파편, 문서=재료, h=16px)] (12) + [include(틀:t캡션, 이름=루미나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10)[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가구, h=16px)]}}}|| 가장 높은 등급의 드릴. 녹조류 드릴의 채굴 범위에서 채굴 범위가 2칸 증가한다. 원래 이 아이템은 [[테라리아/버전#1.3|1.3]] 버전에 더미 데이터로 추가되었지만 정상적인 획득 방법이 존재하지 않았다가 [[테라리아/버전#1.4|1.4]] 버전에서 정식으로 추가되었다. == 도끼류[anchor(도끼)] == 도구의 종류 중 하나로 [[테라리아/블록#나무|나무]]와 [[테라리아/블록#선인장|선인장]]을 벨 수 있는 도구이다. 게임 초중반에 나무를 얻기 위해 사용되며 일부 도끼와 전기톱은 특성상 전투용으로도 쓸 수 있다. === 도끼 === 게임 초중반에 사용되는 도구이다. 테라리아 내에서 가장 중요한 도구는 곡괭이이지만, [[테라리아/블록#나무|나무]]를 얻기 위해서는 도끼가 필수적이다. 캐릭터를 새로 만들 경우 구리 도끼가 지급된다. 데이터 상에 태양 플레어/소용돌이의/성운의/소성단의 도끼가 있지만 게임 내에서 얻을 방법이 전혀 없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구리 도끼)][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Copper Axe, 한=구리 도끼, 도=35, v=1.0, 희소=white, ID=3506, 유형=도구\, 재료, 자동=↻, 공=3, 시=30, 속=보통, 넉=4.5, 강=보통, 치=4, 툴탐=21, 보너스=-1)][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구리 주괴, 문서=재료, h=16px)] (6) + [include(틀:t캡션, 이름=아무 종류의 나무, 확장자=gif, 문서=블록, h=16px)] (3)[br]@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상인, 문서=NPC, h=24px)] (4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최초로 스폰 시 인벤토리에 자동 지급[br](여행 모드 제외)}}} 새로운 캐릭터를 만들 경우 새롭게 지급되는 도구로 가장 낮은 등급의 도끼이다. 벌목 범위가 1칸 좁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주석 도끼)][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Tin Axe, 한=주석 도끼, 도=40, v=1.2, 희소=white, ID=3500, 유형=도구\, 재료, 자동=↻, 공=4, 시=28, 속=보통, 넉=4.5, 강=보통, 치=4, 툴탐=20)][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주석 주괴, 문서=재료, h=16px)] (6) + [include(틀:t캡션, 이름=아무 종류의 나무, 확장자=gif, 문서=블록, h=16px)] (3)[br]@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주석 곡괭이|주석 곡괭이]]와 마찬가지로 벌목 범위 패널티가 없긴 하나, 도끼는 범위가 아까울 일이 거의 없기 때문에 주석이 썩어넘치지 않는 이상 만들 일은 없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철 도끼)][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Iron Axe, 한=철 도끼, 도=45, v=1.0, 희소=white, ID=10, 유형=도구, 자동=↻, 공=5, 시=27, 속=보통, 넉=4.5, 강=보통, 치=4, 툴탐=19)][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철 주괴, 문서=재료, h=16px)] (8) + [include(틀:t캡션, 이름=아무 종류의 나무, 확장자=gif, 문서=블록, h=16px)] (3)[br]@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최초로 스폰 시 인벤토리에 자동 지급[br](여행 모드에서)}}} 구리/주석 도끼보다 높으며, 은/텅스텐 도끼보다 낮은 등급의 도끼.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납 도끼)][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Lead Axe, 한=납 도끼, 도=50, v=1.2, 희소=white, ID=3494, 유형=도구, 자동=↻, 공=6, 시=28, 속=보통, 넉=4.5, 강=보통, 치=4, 툴탐=19)][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납 주괴, 문서=재료, h=16px)] (8) + [include(틀:t캡션, 이름=아무 종류의 나무, 확장자=gif, 문서=블록, h=16px)] (3)[br]@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철 도끼의 대체 도끼.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은 도끼)][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Silver Axe, 한=은 도끼, 도=50, v=1.0, 희소=white, ID=3512, 유형=도구, 자동=↻, 공=6, 시=26, 속=보통, 넉=4.5, 강=보통, 치=4, 툴탐=18)][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은 주괴, 문서=재료, h=16px)] (8) + [include(틀:t캡션, 이름=아무 종류의 나무, 확장자=gif, 문서=블록, h=16px)] (3)[br]@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철/납 도끼보다 높으며, 금/백금 도끼보다 낮은 등급의 도끼.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텅스텐 도끼)][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Tungsten Axe, 한=텅스텐 도끼, 도=55, v=1.2, 희소=white, ID=3488, 유형=도구, 자동=↻, 공=7, 시=26, 속=보통, 넉=4.5, 강=보통, 치=4, 툴탐=18)][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텅스텐 주괴, 문서=재료, h=16px)] (8) + [include(틀:t캡션, 이름=아무 종류의 나무, 확장자=gif, 문서=블록, h=16px)] (3)[br]@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은 도끼의 대체 도끼. 금 도끼와 성능이 동일하므로 텅스텐과 금이 같이 존재하는 세계에선 금 도끼를 안 만들어도 된다. 모바일에서는 어째 텡스텐 도끼라고 나온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금 도끼)][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Gold Axe, 한=금 도끼, 도=55, v=1.0, 희소=white, ID=3518, 유형=도구, 자동=↻, 공=7, 시=26, 속=보통, 넉=4.5, 강=보통, 치=4, 툴탐=18)][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금 주괴, 문서=재료, h=16px)] (8) + [include(틀:t캡션, 이름=아무 종류의 나무, 확장자=gif, 문서=블록, h=16px)] (3)[br]@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은/텅스텐 도끼보다 높은 등급의 도끼.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백금 도끼)][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Platinum Axe, 한=백금 도끼, 도=60, v=1.2, 희소=white, ID=3482, 유형=도구, 자동=↻, 공=8, 시=25, 속=빠름, 넉=4.5, 강=보통, 치=4, 툴탐=17)][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백금 주괴, 문서=재료, h=16px)] (8) + [include(틀:t캡션, 이름=아무 종류의 나무, 확장자=gif, 문서=블록, h=16px)] (3)[br]@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금 도끼의 대체 도끼.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밤의 전투도끼)][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War Axe of the Night, 한=밤의 전투도끼, 도=75, v=1.0, 희소=blue, ID=45, 유형=도구, 자동=↻, 공=20, 시=30, 속=보통, 넉=6, 강=보통, 치=4, 툴탐=15)][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데모나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10)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금/백금 도끼보다 높은, 다섯 번째 등급의 도끼이다. 공격력과 넉백이 좋아서 데모나이트 무기인 빛의 파멸 대신 쓰이기도 한다. 일반 무기와 유사하게 공격 중 방향 전환이 불가하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욕망의 핏덩어리)][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Blood Lust Cluster, 한=욕망의 핏덩어리, 도=75, v=1.2, 희소=blue, ID=799, 유형=도구, 자동=↻, 공=22, 시=32, 속=느림, 넉=6, 강=보통, 치=4, 툴탐=15)][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크림테인 주괴, 문서=재료, h=16px)] (10)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밤의 전투도끼|밤의 전투도끼]]와 마찬가지로 공격력과 넉백이 좋고, 누르고 있으면 계속 공격이 나오므로 좋은 수식어가 부여되었다면 무기를 대신할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도끼 루시)][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Lucy the Axe, 한=도끼 루시, 도=150, v=1.4.3, 희소=green, ID=5095, 유형=도구, 자동=↻, 공=26, 시=17, 속=매우 빠름, 넉=5, 강=보통, 치=14, 툴탐=17)][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외눈사슴, 사진=Deerclops.png, 문서=보스, h=36px)] (25%)}}} 하드모드 이전에 얻을 수 있는 도끼임에도 불구하고 픽소우를 능가하는 '''150%'''라는 도끼 효율을 자랑하며, 벌목 속도도 백금 도끼와 비슷한 수준으로 하드모드 이전 도끼로서는 준수한 편이다. 한편 공격력이 높고 공격 속도도 도끼치곤 독보적인 수준이라 무기로서도 훌륭하다. 능력치로 따지면 [[테라리아/무기/근접 무기#무라마사|무라마사]]와 비슷하다. '루시'라는 이름은 [[Don't Starve]]의 [[우디(Don't Starve)|우디]]가 쓰는 전용 도끼에서 따온 것으로, 플레이어가 나무를 베는 것을 포함한 다양한 행동에 대응해 '''[[에고소드|말을 한다]].''' [[https://terraria.wiki.gg/wiki/Lucy_the_Axe|공식 위키의 대사 목록]]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재성장의 도끼)][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Axe of Regrowth, 한=재성장의 도끼, 도=150, v=1.4.4, 희소=lightcoral, ID=5295, 유형=도구, 자동=↻, 공=20, 시=24, 속=빠름, 넉=5, 강=보통, 치=4, 툴탐=12)][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재성장의 스태프, 문서=무기/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구리 도끼, 사진=CopperAxe.png, 문서=도구/기본 도구,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주석 도끼, 사진=TinAxe.png, 문서=도구/기본 도구,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정글 포자, 문서=재료, h=16px)] (12) + [include(틀:t캡션, 이름=덩굴, 문서=재료, h=16px)] (3) @ [include(틀:t캡션, 이름=작업대, 문서=가구, h=14px)]}}} [[테라리아/무기/근접 무기#재성장의 스태프|재성장의 스태프]]와 도끼의 성능을 둘 다 가지는 도구. 추가로, 잘린 나무 아래에 바로 도토리 소모 없이 묘목을 설치한다. 다만 [[테라리아/블록#보석 도토리|보석 나무]]는 잘라도 묘목을 설치해주지 않으며, 특수한 묘목으로 키운 [[테라리아/블록#버드나무 묘목|장식용 나무]]도 일반 묘목을 심는다. 도끼로써의 성능도 출중하고, 재성장의 스태프의 효과를 이어받아 허브 농장에서 써먹을 수 있으며, 귀찮게 나무를 벤 이후 도토리를 쓸 필요를 없애 주는 등 하드모드 이전 도끼임에도 최강의 도끼인 [[#디 액스|디 액스]] 전까지 모든 도끼를 스킵해도 될 정도로 강력한 성능을 가졌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코발트 전투도끼)][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Cobalt Waraxe, 한=코발트 전투도끼, 사진=Terraria/CobaltWaraxe.png, 도=70, v=1.2, 희소=lightcoral, ID=991, 유형=도구, 자동=↻, 과정=ⓗ, 공=33, 시=35, 속=느림, 넉=5, 강=보통, 치=4, 툴탐=13)][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코발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10)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하드모드 도끼 중 첫 번째 도끼이다. [[테라리아/버전#1.3.1|1.3.1]] 이후 스프라이트가 미세하게 밝아졌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팔라듐 전투도끼)][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Palladium Waraxe, 한=팔라듐 전투도끼, 도=75, v=1.2, 희소=lightcoral, ID=1222, 유형=도구, 자동=↻, 과정=ⓗ, 공=36, 시=35, 속=느림, 넉=5.5, 강=보통, 치=4, 툴탐=12)][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팔라듐 주괴, 문서=재료, h=16px)] (12)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코발트의 대체 광물인 팔라듐으로 만들 수 있는 도끼이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미스릴 전투도끼)][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Mythril Waraxe, 한=미스릴 전투도끼, 사진=Terraria/MythrilWaraxe.png, 도=85, v=1.2, 희소=lightcoral, ID=992, 유형=도구, 자동=↻, 과정=ⓗ, 공=39, 시=35, 속=느림, 넉=6, 강=보통, 치=4, 툴탐=10)][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미스릴 주괴, 문서=재료, h=16px)] (10)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하드모드 도끼 중 두 번째 도끼이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오리칼쿰 전투도끼)][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Orichalcum Waraxe, 한=오리칼쿰 전투도끼, 도=90, v=1.2, 희소=lightcoral, ID=1223, 유형=도구, 자동=↻, 과정=ⓗ, 공=41, 시=35, 속=느림, 넉=6.5, 강=강함, 치=4, 툴탐=9)][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오리칼쿰 주괴, 문서=재료, h=16px)] (12)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미스릴의 대체 광물인 오리칼쿰으로 만들 수 있는 도끼이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아다만타이트 전투도끼)][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Adamantite Waraxe, 한=아다만타이트 전투도끼, 사진=Terraria/AdamantiteWaraxe.png, 도=100, v=1.2, 희소=lightcoral, ID=993, 유형=도구, 자동=↻, 과정=ⓗ, 공=43, 시=35, 속=느림, 넉=7, 강=강함, 치=4, 툴탐=8)][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아다만타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12)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하드모드 도끼 중 세 번째 도끼이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티타늄 전투도끼)][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Titanium Waraxe, 한=티타늄 전투도끼, 도=105, v=1.2, 희소=lightcoral, ID=1224, 유형=도구, 자동=↻, 과정=ⓗ, 공=44, 시=35, 속=느림, 넉=7.5, 강=매우 강함, 치=4, 툴탐=7)][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티타늄 주괴, 문서=재료, h=16px)] (13)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아다만타이트의 대체 광물인 티타늄으로 만들 수 있는 도끼이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녹조류 대형도끼)][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Chlorophyte Greataxe, 한=녹조류 대형도끼, 사진=Terraria/ChlorophyteGreataxe.png, 도=115, v=1.2, 희소=lime, ID=1233, 유형=도구, 자동=↻, 과정=ⓗ, 공=70, 시=30, 속=보통, 넉=7, 강=강함, 치=4, 툴탐=7, 보너스=+1)][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녹조류 주괴, 문서=재료, h=16px)] (18)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하드모드 도끼 중 네 번째 도끼이다. === 전기톱[anchor(전기톱)] === 도끼의 기계형이며, 톱상어를 제외한 모든 전기톱은 [[테라리아/시스템#하드모드|하드모드]]에서만 얻을 수 있다. 도끼처럼 휘두르는 방식이 아닌 발사체를 생성하여서 마우스가 향하는 방향으로 돌아가는 방식이다. 대개 도끼보다 공격력이 약한 대신 속도가 빠르다. 데이터 상에 태양 플레어/소용돌이의/성운의/소성단의 전기톱이 있지만 게임 내에서 얻을 방법이 전혀 없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톱상어)][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Sawtooth Shark, 한=톱상어, 사진=Terraria/SawtoothShark.png, 도=70, v=1.2.4, 희소=orange, ID=2342, 유형=도구, 공=13, 시=15, 속=매우 빠름, 넉=2.25, 강=매우 약함, 치=4, 툴탐=4, 보너스=-1)][include(틀:t낚시)] [[테라리아/지형#바다|바다]]}}} 전기톱에 속하는 도구 중 유일하게 하드모드 이전에 얻을 수 있다. 능력 면에선 [[#코발트 전투도끼|코발트 전투도끼]]와 동일하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코발트 전기톱)][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Cobalt Chainsaw, 한=코발트 전기톱, 사진=Terraria/CobaltChainsaw.png, 도=70, v=1.1, 희소=lightcoral, ID=383, 유형=도구, 과정=ⓗ, 공=23, 시=15, 속=매우 빠름, 넉=2.75, 강=매우 약함, 치=4, 툴탐=7, 보너스=-1)][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코발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10)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전기톱 중 첫 번째 전기톱이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팔라듐 전기톱)][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Palladium Chainsaw, 한=팔라듐 전기톱, 도=75, v=1.2, 희소=lightcoral, ID=1190, 유형=도구, 과정=ⓗ, 공=26, 시=15, 속=매우 빠름, 넉=2.9, 강=매우 약함, 치=4, 툴탐=7, 보너스=-1)][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팔라듐 주괴, 문서=재료, h=16px)] (12)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코발트의 대체 광물인 팔라듐으로 만들 수 있는 전기톱이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미스릴 전기톱)][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Mythril Chainsaw, 한=미스릴 전기톱, 사진=Terraria/MythrilChainsaw.png, 도=85, v=1.1, 희소=lightcoral, ID=384, 유형=도구, 과정=ⓗ, 공=29, 시=15, 속=매우 빠름, 넉=3, 강=매우 약함, 치=4, 툴탐=6, 보너스=-1)][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미스릴 주괴, 문서=재료, h=16px)] (10)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전기톱 중 두 번째 전기톱이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오리칼쿰 전기톱)][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Orichalcum Chainsaw, 한=오리칼쿰 전기톱, 도=90, v=1.2, 희소=lightcoral, ID=1197, 유형=도구, 과정=ⓗ, 공=31, 시=15, 속=매우 빠름, 넉=3.75, 강=약함, 치=4, 툴탐=5, 보너스=-1)][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오리칼쿰 주괴, 문서=재료, h=16px)] (12)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미스릴의 대체 광물인 오리칼쿰으로 만들 수 있는 전기톱이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아다만타이트 전기톱)][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Adamantite Chainsaw, 한=아다만타이트 전기톱, 사진=Terraria/AdamantiteChainsaw.png, 도=100, v=1.1, 희소=lightcoral, ID=387, 유형=도구, 과정=ⓗ, 공=33, 시=15, 속=매우 빠름, 넉=4.5, 강=보통, 치=4, 툴탐=4, 보너스=-1)][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아다만타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12)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전기톱 중 세 번째 전기톱이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티타늄 전기톱)][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Titanium Chainsaw, 한=티타늄 전기톱, 도=105, v=1.2, 희소=lightcoral, ID=1204, 유형=도구, 과정=ⓗ, 공=34, 시=15, 속=매우 빠름, 넉=4.6, 강=보통, 치=4, 툴탐=4, 보너스=-1)][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티타늄 주괴, 문서=재료, h=16px)] (13)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아다만타이트의 대체 광물인 티타늄으로 만들 수 있는 전기톱이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녹조류 전기톱)][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Chlorophyte Chainsaw, 한=녹조류 전기톱, 사진=Terraria/ChlorophyteChainsaw.png, 도=115, v=1.2, 희소=lime, ID=1232, 유형=도구, 과정=ⓗ, 공=50, 시=15, 속=매우 빠름, 넉=4.6, 강=보통, 치=4, 툴탐=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녹조류 주괴, 문서=재료, h=16px)] (18)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전기톱 중 네 번째 전기톱이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도살자의 전기톱)][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Butcher's Chainsaw, 한=도살자의 전기톱, 도=150, v=1.3.0.1, 희소=yellow, ID=3098, 유형=도구, 과정=ⓗ, 공=120, 시=15, 속=매우 빠름, 넉=8, 강=매우 강함, 치=4, 툴탐=4, 보너스=-1)][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도살자, 문서=이벤트, h=24px)] (2.5%)}}} 도구치고는 공격력이 무시무시할 정도로 높으며 공격 성공 시 불똥이 튀면서 주변에 있는 적에게 추가적인 피해를 입히고 [[테라리아/시스템#지옥불|지옥불]] 상태를 건다. 넉백이 강해서 넉백 저항이 없는 일반 몹들로부터는 피격을 잘 허용하지 않는다. 불똥은 [[테라리아/무기/마법 무기#반짝임의 완드|반짝임의 완드]]의 발사체와 동일하므로 마법 공격에 대한 효과를 받는다. 모티브는 당연히 [[텍사스 전기톱 학살]].또한 의외로 도구로써 성능도 충실하다. 픽소우보다 나무 캐는 속도가 근소히 빠른데다 루나 햄엑스는 얻는 시기가 달의 군주를 잡고 나서고 디 액스는 얻기 힘드니 쓸만 하다. == 망치[anchor(망치)] == 도구 중 한 분류로 벽면을 부수고 블록을 반 블록이나 경사면으로 만들 때 사용한다. 생존이 목적인 초반에는 크게 필요가 없는 도구이다. [[테라리아/지형#오염지대|오염지대]]나 [[테라리아/지형#진홍지대|진홍지대]]의 [[테라리아/블록#나무|나무]]로 만들어서 하드모드 이전까지 가도 충분하다. [[테라리아/시스템#하드모드|하드모드]]에선 [[테라리아/가구#악마의/진홍색 제단|악마의/진홍색 제단]]을 [[#완승의 망치|완승의 망치]]로 부수어 하드모드 광물을 생성하는 데 쓰인다. 데이터 상에 태양 플레어/소용돌이의/성운의/소성단의 망치가 있지만 게임 내에서 얻을 방법이 전혀 없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나무 망치)][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Wooden Hammer, 한=나무 망치, 망=25, v=1.0, 희소=white, ID=196, 유형=도구, 자동=↻, 공=2, 시=37, 속=매우 느림, 넉=5.5, 강=보통, 치=4, 툴탐=25, 보너스=-1)][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나무, 문서=블록, h=16px)] (8) @ [include(틀:t캡션, 이름=작업대, 문서=가구, h=14px)]}}}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건축가가 아니라면 초반에는 망치가 별 쓸모가 없으므로 [[#완승의 망치|완승의 망치]]를 얻을 때까진 그냥 이것만 쭉 써도 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아한대나무 망치)][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Boreal Wood Hammer, 한=아한대나무 망치, 망=35, v=1.2.4.1, 희소=white, ID=2746, 유형=도구, 자동=↻, 공=4, 시=33, 속=느림, 넉=5.5, 강=보통, 치=4, 툴탐=23)][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아한대나무, 문서=블록, h=16px)] (8) @ [include(틀:t캡션, 이름=작업대, 문서=가구, h=14px)]}}}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마호가니 망치)][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Rich Mahogany Hammer, 한=마호가니 망치, 망=35, v=1.2, 희소=white, ID=657, 유형=도구, 자동=↻, 공=4, 시=33, 속=느림, 넉=5.5, 강=보통, 치=4, 툴탐=23)][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진한 마호가니, 문서=블록, h=16px)] (8) @ [include(틀:t캡션, 이름=작업대, 문서=가구, h=14px)]}}}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야자나무 망치)][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Palm Wood Hammer, 한=야자나무 망치, 망=35, v=1.2.4, 희소=white, ID=2516, 유형=도구, 자동=↻, 공=4, 시=33, 속=느림, 넉=5.5, 강=보통, 치=4, 툴탐=23)][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야자나무, 문서=블록, h=16px)] (8) @ [include(틀:t캡션, 이름=작업대, 문서=가구, h=14px)]}}} [[#구리 망치|구리 망치]]와 동일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칠흑나무 망치)][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Ebonwood Hammer, 한=칠흑나무 망치, 망=40, v=1.2, 희소=white, ID=654, 유형=도구, 자동=↻, 공=7, 시=30, 속=보통, 넉=5.5, 강=보통, 치=4, 툴탐=20)][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칠흑나무, 문서=블록, h=16px)] (8) @ [include(틀:t캡션, 이름=작업대, 문서=가구, h=14px)]}}}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그늘나무 망치)][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Shadewood Hammer, 한=그늘나무 망치, 망=40, v=1.2, 희소=white, ID=922, 유형=도구, 자동=↻, 공=7, 시=30, 속=보통, 넉=5.5, 강=보통, 치=4, 툴탐=20)][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그늘나무, 문서=블록, h=16px)] (8) @ [include(틀:t캡션, 이름=작업대, 문서=가구, h=14px)]}}} [[#철 망치|철 망치]]와 동일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잿빛나무 망치)][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Ash Wood Hammer, 한=잿빛나무 망치, 망=45, v=1.4.4, 희소=white, ID=5283, 유형=도구, 자동=↻, 공=9, 시=30, 속=보통, 넉=5.5, 강=보통, 치=4, 툴탐=20)][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잿빛 나무, 사진=AshWood.png, 문서=블록, h=16px)] (8) @ [include(틀:t캡션, 이름=작업대, 문서=가구, h=14px)]}}}.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진주나무 망치)][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Pearlwood Hammer, 한=진주나무 망치, 망=45, v=1.2, 희소=white, 과정=ⓗ, ID=660, 유형=도구, 자동=↻, 공=9, 시=29, 속=보통, 넉=5.5, 강=보통, 치=4, 툴탐=19)][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진주나무, 문서=블록, h=16px)] (8) @ [include(틀:t캡션, 이름=작업대, 문서=가구, h=14px)]}}} [[#은 망치|은 망치]]와 동일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구리 망치)][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Copper Hammer, 한=구리 망치, 망=35, v=1.0, 희소=white, ID=3505, 유형=도구, 자동=↻, 공=4, 시=33, 속=느림, 넉=5.5, 강=보통, 치=4, 툴탐=23, 보너스=-1)][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구리 주괴, 문서=재료, h=16px)] (8) + [include(틀:t캡션, 이름=아무 종류의 나무, 확장자=gif, 문서=블록, h=16px)] (3)[br]@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다른 구리 도구들과는 달리 기본으로 제공되지 않는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주석 망치)][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Tin Hammer, 한=주석 망치, 망=38, v=1.2, 희소=white, ID=3499, 유형=도구, 자동=↻, 공=6, 시=31, 속=느림, 넉=5.5, 강=보통, 치=4, 툴탐=21)][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주석 주괴, 문서=재료, h=16px)] (8) + [include(틀:t캡션, 이름=아무 종류의 나무, 확장자=gif, 문서=블록, h=16px)] (3)[br]@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철 망치)][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Iron Hammer, 한=철 망치, 망=40, v=1.0, 희소=white, ID=7, 유형=도구, 자동=↻, 공=7, 시=30, 속=보통, 넉=5.5, 강=보통, 치=4, 툴탐=20)][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철 주괴, 문서=재료, h=16px)] (8) + [include(틀:t캡션, 이름=아무 종류의 나무, 확장자=gif, 문서=블록, h=16px)] (3)[br]@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최초로 스폰 시 인벤토리에 자동 지급[br](여행 모드에서)}}}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납 망치)][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Lead Hammer, 한=납 망치, 망=43, v=1.2, 희소=white, ID=3493, 유형=도구, 자동=↻, 공=8, 시=29, 속=보통, 넉=5.5, 강=보통, 치=4, 툴탐=19)][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납 주괴, 문서=재료, h=16px)] (8) + [include(틀:t캡션, 이름=아무 종류의 나무, 확장자=gif, 문서=블록, h=16px)] (3)[br]@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은 망치)][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Silver Hammer, 한=은 망치, 망=45, v=1.0, 희소=white, ID=3511, 유형=도구, 자동=↻, 공=9, 시=29, 속=보통, 넉=5.5, 강=보통, 치=4, 툴탐=19)][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은 주괴, 문서=재료, h=16px)] (8) + [include(틀:t캡션, 이름=아무 종류의 나무, 확장자=gif, 문서=블록, h=16px)] (3)[br]@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텅스텐 망치)][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Tungsten Hammer, 한=텅스텐 망치, 망=50, v=1.2, 희소=white, ID=3487, 유형=도구, 자동=↻, 공=9, 시=28, 속=보통, 넉=5.5, 강=보통, 치=4, 툴탐=25)][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텅스텐 주괴, 문서=재료, h=16px)] (8) + [include(틀:t캡션, 이름=아무 종류의 나무, 확장자=gif, 문서=블록, h=16px)] (3)[br]@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금 망치|금 망치]]와 성능이 동일하기 때문에 월드에 텅스텐과 금이 같이 생성되었다면 금 망치를 만들지 않아도 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금 망치)][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Gold Hammer, 한=금 망치, 망=50, v=1.0, 희소=white, ID=3517, 유형=도구, 자동=↻, 공=9, 시=28, 속=보통, 넉=5.5, 강=보통, 치=4, 툴탐=23)][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금 주괴, 문서=재료, h=16px)] (8) + [include(틀:t캡션, 이름=아무 종류의 나무, 확장자=gif, 문서=블록, h=16px)] (3)[br]@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백금 망치)][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Platinum Hammer, 한=백금 망치, 망=59, v=1.2, 희소=white, ID=3481, 유형=도구, 자동=↻, 공=10, 시=27, 속=보통, 넉=5.5, 강=보통, 치=4, 툴탐=21)][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백금 주괴, 문서=재료, h=16px)] (8) + [include(틀:t캡션, 이름=아무 종류의 나무, 확장자=gif, 문서=블록, h=16px)] (3)[br]@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망치 자체의 성능만 보면 [[테라리아/보스#세상을 먹는 자|세상을 먹는 자]]와 [[테라리아/보스#크툴루의 뇌|크툴루의 뇌]]를 잡아야 하는 아래의 두 망치보다도 좋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분해자)][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The Breaker, 한=분해자, 망=55, v=1.0, 희소=blue, ID=104, 유형=도구, 자동=↻, 공=24, 시=45, 속=매우 느림, 넉=6, 강=보통, 치=4, 툴탐=19)][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데모나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10) + [include(틀:t캡션, 이름=그림자 비늘, 문서=재료, h=16px)] (5)[br]@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그림자 비늘이 포함되므로 [[테라리아/보스#세상을 먹는 자|세상을 먹는 자]]를 잡아야 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생살 분쇄기)][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Flesh Grinder, 한=생살 분쇄기, 망=55, v=1.2, 희소=blue, ID=797, 유형=도구, 자동=↻, 공=23, 시=40, 속=매우 느림, 넉=6, 강=보통, 치=4, 툴탐=19)][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크림테인 주괴, 문서=재료, h=16px)] (10) + [include(틀:t캡션, 이름=조직 샘플, 문서=재료, h=16px)] (5)[br]@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조직 샘플이 포함되므로 [[테라리아/보스#크툴루의 뇌|크툴루의 뇌]]를 잡아야 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볼락)][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Rockfish, 한=볼락, 사진=Terraria/Rockfish.png, 망=70, v=1.2.4, 희소=orange, ID=2320, 유형=도구, 자동=↻, 공=24, 시=24, 속=빠름, 넉=6, 강=보통, 치=4, 툴탐=14)][include(틀:t낚시)] [[테라리아/지형#지하|지하]], [[테라리아/지형#대동굴|대동굴]]}}} 낚싯대와 미끼만 있으면 얻을 수 있는데도 성능이 몰튼 햄액스와 동일하다. 하드모드 이전 최고의 망치.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완승의 망치)][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Pwnhammer, 한=완승의 망치, 망=80, v=1.1, 희소=lightcoral, ID=367, 유형=도구, 자동=↻, 과정=ⓗ, 공=26, 시=27, 속=보통, 넉=7.5, 강=매우 강함, 치=4, 툴탐=14)][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월 오브 플레시, 문서=보스, 파생=축소)] (100%)}}} 하드모드 이전 그 어떤 망치보다도 성능이 좋고, [[테라리아/시스템#하드모드|하드모드]]에서 '''[[테라리아/가구#악마의/진홍색 제단|악마의/진홍색 제단]]을 부수기 위해 사용되는 중요한 도구'''이다. 그리고 이보다 더욱 높은 망치 효율을 지닌 모든 망치는 제단을 파괴할 수 있다. [[테라리아/보스#월 오브 플레시|월 오브 플레시]]를 잡으면 반드시 얻을 수 있으니, 실수로 팔아버렸거나 날려먹었으면 다시 잡아서 얻으면 된다. 색상이 신성한 장비 세트와 유사하고 똑같고 휘두를 때 노란 빛이 나는 것을 보아 계획 당시 제작 가능한 [[테라리아/장비/갑옷#신성한 장비|신성한 장비]] 세트에 포함시켰을 것으로 여겨진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해머쉬)][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Hammush, 한=해머쉬, 사진=Terraria/Hammush.png, 망=85, v=1.2, 희소=lime, ID=787, 유형=도구, 자동=↻, 과정=ⓗ, 공=26, 시=27, 속=보통, 넉=7.5, 강=매우 강함, 치=4, 툴탐=14)][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트러플, 문서=NPC, h=24px)] (40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br](아무 [[테라리아/보스#기계 보스|기계 보스]] 격파 이후)}}} [[테라리아/무기/근접 무기#버섯 창|버섯 창]]과 비슷하게 휘두르면 버섯 잔상을 남겨 벽을 관통하는 피해를 준다. [[#완승의 망치|완승의 망치]]보다 성능이 살짝 좋긴 하나 추가로 할 수 있는 게 있는 것도 아니고, 이걸 주 무기로 쓸 것도 아니니 굳이 살 필요는 없다. 망치를 뜻하는 '''Ham'''mer와 버섯을 뜻하는 '''Mush'''room의 합성어이다. 해머쉬 자체는 [[테라리아/버전#1.2|1.2]] 패치 이후 추가되었지만 사실 이 레퍼런스는 팬 만화인 The Legend Of Maxx의 [[http://legendofmaxx.com/archives/499|74화]]에서 먼저 언급된 바 있다. 그래서인지 해당 팬 만화를 아는 사람들이 가서 성지순례를 하기도 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녹조류 전투망치)][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Chlorophyte Warhammer, 한=녹조류 전투망치, 망=90, v=1.2, 희소=lime, 과정=ⓗ, ID=1234, 유형=도구, 자동=↻, 공=80, 시=35, 속=느림, 넉=8, 강=매우 강함, 치=4, 툴탐=14, 보너스=+1)][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녹조류 주괴, 문서=재료, h=16px)] (18)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공격력과 넉백이 매우 강해서 같은 녹조류 주괴로 만드는 [[테라리아/무기/근접 무기#녹조류 클레이모어|클레이모어]]나 [[테라리아/무기/근접 무기#녹조류 기병도|기병도]] 대신 쓰이기도 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녹조류 착암기)][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Chlorophyte Jackhammer, 한=녹조류 착암기, 사진=Terraria/ChlorophyteJackhammer.png, 망=90, v=1.2, 희소=lime, 과정=ⓗ, ID=1262, 유형=도구, 자동=↻, 공=45, 시=25, 속=빠름, 넉=5.2, 강=보통, 치=4, 툴탐=7, 보너스=+1)][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녹조류 주괴, 문서=재료, h=16px)] (18)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테라리아에서 유일한 기계 망치. == 이중 도구[anchor(이중 도구)] == 두 가지의 능력이 합쳐진 도구이다. 곡괭이+도끼의 경우와, 망치+도끼의 경우가 있다. === 곡괭이+도끼 === 곡괭이와 도끼 능력이 합쳐진 도구. [[테라리아/재료#신성한 주괴|신성한 주괴]]로 만드는 도구와 [[테라리아/보스#골렘|골렘]]이 드롭하는 [[#픽소우|픽소우]] 등이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곡괭이 도끼)][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Pickaxe Axe, 한=곡괭이 도끼, 사진=Terraria/PickaxeAxe.png, 곡=200, 도=110, v=1.2, 희소=lightcoral, ID=990, 유형=도구, 과정=ⓗ, 자동=↻, 공=35, 시=25, 속=빠름, 넉=4.75, 강=보통, 치=4, 툴탐=7)][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신성한 주괴, 문서=재료, h=16px)] (18) + [include(틀:t캡션, 이름=공포의 영혼, 문서=재료,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힘의 영혼, 문서=재료,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시야의 영혼, 문서=재료,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하드모드에 처음 진입한 유저가 [[테라리아/재료#녹조류|녹조류 광석]]을 채굴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도구이다. 이름은 단지 곡괭이와 도끼를 그대로 붙인 것으로, [[#드랙스|드랙스]]나 [[#픽소우|픽소우]]처럼 합성어가 아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드랙스)][anchor(아무 드랙스)][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Drax, 한=드랙스, 사진=Terraria/Drax.png, 곡=200, 도=110, v=1.1, 희소=lightcoral, ID=579, 유형=도구, 과정=ⓗ, 자동=↻, 공=35, 시=15, 속=매우 빠름, 넉=4.75, 강=보통, 치=4, 툴탐=4, 보너스=-1)][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신성한 주괴, 문서=재료, h=16px)] (18) + [include(틀:t캡션, 이름=공포의 영혼, 문서=재료,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힘의 영혼, 문서=재료,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시야의 영혼, 문서=재료,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드릴처럼 마우스가 향하는 방향으로 돌아가는 방식이다. 곡괭이 도끼와 마찬가지로 [[테라리아/재료#녹조류|녹조류 광석]]을 채굴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이다. 드릴의 특성상 별다른 버프가 없다면 곡괭이 도끼보다 빠르므로 빠른 채광을 위한다면 드랙스를 만드는 것이 좋다. 버전 [[테라리아/버전#1.2|1.2]] 패치 이전 당시에는 곡괭이, 도끼, 망치 세 개의 모든 기능을 다 갖고 있어서 햄드랙스(Hamdrax, '''Ham'''mer + '''Dr'''ill + '''Axe''')라는 이름이였고 당시 최고의 도구였기에 드랙스에 대한 이야기가 많다. 우선 그 조합법이 [[테라리아/버전#1.3|1.3]] 이후 테라리아에서조차 보기가 드문 '굉장히 많은 아이템'을 요구하는 조합법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그것은 [[#코발트 드릴|코발트 드릴]] + [[#코발트 전기톱|코발트 전기톱]] + [[#미스릴 드릴|미스릴 드릴]] + [[#미스릴 전기톱|미스릴 전기톱]] + [[#아다만타이트 드릴|아다만타이트 드릴]] + [[#아다만타이트 전기톱|아다만타이트 전기톱]] + [[테라리아/재료#힘의 영혼|힘의 영혼]] 1개 + [[테라리아/재료#시야의 영혼|시야의 영혼]] 1개 + [[테라리아/재료#공포의 영혼|공포의 영혼]] 1개이다. 즉 당시에는 드랙스를 만들기 위해 '''[[테라리아/재료#코발트|코발트 광석]] 75개, [[테라리아/재료#미스릴|미스릴 광석]] 100개, [[테라리아/재료#아다만타이트|아다만타이트 광석]] 150개'''를 캐내야 했었다. 1.2 패치 이후 망치의 새로운 기능인 블록 다듬기가 추가되었는데 더 이상 블록을 다듬는 망치와 블록을 부수는 곡괭이의 기능이 함께 어우러질 수가 없게 되어 드랙스(Drax, '''Dr'''ill + '''Axe''')로 변경되었고 당연히 망치 기능도 사라졌다. 그리고 새로 추가된 대체 광물인 [[테라리아/재료#팔라듐|팔라듐]], [[테라리아/재료#오리칼쿰|오리칼쿰]], [[테라리아/재료#티타늄|티타늄]]으로 만든 도구까지 조합법에 넣기가 어려운 모양인지[* 진짜로 팔라듐, 오리칼쿰, 티타늄 도구를 포함시키는 조합법까지 넣는다고 한다면 광물이 기존 광물과 대체 광물이 서로 섞여서 나올 경우도 있으므로 이를 가정한다면 드랙스 하나 만드는 데에 조합의 경우의 수가 8가지로 늘어난다. 물론 재료 한 가지에 동급의 드릴 둘을 대입하고 그것을 '아무 드릴'로 넣는다면 간단하게 구성될 수 있다.] 기계 보스 처치 시 [[테라리아/재료#신성한 주괴|신성한 주괴]]가 나오도록 하였고, 그 [[테라리아/재료#신성한 주괴|신성한 주괴]] 18개로 만들 수 있게 조합법이 이전에 비해 엄청 단순하게 바뀌었다. 하지만 드랙스는 게임 진행에 필요한 녹조류를 캘 수 있는 첫 도구이기에 얻는 방법을 어렵게 하기 위함인지 [[테라리아/버전#1.2.3|1.2.3]] 패치로 삭제된 영혼이 다시 추가되어 1.3과 같은 조합법이 되었다. 1.3 이전 안드로이드 모바일 테라리아에선 '''[[테라리아/지형#|지옥]]의 그림자 상자에서 발견 가능했다.''' 모바일 한정으로는 '''하드모드 이전에 구할 수 있는''' 도구였었다. [[테라리아/소모품#선물 상자|선물 상자]] 개봉 시에도 나온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쉬루마이트 땅파기 손톱)][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Shroomite Digging Claw, 한=쉬루마이트 땅파기 손톱, 사진=Terraria/ShroomiteDiggingClaw.png, 곡=200, 도=125, v=1.2.3, 희소=yellow, ID=2176, 유형=도구, 과정=ⓗ, 자동=↻, 공=45, 시=12, 속=매우 빠름, 넉=6, 강=보통, 치=4, 툴탐=4, 보너스=-1)][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쉬루마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18)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쉬루마이트로 제작할 수 있는 유일한 도구. 모든 곡괭이 중 가장 빠른 채광 속도를 가지고 있으나, 범위가 -1칸으로 [[#구리 곡괭이|구리 곡괭이]]와 동일한 채광 범위를 가지고 있다. 범위가 1칸 좁은 것이 단점이지만 이 도구의 큰 이점은 바로 어마어마하게 빠른 채광 속도이다. 로켓4를 장착한 눈사람 대포와 채굴 탈것을 제외하고는 이 도구만큼 빠른 채굴 속도를 가진 도구가 없을 정도이며, 곡괭이 효율에 관계 없이 채광 속도가 모든 곡괭이 중 가장 빠르기에 수식어를 가벼운(Light)으로 붙이고[* 판매 가격이 겨우 금화 2닢이라서 수식어를 부담없이 붙일 수 있다.] 광부 세트와 광부의 포션으로 채광 버프를 받으면 [[#|드릴 수용 장치]]보다도 빠른 채광 속도를 가질 수가 있게 된다. 특히 스마트 커서를 사용할때 이 도구의 진가가 드러나는데, 미친듯이 빠른 채굴 속도를 보여준다. 터널을 파거나 급하게 땅굴을 팔때 아주 적합하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픽소우)][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Picksaw, 한=픽소우, 곡=210, 도=125, v=1.2, 희소=lime, ID=1294, 유형=도구, 과정=ⓗ, 자동=↻, 공=34, 시=16, 속=매우 빠름, 넉=5.5, 강=보통, 치=4, 툴탐=6, 보너스=+1)][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골렘, 문서=보스, 파생=축소)] (25% / {{{#E80 33.33%}}})}}} [[테라리아/블록#리자드 벽돌|리자드 벽돌]]을 채굴할 수 있으며, 채광 범위가 1칸 향상되었다. 이름의 유래는 '''Pick'''axe(곡괭이) + '''Saw'''(톱)의 합성어. [[테라리아/버전#1.3|1.3]] 패치 이전 [[#디 액스|디 액스]]와 함께 가장 최상위의 도구였고 속도도 [[#쉬루마이트 땅파기 손톱|쉬루마이트 땅파기 손톱]]만큼은 아니지만 그에 버금갈 정도로 빠른게 특징. PC 1.3 이후에는 [[테라리아/이벤트#루나 이벤트|루나 이벤트]]의 재료로 만드는 [[#성운의 곡괭이|루나 곡괭이]]들보다 범위가 좁고 성능이 약간 낮지만, 그 쪽은 우선 '''[[테라리아/이벤트#달의 군주|달의 군주]]를 최소 1번 이상''' 처치해야 얻을 수 있는 반면 픽소우는 골렘을 주구장창 잡기만 하면 얻을 수 있고 [[테라리아/이벤트#화성의 광기|화성의 광기]]에서 얻을 수 있는 [[#레이저 드릴|레이저 드릴]]은 범위가 넓지만 특이한 조작감 때문에 사용이 힘들다. 이 때문에 한 번 픽소우를 얻어둔다면 거의 평생을 쓴다. === 도끼+망치 === 망치와 도끼 능력이 합쳐진 도구. 햄액스 종류와 [[테라리아/보스#플랜테라|플랜테라]]가 드롭하는 디 액스가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운석 햄액스)][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Meteor Hamaxe, 한=운석 햄액스, 망=60, 도=100, v=1.0, 희소=blue, ID=204, 유형=도구, 자동=↻, 공=20, 시=30, 속=보통, 넉=7, 강=강함, 치=4, 툴탐=16)][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운석 주괴, 문서=재료, h=16px)] (20)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최초의 햄액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녹아내린 햄액스)][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Molten Hamaxe, 한=녹아내린 햄액스, 망=70, 도=150, v=1.0, 희소=orange, ID=217, 유형=도구, 자동=↻, 공=20, 시=27, 속=보통, 넉=7, 강=강함, 치=4, 툴탐=1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지옥석 주괴, 문서=재료, h=16px)] (15)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적을 공격할 경우, 10% 확률로 [[테라리아/시스템#불이야!|불이야!]] 디버프를 입힌다. 도끼의 파워가 150%이며 이는 4번만에 [[테라리아/블록#나무|나무]]를 넘어뜨릴 수가 있다. 대신 도구 속도는 하드모드 도끼에 비해 느리므로 실질적으로 나무를 넘어뜨리는 속도는 현저히 느리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출혈의 햄액스)][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Haemorrhaxe, 한=출혈의 햄액스, 망=80, 도=150, v=1.4.0.1, 희소=lightcoral, ID=4317, 유형=도구, 자동=↻, 과정=ⓗ, 공=30, 시=27, 속=보통, 넉=7, 강=강함, 치=4, 툴탐=11)][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피의 장어, 문서=이벤트, 파생=머리,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헤모고블린 상어, 문서=이벤트, h=24px)] (12.5%)}}} 이름은 출혈을 의미하는 영단어인 'Haemorrhage'와 햄액스의 합성어.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유령의 햄액스)][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Spectre Hamaxe, 한=유령의 햄액스, 망=90, 도=150, v=1.2, 희소=yellow, ID=1507, 유형=도구, 자동=↻, 과정=ⓗ, 공=60, 시=28, 속=보통, 넉=7, 강=강함, 치=4, 툴탐=8, 보너스=+3)][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유령의 주괴, 문서=재료, h=16px)] (18)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역시나 다른 유령 도구와 마찬가지로 범위 3칸 증가 옵션이 있다.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루미나이트 햄액스)][anchor(태양 플레어 햄액스)][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Solar Flare Hamaxe, 한=태양 플레어 햄액스, 사진=Terraria/SolarFlareHamaxe.png, 망=100, 도=150, v=1.3.0.1, 희소=red, ID=3522, 유형=도구, 자동=↻, 과정=ⓗ, 공=60, 시=28, 속=보통, 넉=7, 강=강함, 치=4, 툴탐=7, 보너스=+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태양의 파편, 문서=재료, h=16px)] (14) + [include(틀:t캡션, 이름=루미나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12)[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가구, h=16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소용돌이의 햄액스)][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Vortex Hamaxe, 한=소용돌이의 햄액스, 사진=Terraria/VortexHamaxe.png, 망=100, 도=150, v=1.3.0.1, 희소=red, ID=3523, 유형=도구, 자동=↻, 과정=ⓗ, 공=60, 시=28, 속=보통, 넉=7, 강=강함, 치=4, 툴탐=7, 보너스=+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소용돌이의 파편, 문서=재료, h=16px)] (14) + [include(틀:t캡션, 이름=루미나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12)[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가구, h=16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성운의 햄액스)][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Nebula Hamaxe, 한=성운의 햄액스, 사진=Terraria/NebulaHamaxe.png, 망=100, 도=150, v=1.3.0.1, 희소=red, ID=3524, 유형=도구, 자동=↻, 과정=ⓗ, 공=60, 시=28, 속=보통, 넉=7, 강=강함, 치=4, 툴탐=7, 보너스=+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성운의 파편, 문서=재료, h=16px)] (14) + [include(틀:t캡션, 이름=루미나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12)[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가구, h=16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소성단의 햄액스)][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Stardust Hamaxe, 한=소성단의 햄액스, 사진=Terraria/StardustHamaxe.png, 망=100, 도=150, v=1.3.0.1, 희소=red, ID=3525, 유형=도구, 자동=↻, 과정=ⓗ, 공=60, 시=28, 속=보통, 넉=7, 강=강함, 치=4, 툴탐=7, 보너스=+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소성단의 파편, 문서=재료, h=16px)] (14) + [include(틀:t캡션, 이름=루미나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12)[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가구, h=16px)]}}}|| 천체 곡괭이들과 마찬가지로 범위 4칸 증가 옵션이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디 액스)][include(틀:t인포박스/도구, 영=The Axe, 한=디 액스, 망=100, 도=175, v=1.2, 희소=yellow, ID=1305, 유형=도구, 자동=↻, 과정=ⓗ, 공=72, 시=23, 속=빠름, 넉=7.25, 강=매우 강함, 치=4, 툴탐=7, 보너스=+1)][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플랜테라, 문서=보스, 파생=축소)] (2% / {{{#E80 5%}}})}}} 미국의 메탈 밴드 [[판테라]][* [[테라리아/보스#플랜테라|플랜테라]]의 모티브가 바로 식인 식물과 이 밴드이며, 총괄 개발자 Andrew 'Relogic' Redigit의 아내이자 테라리아 개발진의 일원이기도 한 Cenx가 좋아하는 밴드라고 한다.]의 기타리스트였던 [[다임백 대럴]]이 즐겨 사용하던 깁슨 사의 [[플라잉브이]] 기타를 모티브로 하였으며 사용할 때마다 특유의 기타음이 난다. 일단 범위 옵션이 +1밖에 안 되는 대신 속도와 성능이 [[#루미나이트 햄액스|루미나이트 햄액스]]보다 좋아서 1.3 이후 한물 간 [[#픽소우|픽소우]]와 달리 여전히 최상위 등급의 도구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기타 소리 때문에 너무 시끄러운 게 문제였지만[* 그냥 듣고 넘길 수도 있지만 후에 아레나 같은 걸 만들때엔 정말 [[노이로제]] 걸려 죽을 판이었다.] 1.4부터는 꾹 눌러도 한 번만 나도록 바뀌었고 종이나 하프처럼 음을 다르게 낼 수 있게 바꿨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테라리아/도구, version=1461)][[분류:테라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