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테라리아/무기]] [include(틀:상위 문서,top1=테라리아/무기)]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AcceptableFantasticCheerfulPorter, 합의사항1=2 \,3 \,4 \,5 문단을 개별 문서로 분리, 토론주소2=GarrulousKnowingChunkyLunchroom, 합의사항2=Chlorophyte의 한글표기를 '녹조류'로 한다.)] [include(틀:테라리아)] [include(틀:테라리아/무기)] [목차] [clearfix] == 개요 == 무기의 설명란에 'ranged damage'가 나타나 있는 무기로 대부분 탄약이 있어야 사용할 수 있다. 원거리 무기는 [[테라리아/시스템#공통 수식어|공통 수식어]], [[테라리아/시스템#일반 수식어|일반 수식어]], [[테라리아/시스템#원거리 수식어|원거리 수식어]]가 붙을 수 있으며 최고 수식어는 Unreal이다. ==# 목록 #== || {{{#white {{{+1 '''원거리 무기'''}}}}}} || || '''[[#활|활과 리피터]]''' || ||{{{#!wiki style="width: 90px; border-radius: 4px; padding: 0 2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green; font-size: 12px; text-align: center; " {{{-2 {{{#FFF '''하드모드 이전'''}}}}}}}}} [[#나무 활|나무 활]] • [[#아한대나무 활|아한대나무 활]] • [[#마호가니 활|마호가니 활]] • [[#야자나무 활|야자나무 활]] • [[#칠흑나무 활|칠흑나무 활]] • [[#그늘나무 활|그늘나무 활]] • [[#잿빛나무 활|잿빛나무 활]] • [[#구리 활|구리 활]] • [[#주석 활|주석 활]] • [[#철 활|철 활]] • [[#납 활|납 활]] • [[#은 활|은 활]] • [[#텅스텐 활|텅스텐 활]] • [[#금 활|금 활]] • [[#백금 활|백금 활]] • [[#악마의 활|악마의 활]] • [[#힘줄의 활|힘줄의 활]] • [[#피의 비 활|피의 비 활]] • [[#더 비즈 니스|더 비즈 니스]] • [[#지옥날개 활|지옥날개 활]] • [[#몰튼 퓨리|몰튼 퓨리]] {{{#!wiki style="width: 90px; border-radius: 4px; padding: 0 2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maroon; font-size: 12px; text-align: center; " {{{-2 {{{#FFF '''하드모드'''}}}}}}}}} [[#진주나무 검|진주나무 활]] • [[#코발트 리피터|코발트 리피터]] • [[#팔라듐 리피터|팔라듐 리피터]] • [[#미스릴 리피터|미스릴 리피터]] • [[#오리칼쿰 리피터|오리칼쿰 리피터]] • [[#아다만타이트 리피터|아다만타이트 리피터]] • [[#티타늄 리피터|티타늄 리피터]] • [[#신성한 리피터|신성한 리피터]] • [[#녹조류 샷보우|녹조류 샷보우]] • [[#골수|골수]] • [[#얼음 활|얼음 활]] • [[#그림자불꽃 활|그림자불꽃 활]] • [[#다이달로스 폭풍궁|다이달로스 폭풍궁]] • [[#유령 불사조|유령 불사조]] • [[#파동의 활|파동의 활]] • [[#창공의 파멸|창공의 파멸]] • [[#말뚝 발사기|말뚝 발사기]] • [[#쓰나미|쓰나미]] • [[#황혼|황혼]] • [[#판타즘|판타즘]]|| || '''[[#총|총]]''' || ||{{{#!wiki style="width: 90px; border-radius: 4px; padding: 0 2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green; font-size: 12px; text-align: center; " {{{-2 {{{#FFF '''하드모드 이전'''}}}}}}}}} [[#플린트락|플린트락]] • [[#레드 라이더|레드 라이더]] • [[#리볼버|리볼버]] • [[#권총|권총]] • [[#머스킷|머스킷]] • [[#장의사|장의사]] • [[#붐스틱|붐스틱]] • [[#미니샤크|미니샤크]] • [[#쿼드 배럴 샷건|쿼드 배럴 샷건]] • [[#피닉스 블래스터|피닉스 블래스터]] {{{#!wiki style="width: 90px; border-radius: 4px; padding: 0 2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maroon; font-size: 12px; text-align: center; " {{{-2 {{{#FFF '''하드모드'''}}}}}}}}} [[#시계태엽 돌격소총|시계태엽 돌격소총]] • [[#개틀리게이터|개틀리게이터]] • [[#산탄총|산탄총]] • [[#오닉스 블래스터|오닉스 블래스터]] • [[#메가샤크|메가샤크]] • [[#우지|우지]] • [[#비너스 매그넘|비너스 매그넘]] • [[#전술 산탄총|전술 산탄총]] • [[#저격소총|저격소총]] • [[#동전 총|동전 총]] • [[#캔디콘 소총|캔디콘 소총]] • [[#체인건|체인건]] • [[#제노파퍼|제노파퍼]] • [[#볼텍스 비터|볼텍스 비터]] • [[#S.D.M.G.|S.D.M.G.]]|| || '''[[#폭발물 발사기|폭발물 발사기]]''' || ||{{{#!wiki style="width: 90px; border-radius: 4px; padding: 0 2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maroon; font-size: 12px; text-align: center; " {{{-2 {{{#FFF '''하드모드'''}}}}}}}}} [[#유탄 발사기|유탄 발사기]] • [[#근접 지뢰 발사기|근접 지뢰 발사기]] • [[#로켓 발사기|로켓 발사기]] • [[#스팅어|스팅어]] • [[#축포|축포]] • [[#네일건|네일건]] • [[#잭오랜턴 발사기|잭오랜턴 발사기]] • [[#눈사람 대포|눈사람 대포]] • [[#대전층 발사기|대전층 발사기]] • [[#축포 Mk2|축포 Mk2]]|| || '''[[#기타|기타]]''' || ||{{{#!wiki style="width: 90px; border-radius: 4px; padding: 0 2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green; font-size: 12px; text-align: center; " {{{-2 {{{#FFF '''하드모드 이전'''}}}}}}}}} [[#조명탄 총|조명탄 총]] • [[#취관|취관]] • [[#눈뭉치 대포|눈뭉치 대포]] • [[#페인트볼 총|페인트볼 총]] • [[#작살|작살]] • [[#바람총|바람총]] • [[#모래총|모래총]] • [[#유성 대포|유성 대포]] {{{#!wiki style="width: 90px; border-radius: 4px; padding: 0 2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maroon; font-size: 12px; text-align: center; " {{{-2 {{{#FFF '''하드모드'''}}}}}}}}} [[#다트 라이플|다트 라이플]] • [[#다트 피스톨|다트 피스톨]] • [[#독잉어|독잉어]] • [[#슈퍼 유성 발사기|슈퍼 유성 발사기]] • [[#화염방사기|화염방사기]] • [[#피라냐 총|피라냐 총]] • [[#엘프 멜터|엘프 멜터]]|| || {{{#white '''탄약'''}}} || || '''[[#화살|화살]]''' || ||[[#나무 화살|나무 화살]] • [[#뼈 화살|뼈 화살]] • [[#뼈 화살|뼈 화살]] • [[#불화살|불화살]] • [[#서릿불 화살|서릿불 화살]] • [[#광대의 화살|광대의 화살]] • [[#부정한 화살|부정한 화살]] • [[#지옥불 화살|지옥불 화살]] • [[#쉬머 화살|쉬머 화살]] • [[#끝없는 화살집|끝없는 화살집]] • [[#신성한 화살|신성한 화살]] • [[#저주받은 화살|저주받은 화살]] • [[#이코르 화살|이코르 화살]] • [[#녹조류 화살|녹조류 화살]] • [[#맹독 화살|맹독 화살]] • [[#루미나이트 화살|루미나이트 화살]]|| || '''[[#총알|총알]]''' || ||[[#머스킷 총알|머스킷 총알]] • [[#은 총알|은 총알]] • [[#텅스텐 총알|텅스텐 총알]] • [[#운석 총알|운석 총알]] • [[#파티용 총알|파티용 총알]] • [[#끝없는 머스킷 주머니|끝없는 머스킷 주머니]] • [[#수정 총알|수정 총알]] • [[#고속 총알|고속 총알]] • [[#나노 총알|나노 총알]] • [[#폭발성 총알|폭발성 총알]] • [[#금빛 총알|금빛 총알]] • [[#저주받은 총알|저주받은 총알]] • [[#이코르 총알|이코르 총알]] • [[#맹독 총알|맹독 총알]] • [[#녹조류 총알|녹조류 총알]] • [[#루미나이트 총알|루미나이트 총알]]|| || '''[[#로켓|로켓]]''' || ||[[#로켓 1|로켓 1]] • [[#로켓 2|로켓 2]] • [[#로켓 3|로켓 3]] • [[#로켓 4|로켓 4]] • [[#클러스터 로켓 1|클러스터 로켓 1]] • [[#클러스터 로켓 2|클러스터 로켓 2]] • [[#마른 로켓|마른 로켓]] • [[#물 로켓|물 로켓]] • [[#용암 로켓|용암 로켓]] • [[#꿀 로켓|꿀 로켓]] • [[#소형 핵탄두 1|소형 핵탄두 1]] • [[#소형 핵탄두 2|소형 핵탄두 2]]|| || '''[[#다트|다트]]''' || ||[[#독 다트|독 다트]] • [[#저주받은 다트|저주받은 다트]] • [[#이코르 다트|이코르 다트]] • [[#수정 다트|수정 다트]]|| || '''[[#기타|기타]]''' || ||[[#조명탄|조명탄]] • [[#파란 조명탄|파란 조명탄]] • [[#동굴 탐험가의 조명탄|동굴 탐험가의 조명탄]] • [[#저주받은 조명탄|저주받은 조명탄]] • [[#무지개 조명탄|무지개 조명탄]] • [[#쉬머 조명탄|쉬머 조명탄]] • [[#씨앗|씨앗]] • [[#스팅어 볼트|스팅어 볼트]] • [[#못|못]] • [[#폭발성 잭오랜턴|폭발성 잭오랜턴]] • [[#캔디콘|캔디콘]] • [[#말뚝|말뚝]]|| === 무기 === ====# 활과 리피터[anchor(활)][anchor(리피터)] #==== 원거리 무기 중 한 분류로 활과 리피터는 [[#화살|화살]]을 사용하며 공격력과 넉백은 사용하는 활+사용하는 화살로 정해진다. 총에 비해 투사체 속도가 느리며 발사 시 화살이 포물선을 그리며 나아가기 때문에 적을 맞추기가 비교적 힘든 편이다. 하지만 활 자체의 공격력도 강하고 화살의 공격력과 효과도 만만찮은 데다가 전용 포션인 [[테라리아/소모품#궁수의 포션|궁수의 포션]]도 있어 익숙해지면 충분히 강력한 무기류이다. [[테라리아/장비/갑옷#쉬루마이트 갑옷|쉬루마이트 갑옷 헤드기어 세트]], [[테라리아/장신구#마법의 화살집|마법의 화살집]], [[테라리아/소모품#궁수의 포션|궁수의 포션]]의 화살 공격력 증가 효과를 받을 수 있다. ||<-2> '''{{{-2 이름}}}''' || '''{{{-2 공격력}}}''' || '''{{{-2 사용[br]시간}}}''' || '''{{{-2 넉백}}}''' || '''{{{-2 치명[br]타율}}}''' || '''{{{-2 탄약[br]비소모}}}''' || '''{{{-2 자동[br]공격}}}''' || '''{{{-2 등급}}}''' || || [[파일:Terraria/나무 활.png]] || {{{-2 [[#나무 활|나무 활]]}}}[br]{{{-3 (Wooden Bow)}}} || {{{-2 4}}} || {{{-2 30}}}[br]{{{-3 (보통)}}} || {{{-2 0}}}[br]{{{-3 (없음)}}} || {{{-2 4%}}} || {{{-2 -}}} || '''{{{#red x}}}'''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아한대나무 활.png]] || {{{-2 [[#아한대나무 활|아한대나무 활]]}}}[br]{{{-3 (Boreal Wood Bow)}}} || {{{-2 6}}} || {{{-2 29}}}[br]{{{-3 (보통)}}} || {{{-2 0}}}[br]{{{-3 (없음)}}} || {{{-2 4%}}} || {{{-2 -}}} || '''{{{#red x}}}'''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마호가니 활.png]] || {{{-2 [[#마호가니 활|마호가니 활]]}}}[br]{{{-3 (Rich Mahogany Bow)}}} || {{{-2 6}}} || {{{-2 29}}}[br]{{{-3 (보통)}}} || {{{-2 0}}}[br]{{{-3 (없음)}}} || {{{-2 4%}}} || {{{-2 -}}} || '''{{{#red x}}}'''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야자나무 활.png]] || {{{-2 [[#야자나무 활|야자나무 활]]}}}[br]{{{-3 (Palm Wood Bow)}}} || {{{-2 6}}} || {{{-2 29}}}[br]{{{-3 (보통)}}} || {{{-2 0}}}[br]{{{-3 (없음)}}} || {{{-2 4%}}} || {{{-2 -}}} || '''{{{#red x}}}'''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칠흑나무 활.png]] || {{{-2 [[#칠흑나무 활|칠흑나무 활]]}}}[br]{{{-3 (Ebonwood Bow)}}} || {{{-2 8}}} || {{{-2 28}}}[br]{{{-3 (보통)}}} || {{{-2 0}}}[br]{{{-3 (없음)}}} || {{{-2 4%}}} || {{{-2 -}}} || '''{{{#red x}}}'''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그늘나무 활.png]] || {{{-2 [[#그늘나무 활|그늘나무 활]]}}}[br]{{{-3 (Shadewood Bow)}}} || {{{-2 8}}} || {{{-2 28}}}[br]{{{-3 (보통)}}} || {{{-2 0}}}[br]{{{-3 (없음)}}} || {{{-2 4%}}} || {{{-2 -}}} || '''{{{#red x}}}'''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잿빛나무 활.png]] || {{{-2 [[#잿빛나무 활|잿빛나무 활]]}}}[br]{{{-3 (Ash Wood Bow)}}} || {{{-2 10}}} || {{{-2 25}}}[br]{{{-3 (빠름)}}} || {{{-2 0}}}[br]{{{-3 (없음)}}} || {{{-2 4%}}} || {{{-2 -}}} || '''{{{#red x}}}'''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구리 활.png]] || {{{-2 [[#구리 활|구리 활]]}}}[br]{{{-3 (Copper Bow)}}} || {{{-2 6}}} || {{{-2 29}}}[br]{{{-3 (보통)}}} || {{{-2 0}}}[br]{{{-3 (없음)}}} || {{{-2 4%}}} || {{{-2 -}}} || '''{{{#red x}}}'''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주석 활.png]] || {{{-2 [[#주석 활|주석 활]]}}}[br]{{{-3 (Tin Bow)}}} || {{{-2 7}}} || {{{-2 28}}}[br]{{{-3 (보통)}}} || {{{-2 0}}}[br]{{{-3 (없음)}}} || {{{-2 4%}}} || {{{-2 -}}} || '''{{{#red x}}}'''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철 활.png]] || {{{-2 [[#철 활|철 활]]}}}[br]{{{-3 (Iron Bow)}}} || {{{-2 8}}} || {{{-2 28}}}[br]{{{-3 (보통)}}} || {{{-2 0}}}[br]{{{-3 (없음)}}} || {{{-2 4%}}} || {{{-2 -}}} || '''{{{#red x}}}'''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납 활.png]] || {{{-2 [[#납 활|납 활]]}}}[br]{{{-3 (Lead Bow)}}} || {{{-2 9}}} || {{{-2 27}}}[br]{{{-3 (보통)}}} || {{{-2 0}}}[br]{{{-3 (없음)}}} || {{{-2 4%}}} || {{{-2 -}}} || '''{{{#red x}}}'''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은 활.png]] || {{{-2 [[#은 활|은 활]]}}}[br]{{{-3 (Silver Bow)}}} || {{{-2 9}}} || {{{-2 27}}}[br]{{{-3 (보통)}}} || {{{-2 0}}}[br]{{{-3 (없음)}}} || {{{-2 4%}}} || {{{-2 -}}} || '''{{{#red x}}}'''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텅스텐 활.png]] || {{{-2 [[#텅스텐 활|텅스텐 활]]}}}[br]{{{-3 (Tungsten Bow)}}} || {{{-2 10}}} || {{{-2 26}}}[br]{{{-3 (보통)}}} || {{{-2 0}}}[br]{{{-3 (없음)}}} || {{{-2 4%}}} || {{{-2 -}}} || '''{{{#red x}}}'''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금 활.png]] || {{{-2 [[#금 활|금 활]]}}}[br]{{{-3 (Gold Bow)}}} || {{{-2 11}}} || {{{-2 26}}}[br]{{{-3 (보통)}}} || {{{-2 0}}}[br]{{{-3 (없음)}}} || {{{-2 4%}}} || {{{-2 -}}} || '''{{{#red x}}}'''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백금 활.png]] || {{{-2 [[#백금 활|백금 활]]}}}[br]{{{-3 (Platinum Bow)}}} || {{{-2 13}}} || {{{-2 25}}}[br]{{{-3 (빠름)}}} || {{{-2 0}}}[br]{{{-3 (없음)}}} || {{{-2 4%}}} || {{{-2 -}}} || '''{{{#red x}}}'''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악마의 활.png]] || {{{-2 [[#악마의 활|악마의 활]]}}}[br]{{{-3 (Demon Bow)}}} || {{{-2 14}}} || {{{-2 25}}}[br]{{{-3 (빠름)}}} || {{{-2 1}}}[br]{{{-3 (극도로 약함)}}} || {{{-2 4%}}} || {{{-2 -}}} || '''{{{#red x}}}''' || [include(틀:t등급)] || || [[파일:Terraria/힘줄의 활.png]] || {{{-2 [[#힘줄의 활|힘줄의 활]]}}}[br]{{{-3 (Tendon Bow)}}} || {{{-2 19}}} || {{{-2 30}}}[br]{{{-3 (보통)}}} || {{{-2 1}}}[br]{{{-3 (극도로 약함)}}} || {{{-2 4%}}} || {{{-2 -}}} || '''{{{#red x}}}''' || [include(틀:t등급)] || || [[파일:Terraria/피의 비 활.png]] || {{{-2 [[#피의 비 활|피의 비 활]]}}}[br]{{{-3 (Blood Rain Bow)}}} || {{{-2 14}}} || {{{-2 19}}}[br]{{{-3 (매우 빠름)}}} || {{{-2 3}}}[br]{{{-3 (매우 약함)}}} || {{{-2 4%}}} || {{{-2 -}}} || '''o''' || [include(틀:t등급, n=3, bg=orange)] || || [[파일:Terraria/더 비즈 니스.png]] || {{{-2 [[#더 비즈 니스|더 비즈 니스]]}}}[br]{{{-3 (The Bee's Knees)}}} || {{{-2 23}}} || {{{-2 23}}}[br]{{{-3 (빠름)}}} || {{{-2 3}}}[br]{{{-3 (매우 약함)}}} || {{{-2 4%}}} || {{{-2 -}}} || '''{{{#red x}}}''' || [include(틀:t등급, n=3, bg=orange)] || || [[파일:Terraria/지옥날개 활.png]] || {{{-2 [[#지옥날개 활|지옥날개 활]]}}}[br]{{{-3 (Hellwing Bow)}}} || {{{-2 22}}} || {{{-2 13}}}[br]{{{-3 (매우 빠름)}}} || {{{-2 5.5}}}[br]{{{-3 (보통)}}} || {{{-2 4%}}} || {{{-2 -}}} || '''o''' || [include(틀:t등급, n=3, bg=orange)] || || [[파일:Terraria/몰튼 퓨리.png]] || {{{-2 [[#몰튼 퓨리|몰튼 퓨리]]}}}[br]{{{-3 (Molten Fury)}}} || {{{-2 31}}} || {{{-2 22}}}[br]{{{-3 (빠름)}}} || {{{-2 2}}}[br]{{{-3 (매우 약함)}}} || {{{-2 4%}}} || {{{-2 -}}} || '''{{{#red x}}}''' || [include(틀:t등급, n=3, bg=orange)] || || [[파일:Terraria/진주나무 활.png]] || {{{-2 [[#진주나무 활|진주나무 활]]}}}[br]{{{-3 (Pearlwood Bow)}}} || {{{-2 12}}} || {{{-2 20}}}[br]{{{-3 (매우 빠름)}}} || {{{-2 0}}}[br]{{{-3 (없음)}}} || {{{-2 4%}}} || {{{-2 -}}} || '''{{{#red x}}}'''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코발트 리피터.png]] || {{{-2 [[#코발트 리피터|코발트 리피터]]}}}[br]{{{-3 (Cobalt Repeater)}}} || {{{-2 35}}} || {{{-2 23}}}[br]{{{-3 (빠름)}}} || {{{-2 1.5}}}[br]{{{-3 (극도로 약함)}}} || {{{-2 4%}}} || {{{-2 -}}} || '''o''' || [include(틀:t등급, n=4, bg=lightcoral)] || || [[파일:Terraria/팔라듐 리피터.png]] || {{{-2 [[#팔라듐 리피터|팔라듐 리피터]]}}}[br]{{{-3 (Palladium Repeater)}}} || {{{-2 37}}} || {{{-2 22}}}[br]{{{-3 (빠름)}}} || {{{-2 1.75}}}[br]{{{-3 (매우 약함)}}} || {{{-2 4%}}} || {{{-2 -}}} || '''o''' || [include(틀:t등급, n=4, bg=lightcoral)] || || [[파일:Terraria/미스릴 리피터.png]] || {{{-2 [[#미스릴 리피터|미스릴 리피터]]}}}[br]{{{-3 (Mythril Repeater)}}} || {{{-2 39}}} || {{{-2 20}}}[br]{{{-3 (매우 빠름)}}} || {{{-2 2}}}[br]{{{-3 (매우 약함)}}} || {{{-2 4%}}} || {{{-2 -}}} || '''o''' || [include(틀:t등급, n=4, bg=lightcoral)] || || [[파일:Terraria/오리칼쿰 리피터.png]] || {{{-2 [[#오리칼쿰 리피터|오리칼쿰 리피터]]}}}[br]{{{-3 (Orichalcum Repeater)}}} || {{{-2 40}}} || {{{-2 19}}}[br]{{{-3 (매우 빠름)}}} || {{{-2 2}}}[br]{{{-3 (매우 약함)}}} || {{{-2 4%}}} || {{{-2 -}}} || '''o''' || [include(틀:t등급, n=4, bg=lightcoral)] || || [[파일:Terraria/아다만타이트 리피터.png]] || {{{-2 [[#아다만타이트 리피터|아다만타이트 리피터]]}}}[br]{{{-3 (Adamantite Repeater)}}} || {{{-2 42}}} || {{{-2 18}}}[br]{{{-3 (매우 빠름)}}} || {{{-2 2.5}}}[br]{{{-3 (매우 약함)}}} || {{{-2 4%}}} || {{{-2 -}}} || '''o''' || [include(틀:t등급, n=4, bg=lightcoral)] || || [[파일:Terraria/티타늄 리피터.png]] || {{{-2 [[#티타늄 리피터|티타늄 리피터]]}}}[br]{{{-3 (Titanium Repeater)}}} || {{{-2 43}}} || {{{-2 17}}}[br]{{{-3 (매우 빠름)}}} || {{{-2 2.5}}}[br]{{{-3 (매우 약함)}}} || {{{-2 4%}}} || {{{-2 -}}} || '''o''' || [include(틀:t등급, n=4, bg=lightcoral)] || || [[파일:Terraria/신성한 리피터.png]] || {{{-2 [[#신성한 리피터|신성한 리피터]]}}}[br]{{{-3 (Hallowed Repeater)}}} || {{{-2 50}}} || {{{-2 17}}}[br]{{{-3 (매우 빠름)}}} || {{{-2 2.5}}}[br]{{{-3 (매우 약함)}}} || {{{-2 4%}}} || {{{-2 -}}} || '''o''' || [include(틀:t등급, n=4, bg=lightcoral)] || || [[파일:Terraria/녹조류 샷보우.png]] || {{{-2 [[#녹조류 샷보우|녹조류 샷보우]]}}}[br]{{{-3 (Chlorophyte Shotbow)}}} || {{{-2 34}}} || {{{-2 19}}}[br]{{{-3 (매우 빠름)}}} || {{{-2 2.75}}}[br]{{{-3 (매우 약함)}}} || {{{-2 4%}}} || {{{-2 -}}} || '''o''' || [include(틀:t등급, n=7, bg=lime)] || || [[파일:Terraria/골수.png]] || {{{-2 [[#골수|골수]]}}}[br]{{{-3 (Marrow)}}} || {{{-2 53}}} || {{{-2 19}}}[br]{{{-3 (매우 빠름)}}} || {{{-2 4.7}}}[br]{{{-3 (보통)}}} || {{{-2 9%}}} || {{{-2 -}}} || '''{{{#red x}}}''' || [include(틀:t등급, n=5, bg=pink)] || || [[파일:Terraria/얼음 활.png]] || {{{-2 [[#얼음 활|얼음 활]]}}}[br]{{{-3 (Ice Bow)}}} || {{{-2 39}}} || {{{-2 14}}}[br]{{{-3 (매우 빠름)}}} || {{{-2 4.5}}}[br]{{{-3 (보통)}}} || {{{-2 4%}}} || {{{-2 -}}} || '''o''' || [include(틀:t등급, n=5, bg=pink)] || || [[파일:Terraria/그림자불꽃 활.png]] || {{{-2 [[#그림자불꽃 활|그림자불꽃 활]]}}}[br]{{{-3 (Shadowflame Bow)}}} || {{{-2 47}}} || {{{-2 20}}}[br]{{{-3 (매우 빠름)}}} || {{{-2 4.5}}}[br]{{{-3 (보통)}}} || {{{-2 7%}}} || {{{-2 -}}} || '''o''' || [include(틀:t등급, n=5, bg=pink)] || || [[파일:Terraria/다이달로스 폭풍궁.png]] || {{{-2 [[#다이달로스 폭풍궁|다이달로스 폭풍궁]]}}}[br]{{{-3 (Daedalus Stormbow)}}} || {{{-2 38}}} || {{{-2 19}}}[br]{{{-3 (매우 빠름)}}} || {{{-2 2.25}}}[br]{{{-3 (매우 약함)}}} || {{{-2 4%}}} || {{{-2 -}}} || '''o''' || [include(틀:t등급, n=6, bg=mediumpurple)] || || [[파일:Terraria/유령 불사조.png]] || {{{-2 [[#유령 불사조|유령 불사조]]}}}[br]{{{-3 (Phantom Phoenix)}}} || {{{-2 32}}} || {{{-2 18}}}[br]{{{-3 (매우 빠름)}}} || {{{-2 2}}}[br]{{{-3 (매우 약함)}}} || {{{-2 4%}}} || {{{-2 -}}} || '''o''' || [include(틀:t등급, n=5, bg=pink)] || || [[파일:Terraria/파동의 활.png]] || {{{-2 [[#파동의 활|파동의 활]]}}}[br]{{{-3 (Pulse Bow)}}} || {{{-2 80}}} || {{{-2 20}}}[br]{{{-3 (매우 빠름)}}} || {{{-2 3}}}[br]{{{-3 (매우 약함)}}} || {{{-2 11%}}} || {{{-2 -}}} || '''o''' || [include(틀:t등급, n=8, bg=yellow)] || || [[파일:Terraria/창공의 파멸.png]] || {{{-2 [[#창공의 파멸|창공의 파멸]]}}}[br]{{{-3 (Aerial Bane)}}} || {{{-2 39}}} || {{{-2 30}}}[br]{{{-3 (보통)}}} || {{{-2 4.5}}}[br]{{{-3 (보통)}}} || {{{-2 7%}}} || {{{-2 -}}} || '''o''' || [include(틀:t등급, n=8, bg=yellow)] || || [[파일:Terraria/말뚝 발사기.png]] || {{{-2 [[#말뚝 발사기|말뚝 발사기]]}}}[br]{{{-3 (Stake Launcher)}}} || {{{-2 75}}} || {{{-2 12}}}[br]{{{-3 (매우 빠름)}}} || {{{-2 6.5}}}[br]{{{-3 (강함)}}} || {{{-2 14%}}} || {{{-2 -}}} || '''o''' || [include(틀:t등급, n=8, bg=yellow)] || || [[파일:Terraria/쓰나미.png]] || {{{-2 [[#쓰나미|쓰나미]]}}}[br]{{{-3 (Tsunami)}}} || {{{-2 53}}} || {{{-2 24}}}[br]{{{-3 (빠름)}}} || {{{-2 2}}}[br]{{{-3 (매우 약함)}}} || {{{-2 4%}}} || {{{-2 -}}} || '''o''' || [include(틀:t등급, n=8, bg=yellow)] || || [[파일:Terraria/황혼.png]] || {{{-2 [[#황혼|황혼]]}}}[br]{{{-3 (Eventide)}}} || {{{-2 50}}} || {{{-2 30}}}[br]{{{-3 (보통)}}} || {{{-2 2}}}[br]{{{-3 (매우 약함)}}} || {{{-2 4%}}} || {{{-2 -}}} || '''o''' || [include(틀:t등급, n=8, bg=yellow)] || || [[파일:Terraria/판타즘.png]] || {{{-2 [[#판타즘|판타즘]]}}}[br]{{{-3 (Phantasm)}}} || {{{-2 50}}} || {{{-2 12}}}[br]{{{-3 (매우 빠름)}}} || {{{-2 2}}}[br]{{{-3 (매우 약함)}}} || {{{-2 4%}}} || {{{-2 66.67%}}} || '''o''' || [include(틀:t등급, n=10, bg=red)] || ===== 하드모드 이전 ===== [include(틀:테라리아/하드모드 이전)] [anchor(나무 활)][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Wooden Bow, 한=나무 활, ID=39, 유형=원거리 무기, 공=4, 시=30, 넉=0, 강=없음, 재료1=나무, 재료1수량=(10), 재료1문서=블록, 조합=작업대)] 가장 약한 활이다. 대부분 첫날 밤 악마의 눈을 간단하게 처치하기 위해 만든다. ||<^|1> [anchor(아한대나무 활)][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Boreal Wood Bow, 한=아한대나무 활, v=1.2.4.1, ID=2747, 유형=원거리 무기, 공=6, 시=29, 넉=0, 강=없음, 재료1=아한대나무, 재료1수량=(10), 재료1문서=블록, 조합=작업대)] ||<^|1> [anchor(마호가니 활)][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Rich Mahogany Bow, 한=마호가니 활, v=1.2, ID=658, 유형=원거리 무기, 공=6, 시=29, 넉=0, 강=없음, 재료1=진한 마호가니, 재료1수량=(10), 재료1문서=블록, 조합=작업대)] ||<^|1> [anchor(야자나무 활)][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Palm Wood Bow, 한=야자나무 활, v=1.2.4, ID=2515, 유형=원거리 무기, 공=6, 시=29, 넉=0, 강=없음, 재료1=야자나무, 재료1수량=(10), 재료1문서=블록, 조합=작업대)] || 구리 활과 비슷한 성능을 가진 두 번째로 약한 활. [[테라리아/지형#설원|설원]]에서 얻을 수 있는 아한대나무 활은 초반에 설원이 가깝다면 만들어봄직 하나 나머지 둘은 차라리 하단의 사악한 지형 나무 활이 낫다. ||<^|1> [anchor(칠흑나무 활)][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Ebonwood Bow, 한=칠흑나무 활, v=1.2, ID=655, 유형=원거리 무기, 공=8, 시=28, 넉=0, 강=없음, 재료1=칠흑나무, 재료1수량=(10), 재료1문서=블록, 조합=작업대)] ||<^|1> [anchor(그늘나무 활)][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Shadewood Bow, 한=그늘나무 활, v=1.2, ID=923, 유형=원거리 무기, 공=8, 시=28, 넉=0, 강=없음, 재료1=그늘나무, 재료1수량=(10), 재료1문서=블록, 조합=작업대)] || 목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오염지대/진홍지대 근처에 가서 재빨리 나무 한두 그루만 캐면 손쉽게 만들 수 있고 작정하고 캐서 좋은 수식어가 나올 때까지 만들 수도 있다. [anchor(잿빛나무 활)][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Ash Wood Bow, 한=잿빛나무 활, v=1.4.4, ID=5282, 유형=원거리 무기, 공=10, 시=25, 속=빠름, 넉=0, 강=없음, 재료1=잿빛 나무, 재료1사진=AshWood.png, 재료1수량=(10), 재료1문서=블록, 조합=작업대)] 하드모드 이전 나무 활 중 가장 강한 활. 다만 [[테라리아/지형#지하세계|지하세계]]까지 가야 만들 수 있는 무기임을 감안하면 실전성은 떨어진다. [anchor(구리 활)][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Copper Bow, 한=구리 활, ID=3504, 유형=원거리 무기, 공=6, 시=29, 넉=0, 강=없음, 재료1=구리 주괴, 재료1수량=(7), 재료1문서=재료, 조합=모루)] 나무 활보다 강하며 주석 활보다 약한 활. [anchor(주석 활)][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Tin Bow, 한=주석 활, v=1.2, ID=3498, 유형=원거리 무기, 공=7, 시=28, 넉=0, 강=없음, 재료1=주석 주괴, 재료1수량=(7), 재료1문서=재료, 조합=모루)] 구리 활보다 강하며 철 활보다 약한 활. [anchor(철 활)][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Iron Bow, 한=철 활, ID=99, 유형=원거리 무기, 공=8, 시=28, 넉=0, 강=없음, 재료1=철 주괴, 재료1수량=(7), 재료1문서=재료, 조합=모루)] 주석 활보다 강하며 납 활보다 약한 활. 사악한 지형 나무 활들을 생각하면 만들 가치는 없다. [anchor(납 활)][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Lead Bow, 한=납 활, v=1.2, ID=3492, 유형=원거리 무기, 공=9, 시=27, 넉=0, 강=없음, 재료1=납 주괴, 재료1수량=(7), 재료1문서=재료, 조합=모루)] 철 활보다 강하며 은 활과 성능이 같은 활. [anchor(은 활)][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Silver Bow, 한=은 활, ID=3510, 유형=원거리 무기, 공=9, 시=27, 넉=0, 강=없음, 재료1=은 주괴, 재료1수량=(7), 재료1문서=재료, 조합=모루)] 납 활과 성능이 같으며 텅스텐 활보다 약한 활. [anchor(텅스텐 활)][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Tungsten Bow, 한=텅스텐 활, v=1.2, ID=3486, 유형=원거리 무기, 공=10, 시=26, 넉=0, 강=없음, 재료1=텅스텐 주괴, 재료1수량=(7), 재료1문서=재료, 조합=모루)] 은 활보다 강하며 금 활보다 약한 활. [anchor(금 활)][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Gold Bow, 한=금 활, ID=3516, 유형=원거리 무기, 공=11, 시=26, 넉=0, 강=없음, 재료1=금 주괴, 재료1수량=(7), 재료1문서=재료, 조합=모루)] 텅스텐 활보다 강하며 백금 활보다 약한 활. [anchor(백금 활)][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Platinum Bow, 한=백금 활, v=1.2, ID=3480, 유형=원거리 무기, 공=13, 시=25, 속=빠름, 넉=0, 강=없음, 재료1=백금 주괴, 재료1수량=(7), 재료1문서=재료, 조합=모루)] 활류 무기 중 일반 광물로 만들 수 있는 가장 최상위의 활. ||<^|1>[anchor(악마의 활)][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Demon Bow, 한=악마의 활, ID=44, 희소=blue, 유형=원거리 무기, 공=14, 시=25, 속=빠름, 넉=1, 강=극도로 약함, 재료1=데모나이트 주괴, 재료1수량=(8), 재료1문서=재료, 조합=모루)] ||<^|1>[anchor(힘줄의 활)][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Tendon Bow, 한=힘줄의 활, v=1.2, ID=796, 희소=blue, 유형=원거리 무기, 공=19, 시=30, 넉=1, 강=극도로 약함, 재료1=크림테인 주괴, 재료1수량=(8), 재료1문서=재료, 조합=모루)] || 지하에서 광질만 해도 만들 수 있다. 악마의 활은 백금 활에서 공격력과 넉백이 아주 약간 증가했으며, 힘줄의 활은 공격력이 훅 뛰어오른 대신 공격 속도가 느리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피의 비 활)][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Blood Rain Bow, 한=피의 비 활, v=1.4.0.1, ID=4381, 희소=orange, 자동=↻, 유형=원거리 무기, 공=14, 시=19, 속=매우 빠름, 넉=3, 강=매우 약함)][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h=16px, 이름=방황하는 눈 물고기, 문서=이벤트)] / [include(틀:t캡션, h=24px, 이름=좀비 어인, 문서=이벤트)] (12.5%)[br]{{{-2 [[:파일:Terraria/피의 비 활/공격 모습.gif|[공격 모습 보기\]]]}}}}}} 다이달로스 폭풍궁의 하드모드 이전 버전으로, 사용 시 화살을 하나 소모하여 하늘에서 핏방울을 1~3발 떨어뜨린다. 하늘에서 떨어지는 핏방울은 지형을 관통하지 못하며, 명중률이 상당히 떨어지는 편이다. [anchor(더 비즈 니스)][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The Bee's Knees, 한=더 비즈 니스, v=1.3.0.1, ID=2888, 희소=orange, 유형=원거리 무기, 공=23, 시=23, 속=빠름, 넉=3, 강=매우 약함, 드롭1=여왕벌, 드롭1파생=축소, 드롭1h=24px, 드롭1문서=보스, 드롭1확률=33, 공격 모습=공격 모습)] 특수 효과로 [[#나무 화살|나무 화살]] 발사 시에 나무 화살 대신 벌 6마리가 나란히 한 줄이 되어 일직선으로 날아간다. [[#녹조류 샷보우|녹조류 샷보우]]나 [[#쓰나미|쓰나미]]처럼 동시에 발사되는 것은 아니고 벌 6마리가 연달아서 발사된다. 발사된 화살은 적에게 맞거나 블록에 부딪히면 발사된 벌들이 작은 벌이 되어 추가적으로 피해를 줄 수 있다. 나무 화살 외에 다른 화살은 변동 없음. 물속에서는 벌이 사라져 버리므로 주의. 이것은 소환 무기를 제외한 벌 컨셉의 모든 무기에 해당된다. 자체 딜링도 괜찮은 데다 화살이 벽이나 적에게 닿으면 적을 추격하는 벌들이 나와 추가 피해를 입힌다는 걸 이용해 맞추기 곤란하다면 벽에 대고 난사하기만 해도 적들에게 큰 피해를 줄 수 있어서 상당히 쓸 만 하다. 벌꿀 가방과 함께 사용한다면 [[테라리아/보스#여왕벌|여왕벌]]을 파밍하는 수준으로 사냥할 수 있는 건 물론이고, [[테라리아/보스#월 오브 플레시|월 오브 플레시]]까지도 잡을 수 있다. 1.4 패치로 공격력이 23으로 너프되고 발사 속도가 소폭 줄어들었다. 이름인 The Bee's Knees는 뛰어난 사람을 의미하는 영미권의 속어이다. 한국에서는 비즈니스(business)로 착각하는 사람들도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지옥날개 활)][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Hellwing Bow, 한=지옥날개 활, v=1.3.0.1, ID=3019, 희소=orange, 자동=↻, 유형=원거리 무기, 공=22, 시=13, 속=매우 빠름, 넉=5.5)][include(틀:t보물)] [[테라리아/지형#지하세계|지하세계]]의 [[파일:Terraria/잠긴 그림자 상자.png|height=14px]] 잠긴 그림자 상자 (20%)[br]([[파일:Terraria/그림자 열쇠.png|height=16px]] [[테라리아/소모품#그림자 열쇠|그림자 열쇠]] 요구)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파일:Terraria/잠긴 흑요석 상자.png|height=14px]] [[테라리아/소모품#잠긴 흑요석 상자|잠긴 흑요석 상자]] (20%)[br]([[파일:Terraria/그림자 열쇠.png|height=16px]] [[테라리아/소모품#그림자 열쇠|그림자 열쇠]] 요구)[br]{{{-2 [[:파일:Terraria/지옥날개 활/공격 모습.gif|[공격 모습 보기\]]]}}}}}} 자동 공격이 가능하며, [[#나무 화살|나무 화살]]을 불타는 박쥐로 변환시켜서 발사한다. 불타는 박쥐는 무한 관통이 되고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대신 원하는 방향으로 발사되지 않는 등 명중률이 급격하게 떨어지고, 나무 화살을 제외한 다른 화살은 불타는 박쥐로 변환되지 않는다. 이 무기의 진가는 [[테라리아/보스#월 오브 플레시|월 오브 플레시]]를 잡을 때 드러난다. DPS가 동급 무기에 비해 매우 강하고, 유일한 단점인 탄 퍼짐도 맵의 절반을 차지하는 월 오브 플레시에게는 풀 히트가 가능하기 때문. 그러나 사방팔방으로 튀는 탄 때문에 하드모드 무기를 구하고 나면 쓸 일이 적어진다. 아무런 수식어가 붙지 않은 지옥날개 활의 수식어 재가공 비용은 6골드 66실버 66코퍼이다. '''지옥'''날개 활이란 이름에서 봤을 때 [[666]]의 패러디인 듯하다. [anchor(몰튼 퓨리)][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Molten Fury, 한=몰튼 퓨리, ID=120, 희소=orange, 유형=원거리 무기, 공=31, 시=22, 속=빠름, 넉=2, 강=매우 약함, 재료1=지옥석 주괴, 재료1수량=(15), 재료1문서=재료, 조합=모루, 공격 모습=공격 모습)] 일반적인 화살을 쏘는 하드모드 이전 활들 중에서는 가장 강력한 활. 몰튼 퓨리로 발사한 나무 화살은 [[#불화살|불화살]]이 되며, 이에 맞은 적은 3분의 1의 확률로 [[테라리아/시스템#불이야!|불이야!]]에 걸린다. 나무 화살 외의 다른 화살은 그냥 유지된다. ===== 하드모드 ===== [include(틀:테라리아/하드모드)] [anchor(진주나무 활)][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Pearlwood Bow, 한=진주나무 활, v=1.2, ID=661, 과정=ⓗ, 유형=원거리 무기, 공=12, 시=20, 속=매우 빠름, 넉=0, 강=없음, 재료1=진주나무, 재료1수량=(10), 재료1문서=블록, 조합=작업대)] 나무로 만든 활 중에선 가장 강하지만, 공격력 12로는 하드모드에서는 사실상 장식용. 그나마 슬라임은 잡을 수 있겠지만 그것도 전문가 이상 난이도에서는 슬라임도 같이 강화돼서 의미가 없다. 1.4.4에서 대폭 상향된 진주나무 검과 달리 상향도 받지 못 했다. [anchor(코발트 리피터)][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Cobalt Repeater, 한=코발트 리피터, v=1.1, ID=435, 희소=lightcoral, 과정=ⓗ, 유형=원거리 무기, 자동=↻, 공=35, 시=23, 속=빠름, 넉=1.5, 강=극도로 약함, 재료1=코발트 주괴, 재료1수량=(10), 재료1문서=블록, 조합=모루)] 첫 번째 등급의 리피터. [anchor(팔라듐 리피터)][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Palladium Repeater, 한=팔라듐 리피터, v=1.2, ID=1187, 희소=lightcoral, 과정=ⓗ, 유형=원거리 무기, 자동=↻, 공=37, 시=22, 속=빠름, 넉=1.75, 강=매우 약함, 재료1=팔라듐 주괴, 재료1수량=(12), 재료1문서=블록, 조합=모루)] 첫 번째 등급의 리피터. [anchor(미스릴 리피터)][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Mythril Repeater, 한=미스릴 리피터, v=1.1, ID=436, 희소=lightcoral, 과정=ⓗ, 유형=원거리 무기, 자동=↻, 공=39, 시=20, 속=매우 빠름, 넉=2, 강=매우 약함, 재료1=미스릴 주괴, 재료1수량=(10), 재료1문서=블록, 조합=하드모드 모루)] 두 번째 등급의 리피터. [anchor(오리칼쿰 리피터)][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Orichalcum Repeater, 한=오리칼쿰 리피터, v=1.2, ID=1194, 희소=lightcoral, 과정=ⓗ, 유형=원거리 무기, 자동=↻, 공=40, 시=19, 속=매우 빠름, 넉=2, 강=매우 약함, 재료1=오리칼쿰 주괴, 재료1수량=(12), 재료1문서=블록, 조합=하드모드 모루)] 두 번째 등급의 리피터. [anchor(아다만타이트 리피터)][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Adamantite Repeater, 한=아다만타이트 리피터, v=1.1, ID=481, 희소=lightcoral, 과정=ⓗ, 유형=원거리 무기, 자동=↻, 공=42, 시=18, 속=매우 빠름, 넉=2.5, 강=매우 약함, 재료1=아다만타이트 주괴, 재료1수량=(12), 재료1문서=블록, 조합=하드모드 모루)] 세 번째 등급의 리피터. [anchor(티타늄 리피터)][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Titanium Repeater, 한=티타늄 리피터, v=1.2, ID=1201, 희소=lightcoral, 과정=ⓗ, 유형=원거리 무기, 자동=↻, 공=43, 시=17, 속=매우 빠름, 넉=2.5, 강=매우 약함, 재료1=티타늄 주괴, 재료1수량=(13), 재료1문서=블록, 조합=하드모드 모루)] 세 번째 등급의 리피터. [anchor(신성한 리피터)][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Hallowed Repeater, 한=신성한 리피터, v=1.1, ID=578, 희소=lightcoral, 과정=ⓗ, 유형=원거리 무기, 자동=↻, 공=50, 시=17, 속=매우 빠름, 넉=2.5, 강=매우 약함, 재료1=신성한 주괴, 재료1수량=(12), 재료1문서=블록, 조합=하드모드 모루)] PC [[테라리아/버전#1.2|1.2]] 패치 이전 하드모드 리피터중 가장 최상위에 있었던 리피터류 원거리 무기. 높은 연사 속도와 공격력을 자랑한다. 아다만타이트나 티타늄처럼 광석을 캘 필요 없이 기계 보스만 잡으면 쉽게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원래 광물로 제작하는 하위 광물 리피터들과 비교해서 성능이 애매했지만 [[테라리아/버전#1.4|1.4]] 패치로 공격력이 53으로 증가해서 광물 리피터들보다 월등히 좋아졌다. [anchor(녹조류 샷보우)][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Chlorophyte Shotbow, 한=녹조류 샷보우, v=1.2, ID=1229, 희소=lime, 과정=ⓗ, 유형=원거리 무기, 자동=↻, 공=34, 시=19, 속=매우 빠름, 넉=2.75, 강=매우 약함, 재료1=녹조류 주괴, 재료1수량=(12), 재료1문서=블록, 조합=하드모드 모루)] 공격력은 [[#미스릴 리피터|미스릴 리피터]]와 동급이지만 저지력이 좋고 화살 하나를 소모해 2~4발을 발사한다. 관통 효과를 가진 화살들은 처음 맞는 한 발만 적용된다. 이름은 유명한 마인크래프트 서버인 [[The Shotbow Network]]의 패러디로 보이며, 해당 서버의 대표 이미지 역시 화살이 3개 물린 활이다. 얻는 시기에 비해 꽤 강력한 편으로 플랜테라를 잡는 용도로 자주 쓰인다. 1.4 패치로 소모되는 화살 하나당 발사되는 화살의 수가 2.7발에서 2.33발로 줄어드는 너프를 받았다. [anchor(골수)][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Marrow, 한=골수, v=1.2, ID=682, 희소=pink, 과정=ⓗ, 유형=원거리 무기, 공=53, 시=19, 속=매우 빠름, 넉=4.7, 치=9, 드롭1=스켈레톤 궁수, 드롭1h=24px, 드롭1확률=0.5)] 이름이 골수인 것도 처치한 몬스터가 스켈레톤이라는 것의 조크. 공격력이 높고 발사체 속도가 아주 빨라 중력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대신 화살의 특수 효과를 싸그리 무시한다는 것과, 자동 공격이 없다는 게 단점. 1.4 패치로 공격력이 50으로 증가했다. [anchor(얼음 활)][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Ice Bow, 한=얼음 활, v=1.2, ID=725, 희소=pink, 과정=ⓗ, 유형=원거리 무기, 자동=↻, 공=39, 시=14, 속=매우 빠름, 넉=4.5, 드롭1=얼음 미믹, 드롭1h=24px, 드롭1확률=31.67)] [[#골수|골수]]와 비교해보면 공격력을 살짝 희생해 공격 속도와 자동 공격을 얻었다고 보면 된다. 사용한 화살의 효과를 무시하고 서리 화살을 쏜다. [[#서릿불 화살|서릿불 화살]]이 아니므로 [[테라리아/시스템#서릿불|서릿불]]은 걸지 않는다. 1.4 업데이트로 자동 공격이 생긴 대신 공격력이 감소하고 공격 속도는 빨라졌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그림자불꽃 활)][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Shadowflame Bow, 한=그림자불꽃 활, v=1.3.0.1, ID=3052, 희소=pink, 과정=ⓗ, 유형=원거리 무기, 자동=↻, 공=47, 시=20, 속=매우 빠름, 넉=4.5, 치=7)][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h=24px, 이름=고블린 흑마법사, 문서=이벤트)] (16.7% / {{{#E80 33.3%}}})}}} 모든 화살을 그림자불꽃 화살로 바꿔서 발사한다. 이 화살은 관통 성능이 있고 적에게 맞으면 [[테라리아/시스템#그림자불꽃|그림자불꽃]] 디버프를 건다. 골수와 얼음활처럼 화살의 특수효과를 무시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다이달로스 폭풍궁)][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Daedalus Stormbow, 한=다이달로스 폭풍궁, 과정=ⓗ, 색=red, 희소=mediumpurple, 자동=↻, 유형=원거리 무기, 공=38, 시=19, 속=매우 빠름, 넉=2.25, 강=매우 약함, 치=4, v=1.3.0.1, ID=3029)][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신성한 미믹, 문서=몬스터, h=24px)] (25%)}}} 화살 하나를 소모해 하늘에서 마우스 커서가 있는 곳으로 2~4발의 화살을 떨어뜨린다. 하늘에서 떨어지는 효과는 모든 화살에 적용되며 떨어진 화살은 회수가 불가능하다. [[테라리아/무기/마법 무기#눈보라 스태프|눈보라 스태프]]의 활 버전이라고 보면 이해하기 쉽다. [[#신성한 화살|신성한 화살]]의 경우 화살에 더해 2차적으로 별이 우수수 쏟아지므로 상성이 꽤 좋다. 이걸 이용해 [[테라리아/보스#파괴자|파괴자]]를 쉽게 잡을 수 있으며, 벽을 넘어서 공격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원거리 무기이기 때문에 [[테라리아/이벤트#해적 침략|해적 침략]] 이벤트나 [[테라리아/이벤트#화성의 광기|화성의 광기]] 이벤트를 진행할 경우에도 매우 유용하다. 하지만 떨어지는 화살이 블록을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지하를 탐험할 때는 매우 불리하므로 만약 앞서 언급한 곳을 탐험하러 갈 때는 다른 무기를 쓰는 것이 좋다. 결국 이러한 사기적인 성능으로 인해 1.4버전 이후 공격력이 43에서 38로 감소하고 광대 화살, 신성한 화살은 한번 발사할 때마다 떨어지는 화살이 적게 떨어지게 되었다. 그래도 여전히 강력한 편으로, 이걸로 여왕 슬라임부터 기계 보스, 컨트롤만 되면 피시론 공작까지 신성한 화살만 물려주면 다 잡는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유령 불사조)][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Phantom Phoenix, 한=유령 불사조, v=1.3.4, ID=3854, 희소=pink, 과정=ⓗ, 유형=원거리 무기, 자동=↻, 공=32, 시=18, 속=매우 빠름, 넉=2, 강=매우 약함)][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h=24px, 이름=오거, 문서=이벤트, 파생=축소)](2단계) (10% / {{{#E80 20%}}})[br][include(틀:t캡션, h=24px, 이름=오거, 문서=이벤트, 파생=축소)](3단계) (5%)}}} 화살 한 개를 소모해 화살을 두 발씩 쏘고, 매 3번째 발사마다 일직선으로 날아가는 불사조를 발사한다. 이 불사조는 물에 닿으면 사라져 버린다. 즉 물속에서는 화력이 감소하게 되니 주의. [[#나무 화살|나무 화살]]을 쐈을 땐 [[#불화살|불화살]]로 바뀌어 나오며, 다른 특수 화살 사용 시엔 특수 화살이 그대로 나간다. 1.4 패치로 공격력이 32로 증가하고 발사 속도가 증가했으며, 불사조가 발사되는 빈도가 4번째에서 3번째로 더욱 자주 발사되게 상향되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파동의 활)][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Pulse Bow, 한=파동의 활, v=1.2.3, ID=2223, 희소=yellow, 과정=ⓗ, 유형=원거리 무기, 자동=↻, 공=80, 시=20, 속=매우 빠름, 넉=3, 강=매우 약함, 치=11)][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행상인, 문서=NPC, h=24px)] (45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br](모든 [[테라리아/보스#기계 보스|기계 보스]] 격파 이후)}}} 화살의 종류와 관계없이 적을 관통하는 파동 줄기를 발사하며, 파동 줄기는 벽에 5회 반사되거나 3.5초가 지나기 전까지 유지된다. 단일 대상의 적으로는 불리하지만, 좁은 지형에서 난사할 때 큰 효과를 발휘한다. 다른 무기론 처치하기 곤란한 블록 비스듬히 뒤에 있는 적을 공격할 수 있으며, 좁은 공간을 파동 줄기가 튕겨다니며 적들에게 큰 피해를 준다. [[테라리아/버전#1.3|1.3]] 패치 이후 [[#끝없는 화살집|끝없는 화살집]]을 얻을 수 있으므로 [[#나무 화살|나무 화살]]이 특수 효과가 없어서 껄끄럽다면 이쪽과 쓰는 것도 좋다. 벽에 튕기는 특성 때문에 하늘섬을 찾기에도 유용하다. 색깔의 조합으로 봐서는 [[테라리아/장비/갑옷#쉬루마이트 갑옷|쉬루마이트 갑옷]] 세트와 같이 나올 예정이었던 것 같다. 1.4 패치로 공격력이 85로 크게 증가했고 발사 속도가 빨라졌지만, 관통시 감소하는 피해량이 10%에서 20%로 증가했다. [anchor(창공의 파멸)][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Aerial Bane, 한=창공의 파멸, v=1.3.4, ID=3859, 희소=yellow, 과정=ⓗ, 유형=원거리 무기, 자동=↻, 공=39, 시=30, 넉=4.5, 치=7, 드롭1=벳시, 드롭1문서=이벤트, 드롭1h=24px, 드롭1파생=축소, 드롭1확률=25)] [[테라리아/무기/마법 무기#벳시의 진노|벳시의 진노]]의 투사체와 비슷한 5발의 폭발성 화염 화살들을 포물선으로 발사한다. 공중에 뜬 적을 맞히면 50%의 추가 피해를 입히고 추가로 5개의 화염 화살이 생성되어 피격된 적 아래로 떨어진다. 화살 속도 자체는 빠르지만 그것과는 별개로 기존의 다른 활보다 중력의 영향을 심하게 받는다. 특수 화살 발사 시에도 폭발성 화살로 바뀐다. 특수 화살들의 효과를 무시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대신 끝내주는 융단 폭격에서 오는 강력한 화력이 장점.[* 레인저 최종 무장 착용 후, 5개의 화살 전부 피격 성공 시, DPS가 24000을 넘는 어마무시한 화력을 보여준다.] 공중의 적을 공격하면 추가 폭격으로 지상의 적까지 정리되는 효과가 있어 펌킨 문, 프로스트 문 등 비행형 보스가 등장하는 웨이브 이벤트용으로 안성맞춤이다.[* 이걸 획득할 수 있는 고대의 군단은 7웨이브 한정 효과적이다. --자기 드롭 무기가 하드 카운터--] 추가 화살이 아래로 떨어진다는 특성 때문에 적의 정면보다는 적의 위에서 사격할 때 DPS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말뚝 발사기)][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Stake Launcher, 한=말뚝 발사기, v=1.2.1, ID=1835, 희소=yellow, 과정=ⓗ, 유형=원거리 무기, 자동=↻, 공=75, 시=12, 속=매우 빠름, 넉=6.5, 강=강함, 치=14)][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h=32px, 이름=탄식하는 나무, 문서=이벤트)] (2-20% / {{{#E80 5-20%}}})[*A 웨이브의 진행 상태에 따라 얻을 확률이 높아간다.]}}} 말뚝을 탄약으로 사용한다. 강한 넉백과 빠른 발사체 속도, 저렴한 탄약과 연속 공격 기능을 갖춘 무기이다. 적이 일렬로 오는 고대의 군단 이벤트에서는 그야말로 종결자급 활약을 한다. 말뚝 발사기 하나면 발리스타 타워가 필요 없을 정도이다. [[흡혈귀]]의 심장에 [[말뚝]]을 꽂으면 죽는다는 속설처럼, 실제로 [[테라리아/이벤트#일식|일식]] 이벤트의 흡혈귀에게 맞히면 1000 이상의 피해를 입히며 즉사시킨다. 다만, 늑대인간의 경우도 [[#은 총알|은 총알]]로 재미를 볼 수 있을 것 같지만 은 총알은 입수 시기가 훨씬 빠르고 모든 총기에 물릴 수 있어서 밸런스 문제가 우려되었는지 아무런 효과도 없다. 대신 은 총알은 전술 했듯이 1.4.4 업데이트 이후로 늑대인간에게 3배의 피해를 입히는 패치를 받게 되었다. [anchor(쓰나미)][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Tsunami, 한=쓰나미, v=1.2.4, ID=2624, 희소=yellow, 과정=ⓗ, 유형=원거리 무기, 자동=↻, 공=53, 시=24, 속=빠름, 넉=2, 강=매우 약함, 드롭1=피시론 공작, 드롭1문서=보스, 드롭1h=24px, 드롭1파생=축소, 드롭1확률=20)] 화살 1발을 소모하여 한 번에 5발의 화살을 날린다. [[#녹조류 샷보우|녹조류 샷보우]]처럼 화살들이 무작위 편차를 가지는 것도 아니고 세로로 나란히 정렬되어 한꺼번에 발사된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몬스터를 공격하기 쉬워진다. [[테라리아/버전#1.3|1.3]] 업데이트 이후로 자동 공격 기능(!)이 생겼다. 단, 관통되는 화살([[#부정한 화살|부정]], [[#광대의 화살|광대]], [[#녹조류 화살|녹조류]])과 [[#지옥불 화살|지옥불 화살]]은 화살 1개분의 피해만 들어가니 주의. 모든 몹은 관통 타입 공격의 피해를 1/6초마다만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첫 화살에 관통형 피해를 받고 1/6초 동안 관통형 피해 저항 상태가 되어 그 다음 4개의 화살 피해를 받지 않는다. 보스처럼 몸뚱이가 크면 2~3대 정도 맞긴 하겠지만 이 화살들과 사용하는 것은 자제하도록 하자. 반면 [[#신성한 화살|신성한 화살]]과의 궁합은 매우 좋다. 발사 1발당 별 폭풍이 약 10개가 이는데 초당 DPS가 기본 2000(!)을 뽑아낸다. 그리고 이 별 폭풍이 시야를 밝혀줘서 화살만 많으면 지하로 내려갈수록 써도 쓸 만하다. 1.4.1버전에서 공격력이 60에서 53으로 너프받았다. [anchor(황혼)][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Eventide, 한=황혼, v=1.4.0.1, ID=4953, 희소=yellow, 과정=ⓗ, 유형=원거리 무기, 자동=↻, 공=50, 시=30, 넉=2, 강=매우 약함, 드롭1=빛의 여제, 드롭1문서=보스, 드롭1h=40px, 드롭1확률=25)] 화살 1발을 소모하여 5발의 화살을 살짝 휘어지게 곡사로 발사한다. [[#나무 화살|나무 화살]]을 쏘면 여제가 사용하는 천상의 창 패턴과 비슷하게 생긴 무지개빛 화살로 바뀌어 나가며, 이 화살은 무한 관통이 가능하고 데미지가 2배다. 다른 특수 화살 사용 시엔 1발만 무지개빛 화살로 변하고 나머지 4발은 그대로 특수 화살이 나간다. 성능 자체는 쓸만하고, 이걸 얻는 순간부터 [[테라리아/이벤트#고대의 군단|고대의 군단]]은 혼자서도 쓸어담을 수 있지만 문제는 이 녀석을 충분히 대체할만한 위의 쓰나미나 아래의 판타즘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테라리아/보스#피시론 공작|피시론 공작]]이나 소용돌이 기둥도 어렵지만 차라리 빛의 여제보단 쉽다. 게다가 소용돌이 기둥은 천체의 기둥 중에서 난이도가 최하에 속하니... 게다가 기둥은 설령 죽더라도 게임을 나가지 않는 이상 진행 상황이 저장되기 때문에 보장성도 있는 편. 차라리 기둥을 부수고 판타즘을 얻거나 피시론을 잡고 쓰나미를 얻는 경우가 대부분. 처음 나왔을 때는 무지개빛 화살이 천체의 기둥 보호막을 무시하고 데미지를 입히는 버그가 있었지만 1.4.1에서 수정되었다. 하지만 강력한 화살을 계속 보충해줘야 제 성능을 내는 위 두 활과는 달리, 무한한 화살집이 있다면 무지개 화살을 무한으로 발사할 수 있기에 탄약 채우기가 귀찮다면 이용할 수도 있다. 빛의 여제가 떨구는 야광, 별빛, 테라프리즈마, 그리고 달의 군주가 떨구는 라스트 프리즘과 공유하는 특성이 있는데 이는 개발자 및 베타 테스터들의 이름을 캐릭터의 이름으로 설정하면 정해진 색의 빛을 내게 된다.[* 예를 들어 캐릭터 이름이 'Redigit'이면 파란색으로 변한다.] 또 이름을 'Random'으로 설정해 놓으면 색이 바뀔때 랜덤하게 바뀌게 된다.[* 원래는 무지개 순서대로 바뀜.] 화살의 탄속을 늘려주는 퀴버 관련 장신구와 궁합이 아주 좋다. [anchor(판타즘)][include(틀:t인포박스/비소모율, 영=Phantasm, 한=판타즘, v=1.3.0.1, ID=3540, 희소=red, 과정=ⓗ, 유형=원거리 무기, 자동=↻, 공=50, 시=12, 속=매우 빠름, 넉=2, 강=매우 약함, 비소모=66.67, 재료1=소용돌이의 파편, 재료1수량=(18), 조합=고대의 머니퓰레이터)] 쓰나미보다 훨씬 강력한 활이다. 66%의 확률로 화살을 소모하지 않으며, [[#녹조류 샷보우|녹조류 샷보우]]와 비슷한 공격 방식으로 편차와 속도가 제각기 다른 4발의 화살을 한꺼번에 발사한다. 마우스를 누르고 있으면 연사 속도가 점점 증가하며 화살이 적에게 맞으면 푸른 빛이 나는 유도성 화살 여러 개가 추가로 발사된다. [[테라리아/장비/갑옷#쉬루마이트 갑옷|쉬루마이트]], [[테라리아/장비/갑옷#소용돌이의 갑옷|소용돌이의 갑옷]]으로 은신하고 [[#신성한 화살|신성한 화살]]이나 [[#맹독 화살|맹독 화살]]을 쏘면 초당 DPS가 최종 보스의 무기와 비등할 정도로 강력한 위력을 지닌 활. 루미나이트 화살을 사용하면 DPS가 [[#S.D.M.G.|S.D.M.G.]]보다도 높아지지만, 말뚝딜이 불가능한 보스전에서는 보다 안정적인 딜을 위해 대부분 S.D.M.G.를 선택하게 된다. 화살이 꽤나 퍼져서 발사되기 때문에 다수의 적을 상대하기엔 적합하나, 피격 범위가 좁은 몬스터에게 4발 모두의 대미지를 고스란히 주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고유한 연사 및 투사체 속도 시스템을 가지고 있어 속도 관련 수식어 효과를 거의 받지 않는다. 따라서 Unreal 판타즘과 Godly 판타즘은 큰 성능차가 없다. 현재 테라리아 최강의 활이자 레인저의 최종 무기 중 하나로, 파편으로 만드는 무기임에도 달의 군주가 드랍하는 최종 무기들과 비견되는 강력한 무기이다. 이로 인해 레인저로 플레이할 경우 극후반 컨텐츠를 다단계 건너뛰게 해 준다. 피시론 공작이나 [[테라리아/이벤트#프로스트 문|프로스트 문]]에 도전할 필요 없이 [[테라리아/보스#플랜테라|플랜테라]]와 [[테라리아/보스#골렘|골렘]]을 잡은 스펙으로 어찌어찌 소용돌이의 기둥[* 이벤트의 첫 단계인 [[테라리아/이벤트#미친 광신도|미친 광신도]]는 난이도가 플랜테라보다 쉽고, 소용돌이 기둥은 다른 [[테라리아/이벤트#천체의 기둥|천체의 기둥]]에 비해 난이도가 낮아서 쉽게 깰 수 있다. 다른 기둥은 난이도가 높지만 판타즘이 있으니 아예 못 깰 수준은 아니고, 달의 군주가 소환되면 그냥 일부러 죽고 다음을 기약하면 된다(...). 하지만 전문가 모드에서는 제아무리 약한 소용돌이 기둥이라도 [[테라리아/장비/갑옷#쉬루마이트 갑옷|쉬루마이트 갑옷]]과 [[#비너스 매그넘|비너스 매그넘]] 기준으로도 감당하기 쉬운 수준이 아니니 최소 3번 이상은 죽을 각오를 해야 된다.]을 잡아서 재빨리 제작한다면 쉽게 나머지 기둥들을 파괴할 수 있다. 1.3 출시 직후에는 달의 군주가 드롭하는 원거리 무기보다도 사기인 무기여서 [[테라리아/재료#파편|천체의 파편]]으로 제작하는 다른 무기와 비교가 안 될 정도로 강력한 무기였다. [[테라리아/시스템#전문가 모드|전문가 모드]]의 듀크 피시론도 신성 화살만 장착하고 화살을 발사하면 피시론이 돌진하기도 전에 변신만 하다가 집에 갈 정도였고, [[테라리아/이벤트#달의 군주|달의 군주]]마저 순삭시킬 수 있을 정도였다. 결국 [[테라리아/버전#1.3.0.4|1.3.0.4]]에서 2차적으로 발사되는 화살이 반 토막 수준으로 하향되었다. [[테라리아/버전#1.3.0.5|1.3.0.5]]에서는 공격력이 한차례 더 감소(60->50)했으나 소용돌이의 파편으로 제작하는 무기가 원거리 피해와 넉백 효과를 받지 못하던 부분도 함께 수정되어 사실상 버프를 받았다. ====# [anchor(총)]총 #==== 총은 원거리 무장 중 한 분류로 대부분 [[#총알|총알]]을 사용하며 일부 총기는 총알이 아닌 독자적인 탄환을 사용하거나 아예 탄환을 사용하지 않는다. [[테라리아/NPC#총포상|총포상]]을 부르기 위한 '총을 가지고 있다'에 만족하는 무기이다. [[테라리아/장비/갑옷#쉬루마이트 갑옷|쉬루마이트 갑옷 마스크 세트]]의 총알 공격력 증가 효과를 받을 수 있다. ||<-2>
'''{{{-2 이름}}}''' || '''{{{-2 공격력}}}''' || '''{{{-2 사용[br]시간}}}''' || '''{{{-2 넉백}}}''' || '''{{{-2 치명[br]타율}}}''' || '''{{{-2 탄약[br]비소모}}}''' || '''{{{-2 자동[br]공격}}}''' || '''{{{-2 등급}}}''' || || [[파일:Terraria/플린트락.png]] || {{{-2 [[#플린트락|플린트락]]}}}[br]{{{-3 (Flintlock Pistol)}}} || {{{-2 13}}} || {{{-2 16}}}[br]{{{-3 (매우 빠름)}}} || {{{-2 1}}}[br]{{{-3 (극도로 약함)}}} || {{{-2 4%}}} || {{{-2 -}}} || '''{{{#red x}}}''' || [include(틀:t등급)] || || [[파일:Terraria/레드 라이더.png]] || {{{-2 [[#레드 라이더|레드 라이더]]}}}[br]{{{-3 (Red Ryder)}}} || {{{-2 20}}} || {{{-2 38}}}[br]{{{-3 (매우 느림)}}} || {{{-2 3.75}}}[br]{{{-3 (약함)}}} || {{{-2 4%}}} || {{{-2 -}}} || '''o''' || [include(틀:t등급)] || || [[파일:Terraria/리볼버.png]] || {{{-2 [[#리볼버|리볼버]]}}}[br]{{{-3 (Revolver)}}} || {{{-2 20}}} || {{{-2 22}}}[br]{{{-3 (빠름)}}} || {{{-2 4}}}[br]{{{-3 (약함)}}} || {{{-2 9%}}} || {{{-2 -}}} || '''{{{#red x}}}''' || [include(틀:t등급, n=2, bg=green)] || || [[파일:Terraria/권총.png]] || {{{-2 [[#권총|권총]]}}}[br]{{{-3 (Handgun)}}} || {{{-2 26}}} || {{{-2 15}}}[br]{{{-3 (매우 빠름)}}} || {{{-2 3}}}[br]{{{-3 (매우 약함)}}} || {{{-2 4%}}} || {{{-2 -}}} || '''{{{#red x}}}''' || [include(틀:t등급, n=2, bg=green)] || || [[파일:Terraria/머스킷.png]] || {{{-2 [[#머스킷|머스킷]]}}}[br]{{{-3 (Musket)}}} || {{{-2 31}}} || {{{-2 32}}}[br]{{{-3 (느림)}}} || {{{-2 5.25}}}[br]{{{-3 (보통)}}} || {{{-2 11%}}} || {{{-2 -}}} || '''{{{#red x}}}''' || [include(틀:t등급)] || || [[파일:Terraria/장의사.png]] || {{{-2 [[#장의사|장의사]]}}}[br]{{{-3 (The Undertaker)}}} || {{{-2 19}}} || {{{-2 20}}}[br]{{{-3 (매우 빠름)}}} || {{{-2 2}}}[br]{{{-3 (매우 약함)}}} || {{{-2 4%}}} || {{{-2 -}}} || '''{{{#red x}}}''' || [include(틀:t등급)] || || [[파일:Terraria/붐스틱.png]] || {{{-2 [[#붐스틱|붐스틱]]}}}[br]{{{-3 (Boomstick)}}} || {{{-2 14}}} || {{{-2 40}}}[br]{{{-3 (매우 느림)}}} || {{{-2 5.75}}}[br]{{{-3 (보통)}}} || {{{-2 4%}}} || {{{-2 -}}} || '''{{{#red x}}}''' || [include(틀:t등급, n=2, bg=green)] || || [[파일:Terraria/미니샤크.png]] || {{{-2 [[#미니샤크|미니샤크]]}}}[br]{{{-3 (Minishark)}}} || {{{-2 6}}} || {{{-2 8}}}[br]{{{-3 (미친 듯이 빠름)}}} || {{{-2 0}}}[br]{{{-3 (없음)}}} || {{{-2 4%}}} || {{{-2 33.33%}}} || '''o''' || [include(틀:t등급, n=2, bg=green)] || || [[파일:Terraria/퓨매틱 호른.png]] || {{{-2 [[#퓨매틱 호른|퓨매틱 호른]]}}}[br]{{{-3 (Pew-matic Horn)}}} || {{{-2 20}}} || {{{-2 15}}}[br]{{{-3 (매우 빠름)}}} || {{{-2 1}}}[br]{{{-3 (극도로 약함)}}} || {{{-2 4%}}} || {{{-2 -}}} || '''o''' || [include(틀:t등급, n=2, bg=green)] || || [[파일:Terraria/쿼드 배럴 샷건.png]] || {{{-2 [[#쿼드 배럴 샷건|쿼드 배럴 샷건]]}}}[br]{{{-3 (Quad-Barrel Shotgun)}}} || {{{-2 14}}} || {{{-2 55}}}[br]{{{-3 (극도로 느림)}}} || {{{-2 6.5}}}[br]{{{-3 (강함)}}} || {{{-2 4%}}} || {{{-2 -}}} || '''{{{#red x}}}''' || [include(틀:t등급, n=3, bg=orange)] || || [[파일:Terraria/피닉스 블래스터.png]] || {{{-2 [[#피닉스 블래스터|피닉스 블래스터]]}}}[br]{{{-3 (Phoenix Blaster)}}} || {{{-2 30}}} || {{{-2 14}}}[br]{{{-3 (매우 빠름)}}} || {{{-2 2}}}[br]{{{-3 (매우 약함)}}} || {{{-2 4%}}} || {{{-2 -}}} || '''{{{#red x}}}''' || [include(틀:t등급, n=2, bg=green)] || || [[파일:Terraria/시계태엽 돌격소총.png]] || {{{-2 [[#시계태엽 돌격소총|시계태엽 돌격소총]]}}}[br]{{{-3 (Clockwork Assault Rifle)}}} || {{{-2 17}}} || {{{-2 12}}}[br]{{{-3 (매우 빠름)}}} || {{{-2 0}}}[br]{{{-3 (없음)}}} || {{{-2 4%}}} || {{{-2 -}}} || '''o''' || [include(틀:t등급, n=4, bg=lightcoral)] || || [[파일:Terraria/개틀리게이터.png]] || {{{-2 [[#개틀리게이터|개틀리게이터]]}}}[br]{{{-3 (Gatligator)}}} || {{{-2 21}}} || {{{-2 7}}}[br]{{{-3 (미친 듯이 빠름)}}} || {{{-2 1.5}}}[br]{{{-3 (극도로 약함)}}} || {{{-2 4%}}} || {{{-2 50%}}} || '''o''' || [include(틀:t등급, n=4, bg=lightcoral)] || || [[파일:Terraria/산탄총.png]] || {{{-2 [[#산탄총|산탄총]]}}}[br]{{{-3 (Shotgun)}}} || {{{-2 24}}} || {{{-2 45}}}[br]{{{-3 (매우 느림)}}} || {{{-2 6.5}}}[br]{{{-3 (강함)}}} || {{{-2 4%}}} || {{{-2 -}}} || '''{{{#red x}}}''' || [include(틀:t등급, n=4, bg=lightcoral)] || || [[파일:Terraria/오닉스 블래스터.png]] || {{{-2 [[#오닉스 블래스터|오닉스 블래스터]]}}}[br]{{{-3 (Onyx Blaster)}}} || {{{-2 24}}} || {{{-2 48}}}[br]{{{-3 (극도로 느림)}}} || {{{-2 6.5}}}[br]{{{-3 (강함)}}} || {{{-2 4%}}} || {{{-2 -}}} || '''{{{#red x}}}''' || [include(틀:t등급, n=4, bg=lightcoral)] || || [[파일:Terraria/메가샤크.png]] || {{{-2 [[#메가샤크|메가샤크]]}}}[br]{{{-3 (Megashark)}}} || {{{-2 25}}} || {{{-2 7}}}[br]{{{-3 (미친 듯이 빠름)}}} || {{{-2 1}}}[br]{{{-3 (극도로 약함)}}} || {{{-2 4%}}} || {{{-2 50%}}} || '''o''' || [include(틀:t등급, n=5, bg=pink)] || || [[파일:Terraria/우지.png]] || {{{-2 [[#우지|우지]]}}}[br]{{{-3 (Uzi)}}} || {{{-2 30}}} || {{{-2 9}}}[br]{{{-3 (매우 빠름)}}} || {{{-2 3.5}}}[br]{{{-3 (약함)}}} || {{{-2 4%}}} || {{{-2 -}}} || '''o''' || [include(틀:t등급, n=7, bg=lime)] || || [[파일:Terraria/비너스 매그넘.png]] || {{{-2 [[#비너스 매그넘|비너스 매그넘]]}}}[br]{{{-3 (Venus Magnum)}}} || {{{-2 50}}} || {{{-2 9}}}[br]{{{-3 (매우 빠름)}}} || {{{-2 5.5}}}[br]{{{-3 (보통)}}} || {{{-2 4%}}} || {{{-2 -}}} || '''o''' || [include(틀:t등급, n=7, bg=lime)] || || [[파일:Terraria/전술 산탄총.png]] || {{{-2 [[#전술 산탄총|전술 산탄총]]}}}[br]{{{-3 (Tactical Shotgun)}}} || {{{-2 29}}} || {{{-2 34}}}[br]{{{-3 (느림)}}} || {{{-2 7}}}[br]{{{-3 (강함)}}} || {{{-2 4%}}} || {{{-2 -}}} || '''o''' || [include(틀:t등급, n=8, bg=yellow)] || || [[파일:Terraria/저격소총.png]] || {{{-2 [[#저격소총|저격소총]]}}}[br]{{{-3 (Sniper Rifle)}}} || {{{-2 185}}} || {{{-2 36}}}[br]{{{-3 (매우 느림)}}} || {{{-2 8}}}[br]{{{-3 (매우 강함)}}} || {{{-2 29%}}} || {{{-2 -}}} || '''{{{#red x}}}''' || [include(틀:t등급, n=8, bg=yellow)] || || [[파일:Terraria/동전 총.png]] || {{{-2 [[#동전 총|동전 총]]}}}[br]{{{-3 (Coin Gun)}}} || {{{-2 0[br][[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8px]] 25[br][[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8px]] 50[br][[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8px]] 100[br][[파일:Terraria/PlatinumCoin.png|height=8px]] 200}}} || {{{-2 8}}}[br]{{{-3 (미친 듯이 빠름)}}} || {{{-2 2}}}[br]{{{-3 (매우 약함)}}} || {{{-2 4%}}} || {{{-2 -}}} || '''o''' || [include(틀:t등급, n=6, bg=mediumpurple)] || || [[파일:Terraria/캔디콘 소총.png]] || {{{-2 [[#캔디콘 소총|캔디콘 소총]]}}}[br]{{{-3 (Candy Corn Rifle)}}} || {{{-2 44}}} || {{{-2 9}}}[br]{{{-3 (매우 빠름)}}} || {{{-2 2}}}[br]{{{-3 (매우 약함)}}} || {{{-2 10%}}} || {{{-2 33.33%}}} || '''o''' || [include(틀:t등급, n=8, bg=yellow)] || || [[파일:Terraria/체인건.png]] || {{{-2 [[#체인건|체인건]]}}}[br]{{{-3 (Chain Gun)}}} || {{{-2 31}}} || {{{-2 4}}}[br]{{{-3 (미친 듯이 빠름)}}} || {{{-2 1.75}}}[br]{{{-3 (매우 약함)}}} || {{{-2 4%}}} || {{{-2 50%}}} || '''o''' || [include(틀:t등급, n=8, bg=yellow)] || || [[파일:Terraria/제노파퍼.png]] || {{{-2 [[#제노파퍼|제노파퍼]]}}}[br]{{{-3 (Xenopopper)}}} || {{{-2 45}}} || {{{-2 21}}}[br]{{{-3 (빠름)}}} || {{{-2 3}}}[br]{{{-3 (매우 약함)}}} || {{{-2 4%}}} || {{{-2 -}}} || '''o''' || [include(틀:t등급, n=8, bg=yellow)] || || [[파일:Terraria/볼텍스 비터.png]] || {{{-2 [[#볼텍스 비터|볼텍스 비터]]}}}[br]{{{-3 (Vortex Beater)}}} || {{{-2 50 {{{-2 (탄환)}}}[br]70 {{{-2 (로켓)}}}}}} || {{{-2 20}}}[br]{{{-3 (매우 빠름)}}} || {{{-2 2 {{{-2 (탄환)}}}[br]2.5 {{{-2 (로켓)}}}}}}[br]{{{-3 (매우 약함)}}} || {{{-2 4%}}} || {{{-2 66.67%}}} || '''o''' || [include(틀:t등급, n=10, bg=red)] || || [[파일:Terraria/S.D.M.G..png]] || {{{-2 [[#S.D.M.G.|S.D.M.G.]]}}} || {{{-2 85}}} || {{{-2 5}}}[br]{{{-3 (미친 듯이 빠름)}}} || {{{-2 2.5}}}[br]{{{-3 (매우 약함)}}} || {{{-2 14%}}} || {{{-2 66.67%}}} || '''o''' || [include(틀:t등급, n=10, bg=red)] || ===== 하드모드 이전 ===== [include(틀:테라리아/하드모드 이전)]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플린트락)][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Flintlock Pistol, 한=플린트락, ID=95, 희소=blue, 유형=원거리 무기, 공=13, 시=16, 속=매우 빠름, 넉=1, 강=극도로 약함)][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총포상, 문서=NPC, h=24px)] (5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 이름은 플린트락이지만 실제와 달리 빠른 속도로 발사할 수 있다. 공격력도 낮고 넉백도 없어서 그렇게 훌륭한 총기는 아니다. 원래 [[#우주 총|우주 총]]의 재료로 사용되었으나 [[테라리아/버전#1.2|1.2]] 패치 이후 더 이상 재료가 되지 않는다. 다른 총기류가 적어도 하나 존재해야하는 총포상의 입주 조건 덕분에 입수하더라도 전혀 쓸모가 없게 되었다. 1.4.4 이후 약간의 넉백이 붙어 Unreal을 붙이는 게 가능해졌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레드 라이더)][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Red Ryder, 한=레드 라이더, v=1.2.2, ID=1870, 희소=blue, 유형=원거리 무기, 자동=↻, 공=20, 시=38, 속=매우 느림, 넉=3.75, 강=약함)][include(틀:t보물)] [[파일:Terraria/선물 상자.png|height=14px]] 선물 상자 (0.64%)[* [[테라리아/보스#월 오브 플레시|월 오브 플레시]] 격파 이후 0.6%]}}} 레버액션 라이플이지만 [[#머스킷|머스킷]]보다 공격 속도가 떨어져 좋지 않은 DPS를 보여준다. 이름인 레드 라이더는 실존하는 모형총의 이름이기도 하다. 동명의 만화에서 유래. 30~60년대까지 한때 미국 남자아이들의 로망으로, 크리스마스 선물로 대유행했다. [[폴아웃]]에서도 유니크 무기로 나온다. 성능이 이렇게 떨어지는 것도 태생이 장난감이기 때문인 듯. 대신 판매가가 금화 2닢으로 상당히 비싼 편이니 하나만 기념품으로 보관해두고 파는 게 좋다. 또는 어쨋든 총기류이므로 [[테라리아/시스템#크리스마스 기간|크리스마스 시즌]]에 게임을 시작했을 경우 [[테라리아/NPC#총포상|총포상]]을 부르는 조건으로 쓸 수도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리볼버)][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Revolver, 한=리볼버, v=1.2.3, ID=2269, 희소=green, 유형=원거리 무기, 공=20, 시=22, 속=빠름, 넉=4, 강=약함, 치=9)][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행상인, 문서=NPC, h=24px)] (10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br](그림자 구체 / 진홍색 심장 파괴 이후)}}} 대부분의 휴대 무장보다 훨씬 공격력이 높아 사냥용, 전투용 모두 쓸 수 있는 올라운더에다가 공격 속도도 그럭저럭 빠른 편인 은근히 고성능 무장이다. 엔간한 잡몹들은 1발로 처리되어서 보스를 잡을 때도 유용하게 쓰인다. 하드모드 이후에도 쓸 만한데, [[#고속 총알|고속 총알]]까지 장착하면 발당 공격력이 60이 넘는 흉악한 무장으로 돌변한다. 단점이라면 행상인이 판매할 확률이 낮다는 것. 게임을 시작해서 문로드를 격파할때까지도 못 볼 확률이 크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권총)][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Handgun, 한=권총, ID=164, 희소=green, 유형=원거리 무기\, 재료, 공=26, 시=15, 속=매우 빠름, 넉=3, 강=매우 약함)][include(틀:t보물)] [[테라리아/지형#던전|던전]]의 [[파일:Terraria/잠긴 황금 상자.png|height=14px]] 잠긴 황금 상자 (14.29%)[br]([[파일:Terraria/황금 열쇠.png|height=16px]] [[테라리아/소모품#황금 열쇠|황금 열쇠]] 요구)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파일:kF3NCog.png|height=14px]] [[테라리아/소모품#잠긴 황금 상자|잠긴 황금 상자]] (14.29%)[br]([[파일:Terraria/황금 열쇠.png|height=16px]] [[테라리아/소모품#황금 열쇠|황금 열쇠]] 요구)}}} [[#피닉스 블래스터|피닉스 블래스터]]의 재료가 된다. 상당히 빠른 연사 속도, 준수한 피해량 덕에 하드모드 이전까지는 쓸 만하다. 1.2.1.2 버전 기준으로 사격 시 효과음이 달라진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머스킷)][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Musket, 한=머스킷, ID=96, 희소=blue, 유형=원거리 무기, 공=31, 시=32, 속=느림, 넉=5.25, 치=11)][include(틀:t채집)] [[테라리아/지형#오염지대|오염지대]]의 [[파일:Terraria/그림자 구체.png|height=14px]] 그림자 구체 (20%)[* 첫 그림자 구체 파괴 시 100%]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include(틀:t캡션, 이름=오염된 크레이트, 문서=소모품, h=24px)]/[include(틀:t캡션, 이름=더럽혀진 크레이트, 문서=소모품, h=24px)]] (20%)}}} [[테라리아/NPC#총포상|총포상]]을 불러올 수 있는 정식 총포로서 총기 아이템의 첫걸음. 자동 사격이 가능한 초기 총기로서 취관보다 속도가 빠르지만 그래도 느린 편에 속한다. 그래도 공격력 자체는 좋아서 운 좋게 Unreal, Godly나 그 주변의 수식어가 붙어 나오면 [[테라리아/보스#월 오브 플레시|월 오브 플레시]] 이전까지는 무리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총 컨셉으로 시작하면 이것말곤 구할수 있는 무기가 없기 때문에 플레이어들은 죽을 상을 짓고 오염지대로 돌격하게 된다. 폭탄을 어떻게든 얻어서 버티며 부수어 얻는 방법이나 블록과 망치 버그를 이용한 지형 관통으로 초반에 얻을수도 있다. 중반에는 [[#미니샤크|미니샤크]]에 밀려서 그렇지. 수식어만 잘나온다면 '''월 오브 플래쉬도 골로 보낼수 있다.''' 하드모드 이후에서도 웬만한 몬스터들도 겁 없이 상대할수있다. 다만 일반 모드일 경우에 그렇지. 전문가, 마스터 모드에서는 몬스터, 보스 스팩이 '''크게''' 증가하기에.. 이점에선 미니샤크가 좋지만 물량전이 아닐경우엔 단발 대미지가 강한 머스킷을 쓰는게 나은편. 이런점 때문에 어떤 ~~미친~~고인물 유저는 '''오직 머스킷으로만'''으로 [[https://www.youtube.com/watch?v=OlugK_9Crhc&ab_channel=CompanyEggs|루나 이벤트까지 클리어 했다(...)]][* 달의 군주까지 도전을 했으나. 달의 군주는 이코르/저주받은 불길 효과는 물론이고. 모든 디버프에 면역이기 때문에 사실상 한계상 루나 이벤트, 미친 광신도까지만 가능하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장의사)][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The Undertaker, 한=장의사, v=1.2, ID=800, 희소=blue, 유형=원거리 무기, 공=19, 시=20, 속=매우 빠름, 넉=2, 강=매우 약함)][include(틀:t채집)] [[테라리아/지형#진홍지대|진홍지대]]의 [[파일:Terraria/진홍색 심장.gif|height=14px]] 진홍색 심장 (20%)[* 첫 진홍색 심장 파괴 시 100%]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include(틀:t캡션, 이름=진홍색 크레이트, 문서=소모품, h=24px)]/[include(틀:t캡션, 이름=핏빛 크레이트, 문서=소모품, h=24px)]] (20%)}}} [[#머스킷|머스킷]]보다 속도가 빠르지만 공격력과 넉백이 감소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붐스틱)][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Boomstick, 한=붐스틱, v=1.2, ID=964, 희소=green, 유형=원거리 무기, 공=14, 시=40, 속=매우 느림, 넉=5.75)][include(틀:t보물)] [[테라리아/지형#정글 지하|정글 지하]]의 [[파일:Terraria/넝쿨 상자.png|height=14px]] 넝쿨 상자 (21.72%)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include(틀:t캡션, 이름=정글 크레이트, 문서=소모품, h=24px)]/[include(틀:t캡션, 이름=가시덤불 크레이트, 문서=소모품, h=24px)]] (19%)}}} 붐스틱이라는 이름은 굳이 직역하면 "뻥소리 나는 막대기" 정도로, B급 호러 영화 [[이블 데드]] 시리즈의 3편 "어둠의 군대"에서 주인공 애쉬가 고대인들에게 [[소드 오프 샷건]]을 [[https://youtu.be/Hx3Bz6cIPiw|소개하는 내용의 오마주다.]] 산탄총 계열 무기의 시작으로, 탄 하나를 소모하여 4개의 총알을 분산시켜 발사하는 방식이라 근, 중거리에서 좋은 위력을 보이고, 특히 피격 면적이 넓은 보스들을 상대할 때 특효약이다. 하지만 공격 속도가 느리고 탄 퍼짐이 크기 때문에 조그만한 적을 멀리서 상대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게다가 머스킷과 비교해도 두배나 낮은 자체 공격력 덕에 제 위력을 뽑아내려면 치명타 세팅이 강제된다는 것이 문제. 일단 치명타가 제법 나오는 정도로 치명타 확률을 올려주고 지근거리에서 전탄을 맞추면 머스킷보다 더 강한 DPS를 뽑아낼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미니샤크)][include(틀:t인포박스/비소모율, 영=Minishark, 한=미니샤크, ID=98, 희소=green, 유형=원거리 무기\, 재료, 자동=↻, 공=6, 시=8, 속=미친 듯이 빠름, 넉=0, 강=없음, 비소모=33.33)][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총포상, 문서=NPC, h=24px)] (35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 하드모드 이전 원거리 무기 중 가장 빠른 공격 속도를 갖추었으며, 33% 확률로 탄약을 소모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하드모드 이전엔 [[#유성 대포|유성 대포]], 하드모드에선 [[#메가샤크|메가샤크]]의 재료가 된다. 연사력이 매우 빠른 것이 특징이지만 이런 총은 특성상 발당 공격력이 낮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고정 수치의 방어력을 무시하는 옵션이 달린 상어이빨목걸이, 독침목걸이를 필수적으로 장비해야 한다. 자체 공격력이 6밖에 안 되어 방어력이 높은 적을 대상으로는 1~2의 피해만을 줄 수 있을 정도로 허약해진다. 일반 모드에서는 대부분 적들의 방어력이 약하므로 초반에도 다 썰고 다니는 반면, 전문가 모드에서는 적들의 방어력이 쎄지기 때문에 잘 안쓰인다. 또한 33% 확률로 탄환을 소모하지 않기는 하나 연사력이 높은 특성상 탄약을 많이 소모하게 된다. 그래도 메가샤크의 재료가 되니 하나쯤은 구입하는 총기. 스팀 트레이딩 카드에서 [[http://vignette2.wikia.nocookie.net/steamtradingcards/images/d/d3/Terraria_Foil_1.png/revision/latest?cb=20131125103230|미니샤크의 자세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데, 상어 입에서 [[M134 미니건|미니건]] 총신이 튀어나와 있는 모습이다. 미니건이라서 미니샤크였던 모양. 메가샤크는 아이콘 외형으로 볼 때 미니건은 아닌 듯하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퓨매틱 호른)][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Pew-matic Horn, 한=퓨매틱 호른, v=1.4.3, ID=5117, 희소=Green, 유형=원거리 무기, 자동=↻, 공=20, 시=15, 속=매우 빠름, 넉=1, 강=극도로 약함)] [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외눈사슴, 사진=Deerclops.png, 문서=보스, h=36px)] (25%)}}} 외눈사슴의 드롭 총기. [[Don't Starve]]와의 콜라보 아이템으로, [[휠러(Don't Starve)|휠러]]의 전용 무기중 하나인 퓨매틱 호른을 따왔다. 발사하는 총알을 랜덤한 아이템 투사체로 바꾸어 공격한다. 투사체별로 대미지가 다른데, 최대 0.1(거미줄)에서 2배(다이아몬드)까지 차이가 나기에 피해량이 들쭉날쭉하다. 발당 기댓값은 대략 20.83으로, 무기에 적힌 값에 수렴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쿼드 배럴 샷건)][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Quad-Barrel Shotgun, 한=쿼드 배럴 샷건, v=1.4.0.1, ID=4703, 희소=orange, 유형=원거리 무기, 공=14, 시=55, 속=극도로 느림, 넉=6.5, 강=강함)][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총포상, 문서=NPC, h=24px)] (35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br]([[테라리아/지형#묘지|묘지]]에서)}}} 비슷한 샷건류 무기인 붐스틱의 강화판이자 하드모드 산탄총의 열화판 무기로, 탄퍼짐이 매우 심해서 적에게서 조금만 멀어져도 명중률이 바닥을 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어느정도냐면 적의 코앞에서 쏴도 탄이 한두발 새는 수준이다!! 이쯤되면 총알이 적을 피해가는 수준. 하지만 강한 깡 공격력 덕분에 적당한 수식어만 붙혀줘도 총알을 다 맞추었을 때 100이 넘는 대미지를 줄 수 있다. 특히 붐스틱도 월오플을 잡기 우수한 무장인데 쿼드 배럴이 암만 명중률이 바닥이라해도 무식한 크기의 월오플에게는 딜을 온전히 박아 넣을 수 있다. 또한 묘지 바이옴은 일부러 자살을 한 후 묘비를 모아 세우면 완성할 수 있기에 돈만 재빨리 번다면 붐스틱보다도 빠르게 구할 수가 있다!. 더군다나 공격력이 높기 때문에 적들의 방어력이 높은 전문가와 마스터 모드에서는 가격이 동일한 미니샤크보다 딜이 잘 나온다. 전문가와 마스터모드는 돈도 더 잘 벌리기에 더더욱 쓸만한 무장이다. 문제는 하드코어 플레이를 한다면 얻기 힘들 아이템이라는 것. 하드코어 플레이에서 묘비는 npc가 죽어야만 나오니... 무기의 유래는 1979년작 미국의 공포 영화인 [[환타즘]]. 1.4.1 업데이트로 스켈레트론 격퇴 이후 묘지에서 구매가 가능해지게 되었다. 얻는 시기에 비해 너무 좋아서 너프를 '''크게''' 먹은 셈. 또한 발사 탄환수가 4발에서 6발로 변경된 대신, 한발당 대미지가 24에서 17로 너프되었다. 모든 탄환을 박아넣는 가정하에 총 대미지 자체는 버프이지만, 탄퍼짐이 워낙 심한 특성상 크키가 큰 보스전에서도 3발을 맞추기도 힘들다보니 사실상 너프. 1.4.4 업데이트로 6발에서 8발으로 변경된 대신, 데미지가 14로 너프되었다. 하지만 하나의 총알이 커서를 향하여 정확하게 쏘게 되었다. [anchor(피닉스 블래스터)][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Phoenix Blaster, 한=피닉스 블래스터, ID=219, 희소=Orange, 유형=원거리 무기, 공=30, 시=14, 속=매우 빠름, 넉=2, 강=매우 약함, 재료1=지옥석 주괴, 재료1수량=(10), 재료2=권총, 재료2문서=무기/원거리 무기, 조합=모루)] [[#권총|권총]]의 상위 등급 무기. 머스킷급의 높은 공격력을 [[#미니샤크|미니샤크]]처럼 빠르게 발사할 수 있으므로 하드모드 이전 총기류 중 가장 높은 DPS를 가진다. Unreal 수식어가 붙었다면 [[테라리아/보스#월 오브 플레시|월 오브 플레시]]는 물론 하드모드 초반의 몹 대상으로도 훌륭하다. 권총과 마찬가지로 이쪽도 [[테라리아/버전#1.2|1.2]] 패치로 텍스처가 바뀌면서 원래 비대했던 게 더 비대해진 편. 자동공격이 안된다는 단점덕에 많이 쏘다보면 손가락이 아픈 무기였지만 1.4.4 패치로 모든 무기가 자동공격이 가능하게 되면서 '''자동공격을 할 수 있게 되었다'''. 피해량도 24에서 33으로 대폭 뛰어올랐지만, 대신 발사 속도가 11에서 17로 딜레이가 크게 늘어났다. 다만 자동공격이 안되던 시절에 비해 큰 너프 체감이 오지는 않는 편. ===== 하드모드 ===== [include(틀:테라리아/하드모드)]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시계태엽 돌격소총)][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Clockwork Assault Rifle, 한=시계태엽 돌격소총, v=1.1, ID=434, 희소=LightCoral, 과정=ⓗ, 유형=원거리 무기, 자동=↻, 공=17, 시=12, 속=매우 빠름, 넉=0, 강=없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h=24px, 이름=월 오브 플레시, 문서=보스, 파생=축소)] (25%)}}} 한 번 발사하면 탄약을 하나 소모하여 [[점사|3점사]]를 하므로 [[#미니샤크|미니샤크]]의 33% 탄약 미소모 효과보다 확실히 높은 효율이 보장된다. 무조건 한 발에 세 번을 발사하므로 여기에 기본적으로 탄약 관련 버프가 많이 붙은 레인저용 장비들을 얻기 시작하면 경제성은 더욱 좋아져 장기 원정을 뛰는 경우에 특히 빛을 발한다. 처음으로 하드모드 기계 보스([[테라리아/보스#쌍둥이|쌍둥이]], [[테라리아/보스#파괴자|파괴자]], [[테라리아/보스#스켈레트론 프라임|스켈레트론 프라임]])에 도전할 때 좋은 무기. [[테라리아/NPC#스팀펑커|스팀펑커]] NPC가 사용하는 총이기도 하다. 시계태엽이라는 이름이나 톱니바퀴가 박혀 있는 외형 등에서 스팀펑크의 분위기를 물씬 풍긴다. 관통 효과가 있는 [[#운석 총알|운석 총알]]을 발사할 시에는 3발 다 타격 처리가 되는 것이 아닌, 한 발만 타격 처리가 되는 경우가 왕왕 발생하니 주의할 것. 모바일 1.2때에서는 버그인지 미니건 수준의 연사 속도를 지니고 있었다. [[#메가샤크|메가샤크]]보다 더 좋은 연사 속도를 가지고 있기에 수식어만 잘 붙이면 수식어 없는 메가샤크 수준의 성능이 나온다. 모바일 1.3 업데이트 이후 발사속도가 PC와 같아졌다. 그리고 1.4 패치로 공격력이 17로 소폭 감소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개틀리게이터)][include(틀:t인포박스/비소모율, 영=Gatligator, 한=개틀리게이터, v=1.2.3, ID=2270, 희소=LightCoral, 과정=ⓗ, 유형=원거리 무기, 자동=↻, 공=21, 시=7, 속=미친 듯이 빠름, 넉=1.5, 강=극도로 약함, 비소모=50)][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행상인, 문서=NPC, h=24px)] (35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br](하드모드에서)}}} 이름과 외형에서 알 수 있듯 개틀링과 악어(Alli'''gator''')의 합성어. 공격 속도가 매우 빠르고 50% 확률로 탄약을 소모하지 않는 옵션이 붙어있다. 모티브는 [[콘스탄틴(영화)]]의 존 콘스탄틴이 쓰는 산탄총으로 추정. 대신 크나큰 단점으로 판매 확률이 너무 낮고, 탄 퍼짐이 너무 심해 근거리가 아닌 이상 원거리의 적을 맞출 수 있다는 기대를 할 수가 없다. 그나마 거대한 적이라면 웬만해서는 다 맞지만 그래도 탄 퍼짐이 심각해서 일부 총알이 빗겨나갈 수 있다. 대신 유도성 탄약인 [[#녹조류 총알|녹조류 총알]]을 사용한다면 완벽하게 상쇄되며, [[#끝없는 머스킷 주머니|끝없는 머스킷 주머니]]를 사용하면 탄약 소모를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산탄총)][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Shotgun, 한=산탄총, v=1.1, ID=534, 희소=LightCoral, 과정=ⓗ, 유형=원거리 무기\, 재료, 공=24, 시=45, 속=매우 느림, 넉=6.5, 강=강함)][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총포상, 문서=NPC, h=24px)] (25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br]([[테라리아/보스#월 오브 플레시|월 오브 플레시]] 격파 이후)}}} 테라리아 최초의 [[산탄총]]으로, 이름도 산탄총이다. 총알 하나를 소모하여 총 4개의 총알을 분산시켜 발사한다. 쿼드배럴 샷건에서 탄퍼짐만 줄인 무기. 사정거리가 짧고 속도가 느려서 근거리 아니면 쓰기가 힘들다. 느리고 한 번에 발사하는 특징 덕에 연속 사격이 아닌 순간 화력을 믿고 쓰는 총이다. [[#고속 총알|고속 총알]]으로 느린 탄속을 커버할 수도 있고, 특히 [[#수정 총알|수정 총알]]을 사용하면 4개의 수정탄이 각 3개씩 분리되어 무려 12개의 파편이 튄다. [[#녹조류 총알|녹조류 총알]]과의 상성이 좋다. 발사음이 샷건답게 호쾌하고 넉백도 세서 모든 탄을 때려박을 때의 쾌감이 상당하다. [[테라리아/버전#1.3.3|1.3.3]] 업데이트로 [[#오닉스 블래스터|오닉스 블래스터]]의 재료로 들어간다. 하드모드 초반 레인저에게 시계태엽 돌격소총과 함께 접근성, 성능, 준수한 피해량등 모든 장점이 있는 좋은 총기이다. 게다가 돈만 있으면 총포상에게 구매하면 되므로 다른 무기가 안 나왔을 경우 생각없이 사도 기본 이상은 해주는 완소 무기다. 마스터 모드에서도 문제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anchor(오닉스 블래스터)][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Onyx Blaster, 한=오닉스 블래스터, v=1.3.3, ID=3788, 희소=LightCoral, 유형=원거리 무기, 공=24, 시=48, 속=극도로 느림, 넉=6.5, 강=강함, 재료1=산탄총, 재료1문서=무기/원거리 무기, 재료2=어둠의 조각, 재료2수량=(2), 재료3=밤의 영혼, 재료3수량=(10), 조합=하드모드 모루)] 산탄총류 무기 중 [[#전술 산탄총|전술 산탄총]]에 이어 두 번째로 성능이 좋다. 기계 보스([[테라리아/보스#쌍둥이|쌍둥이]], [[테라리아/보스#파괴자|파괴자]], [[테라리아/보스#스켈레트론 프라임|스켈레트론 프라임]]) 격퇴 이전에도 제작할 수 있으며,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무기로 [[테라리아/무기/근접 무기#다오 오브 파우|다오 오브 파우]], [[테라리아/무기/마법 무기#하늘의 균열|하늘의 균열]]이 있다. 총알 1발을 소비해서 4개의 분산된 총알을 발사하는 것까진 산탄총과 동일하나, 일직선으로 나아가는 거대한 검은색 에너지형 발사체를 추가로 발사하는 능력이 있다. 이 에너지 발사체는 적이나 블록에 닿으면 폭발하며 강력한 피해를 준다. 사기적인 딜링 덕분에 모든 기계 보스를 손쉽게 잡을수 있고, 잡몹전에도 능하다...라고 사람들은 말하지만 기계 보스들을 잡을려면 어느정도의 컨트롤은 요구된다. 메가샤크를 얻기전까지 최대한 빠르게 만들어두자. '''특히 집탄율이 높아서 꽤 용이하다.''' 투사체가 범위공격인데다 피해량도 강력해 월드 피더,'''와이번,파괴자'''과 같은 지렁이 몬스터들을 갈아버릴 수 있다. 특히 와이번은 강력한 적이라 막 하드모드에 진입하면 죽이기 힘든데 그걸 어느정도 커버해준다. 만약 정공으로 파괴자를 잡는다면 파괴자에게 막대한 피해를 줄 수 있다. 꼭 그게 아니라도 해당 시점에서 프로브 처리를 가장 잘하는 레인저 무기라 지참하면 좋다. 신성한 미믹을 잡을 때도 해당 시점에서 가장 좋은 무기이다. 플랜테라를 처치해 폭발물 런쳐를 얻기 전까지도 물량을 처리해주는 무기. 사실상 메가샤크와 함께 레인저 핵심 무기라 보아도 무방하다. 하드모드 극초반부터 만들수 있는 무기지만 성능은 위에 설명했듯 굉장히 좋다. 다이달로스 폭풍궁과 함께 하드모드 극초반 레인저의 안정성을 담보해주는 무기이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메가샤크)][include(틀:t인포박스/비소모율, 영=Megashark, 한=메가샤크, v=1.1, ID=533, 희소=Pink, 과정=ⓗ, 유형=원거리 무기, 자동=↻, 공=25, 시=7, 속=미친 듯이 빠름, 넉=1, 강=극도로 약함, 비소모=50)][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미니샤크, 문서=무기/원거리 무기, h=14px)] + [include(틀:t캡션, 이름=불법 총기 부품, 문서=재료, h=14px)] + [include(틀:t캡션, 이름=상어 지느러미, 문서=재료, h=14px)] (5) + [include(틀:t캡션, 이름=힘의 영혼, 문서=재료, h=14px)] (20)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미니샤크의 큰 형님'이라는 설명 그대로 [[#미니샤크|미니샤크]]의 강화형. 미니샤크의 옵션을 계승해서 무려 50% 확률로 탄약을 소모하지 않는다는 옵션이 존재한다. 원거리에서 안정적인 화력을 넣을 수 있는 특성상 [[테라리아/보스#쌍둥이|쌍둥이]]와 [[테라리아/보스#스켈레트론 프라임|스켈레트론 프라임]]에게 대항하기 적합하다. 1.4.4 패치 기준으로는 다른 총기도 많은 상향을 받아 이전만큼 오래 사용되지는 않는다. 플랜테라까지가 기대 수명이다. 가격이 비싼 미니샤크와 불법 총기 부품을 조합한 상위 무기인데도 판매가가 하위 무기인 미니샤크보다 더 낮다. 구매해서 얻는 게 아닌 조합해서 얻는 무기이기에 가격을 낮게 설정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오히려 리포징 비용은 엄청나게 늘어난다. [anchor(우지)][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Uzi, 한=우지, v=1.2, ID=1265, 희소=Lime, 과정=ⓗ, 유형=원거리 무기, 자동=↻, 공=30, 시=9, 속=매우 빠름, 넉=3.5, 강=약함, 드롭1=앵그리 트래퍼, 드롭1h=24px, 드롭1확률=1)] 가상 매체 속 무기가 난무하는 테라리아에서 몇 안 되는 실존 현대식 무기. [[#메가샤크|메가샤크]]보다 약간 성능이 낮은데,[* [[https://www.google.com/url?sa=t&source=web&rct=j&url=https://m.youtube.com/watch%3Fv%3Dhd7GPTWmByw&ved=2ahUKEwi5s97W1K7pAhXLLqYKHRHrAWgQo7QBMAB6BAgDEAE&usg=AOvVaw2ji3cF-LhKX2YGd7cGRly0|우지 Vs 메가샤크 성능 분석 영상.]] ][* 1.4.1 패치 이후로 고속 총알이 적을 두 번 관통할 수 있게 되면서 무한 머스킷 탄약을 사용한다면 웨이브전에서는 우지가 살짝 더 유리해졌다.]드롭률도 1%로 낮고[* 1.2.0.3 패치 이전에는 드롭률이 '''1/80,000(0.00125%)'''로 매우 극악했다. 개발자가 의도한 사항은 아닌 것 같고 0 두세 개를 실수로 더 붙인 듯하다. 이후 [[테라리아/버전#1.2.4.1|1.2.4.1]]에서 0.5%로 상향되었다가 다시 [[테라리아/버전#1.3|1.3]]때 1%로 올랐다.] 하드모드 정글에는 [[테라리아/몬스터#이끼 말벌|이끼 말벌]], [[테라리아/몬스터#나방|나방]], [[테라리아/몬스터#거대 거북이|거대 거북이]] 따위만 스폰되고 앵그리 트래퍼가 영 스폰되지 않는 문제가 있어 얻을만한 가치가 크지는 않다. 메가샤크와 달리 탄약 소비를 줄여주는 옵션도 없어서 부담이 되지만 이건 그냥 총알을 많이 들고 다니거나 [[테라리아/버전#1.3|1.3]] 업데이트로 추가된 [[#끝없는 머스킷 주머니|끝없는 머스킷 주머니]]를 사용하면 된다. [[#머스킷 총알|머스킷 총알]]과 [[#은 총알|은 총알]]은 둘 모두 [[#고속 총알|고속 총알]]로 변환되어 발사되지만, 우지 자체 메커니즘에 의해 은 총알은 머스킷 총알보다 높은 공격력을 가졌으므로 좀 더 높은 공격력을 가진 고속 총알이 발사된다. 이 경우 탄속이 엄청 빨라지므로 결과적으로 같은 시간에 많은 총알을 적에게 적중시킬 수 있고 1:1에서 거의 무한 경직을 줄 수 있어서 팔라딘이나 아이스 골렘은 열 걸음 정도 움찔거리며 걷다가 비명횡사하는 걸 볼 수 있다. [[테라리아/보스#플랜테라|플랜테라]] 보스전이 어렵다면 미리 얻어두자. [[#수정 총알|수정 총알]]과 날개, 그리고 비교적 널찍한 열린 공간만 있다면 정말 쉽게 처리할 수 있다. [anchor(비너스 매그넘)][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Venus Magnum, 한=비너스 매그넘, v=1.2, ID=1255, 희소=Lime, 과정=ⓗ, 유형=원거리 무기, 공=50, 시=9, 속=매우 빠름, 넉=5.5, 자동=↻ ,드롭1=플랜테라, 드롭1문서=보스, 드롭1h=24px, 드롭1파생=축소, 드롭1확률=14.29)] [[#우지|우지]]보다 속도가 빠르지만 연속 공격이 불가능해서 사용하다 보면 손가락이 아프다. 이 총도 마찬가지로 [[#머스킷 총알|머스킷 총알]]과 [[#은 총알|은 총알]]을 [[#고속 총알|고속 총알]]로 변환해 발사한다. 다만 아무리 손가락이 빠르더라도 [[오토마우스]]라도 쓰지 않는 한 [[#체인건|체인건]] 같은 무기를 따라오기는 힘들어서 한계가 명확했던 무기. 모바일 버전에선 모든 무기로 자동공격이 가능하기에 이래저래 계륵인 PC와 달리 이론상의 성능을 보여줄 수 있었다. 추가된 이후 상향만 받다가 1.4.4 패치로 자동공격이 가능하게 되어 드디어 실전성이 생겼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전술 산탄총)][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Tactical Shotgun, 한=전술 산탄총, v=1.2, ID=679, 희소=Yellow, 과정=ⓗ, 유형=원거리 무기, 자동=↻, 공=29, 시=34, 속=느림, 넉=7, 강=강함)][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전술 스켈레톤, 문서=몬스터/던전, h=24px)] (8.33% / {{{#E80 15.97%}}})}}} 드럼 탄창을 물린 전자동 산탄총. [[#산탄총|산탄총]]의 강화판으로, 일반 산탄총보다 공격력이 더 높고 자동 공격이 가능하다. 기존의 산탄총에 비해 범용성이 더욱 높은 강력한 총기. 다른 산탄총류 무기와 달리 기본 29 공격력이 탄알 하나마다 적용되니 6발을 다 맞춘다면 엄청난 피해를 입힐 수 있고 [[테라리아/몬스터#팔라딘|팔라딘]]이나 [[테라리아/이벤트#아이스 골렘|아이스 골렘]] 같은 귀찮은 미니 보스나 기존에 어렵게 잡았던 다른 보스들도 적은 총알 소모로 쉽게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수정 총알|수정 총알]]을 사용해 풀 히트를 내면 원래 탄의 6발 피해량+수정 파편 18개의 피해량을 일으키므로 약 400 이상의 피해량을 줄 수 있다. 한 번에 발사하는 탄이 많으므로 [[#녹조류 총알|녹조류 총알]]과의 궁합이 아주 잘 맞다. 이렇게 녹조류와 연계하면 저격소총처럼 dps가 많이 높아 피시론이나 프로스트 문에 아주 쓸만하다. PC [[테라리아/버전#1.3.5|1.3.5]] 버전 기준 [[https://youtu.be/LkbO3lXP1Vs?t=657|2개가 한꺼번에 드롭되는 버그]]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저격소총)][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 Sniper Rifle, 한=저격소총, v=1.2, ID=1254, 희소=Yellow, 과정=ⓗ, 유형=원거리 무기, 공=185, 시=36, 속=매우 느림, 넉=8, 강=매우 강함, 치=29)][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스켈레톤 저격수, 문서=몬스터/던전, h=24px)] (8.33% / {{{#E80 15.97%}}})}}} 테라리아에서 자체 공격력이 가장 높은 원거리 무기. [[저격소총]]이라는 이름 그대로 한 발의 공격력이 강한 대신 발사 속도가 느리다. 오른쪽 클릭 유지시 쌍안경처럼 멀리 볼 수 있다. DPS도 나쁘지 않은 편. 대미지가 평균 700쯤 되는데 초당 2번쯤 쏘므로 dps가 1200~1300 가량 된다.메가샤크가 비슷한 조건에서 700~900정도의 dps를 뽑아내는데 이보다 훨씬 높다.여기에 수정탄과 궁합이 메가샤크보다 좋아서 일단 얻으면 체인건 전까지 보스전에서도 쓰게된다. 넉백이 낮아 간혹 한방이 안나는 적들 상대로 위험할수 있지만 본 리나 여러 미니보스를 빼면 다 한방이라 큰 단점은 아니다. 쌍안경도 그렇지만 화면을 땡긴 상태에서는 적 스폰과 버프 가구가 땡긴 화면을 기준으로 적용된다. 운이 나쁘면 플레이어 바로 옆에 적이 스폰돼서 공격당할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wiki style="width: 270px; float: left; background-color: #3E5B3E; color: white; " {{{#!wiki style="width: 40px; padding: 2px 0px 2px 5px ; float: left;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테라리아/버전#1.2|{{{#white 1.2}}}]]}}}{{{#!wiki style="width: 194px; padding: 3px 2px 3px 0; float: left; " {{{#!wiki style="font-size: 11px; " Coin Gun}}}{{{#!wiki style="font-size: 14px; " 동전 총}}}}}}{{{#!wiki style="width: 36px; padding: 3px; float: left; font-size: 10px; text-align: right; " #905}}}}}}{{{#!wiki style="clear: both; " }}}{{{#!wiki style="width: 270px; margin: 2px 0 0 0; border: 1px solid #CCC; float: left; " {{{#!wiki style="width: 5px; float: left; " {{{#!wiki style="width: 25px; height: 25px; display: flex; " {{{#!wiki style="margin: auto; color: red; font-size: 12px; " ⓗ}}}}}}{{{#!wiki style="width: 25px; height: 25px; display: flex; " {{{#!wiki style="width: 16px; height: 16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CCC; border-radius: 20px; background: mediumpurple; " }}}}}}}}}{{{#!wiki style="width: 228px; min-height: 50px; display: flex; float: left; " {{{#!wiki style="margin: auto; padding: 2px 0px 2px 31px; " {{{#!wiki style="margin: auto; padding: 2px 0; " [[파일:Terraria/동전 총.png]]}}} }}}}}}{{{#!wiki style="width: 25px; float: left; " {{{#!wiki style="width: 48px; height: 25px; display: flex; " {{{#!wiki style="margin: auto; " ↻}}}}}}{{{#!wiki style="width: 48px; height: 25px; display: flex; " {{{#!wiki style="margin: auto; font-size: 11px; " 1}}}}}}}}}}}}{{{#!wiki style="clear: both; " }}}{{{#!wiki style="width: 70px; margin: 2px 4px 0 0; padding: 2px 0; float: left; background-color: #6B946B; color: white; font-size: 12px; " 유형}}}{{{#!wiki style="width: 186px; margin: 2px 0 0 0; padding: 2px 0; float: left; font-weight: normal; font-size: 12px; text-align: left; " 원거리 무기}}}{{{#!wiki style="clear: both; " }}}{{{#!wiki style="width: 70px; margin: 2px 4px 0 0; padding: 39px 0; float: left; background-color: #6B946B; color: white; font-size: 12px; " 공격력}}}{{{#!wiki style="width: 61px; margin: 2px 0 0 0; padding: 2px 0; float: left; font-weight: normal; font-size: 12px; text-align: left; " 0 [[파일:Terraria/CopperCoin.png|width=8px]] 25 [[파일:Terraria/SilverCoin.png|width=8px]] 50 [[파일:Terraria/GoldCoin.png|width=8px]] 100 [[파일:Terraria/PlatinumCoin.png|width=8px]] 200}}}{{{#!wiki style="width: 70px; margin: 2px 4px 0 0; padding: 2px 0; float: left; background-color: #6B946B; color: white; font-size: 12px; " 치명타율}}}{{{#!wiki style="width: 61px; margin: 2px 0 0 0; padding: 2px 0; float: left; font-weight: normal; font-size: 12px; text-align: left; " 4%}}}{{{#!wiki style="clear: both; " }}}{{{#!wiki style="width: 70px; margin: 2px 4px 0 0; padding: 2px 0; float: left; background-color: #6B946B; color: white; font-size: 12px; " 사용 시간}}}{{{#!wiki style="width: 186px; margin: 2px 0 0 0; padding: 2px 0; float: left; font-weight: normal; font-size: 12px; text-align: left; " 8 {{{-3 '''(미친 듯이 빠름)'''}}}}}}{{{#!wiki style="clear: both; " }}}{{{#!wiki style="width: 70px; margin: 2px 4px 0 0; padding: 2px 0; float: left; background-color: #6B946B; color: white; font-size: 12px; " 넉백}}}{{{#!wiki style="width: 186px; margin: 2px 0 0 0; padding: 2px 0; float: left; font-weight: normal; font-size: 12px; text-align: left; " 2 {{{-3 '''(매우 약함)'''}}}}}}{{{#!wiki style="clear: both; " }}}{{{#!wiki style="width: 270px; margin: 2px 0; padding: 1px 0; float: left; background-color: #546A54; color: white; font-size: 12px; " 입수처}}}[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해적 전투원, 문서=이벤트,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해적 석궁 사수, 문서=이벤트,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해적 명사수, 문서=이벤트,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해적 갑판원, 문서=이벤트, h=24px)] (0.025%)[br][include(틀:t캡션, 이름=해적 선장, 문서=이벤트, h=24px)] (0.1%)[br][include(틀:t캡션, 이름=플라잉 더치맨, 문서=이벤트, 파생=축소)] (2%)}}}{{{#!wiki style="clear: both; " }}}}}} [[테라리아/시스템#동전|동전]]을 탄약으로 사용하며, 공격력은 사용하는 동전에 따라 달라진다. [[테라리아/이벤트#펌킨 문|펌킨 문]]을 몇백 몇천번 플레이하거나 [[테라리아/지형#정글 사원|정글 사원]]에 AFK 농장을 구축해서 백금화 999개를 몇십 세트로 쌓아놓지 않는 이상 백금화를 주력으로 쓰는 일은 거의 없고, 대부분 은화나 금화를 쓰게 된다. 총 자체의 연사 속도가 빨라 적절한 DPS가 뒷받쳐줘서 은화만 쓰더라도 대부분의 몬스터나 보스는 무리없이 잡을 수 있다. 물론 만병지왕은 돈이라는 말이 있듯이 백금화를 쌓아두고 쓴다면 최강의 무기다. 돈이 많다는 가정하에 발당 200 피해량을 우지급으로 빠른 속도로 퍼부을 수 있기 때문. 결과적으로는 라스트 프리즘보다 기댓값이 높아서, 제니스가 나오지 전까지는 단일 대상으로 가장 높은 DPS를 뽑아 낼 수 있었다. 그 때문에 에디터나 백금화가 가득한 맵 파일 등으로 백금화를 대량으로 가져온 뒤 PvP전을 휩쓸고 개박살내는 악성 유저들이 꼭 한둘씩 있어서 일부 티쇽 서버에서는 이 무기를 아예 사용 자체를 불가하게 하기도 한다. 게다가 이 총은 물약과 같은 다른 별도의 버프 없이도 10000 이라는 흉악한 DPS를 뽑아내는 녀석이다. 버프와 물약 없이도 기본 600 이상의 공격력이 나오며, 악세를 모두 공격력 증가 위주로 하면 700에 달하는 기본 공격력[* '기본' 공격력이므로 크리티컬이 터질 경우 1400~1500을 웃도는 위력을 보인다.]을 볼 수 있다. 굳이 백금화가 아니어도 매우 강한데, 펌킨 문이나 프로스트 문, 골렘 학살등으로 백금화를 30개쯤 모아두고 그걸 다 금화로 변환해 쏘면 무려 3000발을 쏠수있다. 여기에 탄약 감소를 낄수 있을때까지 끼고 쏘면 한발당 200, 크리티컬 뜨면 400~500에 달하는 한발당 딜을 볼 수 있다. 그런 흉악한 대미지를 메가샤크급으로 쏘아내니 이론상 체인건보다 금화 코인건이 dps가 높게 뽑힐수 있다. 더군다나 골렘이 돈을 아주 많이 주는 관계로 작업장을 리자드 사원에 짓고 리자드 건전지를 수백개 모아 골렘을 끝없는 탄약과 메가샤크로 죽이면 탄약 수급도 녹조류 총알보다 훨씬 안정적이라 적어도 천체의 기둥전 전까진 쓸 수 있다. 꼭 그게 아니라도 여왕벌을 학살하든지 다른 방법으로 돈을 수급하면 기계보스 전에 족히 메가샤크의 3배는 강력한 무기를 쓸 수 있다. 심지어 은화만 쏴도 기본 대미지 23인 메가샤크보다 데미지 50으로 수치상 대미지가 2배다. 물론 동전을 탄약으로 사용하기에 한 번 죽으면 동전을 떨궈 다시 주우러 가야 하는 등 안정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전문가 이상의 난이도에서는 주우러 가도 몇 은화밖에 안 남아있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런 경우 돈을 다시 모아야 하니...] 아이템을 무한정으로 찍어낼 수 있는 저니 모드 한정으로는 제니스 아래의 최고 사기급 무기가 된다. 일반 해적에게는 0.025%라는 극악의 확률로 나오니 2% 짜리 플라잉 더치맨을 수백번 잡는게 수십배나 낫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캔디콘 소총)][include(틀:t인포박스/비소모율, 영= Candy Corn Rifle, 한=캔디콘 소총, v=1.2.1, ID=1782, 희소=Yellow, 과정=ⓗ, 유형=원거리 무기, 자동=↻, 공=44, 시=9, 속=매우 빠름, 넉=2, 강=매우 약함, 치=10, 비소모=33.33)][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펌킹, 문서=이벤트, 파생=축소)] (1.56%~12.5% / {{{#E80 6.25%~12.5%}}})[*A]}}} [[#캔디콘|캔디콘]]을 탄약으로 사용한다. 발사한 캔디콘은 중력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지형에 4번까지 튕기다가 5번째로 부딪히는 순간 사라진다. 초당 공격력은 약 400 정도. 공중의 적을 상대하기 까다롭고 비너스 매그넘보다 특출나게 강하지도 않아 버려진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체인건)][include(틀:t인포박스/비소모율, 영=Chain Gun, 한=체인건, v=1.2.2, ID=1929, 희소=Yellow, 과정=ⓗ, 유형=원거리 무기, 자동=↻, 공=31, 시=4, 속=미친 듯이 빠름, 넉=1.75, 강=매우 약함, 비소모=50)][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산타-NK1, 문서=이벤트, h=32px)] (5.55%~12.5% / {{{#E80 12.5%~50%}}})[*A]}}} 가장 연사속도가 높은 총기. [[#개틀리게이터|개틀리게이터]]의 상위 티어 화기로 탄퍼짐이라는 단점도 그대로 가져와 녹조류 총알이 반강제된다. 연사속도가 너무 높아 Rapid, Frenzy 이외의 공격속도 관련 접두어는 붙일 수 없다. 방어력이 낮은 상대로는 연사속도를 높이는 Rapid가, 높은 상대로는 깡딜을 높이는 Godly가 유효하다. 프로스트문이 최종 컨텐츠였던 1.2.4 시절에는 최강의 총기였지만 현재는 비슷한 시기에 얻을 수 있는 볼텍스 비터에 밀린다. 사속은 체인건이 훨씬 우월하지만 깡뎀이 낮아 달의 군주의 높은 방어력에 취약하기 때문. 프로스트문이 소용돌이의 기둥보다 난이도가 높다는 것도 한 몫 한다. [anchor(제노파퍼)][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Xenopopper, 한=제노파퍼, v=1.3.0.1, ID=2797, 희소=Yellow, 과정=ⓗ, 유형=원거리 무기, 자동=↻, 공=45, 시=21, 속=빠름, 넉=3, 강=매우 약함, 드롭1=화성인 우주선, 드롭1파생=축소, 드롭1h=24px, 드롭1확률=16.66, 드롭1문서=이벤트)] 총알 하나를 소모하여 액체 방울 4~5개를 앞에 뿌리고 시간이 1초 정도 지나면 방울이 터지면서 총알 4~5개가 현재 마우스가 가리키고 있는 점을 초점으로 발사된다. 따라서, 대상에게 명중하기까지 약간의 시간 차가 존재하고 초점 뒤쪽으로는 탄이 퍼지게 된다. 다만 계속 피하면서 싸우는 상황에서는 거품이 발사된 자리에 남아있기 때문에 조준이 힘들다. 대신 장거리에서도 샷건의 순간 화력을 상당히 빠른 속도로 뽑아내기 때문에 마우스를 계속 적에게 맞춰 조준할 수만 있다면 강력한 위력을 낼 수 있다. [[#녹조류 총알|녹조류 총알]]과 사용하는 것이 좋은 총. [[#수정 총알|수정 총알]]을 사용하는 경우 거품이 보스 몸 안에서 터지면 파편이 죄다 틀어박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anchor(볼텍스 비터)][include(틀:t인포박스/비소모율, 영=Vortex Beater, 한=볼텍스 비터, v=1.3.0.1, ID=3475, 희소=red, 과정=ⓗ, 유형=원거리 무기, 자동=↻, 공=50, 시=20, 속=매우 빠름, 넉=2, 강=매우 약함, 비소모=66.67, 재료1=소용돌이의 파편, 재료1수량=(18), 조합=고대의 머니퓰레이터)] [[#체인건|체인건]]과 유사하나, 66% 확률로 총알을 소모하지 않고, 총알을 연사하는 도중 0.5초에 한 번 유도체 미사일을 추가로 발사한다. 발사체는 적에게 유도되어 날아가 폭발하며 이 폭발은 플레이어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다. 개틀리게이터만큼 탄퍼짐이 심해 명중률이 낮지만 미사일이 굉장히 강력하다.[* 미사일 하나당 타격 횟수가 2이다. 몬스터에 접촉하여 폭발한 후 아주 미세한 시간차로 한번 더 대미지를 준다.] 명중률을 보정하기 위해 [[#녹조류 총알|녹조류 총알]]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어차피 이때쯤 레인저면 쉬루마이트 세트를 맞춰 녹조류는 창고에서 썩어넘칠테니 전부 녹조류 총알로 만들면 된다. 실제로 기둥에서 사용하면 적들이 연속으로 녹아내리며(특히 소성단 기둥의 별의 세포)엄청난 쾌감을 느낄 수 있다.] [[테라리아/버전#1.3.0.5|1.3.0.5]] 패치로 공격력이 감소(70->50)했다. 대신 원거리 피해와 넉백 효과를 받지 못하던 부분도 함께 수정되어 사실상 버프를 받았다. [anchor(S.D.M.G.)][include(틀:t인포박스/비소모율, 한=S.D.M.G., v=1.2, ID=1553, 희소=Red, 과정=ⓗ, 유형=원거리 무기, 자동=↻, 공=85, 시=5, 속=미친 듯이 빠름, 넉=2.5, 강=매우 약함, 치=14, 비소모=66.67, 드롭1=달의 군주, 드롭1확률=22.22, 드롭1문서=보스/달의 군주, 드롭1파생=축소, 드롭1h=24px)] 이름은 우주 돌고래 기관총('''S'''pace '''D'''olphin '''M'''achine '''G'''un)의 약자. [[테라리아/버전#1.2|1.2]] 이후부터 존재하였으며[* 1.2 당시엔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얻을 수 없었다.] 당시에도 꽤나 강력한 무기었으나 [[테라리아/버전#1.3|1.3]] 패치 이후 최종 보스가 드롭하는 아이템이 된 만큼 그에 걸맞게 능력치가 어마어마하게 늘어나 정식으로 추가되었다. [[#체인건|체인건]]에 비해 사용 시간이 1만큼 느린 5지만 그 덕에 Unreal 수식어를 달 수 있으며, 체인건보다 훨씬 높은 공격력과 정확도를 보장한다. 또, 66%의 확률로 탄약을 소모하지 않는 옵션이 붙어있다. DPS는 활인 [[#판타즘|판타즘]]에 비해 근소하게 낮지만 안정성은 비할 바가 못 되기에 사실상 보스전은 이걸로 다 해먹는다. 1.4 패치로 공격력이 77에서 85로 상향되었으며, 탄약 미소모 확률이 50%에서 66%로 증가하여 Dps와 안정성 모두 판타즘을 확실히 능가하게 되었다. S.D.M.G.는 [[https://store.steampowered.com/app/238240/Edge_of_Space/|엣지 오브 스페이스]]와의 콜라보 아이템이다. 엣지 오브 스페이스에서도 테라리아를 언급한다.[* 또한 엣지 오브 스페이스를 언급하던 [[테라리아/시스템#제목 표시줄 문구|제목 표시줄 문구]]도 있었으나, 해당 게임의 개발진이 게임을 미완성 상태로 던져버린 탓에 1.4 업데이트 이후에는 [[젤다의 전설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에 대한 문구로 바뀌었다.] ====# [anchor(폭발물 발사기)]폭발물 발사기 #==== 탄약 중 한 분류인 [[#로켓|로켓]]과 기타 폭발성 탄약 등을 전용으로 사용하는 총. 하드모드 후반에 구할 수 있다. [[테라리아/장비/갑옷#쉬루마이트 갑옷|쉬루마이트 갑옷]] 장비에서 헬멧과 갑옷 세트를 장착하면 15% 기타 원거리 공격력 증가 효과를 받을 수 있다. ||<-2>
'''{{{-2 이름}}}''' || '''{{{-2 공격력}}}''' || '''{{{-2 사용[br]시간}}}''' || '''{{{-2 넉백}}}''' || '''{{{-2 치명[br]타율}}}''' || '''{{{-2 탄약[br]비소모}}}''' || '''{{{-2 자동[br]공격}}}''' || '''{{{-2 등급}}}''' || || [[파일:Terraria/유탄 발사기.png]] || {{{-2 [[#유탄 발사기|유탄 발사기]]}}}[br]{{{-3 (Grenade Launcher)}}} || {{{-2 60}}} || {{{-2 20}}}[br]{{{-3 (매우 빠름)}}} || {{{-2 4}}}[br]{{{-3 (약함)}}} || {{{-2 4%}}} || {{{-2 -}}} || '''o''' || [include(틀:t등급, n=8, bg=Yellow)] || || [[파일:Terraria/근접 지뢰 발사기.png]] || {{{-2 [[#근접 지뢰 발사기|근접 지뢰 발사기]]}}}[br]{{{-3 (Proximity Mine Launcher)}}} || {{{-2 80}}} || {{{-2 50}}}[br]{{{-3 (극도로 느림)}}} || {{{-2 4}}}[br]{{{-3 (약함)}}} || {{{-2 4%}}} || {{{-2 -}}} || '''o''' || [include(틀:t등급, n=8, bg=Yellow)] || || [[파일:Terraria/로켓 발사기.png]] || {{{-2 [[#로켓 발사기|로켓 발사기]]}}}[br]{{{-3 (Rocket Launcher)}}} || {{{-2 45}}} || {{{-2 30}}}[br]{{{-3 (보통)}}} || {{{-2 4}}}[br]{{{-3 (약함)}}} || {{{-2 4%}}} || {{{-2 -}}} || '''o''' || [include(틀:t등급, n=8, bg=Yellow)] || || [[파일:Terraria/스팅어.png]] || {{{-2 [[#스팅어|스팅어]]}}}[br]{{{-3 (Stynger)}}} || {{{-2 45}}} || {{{-2 22}}}[br]{{{-3 (빠름)}}} || {{{-2 5}}}[br]{{{-3 (보통)}}} || {{{-2 4%}}} || {{{-2 -}}} || '''o''' || [include(틀:t등급, n=7, bg=Lime)] || || [[파일:Terraria/축포.png]] || {{{-2 [[#축포|축포]]}}}[br]{{{-3 (Celebration)}}} || {{{-2 25}}} || {{{-2 30}}}[br]{{{-3 (보통)}}} || {{{-2 4}}}[br]{{{-3 (약함)}}} || {{{-2 4%}}} || {{{-2 -}}} || '''o''' || [include(틀:t등급, n=8, bg=Yellow)] || || [[파일:Terraria/네일건.png]] || {{{-2 [[#네일건|네일건]]}}}[br]{{{-3 (Nail Gun)}}} || {{{-2 85}}} || {{{-2 15}}}[br]{{{-3 (매우 빠름)}}} || {{{-2 0}}}[br]{{{-3 (없음)}}} || {{{-2 4%}}} || {{{-2 -}}} || '''o''' || [include(틀:t등급, n=8, bg=Yellow)] || || [[파일:Terraria/잭오랜턴 발사기.png]] || {{{-2 [[#잭오랜턴 발사기|잭오랜턴 발사기]]}}}[br]{{{-3 (Jack 'O Lantern Launcher)}}} || {{{-2 65}}} || {{{-2 25}}}[br]{{{-3 (빠름)}}} || {{{-2 5}}}[br]{{{-3 (보통)}}} || {{{-2 10%}}} || {{{-2 -}}} || '''o''' || [include(틀:t등급, n=8, bg=Yellow)] || || [[파일:Terraria/눈사람 대포.png]] || {{{-2 [[#눈사람 대포|눈사람 대포]]}}}[br]{{{-3 (Snowman Cannon)}}} || {{{-2 67}}} || {{{-2 15}}}[br]{{{-3 (매우 빠름)}}} || {{{-2 4}}}[br]{{{-3 (약함)}}} || {{{-2 4%}}} || {{{-2 -}}} || '''o''' || [include(틀:t등급, n=8, bg=Yellow)] || || [[파일:Terraria/대전층 발사기.png]] || {{{-2 [[#대전층 발사기|대전층 발사기]]}}}[br]{{{-3 (Electrosphere Launcher)}}} || {{{-2 40}}} || {{{-2 12}}}[br]{{{-3 (매우 빠름)}}} || {{{-2 2}}}[br]{{{-3 (매우 약함)}}} || {{{-2 4%}}} || {{{-2 -}}} || '''{{{#red x}}}''' || [include(틀:t등급, n=8, bg=Yellow)] || || [[파일:Terraria/축포 Mk2.png]] || {{{-2 [[#축포 Mk2|축포 Mk2]]}}}[br]{{{-3 (Celebration Mk2)}}} || {{{-2 50}}} || {{{-2 6}}}[br]{{{-3 (미친 듯이 빠름)}}} || {{{-2 10}}}[br]{{{-3 (극도로 강함)}}} || {{{-2 4%}}} || {{{-2 -}}} || '''o''' || [include(틀:t등급, n=10, bg=Red)] || ===== 하드모드 ===== [include(틀:테라리아/하드모드)]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유탄 발사기)][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Grenade Launcher, 한=유탄 발사기, ID=758, v=1.2, 과정=ⓗ, 희소=Yellow, 자동=↻, 유형=원거리 무기, 공=60, 시=20, 속=매우 빠름, 넉=4, 강=약함)][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플랜테라, 문서=보스, 파생=축소)] (14.29%)}}} 클래식 이하에서 보물 가방이 없을 때 처음 처치했을 땐 무조건 드롭한다. [[테라리아/시스템#전문가 모드|전문가 모드]]에서는 아이템 대신 보물 가방이 나오고 거기서 랜덤하게 드롭 아이템이 나오는 관계로 처음부터 얻지 못할 수도 있다. [[#로켓|로켓]]을 탄약으로 사용한다. 중력의 영향을 심하게 받는 총. 유탄을 적에게 바로 맞춘다면 즉시 폭발하지만 그렇지 않는다면 튕기거나 굴러다니다가 몇 초 지나서 폭발한다. 범위 공격력이 강하지만 플레이어도 휘말리기 쉬우니 주의. 사용이 까다로운 편. 적들이 무지무지 강해지는 [[테라리아/시스템#하드모드|하드모드]] [[테라리아/지형#던전|던전]]을 탐험할 때나 [[테라리아/보스#골렘|골렘]] 사냥을 편하게 하고 싶을 때 사용하기에 적합한 무기. 1.4 패치로 공격 속도가 매우 빨라졌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근접 지뢰 발사기)][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Proximity Mine Launcher, 한=근접 지뢰 발사기, ID=760, v=1.2, 과정=ⓗ, 희소=Yellow, 자동=↻, 유형=원거리 무기, 공=80, 시=50, 속=극도로 느림, 넉=4, 강=약함)][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사이보그, 문서=NPC, h=24px)] (35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 중력의 영향을 심하게 받으며 적에게 맞추지 않으면 폭발하지도 않고 그대로 사라지는 것처럼 보이나 지뢰처럼 존재한다. 그래서 웨이브 이벤트를 막을 때 미리 깔아둔다면 큰 도움이 된다. 1.4 패치로 공격 속도가 감소하고 동시에 활성화되는 지뢰의 갯수가 감소했지만 발사된 지뢰가 멈춰 있을 때 적에게 닿아 폭발하면 3배의 피해를 주도록 조정되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로켓 발사기)][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Rocket Launcher, 한=로켓 발사기, ID=759, v=1.2, 과정=ⓗ, 희소=Yellow, 자동=↻, 유형=원거리 무기, 공=55, 시=30, 속=보통, 넉=4, 강=약함)][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스켈레톤 특공대, 문서=몬스터/던전, h=32px)] (5.56% / {{{#E80 10.8%}}})}}} [[#유탄 발사기|유탄 발사기]]와 달리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걸 들고 [[#로켓 3|로켓 3]], [[#로켓 4|4]]를 사용해서 근접해서 공격하면 플레이어 자신도 비명을 지를 만한 피해량도 같이 받으니 떨어져서 쓰자. 로켓 1을 써서 공격한다 해도 잘못하면 자폭할 수 있다. 1.4 패치로 직격시 2배의 피해를 주도록 조정되었다. [anchor(스팅어)][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Stynger, 한=스팅어, ID=1258, v=1.2, 과정=ⓗ, 희소=lime, 자동=↻, 유형=원거리 무기, 공=45, 시=22, 속=빠름, 넉=5, 드롭1=골렘, 드롭1확률=14.29, 드롭1문서=보스, 드롭1파생=축소, 드롭1h=24px)] [[#스팅어 볼트|스팅어 볼트]]를 탄약으로 사용한다. 발사된 총알은 5~8개의 작은 투사체로 분리되어 다시 폭발한다. 참고로 다른 폭발형 무기와 달리 스팅어 볼트의 폭발은 플레이어에게 피해를 안 입히니 근접해서 마구 써도 된다. 단일 DPS에는 한계가 있어서 주된 사용처는 이벤트이며 펌킨 문까지 무리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축포)][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Celebration, 한=축포, ID=3546, v=1.3.0.1, 과정=ⓗ, 희소=Yellow, 자동=↻, 유형=원거리 무기, 공=25, 시=30, 넉=4, 강=약함)][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파티 걸, 문서=NPC, h=24px)] (80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br]([[테라리아/보스#골렘|골렘]] 격파 이후)}}} 로켓 2발을 한꺼번에 발사하고 적에게 명중 시 폭죽이 터져 적에게 피해를 준다. [[#로켓 2|로켓 2]], [[#로켓 4|4]]를 사용해도 지형이 폭파하지 않는다. 폭딜을 낼 수 있게 하지만 사거리가 제한되어 있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쓰려면 근접해서 쏘자. 로켓이 터지는 게 꽤나 현란한 편. 1.3 버전에서 처음 나왔을 때는 달의 군주가 드롭하는 최종 단계의 레인저 무장 중 하나였다. 하지만 최종 보스 보상이라고 하기에는 빈약한 스탯을 가지고 있었기에 1.4 버전에서 업그레이드 된 축포 Mk2로 대체되고 기존의 축포는 너프되어 유희용 무기가 되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네일건)][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Nail Gun, 한=네일건, ID=3107, v=1.3.0.1, 과정=ⓗ, 희소=Yellow, 유형=원거리 무기, 자동=↻, 공=85, 시=15, 속=매우 빠름, 넉=0, 강=없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h=24px, 이름=못대가리, 문서=이벤트)] (4% / {{{#E80 7.84%}}})}}} 전용 탄약으로 못을 쓰며 못을 쏘면 적에게 박히고 얼마 지나지 않아 폭발 피해를 준다. 못의 공격력은 보통이지만 폭발 공격력이 상당히 크다. 적에게 못이 많이 박혀있는 상태로 못이 폭발해서 적이 사망한다면 남아있는 못은 폭발에 영향을 받아 주변으로 퍼진다. 이후 적에게 못을 쏜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어째 [[데드 스페이스 시리즈]]의 [[리벳 건(데드 스페이스)|리벳 건]]과 외형이 비슷하게 생겼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잭오랜턴 발사기)][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Jack 'O Lantern Launcher, 한=잭오랜턴 발사기, v=1.2.1, ID=1784, 희소=Yellow, 과정=ⓗ, 유형=원거리 무기, 자동=↻, 공=65, 시=25, 속=빠름, 넉=5, 치=10)][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펌킹, 문서=이벤트, 파생=축소)] (1.56%~12.5% / {{{#E80 6.25%~12.5%}}})[*A]}}} 지형에 튕기는 [[#폭발성 잭오랜턴|폭발성 잭오랜턴]]을 탄약으로 사용한다. 아래 [[#눈사람 대포|눈사람 대포]]에 묻혀 자주 쓰이는 일은 없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눈사람 대포)][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Snowman Cannon, 한=눈사람 대포, ID=1946, v=1.2.2, 과정=ⓗ, 희소=Yellow, 유형=원거리 무기, 자동=↻, 공=67, 시=15, 속=매우 빠름, 넉=4, 강=약함)][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얼음 여왕, 문서=이벤트, 파생=축소)] (4.44%~7.78% / {{{#E80 15.56%~31.11%}}})[*A]}}} 발사 시 로켓이 눈사람으로 리스킨되며[* 따라서 로켓 자체의 공격력과 파괴 여부는 변하지 않는다.] 자동 유도 기능을 갖추게 된다. 유도기능에 화력도 높아 루나 이벤트에서도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전투용으로 매우 좋지만, 그 진가는 채굴에서 드러난다. 축포 Mk2가 나오기 전에는 최강의 굴착기였다. 발사 속도가 로켓 발사기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르며, 자신에게 피해를 입히지 않는다! 어지간한 곡괭이를 뛰어넘는 채굴 능력이 돋보이는 무기. [anchor(대전층 발사기)][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Electrosphere Launcher, 한=대전층 발사기, v=1.3.0.1, ID=2796, 희소=Yellow, 과정=ⓗ, 유형=원거리 무기, 공=40, 시=12, 속=매우 빠름, 넉=2, 강=매우 약함, 드롭1=화성인 우주선, 드롭1문서=이벤트, 드롭1파생=축소, 드롭1h=24px, 드롭1확률=16.66)] 로켓을 탄약으로 사용한다. 발사하면 클릭한 커서의 위치로 날아가 8초 동안 지속적으로 피해를 입히는 원형 전파를 생성한다. 단, 같은 곳에 여러 개 중복이 불가능하다. 퍼뜨려서 쏴야 되는 무기다. [anchor(축포 Mk2)][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Celebration Mk2, 한=축포 Mk2, v=1.4.0.1, ID=3930, 희소=Red, 과정=ⓗ, 유형=원거리 무기, 자동=↻, 공=50, 시=6, 속=미친 듯이 빠름, 넉=10, 강=극도로 강함, 드롭1=달의 군주, 드롭1문서=보스/달의 군주, 드롭1파생=축소, 드롭1h=24px, 드롭1확률=22.2)] 1.3 시절 축포가 최종 보스 보상이라고 하기에는 빈약한 스탯을 가지고 있었기에 1.4 버전에서 업그레이드되어 축포 Mk2가 등장했다.[* DPS 자체는 최종 무장의 구색을 갖췄지만(수정 총알을 쓰는 SDMG나 루미나이트 화살을 쓰는 판타즘에 비견된다) 눈사람 대포와 달리 유도 기능이 없고 로켓이 중력의 영향을 받아 히트박스가 작은 보스(일례로 [[테라리아/이벤트#미친 광신도|미친 광신도]])에게는 판타즘보다도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물론 제대로 맞추면 광역으로 SDMG 수준의 DPS가 들어가 매우 강하다.폭발 무기이니 만큼 파괴자를 갈아버릴수도 있고 이벤트에서 최강의 위력을 보인다.] '''{{{#red 빨간 폭죽}}}''' - 짧은 간격으로 작은 폭발을 남기며 날가간다. 스파크 모양으로 폭발한다. '''{{{#orange 주황 폭죽}}}''' - 직사가 아닌 곡사로 날아간다. 거대한 크기로 폭발한다. 단, 실제 피해를 입히는 범위는 타 폭죽과 크게 다르지 않다. 참고로 폭발하는 이펙트가 오우거의 점프 후 내려찍기 패턴의 그것과 같다. '''{{{#yellow 노란 폭죽}}}''' - 작게 지그재그를 그리며 날아간다. 별 모양으로 폭발한다. '''{{{#green 초록 폭죽}}}''' - 근처의 적에게 유도되어 날아간다. 십자 모양으로 폭발한다. '''{{{#lightblue 하늘 폭죽}}}''' - 2개가 나선을 그리며 날아간다. 중간 크기로 폭발한다. '''{{{#purple 보라 폭죽}}}''' - 3개가 퍼지며 날아간다. 작은 크기로 폭발한다. '''{{{#pink 분홍 폭죽}}}''' - 별다른 특징 없이 평범하게 날아간다. 여러 가지 폭죽을 발사하고 색깔마다 멀리 나가거나 땅을 내리친다는 등 모두 효과가 다르며, 모두 중력의 영향을 받는다. 때문에 S.D.M.G나 눈사람 대포와는 달리 비교적 멀리 있는 적을 때리기 힘들다는 점이 아쉬운 점. 하지만 이 녀석의 진가는 바로 '''굴착'''. 눈사람 대포를 밀어내고 '''테라리아 최강의 굴착기'''가 되었다. 지형 하나를 몇 분 정도면 통째로 갈아버릴 정도. 눈사람 대포와 마찬가지로 자신에게 피해를 입히지 않는다. ====# 투척 무기 #==== 무기 자체를 소모하여 공격하는 무기이다. 다수 소지가 가능하다. [[테라리아/버전#1.3|1.3]] 버전 이후에는 'Ranged Damage'에서 'Throwing Damage'라는 자체 공격력으로 바뀌었고 [[테라리아/장비/갑옷#닌자 갑옷|닌자 갑옷]]이나 [[테라리아/장비/갑옷#화석 갑옷|화석 갑옷]]을 통해 투척 무기를 강하게 만들 수 있다. 그러나 하드모드 이전에 보스, 탐험용으로 잠깐 거쳐가는 과정에 쓰이는 것이 전부이고, 1.3 버전에서 서머너까지 정식으로 포함된 4클래스 체재가 확립되었음에도 투척 무기의 추가는 없어서 5번째 정식 클래스는 되지 못할 듯 하다. 투척 클래스를 하고 싶다면 투척 클래스를 정식으로 편입하고 수많은 장비를 추가한 [[Calamity Mod]]를 설치하자.[* 사실, 칼라미티에서는 저런 무기들을 사용하는 쓰로잉 전용 클래스인 쓰로어를 만들었다가, 아예 로그라는 전용 직업으로 변경하면서 저 무기들은만 그대로 쓰로잉으로 두었기에 조금 애매한 편. 컨셉은 (로그 전용 데미지를 갖는) 쓰로잉 무기 + 부메랑 + 비소모성 투척템(뱀나, 여명 등).] 그리고 1.4 버전 이후로 다시 Ranged Damage로 통합되었다. 투척 무기 보너스를 가지던 닌자 갑옷과 화석 갑옷은 다른 보너스로 개편되었다. ||<-2>
'''{{{-2 이름}}}''' || '''{{{-2 공격력}}}''' || '''{{{-2 사용[br]시간}}}''' || '''{{{-2 넉백}}}''' || '''{{{-2 치명[br]타율}}}''' || '''{{{-2 자동[br]공격}}}''' || '''{{{-2 등급}}}''' || || [[파일:Terraria/종이비행기.png]] || {{{-2 [[#종이비행기|종이비행기]]}}}[br]{{{-3 (Paper Airplane)}}} || {{{-2 4}}} || {{{-2 17}}}[br]{{{-3 (매우 빠름)}}} || {{{-2 2}}}[br]{{{-3 (매우 약함)}}} || {{{-2 4%}}}|| '''{{{#red x}}}'''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하얀색 종이비행기.png]] || {{{-2 [[#하얀색 종이비행기|하얀색 종이비행기]]}}}[br]{{{-3 (White Paper Airplane)}}} || {{{-2 4}}} || {{{-2 17}}}[br]{{{-3 (매우 빠름)}}} || {{{-2 2}}}[br]{{{-3 (매우 약함)}}} || {{{-2 4%}}}|| '''{{{#red x}}}'''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눈뭉치.png]] || {{{-2 [[#눈뭉치|눈뭉치]]}}}[br]{{{-3 (Snowball)}}} || {{{-2 8}}} || {{{-2 19}}}[br]{{{-3 (매우 빠름)}}} || {{{-2 4.5}}}[br]{{{-3 (보통)}}} || {{{-2 4%}}}|| '''{{{#red x}}}'''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수리검.png]] || {{{-2 [[#수리검|수리검]]}}}[br]{{{-3 (Shuriken)}}} || {{{-2 10}}} || {{{-2 15}}}[br]{{{-3 (매우 빠름)}}} || {{{-2 0}}}[br]{{{-3 (없음)}}} || {{{-2 4%}}}|| '''{{{#red x}}}'''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썩은 달걀.png]] || {{{-2 [[#썩은 달걀|썩은 달걀]]}}}[br]{{{-3 (Rotten Egg)}}} || {{{-2 13}}} || {{{-2 19}}}[br]{{{-3 (매우 빠름)}}} || {{{-2 6.5}}}[br]{{{-3 (강함)}}} || {{{-2 4%}}}|| '''{{{#red x}}}'''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팔각.png]] || {{{-2 [[#팔각|팔각]]}}}[br]{{{-3 (Star Anise)}}} || {{{-2 14}}} || {{{-2 15}}}[br]{{{-3 (매우 빠름)}}} || {{{-2 0}}}[br]{{{-3 (없음)}}} || {{{-2 4%}}}|| '''{{{#red x}}}'''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투척용 칼.png]] || {{{-2 [[#투척용 칼|투척용 칼]]}}}[br]{{{-3 (Throwing Knife)}}} || {{{-2 12}}} || {{{-2 15}}}[br]{{{-3 (매우 빠름)}}} || {{{-2 2}}}[br]{{{-3 (매우 약함)}}} || {{{-2 4%}}}|| '''{{{#red x}}}'''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독 바른 칼.png]] || {{{-2 [[#독 바른 칼|독 바른 칼]]}}}[br]{{{-3 (Poisoned Knife)}}} || {{{-2 14}}} || {{{-2 15}}}[br]{{{-3 (매우 빠름)}}} || {{{-2 2.4}}}[br]{{{-3 (매우 약함)}}} || {{{-2 8%}}}|| '''o'''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뼈 투척용 칼.png]] || {{{-2 [[#뼈 투척용 칼|뼈 투척용 칼]]}}}[br]{{{-3 (Bone Throwing Knife)}}} || {{{-2 14}}} || {{{-2 14}}}[br]{{{-3 (매우 빠름)}}} || {{{-2 1.5}}}[br]{{{-3 (극도로 약함)}}} || {{{-2 4%}}}|| '''o'''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재블린.png]] || {{{-2 [[#재블린|재블린]]}}}[br]{{{-3 (Javelin)}}} || {{{-2 17}}} || {{{-2 24}}}[br]{{{-3 (빠름)}}} || {{{-2 4.75}}}[br]{{{-3 (보통)}}} || {{{-2 4%}}}|| '''{{{#red x}}}'''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뼈 재블린.png]] || {{{-2 [[#뼈 재블린|뼈 재블린]]}}}[br]{{{-3 (Bone Javelin)}}} || {{{-2 20}}} || {{{-2 25}}}[br]{{{-3 (빠름)}}} || {{{-2 5}}}[br]{{{-3 (보통)}}} || {{{-2 4%}}}|| '''o''' || [include(틀:t등급, n=1, bg=blue)] || || [[파일:Terraria/얼어붙은 단도어.png]] || {{{-2 [[#얼어붙은 단도어|얼어붙은 단도어]]}}}[br]{{{-3 (Frost Daggerfish)}}} || {{{-2 17}}} || {{{-2 13}}}[br]{{{-3 (매우 빠름)}}} || {{{-2 3.5}}}[br]{{{-3 (약함)}}} || {{{-2 4%}}}|| '''{{{#red x}}}''' || [include(틀:t등급, n=1, bg=blue)] || || [[파일:Terraria/수류탄.png]] || {{{-2 [[#수류탄|수류탄]]}}}[br]{{{-3 (Grenade)}}} || {{{-2 60}}} || {{{-2 45}}}[br]{{{-3 (매우 느림)}}} || {{{-2 8}}}[br]{{{-3 (매우 강함)}}} || {{{-2 4%}}}|| '''{{{#red x}}}'''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StickyGrenade.png]] || {{{-2 [[#접착식 수류탄|접착식 수류탄]]}}}[br]{{{-3 (Sticky Grenade)}}} || {{{-2 60}}} || {{{-2 45}}}[br]{{{-3 (매우 느림)}}} || {{{-2 8}}}[br]{{{-3 (매우 강함)}}} || {{{-2 4%}}}|| '''{{{#red x}}}'''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BouncyGrenade.png]] || {{{-2 [[#튀는 수류탄|튀는 수류탄]]}}}[br]{{{-3 (Bouncy Grenade)}}} || {{{-2 65}}} || {{{-2 40}}}[br]{{{-3 (매우 느림)}}} || {{{-2 8}}}[br]{{{-3 (매우 강함)}}} || {{{-2 4%}}}|| '''{{{#red x}}}'''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HappyGrenade.png]] || {{{-2 [[#행복한 수류탄|행복한 수류탄]]}}}[br]{{{-3 (Happy Grenade)}}} || {{{-2 30}}} || {{{-2 20}}}[br]{{{-3 (매우 빠름)}}} || {{{-2 6}}}[br]{{{-3 (보통)}}} || {{{-2 4%}}}|| '''{{{#red x}}}''' || [include(틀:t등급, n=2, bg=green)] || || [[파일:Terraria/벌류탄.png]] || {{{-2 [[#벌류탄|벌류탄]]}}}[br]{{{-3 (Beenade)}}} || {{{-2 12}}} || {{{-2 15}}}[br]{{{-3 (매우 빠름)}}} || {{{-2 1}}}[br]{{{-3 (극도로 약함)}}} || {{{-2 4%}}}|| '''{{{#red x}}}'''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SpikyBall.png]] || {{{-2 [[#가시 공|가시 공]]}}}[br]{{{-3 (Spiky Ball)}}} || {{{-2 16}}} || {{{-2 15}}}[br]{{{-3 (매우 빠름)}}} || {{{-2 1}}}[br]{{{-3 (극도로 약함)}}} || {{{-2 4%}}}|| '''{{{#red x}}}'''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뼈다귀.png]] || {{{-2 [[#뼈다귀|뼈다귀]]}}}[br]{{{-3 (Bone)}}} || {{{-2 20}}} || {{{-2 12}}}[br]{{{-3 (매우 빠름)}}} || {{{-2 2.3}}}[br]{{{-3 (매우 약함)}}} || {{{-2 4%}}}|| '''{{{#red x}}}'''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화염병.png]] || {{{-2 [[#화염병|화염병]]}}}[br]{{{-3 (Molotov Cocktail)}}} || {{{-2 23}}} || {{{-2 40}}}[br]{{{-3 (매우 느림)}}} || {{{-2 7}}}[br]{{{-3 (강함)}}} || {{{-2 4%}}}|| '''{{{#red x}}}''' || [include(틀:t등급, n=1, bg=blue)] || || [[파일:Terraria/AleTosser.png]] || {{{-2 [[#에일 장갑|에일 장갑]]}}}[br]{{{-3 (Ale Tosser)}}} || {{{-2 20}}} || {{{-2 40}}}[br]{{{-3 (매우 느림)}}} || {{{-2 7}}}[br]{{{-3 (강함)}}} || {{{-2 4%}}}|| '''{{{#red x}}}''' || [include(틀:t등급, n=1, bg=blue)] || ===== 하드모드 이전 ===== [include(틀:테라리아/하드모드 이전)] ||<^|1>[anchor(종이비행기)][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Paper Airplane, 한=종이비행기, v=1.4.0.1, ID=4343, 유형=원거리 무기\, 소모품, 스택=9999, 공=4, 시=17, 속=매우 빠름, 넉=2, 강=매우 약함, 드롭1=바람 풍선, 드롭1문서=이벤트, 드롭1h=32, 드롭1확률=1.39, 드롭1수량=(2-5))] ||<^|1>[anchor(하얀색 종이비행기)][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White Paper Airplane, 한=하얀색 종이비행기, v=1.4.0.1, ID=4344, 유형=원거리 무기\, 소모품, 스택=9999, 공=4, 시=17, 속=매우 빠름, 넉=2, 강=매우 약함, 드롭1=바람 풍선, 드롭1문서=이벤트, 드롭1h=32, 드롭1확률=1.39, 드롭1수량=(2-5))] || 누런 색과 흰 색이 있다. 던지면 바람을 타면서 이리저리 날아다니다가 바닥에 떨어져 다시 주울 수 있다. 꼴에 투척 무기라고 공격력도 있고 실제로 몬스터한테 맞추면 대미지가 들어가지만 방향이 계속 바뀌는데다가 속도도 느려서 무기라 부르기에도 부끄러운 수준. 결국 그저 장난감 아이템이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눈뭉치)][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Snowball, 한=눈뭉치, v=1.2, ID=949, 스택=9999, 유형=원거리 무기\, 소모품, 공=8, 시=19, 속=매우 빠름, 넉=5.75)][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눈 블록, 문서=블록, h=14px)] (15) @ 손}}} PC [[테라리아/버전#1.3|1.3]] 이전에는 눈 블록 1개로 10개를 만들 수 있었고 기본 공격력은 4였다. 직접 던지는 것 외에도 눈뭉치 대포의 탄약으로 사용된다. PC 1.3 이후에는 자체 공격력도 좋아져서 초기에 보호용이나 [[테라리아/몬스터#악마의 눈|악마의 눈]]을 때리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테라리아/지형#설원|설원]]의 흙과도 같은 [[테라리아/블록#눈 블록|눈 블록]]으로 쉽게 만들 수 있고 또한 눈뭉치 대포도 얻었다면 사거리도 늘어나고 연사도 가능해 초기에 유용한 무기가 되어준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수리검)][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Shuriken, 한=수리검, v=1.2, ID=42, 스택=9999, 유형=원거리 무기\, 소모품, 공=10, 시=15, 속=매우 빠름, 넉=0, 강=없음 )][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상인, 문서=NPC, h=24px)] (15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 [[파일:290px구분선.png]] [include(틀:t보물)] {{{#black [[테라리아/지형#지상|지상]]의 [[파일:Terraria/Chest.png|height=14px]] 상자 (33.33%) (25-50)}}}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black [[테라리아/지형#지하|지하]]의 [[파일:Terraria/Chest.png|height=14px]] 상자 (25%) (25-49)}}}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파일:Terraria/Pot.png|height=14px]] 항아리 (10-20)[br](하드모드 이전일 때)}}} 1회 관통 효과를 가졌으며 넉백이 없어 적을 밀어내는 용도로는 활용할 수 없다. 관통 효과에 공격력도 준수하고 다량을 구하기 매우 쉽다는 점이 겹쳐, [[테라리아/보스#크툴루의 눈|크툴루의 눈]]을 최초 격파할 때 유용하게 사용하게 되는 무기. 1.4 이후로 아이템으로 회수할 수 없게 바뀌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썩은 달걀)][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Rotten Egg, 한=썩은 달걀, v=1.2.1, ID=1809, 스택=9999, 유형=원거리 무기\, 소모품, 공=13, 시=19, 속=매우 빠름, 넉=6.5, 강=강함, 치=4)][include(틀:t보물)] [include(틀:t캡션, h=14px, 이름=할로윈 선물주머니, 문서=소모품)] (24.67%) (10-40)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숲의 나무를 흔들 때 (2.43%) (1-2)[br](할로윈 기간일 때)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설원의 아한대나무를 흔들 때 (2.45%) (1-2)[br](할로윈 기간일 때)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정글의 진한 마호가니를 흔들 때 (2.83%) (1-2)[br](할로윈 기간일 때)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바다의 야자나무를 흔들 때 (2.86%) (1-2)[br](할로윈 기간일 때)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버섯 지형의 거대 발광 버섯을 흔들 때 (2.5%) (1-2)[br](할로윈 기간일 때)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오염지대의 칠흑나무를 흔들 때 (2.86%) (1-2)[br](할로윈 기간일 때)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오염지대의 오염된 야자나무를 흔들 때 (2.86%) (1-2)[br](할로윈 기간일 때)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진홍지대의 그늘나무를 흔들 때 (2.86%) (1-2)[br](할로윈 기간일 때)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진홍지대의 진홍색 야자나무를 흔들 때 (2.86%) (1-2)[br](할로윈 기간일 때)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지하세계의 잿빛 나무를 흔들 때 (2.45%) (1-2)[br](할로윈 기간일 때)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신성지대의 진주나무를 흔들 때 (2.45%) (1-2)[br](할로윈 기간일 때)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신성지대의 신성한 야자나무를 흔들 때 (2.86%) (1-2)[br](할로윈 기간일 때)}}} 특이하게 NPC에게 던져 체력을 1 깎을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팔각)][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Star Anise, 한=팔각, v=1.2.2, ID=1913, 스택=9999, 유형=원거리 무기\, 소모품, 공=14, 시=15, 속=매우 빠름, 넉=0, 강=없음, 치=4)][include(틀:t보물)] [include(틀:t캡션, h=14px, 이름=선물 상자, 문서=소모품)] (6.3%)[* 하드모드에서 5.88%] (20-40)}}} [[테라리아/시스템#크리스마스 기간|크리스마스 기간]] 동안에 몬스터가 떨어뜨리는 [[테라리아/소모품#선물 상자|선물 상자]]에서 6.34% 확률로 얻을 수 있는 소모성 아이템이다. 참고로 [[팔각|팔각]]은 향신료로, 흔히 중국의 음식에 사용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투척용 칼)][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Throwing Knife, 한=투척용 칼, v=1.0.5, ID=279, 스택=9999, 유형=원거리 무기\, 소모품\, 재료, 공=12, 시=15, 속=매우 빠름, 넉=2, 강=매우 약함)][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상인, 문서=NPC, h=24px)] (50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br]([[테라리아/이벤트#블러드 문|블러드 문]]일 때) [[파일:290px구분선.png]] [include(틀:t보물)] {{{#black [[테라리아/지형#대동굴|대동굴]]의 [[파일:Terraria/황금 상자.png|height=14px]] 황금 상자 (25%) (25-50)}}} }}} 2회 관통 효과를 가졌으며 약간의 넉백이 있어 어느 정도 공격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사용 후 기능을 다 한 투척용 칼은 50% 확률로 다시 아이템으로 회수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수리검의 상위호환으로 넉백도 약하지만 존재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독 바른 칼)][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Poisoned Knife, 한=독 바른 칼, v=1.0.5, ID=287, 자동=↻, 스택=9999, 유형=원거리 무기\, 소모품, 공=14, 시=15, 속=매우 빠름, 넉=2.4, 강=매우 약함, 치=8)][include(틀:t조합)] 50개 = [include(틀:t캡션, h=16px, 이름=투척용 칼, 문서=무기/원거리 무기)] (50)[br]+ \[[include(틀:t캡션, h=16px, 이름=불쾌한 가루, 문서=도구)]/[include(틀:t캡션, h=16px, 이름=지독한 가루, 문서=도구)]] @ 손}}} 전체적으로 성능이 투척용 칼에 비해 높아졌고 자동 공격 기능이 생겼다. 적에게 50% 확률로 10초간 [[테라리아/시스템#독|독]]을 건다. 만약 정말로 스로어를 할 생각이라면 '빠른 자동 공격+독+치명타'로 꽤나 우월한 무기.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뼈 투척용 칼)][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Bone Throwing Knife, 한=뼈 투척용 칼, v=1.3.0.1, ID=3379, 자동=↻, 스택=9999, 유형=원거리 무기\, 소모품, 공=14, 시=14, 속=매우 빠름, 넉=1.5, 강=극도로 약함, 치=4)][include(틀:t조합)] 50개 = [include(틀:t캡션, h=16px, 이름=튼튼한 화석, 문서=재료)] @ [include(틀:t캡션, h=14px, 이름=모루, 문서=가구)]}}} [[테라리아/가구#모루|모루]]에서 [[테라리아/재료#튼튼한 화석|튼튼한 화석]] 1개로 30개를 만들 수 있다. [anchor(재블린)][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Javelin, 한=재블린, v=1.3.0.1, ID=3094, 유형=원거리 무기\, 소모품, 공=17, 시=24, 속=빠름, 넉=4.75, 강=보통, 치=4, 드롭1=장갑 보병, 드롭1h=24, 드롭1확률=50, 드롭1수량=(40-80))] 3명의 적을 관통하며, 일정 거리를 날아가다 중력의 영향을 받고 떨어진다. 3명의 적을 관통하므로 초기에 어떻게서든 장갑 보병을 잡아서 다수 얻었다면 [[테라리아/이벤트#블러드 문|블러드 문]]이나 [[테라리아/이벤트#고블린 부대|고블린 부대]]를 비롯하여 다수의 적을 단번에 없애는 것은 물론 지렁이류 적인 [[테라리아/보스#세상을 먹는 자|세상을 먹는 자]]나 다수의 크리퍼를 데리고 다니는 [[테라리아/보스#크툴루의 뇌|크툴루의 뇌]]를 처치하는 데에 유용하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뼈 재블린)][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Bone Javelin, 한=뼈 재블린, v=1.3.0.1, ID=3378, 자동=↻, 희소=Blue, 스택=9999, 유형=원거리 무기\, 소모품, 공=20, 시=25, 속=빠름, 넉=5, 강=보통, 치=4)][include(틀:t조합)] 20개 = [include(틀:t캡션, h=16px, 이름=튼튼한 화석, 문서=재료)] @ [include(틀:t캡션, h=14px, 이름=모루, 문서=가구)]}}} [[테라리아/가구#모루|모루]]에서 [[테라리아/재료#튼튼한 화석|튼튼한 화석]] 1개로 20개를 만들 수 있다. 적에게 꽂으면 초당 3의 피해량을 15초간 입히며 최대 6개까지 꽂을 수 있다. 하드모드 이전에 [[테라리아/무기/근접 무기#여명|여명]]을 경험할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얼어붙은 단도어)][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Frost Daggerfish, 한=얼어붙은 단도어, ID=3197, v=1.3.0.1, 희소=blue, 유형=원거리 무기\, 소모품, 공=17, 시=13, 속=매우 빠름, 넉=3.5, 강=약함, 치=4)][include(틀:t낚시)] [[테라리아/지형#설원|설원]]에서 낚시}}} [[테라리아/버전#1.3|1.3]] 버전 업데이트로 추가되었으며 10~40마리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2회 관통 효과를 가진다. 공격력이 높고 다량으로 얻을 수 있으며, 설원에 고여있는 물에서 쉽게 낚을 수 있으므로 초기에 낚시를 통해 많이 모아두면 후에 재블린과 함께 [[테라리아/보스#세상을 먹는 자|세상을 먹는 자]]를 처치하는 데에 유용하다. 또한 NPC인 [[테라리아/NPC#낚시꾼|낚시꾼]]이 사용하는 무기이기도 하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수류탄)][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Grenade, 한=수류탄, v=1.0, ID=168, 스택=9999, 유형=원거리 무기\, 소모품, 공=60, 시=45, 속=매우 느림, 넉=8, 강=매우 강함 )][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폭파 전문가, 문서=NPC, h=24px)] (75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black [[테라리아/지형#지상|지상]]의 [[파일:Terraria/Chest.png|height=14px]] 상자 (33.33%) (3-5)}}}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파일:Terraria/Pot.png|height=14px]] 항아리 (10-20)[br](하드모드에서)}}} 폭발성 투척 무기로 블록을 부수지 못한다. 던진 뒤 3초 뒤에 자동으로 폭발하며 적이 이 수류탄에 닿을 경우 시간에 상관없이 바로 터진다. 블록을 부수지 않아 초반에 [[테라리아/이벤트#블러드 문|블러드 문]]일 때 몰려오는 좀비 떼들을 막는 데 아주 유용하며 또한 다관절 몬스터에게도 좋다. 다관절 몬스터에게 좋은 이유는 각 마디마디가 각각 하나의 개체인데, 이 수류탄을 던지면 마디마디 하나에 피해를 줌으로써 보다 더욱 큰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적과 가까이 있다면 자신도 큰 피해를 입을 수 있으니 주의. [[테라리아/보스#세상을 먹는 자|세상을 먹는 자]] 스피드런할 생각이라면 수류탄은 갖고 다니도록 하자.[* 참고로 노말 모드에서는 세상을 먹는 자가 닿지 않을 높이에 밧줄 등으로 매달려서 즐거운 압살이 가능해진다. 그러다가 전문가 모드에서 마디들이 발사하는 집중포화에 사망하는 경우가 대다수,]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접착식 수류탄)][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Sticky Grenade, 한=접착식 수류탄, 사진=Terraria/StickyGrenade.png, v=1.2.4, ID=2586, 스택=9999, 유형=원거리 무기\, 소모품, 공=60, 시=45, 속=매우 느림, 넉=8, 강=매우 강함)][include(틀:t조합)] 5개 = [include(틀:t캡션, 이름=수류탄, 문서=무기/원거리 무기, h=14px)] (5) + [include(틀:t캡션, 이름=젤, 문서=재료, h=14px)] @ 손}}}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튀는 수류탄)][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Bouncy Grenade, 한=튀는 수류탄, 사진=Terraria/BouncyGrenade.png, v=1.3.0.1, ID=3116, 스택=9999, 유형=원거리 무기\, 소모품, 공=65, 시=40, 속=매우 느림, 넉=8, 강=매우 강함)][include(틀:t조합)] 2개 = [include(틀:t캡션, 이름=수류탄, 문서=무기/원거리 무기, h=14px)] (2) + [include(틀:t캡션, 이름=분홍 젤, 문서=재료, h=14px)] @ 손}}}|| 수튜탄의 다른 버전들. 접착식 수류탄은 손에서 [[테라리아/재료#젤|젤]] 1개와 [[#수류탄|수류탄]] 5개를 조합하여 5개 제작하고 블록에 달라붙을 수 있다. 튀는 수튜탄은 손에서 [[테라리아/재료#분홍 젤|분홍 젤]] 1개와 [[#수류탄|수류탄]] 2개로 조합하여 2개 제작. 마구 튀어오르다가 터진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행복한 수류탄)][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Happy Grenade, 한=행복한 수류탄, 사진=Terraria/HappyGrenade.png, v=1.3.0.1, ID=3548, 희소=green, 스택=9999, 유형=원거리 무기\, 소모품, 공=30, 시=20, 속=매우 빠름, 넉=6)][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파티 걸, 문서=NPC, h=24px)] (25%) (30-60)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파티 걸, 문서=NPC, h=24px)] (2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 50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br](인벤토리에 행복한 수류탄을 소지 시)}}} [[테라리아/NPC#파티 걸|파티 걸]]이 죽으면 25% 확률로 25~50개를 떨어뜨린다. 한 번 얻었으면 파티 걸에게 개당 은화 2.5닢에 살 수 있다. 공격력이 [[#수류탄|수류탄]]에서 반 토막이 났고, 터질 시 색종이 조각이 주변으로 퍼진다. 파티 걸은 다른 NPC들과는 달리 죽었다고 다음날에 바로 오는 NPC가 아니기 때문에, 정 얻고 싶다면 첫 NPC로 파티 걸이 나오는 05162020 [[테라리아/시스템#시드|시드]]를 이용해 파밍하는 게 안전하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벌류탄)][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Beenade, 한=벌류탄, v=1.2, ID=1130, 스택=9999, 유형=원거리 무기\, 소모품, 공=12, 시=15, 속=매우 빠름, 넉=1, 강=극도로 약함)][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여왕벌, 문서=보스, 파생=축소)] (75% / {{{#E80 100%}}}) (10-30 / {{{#E80 10-29}}})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수류탄, 문서=무기/원거리 무기,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밀랍, 문서=재료,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폭발성 무기. [[테라리아/지형#정글|정글]]의 [[테라리아/보스|보스]]인 [[테라리아/보스#여왕벌|여왕벌]]을 물리치면 얻을 수 있고 [[테라리아/가구#모루|모루]]에서 [[#수류탄|수류탄]] 1개, [[테라리아/재료#밀랍|밀랍]] 1개로 제작 가능하다. 수류탄과 비슷하지만 자체 폭발 피해량이 낮고 플레이어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다. 대신 폭발할 시 그 자리에서 벌 떼가 튀어나오며 주변의 적을 공격하는데, 벌 떼의 공격력이 꽤 높아 4~5마리의 몬스터 무리를 순식간에 녹일 수 있다. [[테라리아/보스#월 오브 플레시|월 오브 플레시]]와의 전투에 유용히 쓰이니, 모아두는 게 좋다. 다만, 벌이 화면에 너무 많이 있으면 플레이어의 다른 공격이 적에게 안 먹히니 주의.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가시 공)][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Spiky Ball, 한=가시 공, 사진=Terraria/SpikyBall.png, v=1.0, ID=161, 스택=9999, 유형=원거리 무기\, 소모품, 공=16, 시=15, 속=매우 빠름, 넉=1, 강=극도로 약함)][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고블린 일꾼, 문서=이벤트,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고블린 전사, 문서=이벤트,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고블린 도적, 문서=이벤트,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고블린 마법사, 문서=이벤트,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고블린 궁수, 문서=이벤트, h=24px)] (49.75%) (1-5)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고블린 땜장이, 문서=NPC, h=24px)] (80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 투척 사거리는 짧고 중력의 영향을 크게 받지만 지속시간이 길다. 7회 공격하거나 1분이 지나면 사라진다. [[테라리아/이벤트#고블린 부대|고블린 부대]] 이벤트의 고블린들에게 얻을 수 있으며 [[테라리아/NPC#고블린 땜장이|고블린 땜장이]]에게 구매할 수도 있다. [[테라리아/보스#세상을 먹는 자|세상을 먹는 자]]와 싸우기 전 미리 몇백 개의 가시 공을 뿌려놓으면 나타나자마자 몸이 터져나가는 징그러운 광경을 볼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뼈다귀)][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Bone, 한=뼈다귀, 스택=9999, v=1.0, ID=154, 희소=white, 유형=원거리 무기\, 재료\, 소모품, 공=20, 시=12, 속=매우 빠름, 넉=2.3, 강=매우 약함)][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성난 해골, 문서=몬스터,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암흑 소환사, 문서=몬스터,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저주받은 두개골, 문서=몬스터, h=24px)][br](98.07% / {{{#E80 100%}}}) (1-3 / {{{#E80 2-6}}})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조합)] [include(틀:at캡션, 사진=Bone_Block_Wall.png, 이름=뼈다귀 블록 벽면, 문서=블록, h=24px)] (4) @ [include(틀:t캡션, 이름=뼈 용접기, 문서=가구, h=24px)]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뼈 플랫폼, 문서=가구, h=24px)] (2) @ 손}}} [[테라리아/지형#던전|던전]]의 [[테라리아/몬스터#성난 해골|해골 몬스터]]들에게서 얻을 수 있다. 투척 무기로서 활용이 가능하며 사용 후 기능을 다한 뼈다귀는 50% 확률로 다시 아이템으로 회수할 수 있다. [[테라리아/버전#1.3|1.3]] 버전 패치로 공격력이 22에서 20으로 너프되고 넉백 또한 약함에서 매우 약함으로 너프되었다. 또한 [[테라리아/가구#피아노|피아노]], 뼈다귀 가구, [[테라리아/가구#공허 금고|공허 금고]]와 [[테라리아/도구#공허 가방|공허 가방]], [[테라리아/장비/갑옷#네크로 갑옷|네크로 갑옷]], [[../소환 무기#척추천자|척추천자]] 등의 재료로도 사용되고 [[테라리아/소모품#거인의 포션|거인의 포션]]의 재료로도 쓰인다. 하드모드에서는 [[테라리아/보스#스켈레트론 프라임|스켈레트론 프라임]] 소환 아이템인 [[테라리아/보스#기계 두개골|기계 두개골]]의 재료로도 쓰인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화염병)][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Molotov Cocktail, 한=화염병, v=1.2.4, ID=2590, 희소=blue, 스택=9999, 유형=원거리 무기\, 소모품, 공=23, 시=40, 속=매우 느림, 넉=7, 강=강함)][include(틀:t조합)] 5개 = [include(틀:t캡션, 사진=Ale.png, 이름=에일, 문서=소모품, h=16px)] (5) + [include(틀:t캡션, 이름=젤, 문서=재료,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비단, 문서=재료,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횃불, 문서=가구, h=16px)] @ 손}}} 던지면 약간 불안정하게 회전하면서 떨어진다. 이때, 몬스터에게 직격하거나 블록에 닿으면 주위로 불꽃이 튀어나간다. 직격하거나 불꽃에 닿은 적들은 [[테라리아/시스템#불이야!|불이야!]] 디버프에 걸린다. 1.2.4 패치로 처음 추가되었을 때에는 에일을 5개 더 요구하는 대신 비단, 횃불, 에일 10개로 10개를 만들 수 있었고, 40이라는 훌륭한 공격력에 재료만 충분하면 엄청나게 양산해낼 수가 있어서 다수의 몰려오는 적을 상대하는데에 유용했고 동시에 [[테라리아/보스#세상를 먹는 자|세상를 먹는 자]], [[테라리아/보스#크툴루의 뇌|크툴루의 뇌]]를 상대로도 매우 훌륭하였다. 다수의 헝그리를 데리고 다니는 [[테라리아/보스#월 오브 플레시|월 오브 플레시]]를 격파하는데에도 매우 유용했다. 하지만 1.3 패치로 요구 에일이 5개 줄어든 대신 마구잡이로 쓰긴 다소 부담스러운 [[테라리아/재료#분홍 젤|분홍 젤]]이 재료로 추가되고 조합으로 만들어지는 화염병의 갯수도 5개로 떨어졌으며, 공격력이 23으로 거의 반토막이 나고 화염병의 주 사용처이던 세상을 먹는 자에게 입히는 데미지가 35% 감소하는 너프 3연타를 맞으며 활용도가 급락해버렸다. 결국 1.4.4에서 재료가 분홍 젤 대신 일반 젤로 바뀌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에일 장갑)][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Ale Tosser, 한=에일 장갑, 사진=Terraria/AleTosser.png, v=1.3.4, ID=3821, 희소=blue, 유형=원거리 무기, 공=20, 시=40, 속=매우 느림, 넉=7, 강=강함)][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술집 주인, 문서=NPC, h=24px)] (16.67%)}}} 1.3.4 업데이트에서 추가된 투척 무기. [[테라리아/NPC#술집 주인|술집 주인]] NPC가 사망 시 12.5% 확률로 드롭한다. 사용 시 에일을 포물선으로 던져 공격한다. 수식어를 붙일 수 있으며, 최고 수식어는 Unreal. ====# 기타[anchor(기타 원거리)] #==== [[#기타 탄약|전용 탄약]]을 사용하거나 탄약이 없는 총. 사용하는 탄약이 다르므로 각 총마다 그에 맞는 탄약을 준비해야 한다. 1.4.4 업데이트 이후로 [[테라리아/장비/갑옷#쉬루마이트 갑옷|쉬루마이트 갑옷]] 장비에서 헬멧과 갑옷 세트를 장착하면 화살과 총알을 사용하지 않는 무기들이 15% 기타 공격력 증가 효과를 받을 수 있게 바뀌었다. ||<-2>
'''{{{-2 이름}}}''' || '''{{{-2 공격력}}}''' || '''{{{-2 사용[br]시간}}}''' || '''{{{-2 넉백}}}''' || '''{{{-2 치명[br]타율}}}''' || '''{{{-2 자동[br]공격}}}''' || '''{{{-2 등급}}}''' || || [[파일:Terraria/조명탄 총.png]] || {{{-2 [[#조명탄 총|조명탄 총]]}}}[br]{{{-3 (Flare Gun)}}} || {{{-2 2}}} || {{{-2 18}}}[br]{{{-3 (매우 빠름)}}} || {{{-2 0}}}[br]{{{-3 (없음)}}} || {{{-2 -}}} || '''{{{#red x}}}''' || [include(틀:t등급, n=1, bg=blue)] || || [[파일:Terraria/Blowpipe.png]] || {{{-2 [[#취관|취관]]}}}[br]{{{-3 (Blowpipe)}}} || {{{-2 9}}} || {{{-2 25}}}[br]{{{-3 (빠름)}}} || {{{-2 3.5}}}[br]{{{-3 (약함)}}} || {{{-2 4%}}}|| '''o'''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눈뭉치 대포.png]] || {{{-2 [[#눈뭉치 대포|눈뭉치 대포]]}}}[br]{{{-3 (Snowball Cannon)}}} || {{{-2 10}}} || {{{-2 19}}}[br]{{{-3 (매우 빠름)}}} || {{{-2 1}}}[br]{{{-3 (극도로 약함)}}} || {{{-2 4%}}}|| '''o''' || [include(틀:t등급, n=1, bg=blue)] || || [[파일:Terraria/페인트볼 총.png]] || {{{-2 [[#페인트볼 총|페인트볼 총]]}}}[br]{{{-3 (Paintball Gun)}}} || {{{-2 12}}} || {{{-2 24}}}[br]{{{-3 (빠름)}}} || {{{-2 1.25}}}[br]{{{-3 (극도로 약함)}}} || {{{-2 11%}}}|| '''{{{#red x}}}''' || [include(틀:t등급, n=2, bg=green)] || || [[파일:Terraria/작살.png]] || {{{-2 [[#작살|작살]]}}}[br]{{{-3 (Harpoon)}}} || {{{-2 25}}} || {{{-2 30}}}[br]{{{-3 (보통)}}} || {{{-2 6}}}[br]{{{-3 (보통)}}} || {{{-2 4%}}}|| '''o''' || [include(틀:t등급, n=2, bg=green)] || || [[파일:Terraria/바람총.png]] || {{{-2 [[#바람총|바람총]]}}}[br]{{{-3 (Blowgun)}}} || {{{-2 27}}} || {{{-2 35}}}[br]{{{-3 (느림)}}} || {{{-2 4}}}[br]{{{-3 (약함)}}} || {{{-2 4%}}}|| '''o''' || [include(틀:t등급, n=3, bg=orange)] || || [[파일:Terraria/모래총.png]] || {{{-2 [[#모래총|모래총]]}}}[br]{{{-3 (Sandgun)}}} || {{{-2 30}}} || {{{-2 16}}}[br]{{{-3 (매우 빠름)}}} || {{{-2 5}}}[br]{{{-3 (보통)}}} || {{{-2 4%}}}|| '''o''' || [include(틀:t등급, n=2, bg=green)] || || [[파일:Terraria/유성 대포.png]] || {{{-2 [[#유성 대포|유성 대포]]}}}[br]{{{-3 (Star Cannon)}}} || {{{-2 55}}} || {{{-2 12}}}[br]{{{-3 (매우 빠름)}}} || {{{-2 3}}}[br]{{{-3 (매우 약함)}}} || {{{-2 4%}}}|| '''o''' || [include(틀:t등급, n=2, bg=green)] || || [[파일:Terraria/다트 라이플.png]] || {{{-2 [[#다트 라이플|다트 라이플]]}}}[br]{{{-3 (Dart Rifle)}}} || {{{-2 52}}} || {{{-2 38}}}[br]{{{-3 (매우 느림)}}} || {{{-2 5.5}}}[br]{{{-3 (보통)}}} || {{{-2 4%}}} || '''o''' || [include(틀:t등급, n=5, bg=pink)] || || [[파일:Terraria/다트 피스톨.png]] || {{{-2 [[#다트 피스톨|다트 피스톨]]}}}[br]{{{-3 (Dart Pistol)}}} || {{{-2 28}}} || {{{-2 22}}}[br]{{{-3 (빠름)}}} || {{{-2 3.5}}}[br]{{{-3 (약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5, bg=pink)] || || [[파일:Terraria/Toxikarp.png]] || {{{-2 [[#독잉어|독잉어]]}}}[br]{{{-3 (Toxikarp)}}} || {{{-2 43}}} || {{{-2 10}}}[br]{{{-3 (매우 빠름)}}} || {{{-2 3}}}[br]{{{-3 (매우 약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5, bg=pink)] || || [[파일:Terraria/슈퍼 유성 발사기.png]] || {{{-2 [[#슈퍼 유성 발사기|슈퍼 유성 발사기]]}}}[br]{{{-3 (Super Star Shooter)}}} || {{{-2 60}}} || {{{-2 18}}}[br]{{{-3 (매우 빠름)}}} || {{{-2 5}}}[br]{{{-3 (보통)}}} || {{{-2 4%}}} || '''o''' || [include(틀:t등급, n=3, bg=orange)] || || [[파일:Terraria/화염방사기.png]] || {{{-2 [[#화염방사기|화염방사기]]}}}[br]{{{-3 (Flamethrower)}}} || {{{-2 35}}} || {{{-2 30}}}[br]{{{-3 (보통)}}} || {{{-2 0.3}}}[br]{{{-3 (극도로 약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5, bg=pink)] || || [[파일:Terraria/피라냐 총.png]] || {{{-2 [[#피라냐 총|피라냐 총]]}}}[br]{{{-3 (Piranha Gun)}}} || {{{-2 38}}} || {{{-2 30}}}[br]{{{-3 (보통)}}} || {{{-2 1}}}[br]{{{-3 (극도로 약함)}}} || {{{-2 4%}}} || '''{{{#red x}}}''' || [include(틀:t등급, n=8, bg=yellow)] || || [[파일:Terraria/엘프 멜터.png]] || {{{-2 [[#엘프 멜터|엘프 멜터]]}}}[br]{{{-3 (Elf Melter)}}} || {{{-2 53}}} || {{{-2 30}}}[br]{{{-3 (보통)}}} || {{{-2 0.425}}}[br]{{{-3 (극도로 약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8, bg=yellow)] || ===== 하드모드 이전 =====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조명탄 총)][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Flare Gun, 한=조명탄 총, v=1.2, ID=930, 희소=blue, 유형=원거리 무기\, 도구, 공=2, 시=18, 속=매우 빠름, 넉=0, 강=없음, 치=-)][include(틀:t보물)] 지하, 대동굴의 [[파일:Terraria/황금 상자.png|height=16px]] 황금 상자}}} [[테라리아/NPC#상인|상인]]에게서 구매할 수 있는 [[#조명탄|조명탄]], [[#조명탄|푸른 조명탄]]을 탄약으로 사용한다. 피해량이 기본 2에 조명탄이 1로 그야말로 전투용으로는 쓸모 없으나 적에게 맞추면 면역이 아니라면 무조건 불이 붙고 무한히 관통하므로 불이 붙는 다수의 적을 태워 죽이는 것은 가능하다. 발사된 조명탄은 접촉한 블록에 달라붙어 임시로 [[테라리아/가구#횃불|횃불]] 역할을 한다. 물속에서도 꺼지지 않고 붙으므로 어디서나 유용하다. 이 조명탄은 세계를 나가거나 추가로 50개 이상을 박아놓지 않는 한 기존 자리에서 사라지지 않고 붙어 있는다. 사용 속도는 매우 빠름 정도이고, [[테라리아/시스템#수식어|수식어]]를 아예 붙일 수가 없다.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수식어를 붙일수는 있지만 오직 단 한개인 Rapid'''만''' 가능하다.[* Unreal, Godly 수식어를 강제로 넣어도 일반 조명탄 총을 준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취관)][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Blowpipe, 한=취관, 사진=Terraria/Blowpipe.png, v=1.0.5, ID=281, 자동=↻, 유형=원거리 무기, 공=9, 시=25, 속=빠름, 넉=3.5, 강=약함)][include(틀:t보물)] 지상의 [[파일:Terraria/Chest.png|height=16px]] 상자 (10%)}}} 가장 약한 총으로 탄약은 [[#씨앗|씨앗]]을 사용하며 [[테라리아/NPC#총포상|총포상]]을 불러오는 조건에 만족하지 못한다. 이 취관을 갖고 있을 경우 [[테라리아/지형#숲|숲]]의 잔디를 부수면 일정 확률로 씨앗을 얻을 수 있다. 이 씨앗은 탄약이므로 진짜 씨앗으로 쓰지를 못한다. 총에 비해 사격 속도와 총알의 속도도 끔찍하게 느리다. [[테라리아/지형#정글|정글]]의 말벌이 드롭하는 [[테라리아/재료#독침|독침]]으로 만든 [[#독 다트|다트]]로도 사용 가능. 다트를 쏠 수 있다는 것도 그나마 위안이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눈뭉치 대포)][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Snowball Cannon, 한=눈뭉치 대포, v=1.2, ID=1319, 희소=blue, 자동=↻, 유형=원거리 무기, 공=10, 시=19, 속=매우 빠름, 넉=1, 강=극도로 약함)][include(틀:t보물)] 설원 지하의 [[파일:Terraria/얼어붙은 상자.png|height=16px]] 얼어붙은 상자 (15.51%)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include(틀:t캡션, 이름=얼어붙은 크레이트, 문서=소모품,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아한대 크레이트, 문서=소모품, h=24px)]][br](16.67%)}}} [[#눈뭉치|눈뭉치]]를 탄약으로 사용한다. 금화 2닢에 팔아먹을 수 있어서 재정에는 도움이 되나, 초반에 얻을 수 있는 연사 가능한 원거리 무기이기 때문에 [[테라리아/보스#크툴루의 눈|크툴루의 눈]]을 잡는 데까지는 쓸 수 있다. 본래 공격력에다 눈덩이의 공격력까지 더해지니까 사실상의 공격력은 수식어가 없을 때 18이다. 연사가 가능하기 때문에 방어력이 낮은 상대에게는 상당한 피해량을 쥐어 박아 줄 수가 있다. 참고로 [[테라리아/이벤트#프로스트 문|프로스트 문]]에서 얻을 수 있는 [[#눈사람 대포|눈사람 대포]]와 외형이 유사하지만, 엄연히 눈뭉치 대포와 눈사람 대포는 완전히 다른 무기이다. PC 1.3 이전에는 눈뭉치 자체 공격력이 4로 낮았고, 대포의 공격력조차도 4라서 거의 장난감에 불과했었다. PC 1.3 이후에는 이러한 상향을 받아 초기에 얻어둔다면 수식어나 장비, 장신구 효과를 제외하고 18이라는 높은 공격력을 지니게 되어 초기에 버틸 수 있는 훌륭한 무기가 되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페인트볼 총)][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Paintball Gun, 한=페인트볼 총, v=1.3.0.1, ID=3350, 희소=green, 자동=, 유형=원거리 무기, 공=12, 시=24, 속=빠름, 넉=1.25, 강=극도로 약함, 치=11)][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화가, 사진=Painter.png, 문서=NPC, h=24px)] (10%)}}} 원거리 무기이며 아무 탄약도 소모하지 않는다. 사용하면 색상이 각기 다른 페인트볼 3개를 점사한다. 탄속은 느리나, 타이밍을 맞춰 연사한다면 초반에 꽤나 강력한 무기가 된다. 이 때문에 일부 유저는 초반에 용암이 바닥에 깔린 집을 만들고 화가를 그 집에 입주시킨뒤, 계속해서 용암으로 죽이며 페인트볼 총을 얻어 유용하게 사용하기도 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작살)][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Harpoon, 한=작살, v=1.0, ID=160, 희소=green, 자동=↻, 유형=원거리 무기, 공=25, 시=30, 넉=6)][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고블린 일꾼, 문서=이벤트,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고블린 전사, 문서=이벤트,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고블린 도적, 문서=이벤트,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고블린 마법사, 문서=이벤트,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고블린 궁수, 문서=이벤트, h=24px)] (0.5%)}}} 공격 시 작살을 던지며 블록이나 적에게 닿으면 다시 되돌아온다. "적에게 닿으면 다시 되돌아온다"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초근거리에서는 [[#미니샤크|미니샤크]] 수준의 DPS를 뽑아낼수도 있다. 발사 중 총신을 들고있는데 이 총신에도 공격 판정이 있다. [[테라리아/보스#여왕벌|여왕벌]] 이외의 대다수의 하드모드 이전 보스는 이거 한 자루면 전부 쉽게 처리할 수 있다. 근접 무기인 다른 [[테라리아/무기/근접 무기#철퇴|철퇴]]들과 다르게 원거리 무기에 속한다. 만약 원거리 세팅으로 한다면 총알 낭비 없이 잡몹을 처리하는 무기가 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바람총)][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Blowgun, 한=바람총, v=1.2, ID=986, 희소=orange, 자동=↻, 유형=원거리 무기, 공=27, 시=35, 속=느림, 넉=4, 강=약함)][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주술사, 사진=WitchDoctor.png, 문서=NPC, h=24px)] (5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 [[#취관|취관]]의 강화형 무기. 여왕벌은 변변한 원거리 무기 없이도 때려잡기 쉬우므로 괜찮은 총이 없다면 하나 구입해 두는 것도 좋다. [[#독 다트|독 다트]] 수급도 어렵지 않고 공격력도 준수한 편이라서 보조 무기로 쓰기 용이하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모래총)][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Sandgun, 한=모래총, v=1.0.5, ID=266, 희소=green, 자동=↻, 유형=원거리 무기, 공=30, 시=16, 속=매우 빠름, 넉=5)][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불법 총기 부품, 문서=재료,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개미귀신 아래턱, 사진=AntlionMandible.png, 문서=재료, h=16px)] (10) + [include(틀:t캡션, 이름=토파즈, 문서=재료, h=16px)] (5) @ [include(틀:t캡션, 이름=용광로, 문서=가구, h=16px)]}}} 이름처럼 [[테라리아/블록#모래|모래]], [[테라리아/블록#칠흑모래 블록|칠흑모래]], [[테라리아/블록#심홍모래 블록|심홍모래]], [[테라리아/블록#신성모래 블록|신성모래]]를 탄약으로 사용한다. 칠흑모래, 심홍모래, 신성모래의 경우 관통 효과가 있다. [[테라리아/지형#사막|사막]]에 나타나는 [[#개미귀신|개미귀신]]처럼 모래를 던지며 던져진 모래는 실제 모래와 특성이 같다. 또한 탄약이 모래인 만큼 적을 맞춘 일반 모래를 제외한 모든 모래 블록은 모래 블록을 생성하기 때문에 쏜 모래를 다시 주워서 사용이 가능하다. 탄약 소모를 줄이는 옵션을 가진 갑옷과 함께 하면 무한으로 모래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모래나 [[테라리아/블록#유리|유리]]가 궁하다면 하나쯤은 모래 생성용으로 만들어 두는 것도 좋다. 참고로 기본 모래는 공격력이 -1이라 기본 모래를 탄약으로 쓰면 29 공격력이 나니 주의. 실컷 쏘고 나서 이곳저곳에 덕지덕지 붙은 모래를 보면 복잡한 감정이 된다는 성능 외의 단점이 있다. 당연하지만 일반 모래를 제외한 다른 모래들은 하드모드 이후 지배력을 가지니 지형이 지배되는 것을 보고 싶지 않으면 신중히 쏘거나, 나중에 회수해야 한다. 불법 총기 부품의 모양은 모래총의 부품과 완벽하게 일치하는데, [[테라리아/버전#1.0.5|1.0.5]]에 불법 총기 부품과 모래총이 처음 추가되었고 이때 불법 총기 부품을 재료로 하는 무기가 이 모래총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모래총의 툴팁 또한 'This is a good idea!'이다. 아마도 개미귀신 아래턱이 부품을 서로 붙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유성 대포)][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Star Cannon, 한=유성 대포, v=1.0, ID=197, 희소=green, 자동=↻, 유형=원거리 무기\, 재료, 공=55, 시=12, 속=매우 빠름, 넉=3, 강=매우 약함)][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미니샤크, 문서=무기/원거리 무기,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운석 주괴, 문서=재료, h=16px)] (20) + [include(틀:t캡션, 이름=별똥별, 문서=재료, h=16px)] (5)[br]@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별똥별을 탄약으로 사용하며 하드모드 이전 무기 중 1발당 공격력이 가장 강력한 무기이지만 탄약인 별똥별은 [[테라리아/시스템#밤|밤]]에만 나타나므로 대부분 성능 때문에 활용성이 없는 다른 총과는 달리 성능은 좋지만 탄약으로 쓰일 별똥별의 부족으로 활용성이 사라지는 무기이다. 써먹으려면 탄약 상자와 [[테라리아/소모품#탄약 반환 포션|탄약 반환 포션]]까지 동원해야 한다. 하드모드 이전의 [[이론상 최강]] 무기. 물론 별똥별을 50개만 모으면 무한으로 별똥별을 쓸 수 있는 여행 모드에서는 하드모드 이전 최강의 무기이다. 별똥별의 특성을 이어받아 무한 관통이 적용된다. 거의 쓰이지 않는 무기임에도 불구하고 (주로 너프하는 방향으로) 자주 패치당한 무기인데 [[테라리아/버전#1.0.5|1.0.5]]에선 공격력이 75에서 60으로 하향 + 공속이 아주 느림으로 하락이라는 치명적인 너프를 받았고, [[테라리아/버전#1.1|1.1]]에서 공격 속도를 기존의 속도로 롤백해줬지만 [[테라리아/버전#1.1.1|1.1.1]]에선 공격력이 60에서 55로 다시 하향, [[테라리아/버전#1.2|1.2]]에선 55에서 62로 상향, [[테라리아/버전#1.2.4|1.2.4]]에선 62에서 57로 하향당하는 수모를 겪었다. 이후 [[테라리아/버전#1.3|1.3]]에서 도트가 바뀌었다. 버전 1.4 패치로 별똥별 수가 대폭 증가하면서 예전보다는 탄 수급이 쉬워져 간접 상향을 받았다. [[테라리아/버전#1.2|1.2]] 버전 이전에는 공격력이 100을 넘길 경우 발사된 별똥별이 사라지지 않고 아이템이 되는 버그가 있었다. ===== 하드모드 =====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다트 라이플)][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Dart Rifle, 한=다트 라이플, v=1.3.0.1, ID=3008, 희소=pink, 과정=ⓗ, 자동=↻, 유형=원거리 무기, 공=52, 시=38, 속=매우 느림, 넉=5.5)][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오염된 미믹, 문서=몬스터, h=24px)] (20%)}}} 기존의 [[#머스킷|머스킷]]와 비슷하게 이쪽도 총신이 긴 장총으로, 공격력이 높은 대신 연사 속도가 느리다. 생김새만 보고 총알을 사용하는 총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이름처럼 다트를 탄약으로 쓴다. 1.4 패치로 공격력이 10 증가하고 모델링이 멋지게 업데이트 되었다. 적들이 막 몰려오는 이벤트에서 저주불 다트를 사용하여 캐릭터 기준 양 옆으로 포물선을 그리게 번갈아 쏘면 날아가는 다트에서 떨어지는 저주불이 땅에 박혀 밟은 적들에게 무기데미지+ 오래 지속되는 저주불 디버프를 주기에 걸어오는 몹들은 감히 접근을 하지 못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다트 피스톨)][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Dart Pistol, 한=다트 피스톨, v=1.3.0.1, ID=3007, 희소=pink, 과정=ⓗ, 자동=↻, 유형=원거리 무기, 공=28, 시=22, 속=빠름, 넉=3.5, 강=약함)][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진홍색 미믹, 문서=몬스터, h=24px)] (20%)}}} 기존의 [[#장의사|장의사]]와 비슷하게 공격력이 높은 대신 연사 속도가 느린 [[테라리아/지형#오염지대|오염지대]] 쪽의 [[#다트 라이플|다트 라이플]]과 달리 연사 속도가 높은 대신 공격력이 다소 약하다. 다트 라이플과 같이 다트를 탄약으로 쓴다. 연사가 빠르고, [[#이코르 다트|이코르 다트]]의 가성비가 좋은데다 탄막이 넓게 퍼지므로 마구 뿌려서 [[테라리아/시스템#이코르|이코르]]를 떡칠해줄 수 있다. 좋은 보조 무기. 1.4 패치로 공격력이 5 증가하고 모델링이 바뀌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독잉어)][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Toxikarp, 한=독잉어, 사진=Terraria/Toxikarp.png, v=1.3.0.1, ID=3210, 희소=pink, 과정=ⓗ, 자동=↻, 유형=원거리 무기, 공=43, 시=10, 속=매우 빠름, 넉=3, 강=매우 약함)][include(틀:t낚시)] [[테라리아/지형#오염지대|오염지대]][br](하드모드에서)}}} 사용하면 지형 관통이 불가능한 초록색 비눗방울을 날린다. 비눗방울은 발사한 뒤 시간이 약간 지나면 위로 떠오른다. 맞은 적은 오랜 시간 동안 독 상태에 걸린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슈퍼 유성 발사기)][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Super Star Shooter, 한=슈퍼 유성 발사기, v=1.4.0.1, ID=4060, 희소=orange, 과정=ⓗ, 자동=↻, 유형=원거리 무기, 공=60, 시=18, 속=매우 빠름, 넉=5)][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신성한 주괴, 문서=재료, h=16px)] (12) + [include(틀:t캡션, 이름=유성 대포, 문서=무기/원거리 무기,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유성 대포의 강화형. 강화형인 만큼 더 빠르고 강력한데 이 무기로 발사된 별은 유성 대포로 발사된 별보다 더 빠르고 크며, 적을 타격할 경우 [[테라리아/무기/근접 무기#인플럭스 웨이버|인플럭스 웨이버]] 처럼 적을 X자로 2회 추가타를 가한다. 문제는 사용하는 탄약이 별이다 보니 주무기로 사용하기엔 무리가 있다.[* 툴팁에서도 탄약 수급 문제를 까고 있다.] 그나마 하드모드 이전 이론상 최강 무기라는 타이틀이라도 있는 유성 대포와는 달리 이쪽은 정말 수집용 말고는 가치가 없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화염방사기)][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Flamethrower, 한=화염방사기, v=1.1, ID=506, 희소=pink, 과정=ⓗ, 자동=↻, 유형=원거리 무기, 공=35, 시=30, 넉=0.3, 강=극도로 약함)][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철/납] 주괴, 문서=재료, h=16px)] (20) + [include(틀:t캡션, 이름=불법 총기 부품, 문서=재료,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공포의 영혼, 문서=재료, h=16px)] (20)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이름 그대로 화염을 뿜어내는 방사기로 [[테라리아/재료#젤|젤]]을 탄약으로 사용하며 [[테라리아/시스템#지옥불|지옥불]] 디버프를 일으키는 총이다. 발사 시 5개의 화염 줄기를 발사하며 화상을 일으킨다. 불줄기는 닿는 모든 적을 관통하므로, 몰려오는 잡몹을 잡아내기에 매우 편하다. 화염 줄기가 밝은 데다가 흘러내리는 불똥이 땅 안쪽도 비춰주므로 탐험용으로도 유용하다. 하지만 화염 줄기는 물에 닿으면 끊어지며 물속이라면 사용할 수 없다. 총이지만 제한된 사정거리 때문에 굉장히 먼 거리에서 적을 맞추는 것은 불가능하다. 속도만 본다면 꽤나 느리지만, 최대 5줄을 연달아 발사하므로 체감상으로는 빠른 편. 젤 소모가 상당히 심한 편이라 [[테라리아/전기#슬라임 조각상|슬라임 조각상]]을 구해다가 젤 공장을 만들어 두는 것이 좋다. 1.4 패치로 공격력이 35로 증가한 대신 관통된 뒷쪽의 적에게 피해를 15% 덜 주도록 조정되었다. 1.4.4 업데이트 이후 몇몇 부분이 변경되었다. 우선 이펙트가 굉장히 화려해졌다. 이전에는 화염방사기라 하기엔 좀 아쉬울 법한 이펙트였지만, 현재는 화염을 쏟아내는 수준으로 상당히 화끈하게 변했다. 판정이 늘어난 건 덤. 또한 적의 방어력을 15 무시하게 되었고, 이제 불이야! 디버프 대신 강화된 지옥불 디버프를 주고, 적을 4마리까지 관통한다. 게다가 무적 프레임도 무시하여 Dps가 올랐다. 여전히 보스전에선 아쉽지만 잡몹전에서 좀 더 효율을 발휘하기 좋아졌다. 이는 아래의 엘프 멜터도 마찬가지.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피라냐 총)][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Piranha Gun, 한=피라냐 총, v=1.2, ID=1156, 희소=yellow, 과정=ⓗ, 자동=, 유형=원거리 무기, 공=38, 시=30, 넉=1, 강=극도로 약함)][include(틀:t보물)] 던전의 [[파일:Terraria/잠긴 정글 상자.png|height=16px]] 잠긴 정글 상자[br]([[파일:Terraria/junglekey.png|height=16px]] [[테라리아/소모품#정글 열쇠|정글 열쇠]] 요구)}}} 사용 시 피라냐처럼 생긴 발사체를 날리는데 그냥 누르면 안 되고 꾹 눌러서 사용해야 된다. 적에게 명중하면 들러붙어서 죽을 때까지 지속 피해를 입히고 주변에 적들이 있다면 그 적들에게까지 유도해서 알아서 자동으로 공격한다. 특히 순간이동을 해 대며 공격하는 적(예: 던전의 [[테라리아/몬스터#강령술사|강령술사]])의 경우 아예 순간이동할 때마다 따라가서 때리기에 더욱 좋다. 다만 간혹 적이 죽음과 동시에 피라냐가 사라져버려서 (이 경우 공격은 끝났는데 아직도 공격 중인 것으로 판정이 뜨기에) 다른 아이템으로 갈아탈 수는 없고 공격도 할 수 없는 버그가 발생할 수도 있다. 해결책은 게임 종료 후 다시 들어가는 것. 보스도 예외가 아니라서 달라붙기만 하면 체력이 전부 닳을 때까지 공격하는데, 마우스만 꾹 눌러도 자동으로 공격해주니 회피에만 집중할 수 있다. 그 외 탄약을 사용하지 않는 점도 메리트로 볼 수 있겠다. 참고로 쉬루마이트 세트를 착용하고 세트 효과(가만히 있으면 공격력, 치명타율 증가)를 받은 상태에서 피라냐 총을 쏜 다음 움직여도 세트 효과는 유지되기 때문에 [[테라리아/보스#피시론 공작|피시론 공작]]을 잡을 때 좋다. 1.4 패치로 피라냐의 유도 반경이 약간 줄어들었지만, 한번에 피라냐를 세 마리 날리도록 상향되었다.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엘프 멜터)][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Elf Melter, 한=엘프 멜터, v=1.2.2, ID=1910, 희소=yellow, 과정=ⓗ, 자동=↻, 유형=원거리 무기, 공=53, 시=30, 넉=0.425, 강=극도로 약함)][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사진=Santa-NK1(R).png, 이름=산타-NK1, 문서=이벤트)] (5.55% - 12.5% / {{{#E80 12.5% - 50%}}})}}} ||<^|1>[include(틀:t인포박스/펫, 영=, 한=사용 시 모습, 사진=ElfMelter(equipped).png, 버프=PetBunny(buff).png, h2=0px)]|| [[#화염방사기|화염방사기]]의 강화형 무기로 [[테라리아/시스템#서릿불|서릿불]]의 강화판인 [[테라리아/시스템#동상|동상]] 디버프를 주고 공격력과 사거리가 늘어났다. 이 무기를 들고있을 때는 화염방사기와는 다르게 등에 분홍색 가스통이 달려있다. 날개를 같이 낀다면 날 땐 날개가 보이고 땅에 있을 땐 가스통이 보인다. 1.4 패치로 공격력이 60으로 크게 증가한 대신 관통된 뒷쪽의 적에게 피해를 15% 덜 주도록 조정되었다. 1.4.4 이후로 리워크되어 공격력이 60에서 53으로 줄었다. 하지만 이제 서리불 효과를 주고 관통 숫자가 4마리로 늘었으며, 더 큰 판정과 방어력 15 무시 효과를 가지고 푸른색 화염과 함께 강화형 서리불 디버프를 주게 바뀌어 사실상 버프를 받았다. 이펙트가 화려해진 건 덤. 개발자의 실수인지 서리불로 변경됐음에도 물에 닿으면 꺼진다고 한다. === 탄약 === ==== 화살[anchor(화살)] ==== [[#활|활과 리피터]]의 탄약. 총알과 달리 중력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2>
'''{{{-2 이름}}}''' || '''{{{-2 공격력}}}''' || '''{{{-2 넉백}}}''' || '''{{{-2 발사체[br]속도}}}''' || '''{{{-2 등급}}}''' || || [[파일:Terraria/나무 화살.png]] || {{{-2 [[#나무 화살|나무 화살]]}}}[br]{{{-3 (Wooden Arrow)}}} || {{{-2 5}}} || {{{-2 2}}}[br]{{{-3 (매우 약함)}}} || {{{-2 3}}}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BoneArrow.png]] || {{{-2 [[#뼈 화살|뼈 화살]]}}}[br]{{{-3 (Bone Arrow)}}} || {{{-2 8}}} || {{{-2 2.5}}}[br]{{{-3 (매우 약함)}}} || {{{-2 3.5}}}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FlamingArrow.png]] || {{{-2 [[#불화살|불화살]]}}}[br]{{{-3 (Flaming Arrow)}}} || {{{-2 7}}} || {{{-2 2}}}[br]{{{-3 (매우 약함)}}} || {{{-2 3.5}}}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FrostburnArrow.png]] || {{{-2 [[#서릿불 화살|서릿불 화살]]}}}[br]{{{-3 (Frostburn Arrow)}}} || {{{-2 7}}} || {{{-2 2.2}}}[br]{{{-3 (매우 약함)}}} || {{{-2 3.75}}}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JestersArrow.png]] || {{{-2 [[#광대의 화살|광대의 화살]]}}}[br]{{{-3 (Jester's Arrow)}}} || {{{-2 10}}} || {{{-2 4}}}[br]{{{-3 (약함)}}} || {{{-2 0.5}}} || [include(틀:t등급, n=1, bg=blue)] || || [[파일:Terraria/UnholyArrow.png]] || {{{-2 [[#부정한 화살|부정한 화살]]}}}[br]{{{-3 (Unholy Arrow)}}} || {{{-2 12}}} || {{{-2 3}}}[br]{{{-3 (매우 약함)}}} || {{{-2 3.4}}} || [include(틀:t등급, n=1, bg=blue)] || || [[파일:Terraria/지옥불 화살.png]] || {{{-2 [[#지옥불 화살|지옥불 화살]]}}}[br]{{{-3 (Hellfire Arrow)}}} || {{{-2 13}}} || {{{-2 8}}}[br]{{{-3 (매우 강함)}}} || {{{-2 6.5}}} || [include(틀:t등급, n=2, bg=green)] || || [[파일:Terraria/쉬머 화살.png]] || {{{-2 [[#쉬머 화살|쉬머 화살]]}}}[br]{{{-3 (Shimmer Arrow)}}} || {{{-2 12}}} || {{{-2 2}}}[br]{{{-3 (매우 약함)}}} || {{{-2 3}}} || [include(틀:t등급, n=2, bg=green)] || || [[파일:Terraria/EndlessQuiver.png]] || {{{-2 [[#끝없는 화살집|끝없는 화살집]]}}}[br]{{{-3 (Endless Quiver)}}} || {{{-2 5}}} || {{{-2 2}}}[br]{{{-3 (매우 약함)}}} || {{{-2 3}}} || [include(틀:t등급, n=2, bg=green)] || || [[파일:Terraria/신성한 화살.png]] || {{{-2 [[#신성한 화살|신성한 화살]]}}}[br]{{{-3 (Holy Arrow)}}} || {{{-2 13}}} || {{{-2 2}}}[br]{{{-3 (매우 약함)}}} || {{{-2 3.5}}} || [include(틀:t등급, n=3, bg=orange)] || || [[파일:Terraria/CursedArrow.png]] || {{{-2 [[#저주받은 화살|저주받은 화살]]}}}[br]{{{-3 (Cursed Arrow)}}} || {{{-2 17}}} || {{{-2 3}}}[br]{{{-3 (매우 약함)}}} || {{{-2 4}}} || [include(틀:t등급, n=3, bg=orange)] || || [[파일:Terraria/IchorArrow.png]] || {{{-2 [[#이코르 화살|이코르 화살]]}}}[br]{{{-3 (Ichor Arrow)}}} || {{{-2 16}}} || {{{-2 3}}}[br]{{{-3 (매우 약함)}}} || {{{-2 4.25}}} || [include(틀:t등급, n=3, bg=orange)] || || [[파일:Terraria/녹조류 화살.png]] || {{{-2 [[#녹조류 화살|녹조류 화살]]}}}[br]{{{-3 (Chlorophyte Arrow)}}} || {{{-2 16}}} || {{{-2 3.5}}}[br]{{{-3 (약함)}}} || {{{-2 4.5}}} || [include(틀:t등급, n=7, bg=lime)] || || [[파일:Terraria/맹독 화살.png]] || {{{-2 [[#맹독 화살|맹독 화살]]}}}[br]{{{-3 (Venom Arrow)}}} || {{{-2 19}}} || {{{-2 4.2}}}[br]{{{-3 (보통)}}} || {{{-2 4.2}}} || [include(틀:t등급, n=3, bg=orange)] || || [[파일:Terraria/LuminiteArrow.png]] || {{{-2 [[#루미나이트 화살|루미나이트 화살]]}}}[br]{{{-3 (Luminite Arrow)}}} || {{{-2 15}}} || {{{-2 3.5}}}[br]{{{-3 (약함)}}} || {{{-2 3}}} || [include(틀:t등급, n=9, bg=cyan)] || ----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나무 화살)][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Wooden Arrow, 한=나무 화살, v=1.0, ID=40, 유형=탄약\, 재료, 공=5, 넉=2, 강=매우 약함, 샷스=3)][include(틀:t조합)] 25개 = [include(틀:t캡션, 이름=아무 종류의 나무, 확장자=gif, 문서=블록,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돌 블록, 문서=블록,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작업대, 문서=가구, h=16px)]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지상, 지하의 [[파일:Terraria/Pot.png|height=16px]] 항아리 (10-20)[br](하드모드 이전에서만)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지상의 [[파일:Terraria/Chest.png|height=12px]] 상자 (33.33%) (25-50)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지하의 [[파일:Terraria/Chest.png|height=12px]] 상자 (25%) (25-49)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화살투성이 좀비, 문서=몬스터, h=24px)] (100%) (1-9)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상인, 문서=NPC, h=24px)] (5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해골 상인, 문서=NPC, h=24px)] (5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br](달의 위상이 하현, 그믐, 상현, 상현망간일 때)}}} 가장 기본적인 화살이며, 다른 화살의 재료로 사용된다. 노말모드 이전에는 비즈니스, 하드모드 이후엔 [[#골수|골수]], [[#파동의 활|파동의 활]], [[테라리아/무기#샤랑가|샤랑가]] 등 전용 화살로 바꿔서 사용하는 활과의 궁합이 좋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뼈 화살)][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Bone Arrow, 한=뼈 화살, 사진=Terraria/BoneArrow.png, v=1.3.0.1, ID=3003, 유형=탄약, 공=8, 넉=2.5, 강=매우 약함, 샷스=3.5)][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해골 상인, 문서=NPC, h=24px)] (15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br](달의 위상이 보름, 하현망간, 삭, 초승일 때)}}} 일반 화살의 강화판. [[테라리아/버전#1.4|1.4]] 업데이트로 적을 1회 관통할 수 있게 되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불화살)][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Flaming Arrow, 한=불화살, 사진=Terraria/FlamingArrow.png, v=1.0, ID=41, 유형=탄약, 공=7, 넉=2, 강=매우 약함, 샷스=3.5)][include(틀:t조합)] 10개 = [include(틀:t캡션, 이름=나무 화살, 문서=무기/원거리 무기, h=24px)] (10) + [include(틀:t캡션, 이름=횃불, 문서=가구, h=16px)] @ 손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대동굴의 [[파일:Terraria/황금 상자.png|height=16px]] 황금 상자 (25%) (25-50)}}} 명중 시 피격 대상은 33.3% 확률로 [[테라리아/시스템#불이야!|불이야!]] 디버프에 걸려 3초간 총 12의 피해량을 준다. 물에 닿으면 일반 나무 화살이 된다. 지하에 배치된 상자를 열다보면 심심찮게 나오는데 정작 일정 시점이 지나면 아래의 [[#서릿불 화살|서릿불 화살]]을 비롯한 상위 호환 아이템이 너무 많은데다 9999개 다 합쳐봐야 금화 3닢도 안 되는지라 특별히 쓸데도 없어서 애물단지가 된다. 1.4.4 패치 이후 등장한 쉬머에 10의 배수만큼 빠트리면 횃불과 나무 화살로 분리되므로, 다른 화살의 기본 재료인 나무 화살을 얻으면서 겸사겸사 횃불도 확보 가능하다. 가끔씩 가다가 [[#나무 화살|나무 화살]]로 나가는 버그가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서릿불 화살)][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Frostburn Arrow, 한=서릿불 화살, 사진=Terraria/FrostburnArrow.png, v=1.2, ID=988, 유형=탄약, 공=7, 넉=2.2, 강=매우 약함, 샷스=3.75)][include(틀:t조합)] 10개 = [include(틀:t캡션, 이름=나무 화살, 문서=무기/원거리 무기, h=24px)] (10) + [include(틀:t캡션, 이름=얼음 횃불, 사진=IceTorch.png, 문서=가구, h=16px)] @ 손}}} 명중 시 피격 대상은 33.3% 확률로 [[테라리아/시스템#서릿불|서릿불]] 디버프에 걸려 4초간 총 24의 피해량을 준다. 이처럼 [[#불화살|불화살]]보다 훨씬 강력한 데다가, 물속에서도 꺼지지 않는다. 크툴루의 눈을 잡을때 자주 쓰인다. 초반에 눈 지형을 찾아가서 눈 블럭과 얼음을 잔뜩 캔 뒤 눈은 눈덩이로 만들고, 얼음으로는 얼음 횃불을 잔뜩 만든 뒤 화살이 생길 때 마다 서릿불 화살로 바꿔주는것이 일종의 팁이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광대의 화살)][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Jester's Arrow, 한=광대의 화살, 사진=Terraria/JestersArrow.png, 희소=blue, v=1.0, ID=51, 유형=탄약, 공=10, 넉=4, 강=약함, 샷스=0.5)][include(틀:t조합)] 10개 = [include(틀:t캡션, 이름=나무 화살, 문서=무기/원거리 무기, h=24px)] (10) + [include(틀:t캡션, 이름=별똥별, 문서=재료, h=16px)] @ 손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대동굴의 [[파일:Terraria/황금 상자.png|height=16px]] 황금 상자 (25%) (25-50)}}}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고 무조건 직선으로 날아가며 사정 거리 내에 있는 모든 적을 제한없이 관통하지만, 일정 시간이 지나면 폭죽처럼 터져서 사라지므로 화면 바깥의 적을 저격하긴 어렵다.[* 탄속 변화가 없는 일반 활 기준으로 화면을 벗어난 뒤 조금 지나면 터지는 소리가 들린다.] 화살이 터지는 것은 거리 기준이 아닌 시간 기준이므로 발사체 탄속이 빠른 리피터로 쏘면 더 멀리 쏘아낼 수 있다. [[테라리아/버전#1.2|1.2]] 이전에는 [[테라리아/지형#지하|지하]]의 상자에서만 획득이 가능해서 일종의 레어템 취급받았었다. PC [[테라리아/버전#1.3|1.3]]에서 화살의 공격력이 전체적으로 증가했으나 유독 바로 아래에 있었던 [[#부정한 화살|부정한 화살]]이 공격력이 8에서 12로 껑충 뛰면서 공격력 순위가 서로 뒤바꿨다. 그래도 [[테라리아/소모품#마나 수정|마나 수정]]의 조합법이 수정된 이후 인벤토리에 별똥별을 제법 넉넉하게 가지고 다닐 수 있게되어 여왕벌, 고블린 침공, 이터 오브 월드를 잡을때 주로 쓰이는 화살. 하드모드에서도 다이달로스 폭풍궁과 함께라면 파괴자까지도 손쉽게 처리 가능하다. [[테라리아/버전#1.4.1|1.4.1]] 업데이트로 적을 하나 관통할 때마다 다음 적에게 입히는 대미지가 10% 줄어드는 하향을 받았다. 적을 관통하다보면 대미지가 점점 줄어 종국에는 타격당 1 피해밖에 못 주게 된다. 따라서 다관절 몹을 광대의 화살 몇 발로 때려잡는 것은 어려워졌다.[* 그래도 [[테라리아/몬스터#본 서펀트|본 서펀트]]같은 일반 몬스터에겐 머리를 정확히 맞춰 몸통까지 갈라버리면 썩 괜찮은 피해를 줄 수 있지만, 보스나 하드모드 이후 몬스터에겐 효율이 떨어진다.] 또한 별똥별 하나로 20개씩 만들 수 있던걸 10개씩 밖에 못 만들게 돼서 수급에 큰 차질이 생겼다 그 외에 반짝이 광원이 지형을 어느정도 관통하며 나아가고, 블록에 닿아 사라질 경우 강한 빛을 내며 사라지므로 어두운 동굴 탐사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부정한 화살)][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Unholy Arrow, 한=부정한 화살, 사진=Terraria/UnholyArrow.png, 희소=blue, v=1.0, ID=47, 유형=탄약, 공=12, 넉=3, 강=매우 약함, 샷스=3.4)][include(틀:t조합)] 5개 = [include(틀:t캡션, 이름=나무 화살, 문서=무기/원거리 무기, h=24px)] (5) + \[[include(틀:t캡션, 이름=벌레 이빨, 사진=WormTooth.png, 문서=재료,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척추뼈, 문서=재료, h=16px)]][br]@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크툴루의 눈, 문서=보스, 파생=축소)] (100%) (20-50)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지상, 지하의 [[파일:Terraria/Pot.png|height=16px]] 항아리 (10-20)[br](하드모드에서)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총포상, 문서=NPC, h=24px)] (40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br]([[테라리아/보스#세상을 먹는 자|세상을 먹는 자]] / [[테라리아/보스#크툴루의 뇌|크툴루의 뇌]] 처치 후 밤에서)[br](하드모드 이후 조건 없음)}}} 최대 4회까지 관통되는 특징이 있다. 본래는 위의 광대의 화살의 완벽한 하위호환이였지만, 1.3 패치로 공격력이 대폭 뛰며 완전 하위호환 신세는 면했다. 1.2 버전에 [[테라리아/지형#진홍지대|진홍지대]]가 처음 추가된 이후 오랫동안 진홍세계에서는 조합이 불가능했는데, 1.4.4 패치로 진홍지대에서도 척추뼈로 제작이 가능해졌다. 덕분에 오히려 진홍지대에서 조합이 더 쉬워졌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지옥불 화살)][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Hellfire Arrow, 한=지옥불 화살, 희소=green, v=1.0.5, ID=265, 유형=탄약, 공=13, 넉=8, 강=매우 강함, 샷스=6.5)][include(틀:t조합)] 100개 = [include(틀:t캡션, 이름=나무 화살, 문서=무기/원거리 무기, h=24px)] (100) + [include(틀:t캡션, 이름=지옥석 주괴, 문서=재료, h=16px)][br]@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지하세계의 [[파일:Terraria/지하 항아리.png|height=16px]] 항아리 (10-20)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지하세계의 [[파일:Terraria/잠긴 그림자 상자.png|height=16px]] 잠긴 그림자 상자 [br](25%) (50-74)[br]([[파일:Terraria/그림자 열쇠.png|height=16px]] [[테라리아/소모품#그림자 열쇠|그림자 열쇠]] 요구)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폭파 전문가, 문서=NPC, h=24px)] (1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br](하드모드에서)}}} [[#수류탄|수류탄]]과 비슷한 폭발을 내는 화살. 피해 범위가 커서 [[#거대 지렁이|거대 지렁이]]나 [[테라리아/몬스터#본 서펀트|본 서펀트]]와 같은 다관절 몬스터에게 많은 손상을 입힐 수 있다. 대형 맵이라면 지옥의 항아리 및 상자만으로도 매우 많은 양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제작하거나 구매할 일은 별로 없을 것이다. 1.4 패치로 스프라이트가 업데이트되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쉬머 화살)][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Shimmer Arrow, 한=쉬머 화살, v=1.4.4, ID=5348, 희소=green, 유형=탄약, 공=12, 넉=2, 강=매우 약함, 샷스=3)][include(틀:t기타)] [[#나무 화살|나무]]/[[#지옥불 화살|지옥불 화살]]을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 다른 화살과는 다르게 중력이 거꾸로 적용되어 운동 에너지가 떨어질수록 위로 솟구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끝없는 화살집)][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Endless Quiver, 한=끝없는 화살집, 사진=Terraria/EndlessQuiver.png, 과정=ⓗ, 희소=green, v=1.3.0.1, ID=3103, 유형=탄약, 공=5, 넉=2, 강=매우 약함, 샷스=3)][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나무 화살, 문서=무기/원거리 무기, h=24px)] (3996) @ [include(틀:t캡션, 이름=수정 구슬, 사진=CrystalBall.png, 문서=가구, h=24px)]}}} 나무 화살 3996개[* 이 갯수는 1.4.4 업데이트 이전에 화살 한 묶음이 최대 999자루까지 스택됐던 것의 잔재. 즉, 원래는 사이드 인벤토리 4칸이 가득 차도록 스택된 화살을 요구하는 아이템이었다.]를 만들려면 나무와 돌 단 160개만 있으면 되고, 정 귀찮으면 상인한테 대량으로 사면 되기 때문에 얻기 어렵진 않다. 공격력와 넉백은 나무 화살과 같으며 무한 빼곤 별 특별한 것은 없다. 나무 화살을 무한히 발사할 수 있으므로 나무 화살에 특정 효과를 부여하는 활과 사용 시에 탁월하다. 쏜 화살의 회수가 가능했던 1.4 이전에는 끝없는 화살집으로 화살을 쏴도 나무 화살이 남는 경우가 있었기 때문에 [[#신성한 리피터|신성한 리피터]] 같은 무기와 같이 사용해 나무 화살을 대량으로 모을 수 있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신성한 화살)][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Holy Arrow, 한=신성한 화살, 과정=ⓗ, 희소=orange, v=1.1, ID=516, 유형=탄약, 공=13, 넉=2, 강=매우 약함, 샷스=3.5)][include(틀:t조합)] 200개 = [include(틀:t캡션, 이름=나무 화살, 문서=무기/원거리 무기, h=24px)] (200) + [include(틀:t캡션, 이름=요정의 가루, 문서=재료, h=16px)] (3) + [include(틀:t캡션, 이름=유니콘의 뿔, 문서=재료,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화살이 꽂힌 곳 주위에 별똥별 2개를 떨어뜨린다. 각각의 별똥별은 화살 공격력의 절반이며, 최대 2명을 타격할 수 있다. 재료는 하드모드 초반에도 신성지대 사냥을 자주 하다보면 넘치도록 쌓이는데다가 특수효과도 매우 강력한, 여러모로 뛰어난 화살. 특히나 [[#다이달로스 폭풍궁|다이달로스 폭풍궁]]과 찰떡궁합이다. 매우 넓은 범위를 강력하게 공격하므로 하드모드 진입 후 기계 보스들, 대표적으로 제일 효과적인 [[테라리아/보스#파괴자|파괴자]]를 비롯해 나머지 둘도 에임 걱정 없이 몸만 피해주면 쉽게 공략할 수 있다. 결국 1.4버전 이후 관통 능력이 사라지는 너프를 받았다. 그래도 그럭저럭 강력하긴 하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저주받은 화살)][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Cursed Arrow, 한=저주받은 화살, 사진=Terraria/CursedArrow.png, 과정=ⓗ, 희소=orange, v=1.1, ID=545, 유형=탄약, 공=17, 넉=3, 강=매우 약함, 샷스=4)][include(틀:t조합)] 150개 = [include(틀:t캡션, 이름=나무 화살, 문서=무기/원거리 무기, h=24px)] (150) + [include(틀:t캡션, 이름=저주받은 불꽃, 문서=재료, h=16px)][br]@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명중 시 피격 대상은 100% 확률로 [[테라리아/시스템#저주받은 불길|저주받은 불길]] 디버프에 걸려 7초간 총 168(플레이어라면 84)의 피해를 받는다. [[#불화살|불화살]]과 달리, 물속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이코르 화살)][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Ichor Arrow, 한=이코르 화살, 사진=Terraria/IchorArrow.png, 과정=ⓗ, 희소=orange, v=1.2, ID=1334, 유형=탄약, 공=16, 넉=3, 강=매우 약함, 샷스=4.25)][include(틀:t조합)] 150개 = [include(틀:t캡션, 이름=나무 화살, 문서=무기/원거리 무기, h=24px)] (150) + [include(틀:t캡션, 이름=이코르, 문서=재료, h=16px)][br]@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명중 시 피격 대상은 100% 확률로 [[테라리아/시스템#이코르|이코르]] 디버프에 걸려 방어력이 15 감소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녹조류 화살)][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Chlorophyte Arrow, 한=녹조류 화살, 과정=ⓗ, 희소=lime, v=1.2, ID=1235, 유형=탄약, 공=16, 넉=3.5, 강=약함, 샷스=4.5)][include(틀:t조합)] 150개 = [include(틀:t캡션, 이름=녹조류 주괴, 문서=재료,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순수 녹조류로만 이루어진 화살. 블록에 닿을 시 튕겨서 쐈을때의 위치로 돌아오는 방식으로 총 4회까지 튕기며, 한 번 튕긴 후에는 데미지가 33% 감소하는 대신 유도 성능을 얻는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맹독 화살)][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Venom Arrow, 한=맹독 화살, 과정=ⓗ, 희소=orange, v=1.2, ID=1341, 유형=탄약, 공=19, 넉=4.2, 샷스=4.3)][include(틀:t조합)] 35개 = [include(틀:t캡션, 이름=나무 화살, 문서=무기/원거리 무기, h=24px)] (35) + [include(틀:t캡션, 이름=맹독의 물약, 문서=재료, h=16px)][br]@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테라리아/버전#1.3|1.3]] 버전 이후 상향된 [[#저주받은 화살|저주받은 화살]]과 함께 공격력이 가장 높다. 명중 시 피격 대상은 100% 확률로 [[테라리아/시스템#부식성 맹독|부식성 맹독]] 디버프에 걸려 10초간 총 300의 피해를 입는다. 맹독 디버프로 인한 지속 피해가 무시무시해서 하드모드 초반 몬스터 정도는 맹독 화살 한 방으로 죽일 수 있을 정도다. 1.4.1에서 맹독 디버프가 부식성 맹독으로 바뀌고 급격한 상향을 받으면서 수혜를 받은 무기 중 하나다. 그 전에는 1~8초간 총 6~48의 피해량을 줬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루미나이트 화살)][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Luminite Arrow, 한=루미나이트 화살, 사진=Terraria/LuminiteArrow.png, 과정=ⓗ, 희소=cyan, v=1.3.0.1, ID=3568, 유형=탄약, 공=15, 넉=3.5, 강=약함, 샷스=3)][include(틀:t조합)] 333개 = [include(틀:t캡션, 이름=루미나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가구, h=16px)]}}} {{{-2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PhantasmAttack.gif|[공격 모습 보기\]]]}}} 3번 관통이 되고 날아가는 속도가 상당히 빠른 화살로 1회 사격한 후에 잠깐의 시간이 지난 후 화살이 날아간 궤적을 따라 푸른 빛이 발사된다. 푸른 빛이 발사되기 직전에 원래 화살은 벽이나 적에게 착탄하지 않았어도 허공에서 사라진다. 최종 티어의 화살답게 적의 무적 프레임을 체크하지 않는다. 판타즘처럼 한 번에 여러 화살을 발사하는 활로 사용해도 손해볼 게 없다. ==== 총알[anchor(총알)] ==== [[#총|총]]의 탄약. 총 13개의 종류가 있으며, 모든 총알은 중력에 영향을 받지 않아 화살처럼 포물선을 그리지 않는다. ||<-2>
'''{{{-2 이름}}}''' || '''{{{-2 공격력}}}''' || '''{{{-2 넉백}}}''' || '''{{{-2 발사체[br]속도}}}''' || '''{{{-2 등급}}}''' || || [[파일:Terraria/머스킷 총알.png]] || {{{-2 [[#머스킷 총알|머스킷 총알]]}}}[br]{{{-3 (Musket Ball)}}} || {{{-2 7}}} || {{{-2 2}}}[br]{{{-3 (매우 약함)}}} || {{{-2 4}}}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SilverBullet.png]] || {{{-2 [[#은 총알|은 총알]]}}}[br]{{{-3 (Silver Bullet)}}} || {{{-2 9}}} || {{{-2 3}}}[br]{{{-3 (매우 약함)}}} || {{{-2 4.5}}}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텅스텐 총알.png]] || {{{-2 [[#텅스텐 총알|텅스텐 총알]]}}}[br]{{{-3 (Tungsten Bullet)}}} || {{{-2 9}}} || {{{-2 4}}}[br]{{{-3 (약함)}}} || {{{-2 4.5}}}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운석 총알.png]] || {{{-2 [[#운석 총알|운석 총알]]}}}[br]{{{-3 (Meteor Shot)}}} || {{{-2 8}}} || {{{-2 1}}}[br]{{{-3 (극도로 약함)}}} || {{{-2 3}}} || [include(틀:t등급, n=1, bg=blue)] || || [[파일:Terraria/PartyBullet.png]] || {{{-2 [[#파티용 총알|파티용 총알]]}}}[br]{{{-3 (Party Bullet)}}} || {{{-2 10}}} || {{{-2 5}}}[br]{{{-3 (보통)}}} || {{{-2 5.1}}} || [include(틀:t등급, n=3, bg=orange)] || || [[파일:Terraria/EndlessMusketPouch.png]] || {{{-2 [[#끝없는 머스킷 주머니|끝없는 머스킷 주머니]]}}}[br]{{{-3 (Endless Musket Pouch)}}} || {{{-2 7}}} || {{{-2 2}}}[br]{{{-3 (매우 약함)}}} || {{{-2 4}}} || [include(틀:t등급, n=2, bg=green)] || || [[파일:Terraria/수정 총알.png]] || {{{-2 [[#수정 총알|수정 총알]]}}}[br]{{{-3 (Crystal Bullet)}}} || {{{-2 9}}} || {{{-2 1}}}[br]{{{-3 (극도로 약함)}}} || {{{-2 5}}} || [include(틀:t등급, n=3, bg=orange)] || || [[파일:Terraria/HighVelocityBullet.png]] || {{{-2 [[#고속 총알|고속 총알]]}}}[br]{{{-3 (High Velocity Bullet)}}} || {{{-2 11}}} || {{{-2 4}}}[br]{{{-3 (약함)}}} || {{{-2 4}}} || [include(틀:t등급, n=3, bg=orange)] || || [[파일:Terraria/나노 총알.png]] || {{{-2 [[#나노 총알|나노 총알]]}}}[br]{{{-3 (Nano Bullet)}}} || {{{-2 15}}} || {{{-2 3.6}}}[br]{{{-3 (약함)}}} || {{{-2 4.6}}} || [include(틀:t등급, n=3, bg=orange)] || || [[파일:Terraria/폭발성 총알.png]] || {{{-2 [[#폭발성 총알|폭발성 총알]]}}}[br]{{{-3 (Exploding Bullet)}}} || {{{-2 10}}} || {{{-2 6.6}}}[br]{{{-3 (강함)}}} || {{{-2 4.7}}} || [include(틀:t등급, n=3, bg=orange)] || || [[파일:Terraria/GoldenBullet.png]] || {{{-2 [[#금빛 총알|금빛 총알]]}}}[br]{{{-3 (Golden Bullet)}}} || {{{-2 10}}} || {{{-2 3.6}}}[br]{{{-3 (약함)}}} || {{{-2 4.6}}} || [include(틀:t등급, n=3, bg=orange)] || || [[파일:Terraria/CursedBullet.png]] || {{{-2 [[#저주받은 총알|저주받은 총알]]}}}[br]{{{-3 (Cursed Bullet)}}} || {{{-2 12}}} || {{{-2 4}}}[br]{{{-3 (약함)}}} || {{{-2 5}}} || [include(틀:t등급, n=3, bg=orange)] || || [[파일:Terraria/IchorBullet.png]] || {{{-2 [[#이코르 총알|이코르 총알]]}}}[br]{{{-3 (Ichor Bullet)}}} || {{{-2 13}}} || {{{-2 4}}}[br]{{{-3 (약함)}}} || {{{-2 5.25}}} || [include(틀:t등급, n=3, bg=orange)] || || [[파일:Terraria/VenomBullet.png]] || {{{-2 [[#맹독 총알|맹독 총알]]}}}[br]{{{-3 (Venom Bullet)}}} || {{{-2 15}}} || {{{-2 4.1}}}[br]{{{-3 (보통)}}} || {{{-2 5.3}}} || [include(틀:t등급, n=3, bg=orange)] || || [[파일:Terraria/ChlorophyteBullet.png]] || {{{-2 [[#녹조류 총알|녹조류 총알]]}}}[br]{{{-3 (Chlorophyte Bullet)}}} || {{{-2 9}}} || {{{-2 4.5}}}[br]{{{-3 (보통)}}} || {{{-2 5}}} || [include(틀:t등급, n=7, bg=lime)] || || [[파일:Terraria/LuminiteBullet.png]] || {{{-2 [[#루미나이트 총알|루미나이트 총알]]}}}[br]{{{-3 (Luminite Bullet)}}} || {{{-2 20}}} || {{{-2 3}}}[br]{{{-3 (매우 약함)}}} || {{{-2 2}}} || [include(틀:t등급, n=9, bg=cyan)] || ----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머스킷 총알)][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Musket Ball, 한=머스킷 총알, v=1.0, ID=97, 유형=탄약\, 재료, 공=7, 넉=2, 강=매우 약함, 샷스=4)][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총포상, 문서=NPC, h=24px)] (7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파일:Terraria/선물 상자.png|height=14px]] 선물 상자 (0.64%)[* 하드모드에서는 0.6%] (30-60)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파일:Terraria/그림자 구체.png|height=14px]] 그림자 구체 / [[파일:Terraria/진홍색 심장.gif|height=14px]] 진홍색 심장[br](20%)[* 첫 격파 한정 100%] (100)}}} 가장 기본적인 총알이며, 다른 총알의 재료로 사용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은 총알)][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Silver Bullet, 한=은 총알, 사진=Terraria/SilverBullet.png, v=1.0.5, ID=278, 유형=탄약, 공=9, 넉=3, 강=매우 약함, 샷스=4.5)][include(틀:t조합)] 70개 = [include(틀:t캡션, 이름=머스킷 총알, 문서=무기/원거리 무기)] (70) + [include(틀:t캡션, 이름=은 주괴, 문서=재료, h=16px)][br]@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총포상, 문서=NPC, h=24px)] (15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br](블러드 문일 때) / (하드모드 이후 조건 없음)[br](은이 생성되는 세계일 때)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지상, 지하의 [[파일:Terraria/Pot.png|height=14px]] 항아리 (10-20)[br](하드모드에서)[br](은이 생성되는 세계일 때)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지하세계의 [[파일:Terraria/잠긴 그림자 상자.png|height=14px]] 잠긴 그림자 상자[br](25%) (50-74)[br]([[파일:Terraria/그림자 열쇠.png|height=14px]] [[테라리아/소모품#그림자 열쇠|그림자 열쇠]] 요구)[br](은이 생성되는 세계일 때)}}} [[#머스킷 총알|머스킷 총알]]보다 강력한 총알. 은이라고 해서 보름에 나타나는 [[테라리아/몬스터#늑대인간|늑대인간]]한테 강하다거나 하는 특징 같은 것은 없으니, 그냥 좀 강한 머스킷 총알로 생각하면 된다. 1.4.4 이후 [[테라리아/몬스터#늑대인간|늑대인간]]에게 3배의 피해를 주는 능력이 생겨났으며, 총알 자체도 날아갈 때 반짝이는 효과가 추가되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텅스텐 총알)][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Tungsten Bullet, 한=텅스텐 총알, v=1.4.0.1, ID=4915, 유형=탄약, 공=9, 넉=4, 강=약함, 샷스=4.5)][include(틀:t조합)] 70개 = [include(틀:t캡션, 이름=머스킷 총알, 문서=무기/원거리 무기)] (70) + [include(틀:t캡션, 이름=텅스텐 주괴, 문서=재료, h=16px)][br]@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총포상, 문서=NPC, h=24px)] (18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br](블러드 문일 때) / (하드모드 이후 조건 없음)[br](텅스텐이 생성되는 세계일 때)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지상, 지하의 [[파일:Terraria/Pot.png|height=14px]] 항아리 (10-20)[br](하드모드에서)[br](텅스텐이 생성되는 세계일 때)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지하세계의 [[파일:Terraria/잠긴 그림자 상자.png|height=14px]] 잠긴 그림자 상자[br](25%) (50-74)[br]([[파일:Terraria/그림자 열쇠.png|height=14px]] [[테라리아/소모품#그림자 열쇠|그림자 열쇠]] 요구)[br](텅스텐이 생성되는 세계일 때)}}} 1.4 패치로 추가된 은 총알의 대체 총알. 위의 은 총알과는 달리 반짝이는 효과가 없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운석 총알)][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Meteor Shot, 한=운석 총알, 희소=blue, v=1.0, ID=234, 유형=탄약, 공=8, 넉=1, 강=극도로 약함, 샷스=3)][include(틀:t조합)] 70개 = [include(틀:t캡션, 이름=머스킷 총알, 문서=무기/원거리 무기)] (70) + [include(틀:t캡션, 이름=운석 주괴, 문서=재료, h=16px)][br]@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관통 성질과 반사 성질이 동일하게 카운트되기에 1번 블록에 부딪쳐 반사된 운석 총알은 관통 능력을 상실하며, 반대로 한 명을 관통하였을 때 반사 능력을 상실한다. 이 때문에 반대편 벽을 이용해 하나의 적을 두 번 공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반사되는 특성을 이용하여 하늘에 운석 총알을 쏘며 이동하여 반사되어 돌아오는 지점을 찾아내는 방법으로 [[테라리아/지형#하늘섬|하늘섬]]을 찾아내는 데에도 사용된다. 1.4.1 패치 이후로 여러발을 적을 동시에 관통해도 모든 맞춘 탄환이 피해를 줄 수 있도록 수정됐다. 이로서 산탄총에도 잘 넣어서 쏠 수 있게 되었다. 그 이전에는 몇 발을 동시에 맞추더라도 무적 프레임때문에 한 발의 피해량만 들어갔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파티용 총알)][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Party Bullet, 한=파티용 총알, 사진=Terraria/PartyBullet.png, 과정=, 희소=orange, v=1.2, ID=1349, 유형=탄약, 공=10, 넉=5, 샷스=5.1)][include(틀:t조합)] 50개 = [include(틀:t캡션, 이름=빈 총알, 사진=EmptyBullet.png, 문서=재료, h=16px)] (50) + [include(틀:t캡션, 이름=색종이 조각, 사진=Confetti.png, 문서=재료, h=16px)][br]@ [include(틀:t캡션, 이름=작업대, 문서=가구, h=14px)]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파일:Terraria/피그론냐타.png|height=16px]] [[테라리아/가구#피그론냐타|피그론냐타]] (11.11%) (30-90)}}} 적이나 블록에 닿을 시 색종이 조각 이펙트가 일어난다. 색종이엔 공격력이 없고 단순 시각효과. 파티용 총알 50개 한 번을 만드는 데에 소모되는 돈은 은화 2.5닢(빈 총알 하나당 구매가 동화 3닢 * 50, 색종이 구매가 은 1닢)이다. 그러나 파티용 총알의 판매가는 은화 4닢(파티용 총알 하나 당 판매가 동화 8닢 * 50)이므로 50개씩 한 번 반복하면 은화 1.5닢의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조합 자체는 하드모드 이후에서만 가능하지만 [[테라리아/가구#피그론냐타|피그론냐타]]를 터뜨리면 하드모드 이전 세계에서도 파티용 총알을 얻을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끝없는 머스킷 주머니)][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Endless Musket Pouch, 한=끝없는 머스킷 주머니, 사진=Terraria/EndlessMusketPouch.png, 과정=ⓗ, 희소=green, v=1.3.0.1, ID=3104, 유형=탄약, 공=7, 넉=2, 강=매우 약함, 샷스=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머스킷 총알, 문서=무기/원거리 무기)] (3996) @ [include(틀:t캡션, 이름=수정 구슬, 문서=가구, h=24px)]}}} 머스킷 총알의 무한 버전이며, 이름 처럼 갯수 제한 없이 무한히 사용할 수 있다는 걸 제외하면 그냥 머스킷 총알과 같다. 한 방이 거의 강력한 활류에 비해 총기류는 연사력이 대부분 중요시되므로 그만큼 탄약의 소모량이 많은 무기이다. 따라서 한 번 만들어둔다면 방어력에 관계 없이 최저 피해만 받는 [[테라리아/몬스터#던전 가디언|던전 가디언]]이나 중요한 교전 중 총알이 없을 때에 사용할 수 있는 대비책으로 적합하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수정 총알)][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Crystal Bullet, 한=수정 총알, 과정=ⓗ, 희소=orange, v=1.1, ID=515, 유형=탄약, 공=9, 넉=1, 강=극도로 약함, 샷스=5)][include(틀:t조합)] 100개 = [include(틀:t캡션, 이름=머스킷 총알, 문서=무기/원거리 무기)] (100) + [include(틀:t캡션, 이름=수정 파편, 문서=재료, h=16px)][br]@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블록이나 적에 닿을 시 3개의 작은 파편으로 분해되며 각 파편은 60% 공격력을 가진다. 공격력은 9지만 파편이 굉장히 많이 튀므로 한 번에 많은 총을 발사하거나 초당 발사 횟수가 빠른 총과의 조합이 제일 좋다. 파편이 튀는 방향은 총알이 나아가는 방향의 반대쪽이지만 보스전에서는 대개 보스가 돌격해 오는 경우가 많으므로 자연스레 파편 피해를 많이 입히는 것이 가능하다. 이 파편은 아주 잠깐 남아있지만 남아있는 한 모든 대상을 공격할 수 있으므로 다관절 지렁이류 [[테라리아/보스|보스]]인 [[테라리아/보스#파괴자|파괴자]]를 상대하는 데에도 유용하다. [[#산탄총|산탄총]]을 수정 총알과 같이 사용한다면 4개의 총알, 그리고 거기서 부숴지는 12개의 파편으로 인해 막대한 피해량을 줄 수 있다. [[#전술 산탄총|전술 산탄총]]으로 공격하면 더욱 더 큰 피해를 줄 수도 있다. [[테라리아/장비/갑옷#서리 갑옷|서리 갑옷]]의 세트 효과를 받은 상태에서 사용하면 이펙트가 매우 화려해진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고속 총알)][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High Velocity Bullet, 한=고속 총알, 사진=Terraria/HighVelocityBullet.png, 과정=ⓗ, 희소=orange, v=1.2, ID=1302, 유형=탄약, 공=11, 넉=4, 강=약함, 샷스=4)][include(틀:t조합)] 50개 = [include(틀:t캡션, 이름=빈 총알, 사진=EmptyBullet.png, 문서=재료, h=16px)] (50) + [include(틀:t캡션, 이름=톱니, 문서=블록, h=16px)][br]@ [include(틀:t캡션, 이름=작업대, 문서=가구, h=14px)]}}} 이름처럼 단 2~3틱만에 화면 밖으로 나아가버리는 빠른 총알이므로 탄 퍼짐이 없는 총이라면 사격하자마자 장거리의 적을 단번에 적중시킨다. 일부 총들은 일반 머스킷 총알을 고속 총알로 변형하여 발사한다. 1.4.1 패치 이후로 적을 두 번 관통하여 총 세마리를 공격할 수 있게 되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나노 총알)][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Nano Bullet, 한=나노 총알, 과정=ⓗ, 희소=orange, v=1.2, ID=1350, 유형=탄약, 공=15, 넉=3.6, 강=약함, 샷스=4.6)][include(틀:t조합)] 50개 = [include(틀:t캡션, 이름=빈 총알, 사진=EmptyBullet.png, 문서=재료, h=16px)] (50) + [include(틀:t캡션, 이름=나나이트, 문서=재료, h=16px)][br]@ [include(틀:t캡션, 이름=작업대, 문서=가구, h=14px)]}}} 명중 시 피격 대상은 일정 확률로 [[테라리아/시스템#혼란|혼란]] 디버프가 걸린다. 1.4.1 업데이트 이후 피해량이 10에서 15로 증가했으며, 총알이 벽에 맞을 시 적을 향해 튕기는 것으로 버프되었다. 녹조류 총알 만큼의 정확성은 아니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던전, 리자드 사원 등 벽이 많은 지형, 다수의 적이 몰려와 생존이 위험한 상황, 지상이동의 느린 몬스터와 싸우는 상황 등] 녹조류 총알 이상의 효용성을 보여준다. 산탄총 계열의 무기와 궁합이 좋다. 모든 총알 중 두 번째로 피해량이 높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폭발성 총알)][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Exploding Bullet, 한=폭발성 총알, 과정=ⓗ, 희소=orange, v=1.2, ID=1351, 유형=탄약, 공=10, 넉=6.6, 강=강함, 샷스=4.7)][include(틀:t조합)] 50개 = [include(틀:t캡션, 이름=빈 총알, 사진=EmptyBullet.png, 문서=재료, h=16px)] (50) + [include(틀:t캡션, 이름=폭약, 문서=재료, h=16px)][br]@ [include(틀:t캡션, 이름=작업대, 문서=가구, h=14px)]}}} 적이나 블록에 닿을 시 기본 총알 피해에 추가적인 방사 피해를 준다. [[#산탄총|산탄총]]으로 이 총알을 발사하면 처음 맞는 한발의 피해만 적용되므로 산탄총을 쓸 거면 차라리 [[#수정 총알|수정 총알]]을 사용하는 게 훨씬 낫다. 이 폭발성 총알의 방사 피해는 자기 자신에게도 피해를 준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금빛 총알)][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Golden Bullet, 한=금빛 총알, 사진=Terraria/GoldenBullet.png, 과정=ⓗ, 희소=orange, v=1.2, ID=1352, 유형=탄약, 공=10, 넉=3.6, 강=약함, 샷스=4.6)][include(틀:t조합)] 50개 = [include(틀:t캡션, 이름=빈 총알, 사진=EmptyBullet.png, 문서=재료, h=16px)] (50) + [include(틀:t캡션, 이름=금가루, 사진=GoldDust.png, 문서=재료, h=16px)][br]@ [include(틀:t캡션, 이름=작업대, 문서=가구, h=14px)]}}} 이 총알로 적을 맞추면 해당 적은 [[테라리아/시스템#미다스|미다스]] 디버프를 가지며 이때 적이 죽을 때 최소 10%에서 최대 50%까지 많은 돈을 드롭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저주받은 총알)][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Cursed Bullet, 한=저주받은 총알, 사진=Terraria/CursedBullet.png, 과정=ⓗ, 희소=orange, v=1.1, ID=546, 유형=탄약, 공=12, 넉=4, 강=약함, 샷스=5)][include(틀:t조합)] 150개 = [include(틀:t캡션, 이름=머스킷 총알, 문서=무기/원거리 무기)] (150) + [include(틀:t캡션, 이름=저주받은 불꽃, 문서=재료, h=16px)][br]@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적에게 명중하면 [[테라리아/시스템#저주받은 불길|저주받은 불길]] 상태를 걸어 7초간 총 168의 피해량을 준다. [[#맹독 총알|맹독 총알]]의 하위호환이지만 저주받은 불길 효과를 받는 적은 빛을 낸다는 소소한 차이가 있다. 저주받은 불꽃만 있다면 제작 비용은 맹독 총알보다 저렴하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이코르 총알)][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Ichor Bullet, 한=이코르 총알, 사진=Terraria/IchorBullet.png, 과정=ⓗ, 희소=orange, v=1.2, ID=1335, 유형=탄약, 공=13, 넉=4, 강=약함, 샷스=5.25)][include(틀:t조합)] 150개 = [include(틀:t캡션, 이름=머스킷 총알, 문서=무기/원거리 무기)] (150) + [include(틀:t캡션, 이름=이코르, 문서=재료, h=16px)][br]@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적에게 명중시키면 [[테라리아/시스템#이코르|이코르]] 상태를 걸어 방어력을 15 감소시킨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맹독 총알)][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Venom Bullet, 한=맹독 총알, 사진=Terraria/VenomBullet.png, 과정=ⓗ, 희소=orange, v=1.2, ID=1342, 유형=탄약, 공=15, 넉=4.1, 샷스=5.3)][include(틀:t조합)] 50개 = [include(틀:t캡션, 이름=빈 총알, 사진=EmptyBullet.png, 문서=재료, h=16px)] (50) + [include(틀:t캡션, 이름=맹독의 물약, 문서=재료, h=16px)][br]@ [include(틀:t캡션, 이름=작업대, 문서=가구, h=14px)]}}} 적에게 명중하면 [[테라리아/시스템#맹독|맹독]] 상태를 걸어 8초간 총 240의 피해를 준다. 기본 공격력이 세 번째로 높다. 하드모드 중반에 주로 [[#수정 총알|수정 총알]]이 아니면 이것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연사력이 높은 총기류에는 수정 총알이 더욱 효율적이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녹조류 총알)][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Chlorophyte Bullet, 한=녹조류 총알, 사진=Terraria/ChlorophyteBullet.png, 과정=ⓗ, 희소=lime, v=1.2, ID=1179, 유형=탄약, 공=9, 넉=4.5, 샷스=5)][include(틀:t조합)] 60개 = [include(틀:t캡션, 이름=머스킷 총알, 문서=무기/원거리 무기)] (60) + [include(틀:t캡션, 이름=녹조류 주괴, 문서=재료, h=16px)][br]@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적에게 자동으로 유도되는 성질이 있다. 흔히 말하는 유도탄. 버전 [[테라리아/버전#1.2.3|1.2.3]] 이후 공격력이 15에서 10으로 대폭 하향되면서 당시 최고 공격력의 자리를 [[#맹독 총알|맹독 총알]]에게 물려주게 되었다. 유도 능력이라는 사기적인 옵션이 붙었으나, 이걸 고작 60발을 만들기 위해 녹조류 광석 5개를 채굴해야 한다. 주괴의 판매가가 은화 90닢이라는 점도 생각해보면 그야말로 시간과 돈을 허공에 뿌리는 셈. 원가만 보면 타 총알의 10~20배에 달하는데 왜인지 완성된 총알의 판매가는 별 차이가 없다. 이렇게 정말 비싼 총알의 진가는 [[#저격소총|저격소총]]을 사용할 때도 드러난다. 수식어나 장신구 없이 그냥 공격력 195[* 저격소총의 공격력이 185이고 녹조류 총알 공격력이 10. 즉 수치적으로 195가 되며 실 공격력 및 DPS는 이 수치와 다르다. 확실한 것은 테라리아 내에서 195라는 공격력은 굉장히 높은 수치에 해당된다. [[#별의 진노|별의 진노]]의 별 공격력이 220, [[테라리아/무기/근접 무기#여명|여명]]의 공격력이 150이니 확실히 절대 꿀리지 않은 공격력이다. 특히 이 저격소총을 쓰는 경우에는 단지 총만 들고 있는 것이 아니라 온갖 장비와 수식어를 부여한 장신구 착용이 기본이 되므로 네 자리 수가 흔하게 나올 것이다.]를 가진 총알이 유도까지 되면 어지간한 잡몹은 그 자리에서 사살된다. 또한 총알을 대량으로 발사하는 [[#산탄총|산탄총]], [[#전술 산탄총|전술 산탄총]], 그리고 가장 연사력이 높은 [[#체인건|체인건]]과도 괜찮은 궁합을 보인다. 사실상 체인건은 총알이 너무 퍼지는지라 오히려 녹조류 총알이 더욱 효율적이다. 그럼에도 엄청 빨리 사라질 것이니 되도록이면 [[테라리아/가구#탄약 상자|탄약 상자]]의 보조를 받거나 [[#볼텍스 비터|볼텍스 비터]]처럼 기본적으로 탄약 비소모 확률이 높은 장비를 쓰는 것이 좋다. 하술할 루미나이트 총알보다도 높은 평가를 받는 사실상 레인저 최종탄약. [[테라리아/시스템#멀티플레이|멀티플레이]]에서는 플레이어를 상대로 유도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PvP 한정으로 [[#파티용 총알|파티용 총알]]과 동일한 성능으로 내려온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루미나이트 총알)][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Luminite Bullet, 한=루미나이트 총알, 사진=Terraria/LuminiteBullet.png, 과정=ⓗ, 희소=cyan, v=1.3.0.1, ID=3567, 유형=탄약, 공=20, 넉=3, 강=매우 약함, 샷스=2)][include(틀:t조합)] 333개 = [include(틀:t캡션, 이름=루미나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가구, h=16px)]}}} [[테라리아/가구#고대의 머니퓰레이터|고대의 머니퓰레이터]]에서 [[테라리아/재료#루미나이트|루미나이트 주괴]] 1개로 333개를 제작한다. [[#고속 총알|고속 총알]]에 관통 효과가 더욱 강화된 총알이다. 관통 횟수는 49번, 사실상 무한한 적을 타격할 수가 있다.[* 정확히 말하자면 이론적으로 49마리의 적을 관통하므로 최대 50마리의 적을 맞출 수 있다. 하지만 테라리아 내에서는 아무리 스폰율이 높아진다 해도 20마리 이상은 늘어나는 경우가 없다. 스폰율이 가장 높은 [[테라리아/지형#정글 지하|정글 지하]]가 그나마 15~18마리이다. 마릿수가 아닌 타격 가능 개체 수로 보면 86마디의 몸통을 지닌 [[테라리아/보스#파괴자|파괴자]]가 있다. 그러므로 그저 무한 관통으로 받아들여도 좋다.] 따라서 [[#S.D.M.G.|S.D.M.G.]]에 [[테라리아/장비/갑옷#소용돌이 갑옷|소용돌이의 갑옷]]의 스텔스 기능과 수식어를 포함한 장신구의 효과를 모두 받아서 파괴자를 1초도 넘기지 않고 파괴시켜버릴 수 있다. 1.3.5.3 기준 공격력이 가장 높은 총알이다. 패치로 적을 관통하는 숫자가 많을수록 데미지가 4%씩 떨어져 종극에는 1정도만 뜨게 된다. 때문에 이전보다는 효율이 줄어든 편. 루미나이트 화살과 동일하게 적의 무적 프레임을 체크하지 않는다. S.D.M.G.처럼 적의 무적 프레임보다 연사속도가 빠른 총들이 손해를 보지 않기 위한 조치. ==== 로켓[anchor(로켓)] ==== [[#폭발물 발사기|폭발물 발사기]]의 탄약. [[테라리아/보스#플랜테라|플랜테라]]를 처치한 이후에 오는 [[테라리아/NPC#사이보그|사이보그]] NPC에게서 구매할 수 있다. [[#로켓 2|로켓 2]], [[#로켓 4|로켓 4]], [[#클러스터 로켓 2|클러스터 로켓 2]], [[#소형 핵탄두 2|소형 핵탄두 2]]는 일반 타일을, [[#마른 로켓|마른 로켓]]은 액체 타일을 파괴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2>
'''{{{-2 이름}}}''' || '''{{{-2 공격력}}}''' || '''{{{-2 넉백}}}''' || '''{{{-2 등급}}}''' || || [[파일:Terraria/RocketI.png]] || {{{-2 [[#로켓 1|로켓 1]]}}}[br]{{{-3 (Rocket I)}}} || {{{-2 40}}} || {{{-2 ?}}}[br]{{{-3 (약함)}}}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RocketII.png]] || {{{-2 [[#로켓 2|로켓 2]]}}}[br]{{{-3 (Rocket II)}}} || {{{-2 40}}} || {{{-2 ?}}}[br]{{{-3 (약함)}}} || [include(틀:t등급, n=1, bg=blue)] || || [[파일:Terraria/RocketIII.png]] || {{{-2 [[#로켓 3|로켓 3]]}}}[br]{{{-3 (Rocket III)}}} || {{{-2 65}}} || {{{-2 ?}}}[br]{{{-3 (보통)}}} || [include(틀:t등급, n=1, bg=blue)] || || [[파일:Terraria/로켓 4.png]] || {{{-2 [[#로켓 4|로켓 4]]}}}[br]{{{-3 (Rocket IV)}}} || {{{-2 65}}} || {{{-2 ?}}}[br]{{{-3 (보통)}}} || [include(틀:t등급, n=2, bg=green)] || || [[파일:Terraria/ClusterRocketI.png]] || {{{-2 [[#클러스터 로켓 1|클러스터 로켓 1]]}}}[br]{{{-3 (Cluster Rocket I)}}} || {{{-2 50}}} || {{{-2 4}}}[br]{{{-3 (약함)}}}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ClusterRocketII.png]] || {{{-2 [[#클러스터 로켓 2|클러스터 로켓 2]]}}}[br]{{{-3 (Cluster Rocket II)}}} || {{{-2 50}}} || {{{-2 4}}}[br]{{{-3 (약함)}}}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DryRocket.png]] || {{{-2 [[#마른 로켓|마른 로켓]]}}}[br]{{{-3 (Dry Rocket)}}} || {{{-2 40}}} || {{{-2 4}}}[br]{{{-3 (약함)}}}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WetRocket.png]] || {{{-2 [[#물 로켓|물 로켓]]}}}[br]{{{-3 (Wet Rocket)}}} || {{{-2 40}}} || {{{-2 4}}}[br]{{{-3 (약함)}}}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LavaRocket.png]] || {{{-2 [[#용암 로켓|용암 로켓]]}}}[br]{{{-3 (Lava Rocket)}}} || {{{-2 40}}} || {{{-2 4}}}[br]{{{-3 (약함)}}}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HoneyRocket.png]] || {{{-2 [[#꿀 로켓|꿀 로켓]]}}}[br]{{{-3 (Honey Rocket)}}} || {{{-2 40}}} || {{{-2 4}}}[br]{{{-3 (약함)}}}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MiniNukeI.png]] || {{{-2 [[#소형 핵탄두 1|소형 핵탄두 1]]}}}[br]{{{-3 (Mini Nuke I)}}} || {{{-2 75}}} || {{{-2 4}}}[br]{{{-3 (약함)}}}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MiniNukeII.png]] || {{{-2 [[#소형 핵탄두 2|소형 핵탄두 2]]}}}[br]{{{-3 (Mini Nuke II)}}} || {{{-2 75}}} || {{{-2 4}}}[br]{{{-3 (약함)}}}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로켓 1)][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Rocket I, 한=로켓 1, 사진=Terraria/RocketI.png, 과정=ⓗ, v=1.2, ID=771, 유형=탄약, 공=40, 넉=?, 강=약함, 샷스=-)][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사이보그, 문서=NPC, h=24px)] (50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플랜테라, 문서=보스, 파생=축소)] (14.29%) (50-149)}}} 가장 기본적인 로켓.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로켓 2)][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Rocket II, 한=로켓 2, 사진=Terraria/RocketII.png, 과정=ⓗ, 희소=blue, v=1.2, ID=772, 유형=탄약, 공=40, 넉=?, 강=약함, 샷스=-)][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사이보그, 문서=NPC, h=24px)] (2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 50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br](블러드 문일 때)}}} 가장 기본적인 오브젝트 파괴 로켓.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로켓 3)][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Rocket III, 한=로켓 3, 사진=Terraria/RocketIII.png, 과정=ⓗ, 희소=blue, v=1.2, ID=773, 유형=탄약\, 재료, 공=65, 넉=?, 강=보통, 샷스=-)][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사이보그, 문서=NPC, h=24px)] (1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br](밤 / 일식일 때)}}} 로켓 1/2보다 공격력과 폭발 반경이 높아졌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로켓 4)][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Rocket IV, 한=로켓 4, 과정=ⓗ, 희소=green, v=1.2, ID=774, 유형=탄약\, 재료, 공=65, 넉=?, 강=보통, 샷스=-)][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사이보그, 문서=NPC, h=24px)] (5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br](일식일 때)}}} [[#로켓 3|로켓 3]]만큼 공격력과 폭발 반경이 높아진 데다가 오브젝트를 파괴한다. [[테라리아/무기#다이너마이트|다이너마이트]]보다 살짝 약한 파괴력을 가지고 있는데, 축포 MK2와 함께 사용할 경우 테라리아 최강의 굴착기가 된다. 축포 MK2로 쏴날린 로켓은 플레이어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므로 그냥 발밑에 계속 쏴갈기면 30초만에 일직선 [[테라리아/공략#헬레베이터|헬레베이터]]를 만들어낼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클러스터 로켓 1)][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Cluster Rocket I, 한=클러스터 로켓 1, 사진=Terraria/ClusterRocketI.png, 과정=ⓗ, v=1.4.0.1, ID=4445, 유형=탄약, 공=50, 넉=4, 강=약함, 샷스=-)][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사이보그, 문서=NPC, h=24px)] (7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 50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br]([[테라리아/이벤트#화성의 광기|화성의 광기]] 이벤트 격파 이후)}}} 폭발 시 중력의 영향을 받는 5개의 폭발성 산탄으로 분리되어 추가 대미지를 입힌다. 그러나 어찌된 영문인지 [[#눈사람 대포|눈사람 대포]]를 장비하고 발사 시 폭발성 산탄의 대미지가 들어가지 않는다. 이는 아래의 클러스터 로켓 2도 동일.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클러스터 로켓 2)][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Cluster Rocket II, 한=클러스터 로켓 2, 사진=Terraria/ClusterRocketII.png, 과정=ⓗ, v=1.4.0.1, ID=4446, 유형=탄약, 공=50, 넉=4, 강=약함, 샷스=-)][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사이보그, 문서=NPC, h=24px)] (15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br]([[테라리아/이벤트#화성의 광기|화성의 광기]] 이벤트 격파 이후 블러드 문 / 일식일 때)}}} 기존 클러스터 로켓 1에 오브젝트 파괴 능력이 추가되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마른 로켓)][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Dry Rocket, 한=마른 로켓, 사진=Terraria/DryRocket.png, 과정=ⓗ, v=1.4.0.1, ID=4459, 유형=탄약\, 재료, 공=40, 넉=4, 강=약함, 샷스=-)][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사이보그, 문서=NPC, h=24px)] (50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 하드모드 이전에 용암 낚시로 얻을 수 있는 [[테라리아/무기#액체 폭탄|액체 폭탄]]류의 로켓 버전에 해당한다. [[테라리아/도구#초강력 흡수성 스펀지|초강력 흡수성 스펀지]]마냥 물을 비롯한 액체를 없애는 효과를 지닌다. 아래 물로켓, 용암 로켓, 꿀로켓의 재료로 들어간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물 로켓)][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Wet Rocket, 한=물 로켓, 사진=Terraria/WetRocket.png, 과정=ⓗ, v=1.4.0.1, ID=4447, 유형=탄약, 공=40, 넉=4, 강=약함, 샷스=-)][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사진=DryRocket.png, 이름=마른 로켓, 문서=무기/원거리 무기, h=16px)] @ [include(틀:t캡션, 사진=Water.png, 이름=물, 문서=블록, h=16px)] / [include(틀:t캡션, 사진=MetalSink.png, 이름=개수대, 문서=가구, h=16px)]}}} 폭발 시 폭발 반경만큼의 물을 생성한다. 참고로 1.4 패치 이후로 펌프를 이용한 액체 무한증식 꼼수가 막혔다는 언급이 있는데, 아마 이를 대체하여 만들어낸 아이템이 아닐까 추측된다. 이는 아래 용암 로켓이나 꿀 로켓도 마찬가지일 듯.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용암 로켓)][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Lava Rocket, 한=용암 로켓, 사진=Terraria/LavaRocket.png, 과정=ⓗ, v=1.4.0.1, ID=4448, 유형=탄약, 공=40, 넉=4, 강=약함, 샷스=-)][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사진=DryRocket.png, 이름=마른 로켓, 문서=무기/원거리 무기,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용암, 문서=블록, h=16px)]}}} 폭발 시 폭발 반경만큼의 용암을 생성한다. [[테라리아/도구#무한의 용암 양동이|무한의 용암 양동이]] 때문에 잘 사용되지 않을 것으로 보였으나 한칸씩 붓는 용암 양동이와 달리 한꺼번에 대량의 용암을 생성하기 때문에 많은 용암이 필요하다면 오히려 상위호환이다. 게다가 용암 양동이는 용암에서 낚시할때나 낮은 확률로 획득가능하기 때문에 접근성면에서도 이쪽이 더 좋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꿀 로켓)][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Honey Rocket, 한=꿀 로켓, 사진=Terraria/HoneyRocket.png, 과정=ⓗ, v=1.4.0.1, ID=4449, 유형=탄약, 공=40, 넉=4, 강=약함, 샷스=-)][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사진=DryRocket.png, 이름=마른 로켓, 문서=무기/원거리 무기,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꿀, 문서=블록, h=16px)]}}} 폭발 시 폭발 반경만큼의 꿀을 생성한다. 가뜩이나 꿀은 용암이나 물에 비해 생성량이 한정되어 있다 보니 적어도 대동굴이나 지하세계에 널브러진 용암과는 달리 양동이나 펌프를 이용한 꼼수 등이 아니면 불리기가 불가능했으나 이 아이템의 등장으로 숨통이 트일 것으로 보인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소형 핵탄두 1)][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Mini Nuke I, 한=소형 핵탄두 1, 사진=Terraria/MiniNukeI.png, 과정=ⓗ, v=1.4.0.1, ID=4457, 유형=탄약, 공=75, 넉=4, 강=약함, 샷스=-)][include(틀:t조합)] 100개 = [include(틀:t캡션, 사진=RocketIII.png, 이름=로켓 3, 문서=무기/원거리 무기)] (100) + [include(틀:t캡션, 이름=쉬루마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br]@ [include(틀:t캡션, 이름=자동망치, 사진=Autohammer.png, 문서=블록, h=16px)]}}} 로켓 3의 강화판. [[폴아웃 시리즈]]의 [[팻 맨(폴아웃 시리즈)|팻 맨]]을 패러디한 아이템이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소형 핵탄두 2)][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Mini Nuke II, 한=소형 핵탄두 2, 사진=Terraria/MiniNukeII.png, 과정=ⓗ, v=1.4.0.1, ID=4458, 유형=탄약, 공=75, 넉=4, 강=약함, 샷스=-)][include(틀:t조합)] 100개 = [include(틀:t캡션, 이름=로켓 4, 문서=무기/원거리 무기)] (100) + [include(틀:t캡션, 이름=쉬루마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br]@ [include(틀:t캡션, 이름=자동망치, 사진=Autohammer.png, 문서=블록, h=16px)]}}} 로켓 4의 강화판. 지형을 파괴할 수 있는 로켓 중 가장 파괴력이 강하기 때문에 이론상으로는 테라리아 최강의 굴착기가 될 수 있지만 돈만 있다면 무한정 구매 가능한 로켓 4와 달리 쉬루마이트 주괴를 요구하기 때문에 가성비가 떨어진다. ==== 다트 ==== [[#취관|취관]], [[#바람총|바람총]], [[#다트 라이플|다트 라이플]] 또는 [[#다트 피스톨|다트 피스톨]]에 사용되는 탄약이다. ||<-2>
'''{{{-2 이름}}}''' || '''{{{-2 공격력}}}''' || '''{{{-2 넉백}}}''' || '''{{{-2 발사체[br]속도}}}''' || '''{{{-2 등급}}}''' || || [[파일:Terraria/독 다트.png]] || {{{-2 [[#독 다트|독 다트]]}}}[br]{{{-3 (Poison Dart)}}} || {{{-2 10}}} || {{{-2 2}}}[br]{{{-3 (매우 약함)}}} || {{{-2 2}}} || [include(틀:t등급, n=2, bg=green)] || || [[파일:Terraria/저주받은 다트.png]] || {{{-2 [[#저주받은 다트|저주받은 다트]]}}}[br]{{{-3 (Cursed Dart)}}} || {{{-2 9}}} || {{{-2 2.2}}}[br]{{{-3 (매우 약함)}}} || {{{-2 3}}} || [include(틀:t등급, n=3, bg=orange)] || || [[파일:Terraria/이코르 다트.png]] || {{{-2 [[#이코르 다트|이코르 다트]]}}}[br]{{{-3 (Ichor Dart)}}} || {{{-2 10}}} || {{{-2 2.5}}}[br]{{{-3 (매우 약함)}}} || {{{-2 3}}} || [include(틀:t등급, n=3, bg=orange)] || || [[파일:Terraria/수정 다트.png]] || {{{-2 [[#수정 다트|수정 다트]]}}}[br]{{{-3 (Crystal Dart)}}} || {{{-2 14}}} || {{{-2 3.5}}}[br]{{{-3 (약함)}}} || {{{-2 1}}} || [include(틀:t등급, n=3, bg=orange)] || ----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독 다트)][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Poison Dart, 한=독 다트, 과정=, 희소=green, v=1.2, ID=1310, 유형=탄약, 공=10, 넉=2, 강=매우 약함, 샷스=2)][include(틀:t조합)] 100개 = [include(틀:t캡션, 이름=독침, 문서=재료, h=16px)] @ 손}}} 공격 시 일정 확률로 독을 건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저주받은 다트)][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Cursed Dart, 한=저주받은 다트, 과정=ⓗ, 희소=orange, v=1.3.0.1, ID=3010, 유형=탄약, 공=9, 넉=2.2, 강=매우 약함, 샷스=3)][include(틀:t조합)] 100개 = [include(틀:t캡션, 이름=저주받은 불꽃, 문서=재료, h=16px)] @ 손}}} 발사하면 다트가 지나간 곳에 저주받은 불씨를 떨어트리고 피격한 적에게 [[테라리아/시스템#저주받은 불길|저주받은 불길]] 디버프를 건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이코르 다트)][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Ichor Dart, 한=이코르 다트, 과정=ⓗ, 희소=orange, v=1.3.0.1, ID=3011, 유형=탄약, 공=10, 넉=2.5, 강=매우 약함, 샷스=3)][include(틀:t조합)] 100개 = [include(틀:t캡션, 이름=이코르, 문서=재료, h=16px)] @ 손}}} 짧은 거리를 날아가다가 여러 개로 분열한다. 분열하기 전에 맞추면 더 큰 피해를 입힌다. 또한 명중한 대상에게 [[테라리아/시스템#이코르|이코르]] 디버프를 입힌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수정 다트)][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Crystal Dart, 한=수정 다트, 과정=ⓗ, 희소=orange, v=1.3.0.1, ID=3009, 유형=탄약, 공=14, 넉=3.5, 강=약함, 샷스=1)][include(틀:t조합)] 100개 = [include(틀:t캡션, 이름=수정 파편, 문서=재료, h=16px)] @ 손}}} 5번 튕기며, 튕길 때 다트 시점 기준으로 보이는 적들을 향해 튕겨나간다. ==== 기타 ==== ||<-2>
'''{{{-2 이름}}}''' || '''{{{-2 공격력}}}''' || '''{{{-2 넉백}}}''' || '''{{{-2 발사체[br]속도}}}''' || '''{{{-2 등급}}}''' || || [[파일:Terraria/Flare.png]] || {{{-2 [[#조명탄|조명탄]]}}}[br]{{{-3 (Flare)}}} || {{{-2 1}}} || {{{-2 1.5}}}[br]{{{-3 (극도로 약함)}}} || {{{-2 6}}}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파란 조명탄.png]] || {{{-2 [[#파란 조명탄|파란 조명탄]]}}}[br]{{{-3 (Blue Flare)}}} || {{{-2 1}}} || {{{-2 1.5}}}[br]{{{-3 (극도로 약함)}}} || {{{-2 6}}}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동굴 탐험가의 조명탄.png]] || {{{-2 [[#동굴 탐험가의 조명탄|동굴 탐험가의 조명탄]]}}}[br]{{{-3 (Spelunker Flare)}}} || {{{-2 1}}} || {{{-2 1.5}}}[br]{{{-3 (극도로 약함)}}} || {{{-2 6}}} || [include(틀:t등급, n=1, bg=blue)] || || [[파일:Terraria/저주받은 조명탄.png]] || {{{-2 [[#저주받은 조명탄|저주받은 조명탄]]}}}[br]{{{-3 (Cursed Flare)}}} || {{{-2 1}}} || {{{-2 1.5}}}[br]{{{-3 (극도로 약함)}}} || {{{-2 6}}}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쉬머 조명탄.png]] || {{{-2 [[#쉬머 조명탄|쉬머 조명탄]]}}}[br]{{{-3 (Shimmer Flare)}}} || {{{-2 1}}} || {{{-2 1.5}}}[br]{{{-3 (극도로 약함)}}} || {{{-2 6}}}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Seed.png]] || {{{-2 [[#씨앗|씨앗]]}}}[br]{{{-3 (Seed)}}} || {{{-2 4}}} || {{{-2 0}}}[br]{{{-3 (없음)}}} || {{{-2 0}}}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저주받은 조명탄.png]] || {{{-2 [[#저주받은 조명탄|저주받은 조명탄]]}}}[br]{{{-3 (Cursed Flare)}}} || {{{-2 1}}} || {{{-2 1.5}}}[br]{{{-3 (극도로 약함)}}} || {{{-2 6}}}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무지개 조명탄.png]] || {{{-2 [[#무지개 조명탄|무지개 조명탄]]}}}[br]{{{-3 (Rainbow Flare)}}} || {{{-2 1}}} || {{{-2 1.5}}}[br]{{{-3 (극도로 약함)}}} || {{{-2 6}}}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스팅어 볼트.png]] || {{{-2 [[#스팅어 볼트|스팅어 볼트]]}}}[br]{{{-3 (Stynger Bolt)}}} || {{{-2 17}}} || {{{-2 1}}}[br]{{{-3 (극도로 약함)}}} || {{{-2 2}}} || [include(틀:t등급, n=5, bg=pink)] || || [[파일:Terraria/Nail.png]] || {{{-2 [[#못|못]]}}}[br]{{{-3 (Nail)}}} || {{{-2 30}}} || {{{-2 3}}}[br]{{{-3 (매우 약함)}}} || {{{-2 6}}} || [include(틀:t등급, n=8, bg=yellow)] || || [[파일:Terraria/폭발성 잭오랜턴.png]] || {{{-2 [[#폭발성 잭오랜턴|폭발성 잭오랜턴]]}}}[br]{{{-3 (Explosive Jack 'O Lantern)}}} || {{{-2 60}}} || {{{-2 3}}}[br]{{{-3 (매우 약함)}}} || {{{-2 4}}}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CandyCorn.png]] || {{{-2 [[#캔디콘|캔디콘]]}}}[br]{{{-3 (Candy Corn)}}} || {{{-2 9}}} || {{{-2 1.5}}}[br]{{{-3 (극도로 약함)}}} || {{{-2 4}}}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파일:Terraria/Stake.png]] || {{{-2 [[#말뚝|말뚝]]}}}[br]{{{-3 (Stake)}}} || {{{-2 25}}} || {{{-2 4.5}}}[br]{{{-3 (보통)}}} || {{{-2 3}}} || [include(틀:t등급, n=0, bg=white)] || ----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조명탄)][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Flare, 한=조명탄, 사진=Terraria/Flare.png, 과정=, v=1.2, ID=931, 유형=탄약\, 재료, 공=1, 넉=1.5, 강=극도로 약함, 샷스=6)][include(틀:t보물)] 지하, 대동굴의 [[파일:Terraria/황금 상자.png|height=14px]] 황금 상자 (25-50)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상인, 문서=NPC, h=24px)] (7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br](인벤토리에 조명탄을 소지 시)}}}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파란 조명탄)][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Blue Flare, 한=파란 조명탄, 과정=, v=1.2.0.2, ID=1614, 유형=탄약, 공=1, 넉=1.5, 강=극도로 약함, 샷스=6)][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상인, 문서=NPC, h=24px)] (7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br](인벤토리에 조명탄을 소지 시)}}}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동굴 탐험가의 조명탄)][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Spelunker Flare, 한=동굴 탐험가의 조명탄, 과정=, v=1.4.4, ID=5377, 유형=탄약, 공=1, 넉=1.5, 강=극도로 약함, 샷스=6, 희소=blue)][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조명탄, 사진=Flare.png, 문서=무기/원거리 무기,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동굴 탐험가의 형광봉, 사진=SpelunkerGlowstick.png, 문서=도구, h=16px)] @ 손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해골 상인, 문서=NPC, h=24px)] (1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 50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br](달의 위상이 보름일 때 / 밤에 조명탄 총을 가지고 있을 때)}}}||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저주받은 조명탄)][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Cursed Flare, 한=저주받은 조명탄, 과정=ⓗ, v=1.4.4, ID=5378, 유형=탄약, 공=1, 넉=1.5, 강=극도로 약함, 샷스=6)][include(틀:t조합)] 33개 = [include(틀:t캡션, 이름=조명탄, 사진=Flare.png, 문서=무기/원거리 무기, h=16px)] (33) + [include(틀:t캡션, 이름=저주받은 불꽃, 문서=재료, h=16px)] @ 손}}}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무지개 조명탄)][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Rainbow Flare, 한=무지개 조명탄, 과정=ⓗ, v=1.4.4, ID=5379, 유형=탄약, 공=1, 넉=1.5, 강=극도로 약함, 샷스=6)][include(틀:t조합)] 10개 = [include(틀:t캡션, 이름=조명탄, 사진=Flare.png, 문서=무기/원거리 무기, h=16px)] (10) + [include(틀:t캡션, 이름=무지개 벽돌, 확장자=gif, 문서=블록, h=16px)] @ 손}}}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쉬머 조명탄)][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Shimmer Flare, 한=쉬머 조명탄, 과정=, v=1.4.4, ID=5380, 유형=탄약, 공=1, 넉=1.5, 강=극도로 약함, 샷스=6)][include(틀:t기타)] [[#조명탄|조명탄]]/[[#파란 조명탄|파란 조명탄]]을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 [[#조명탄 총|조명탄 총]]과 함께 사용되는 탄약. 총 6종류가 있으며 능력치는 동일하다. 적을 관통하고 불을 붙인다. 조명탄 총을 인벤토리에 소지한 뒤 [[테라리아/NPC#상인|상인]]에게 구입하거나 [[테라리아/지형#지하|지하]]의 상자에서 조명탄 총과 함께 발견된다. 동굴 탐험가의 조명탄은 발사 시 동굴 탐험가의 형광봉처럼 근처의 보물형 개체가 빛을 내게 한다. 저주받은 조명탄은 다른 조명탄과는 다르게 [[테라리아/시스템#불이야!|불이야!]]가 아닌 [[테라리아/시스템#저주받은 불길|저주받은 불길]] 디버프를 부여한다. 이외의 조명탄들은 불꽃 색깔만 다른 일반 조명탄들이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씨앗)][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Seed, 한=씨앗, 사진=Terraria/Seed.png, 과정=, v=1.0.5, ID=283, 유형=탄약, 공=4, 넉=0, 강=없음, 샷스=-)][include(틀:t채집)] 잔디[br](인벤토리에 취관 / 바람총을 소지 시)}}} [[#취관|취관]], [[#바람총|바람총]], [[#다트 라이플|다트 라이플]], [[#다트 피스톨|다트 피스톨]]과 함께 사용되는 탄약. 잔디의 잡초뿐만 아니라, [[테라리아/가구#토분|토분]]과 [[테라리아/가구#꽃병|꽃병]]의 잡초에서도 얻을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스팅어 볼트)][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Stynger Bolt, 한=스팅어 볼트, 과정=ⓗ, 희소=pink, v=1.2, ID=1261, 유형=탄약, 공=17, 넉=1, 강=극도로 약함, 샷스=2)][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골렘, 문서=보스, 파생=축소)] (14.29%) (60-99)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총포상, 문서=NPC, h=24px)] (75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br](인벤토리에 [[#스팅어|스팅어]]를 소지 시)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사진=WitchDoctor.png, 이름=주술사, 문서=NPC, h=24px)] (75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br](인벤토리에 [[#스팅어|스팅어]]를 소지 시)}}} [[#스팅어|스팅어]]에만 사용되는 유사 로켓. 적에게 명중 시 작은 폭발 파편 5개로 나누어져 추가 피해를 입힐 수 있다. 특히 보스를 상대로 효율이 좋으며 자가 피해도 없기에 근거리에서 다단히트로 높은 DPS를 뽑아낼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못)][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Nail, 한=못, 사진=Terraria/Nail.png, 과정=ⓗ, 희소=yellow, v=1.3.0.1, ID=3108, 유형=탄약, 공=30, 넉=3, 강=매우 약함, 샷스=6)][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못대가리, 문서=이벤트, h=24px)] (4% / {{{#E80 7.84%}}}) (100-200)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총포상, 문서=NPC, h=24px)] (1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br](인벤토리에 [[#네일건|네일건]]을 소지 시)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상인, 문서=NPC, h=24px)] (1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br](인벤토리에 [[#네일건|네일건]]을 소지 시)}}} [[#네일건|네일건]]에만 사용되는 유사 로켓. 네일건으로 쏴서 몬스터에게 적중시키면 20 정도밖에 안나오지만, 약 1.5초 뒤에 '''150'''이라는 미친 피해를 입히며 터진다! [[테라리아/무기/근접 무기#여명|여명]]과 비슷하지만 지속적으로 피해를 주는 여명과는 달리 여러 개를 박았을 때 박은 개수만큼의 피해량을 입히는 것이다. 만약 몹에 못이 박힌 채로 죽으면 그 못이 소멸되는게 아니고 다른 방향으로 튀어서 다시 붙은 다음에 터진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폭발성 잭오랜턴)][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Explosive Jack 'O Lantern, 한=폭발성 잭오랜턴, 과정=ⓗ, v=1.2.1, ID=1785, 유형=탄약, 공=60, 넉=3, 강=매우 약함, 샷스=4)][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펌킹, 문서=이벤트, 파생=축소)] (1.56-12.5% / {{{#E80 6.25-12.5%}}}) (25-50)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총포상, 문서=NPC, h=24px)] (15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br](인벤토리에 [[#잭오랜턴 발사기|잭오랜턴 발사기]]를 소지 시)}}} [[#잭오랜턴 발사기|잭오랜턴 발사기]]에만 사용되는 유사 로켓.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캔디콘)][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Candy Corn, 한=캔디콘, 사진=Terraria/CandyCorn.png, 과정=ⓗ, v=1.2.1, ID=1783, 유형=탄약, 공=9, 넉=1.5, 강=극도로 약함, 샷스=4)][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펌킹, 문서=이벤트, 파생=축소)] (1.56-12.5% / {{{#E80 6.25-12.5%}}}) (50-100)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총포상, 문서=NPC, h=24px)] (5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br](인벤토리에 [[#캔디콘 소총|캔디콘 소총]]을 소지 시)}}} [[#캔디콘 소총|캔디콘 소총]]에만 사용되는 유사 총알. [[테라리아/버전#1.2.1|1.2.1]] 할로윈 업데이트로 새로 추가되었다. 중력의 영향을 받고, 벽에 박으면 튀어오른다. 테라리아에서 유일하게 먹을 수 없는 음식이기도 하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말뚝)][include(틀:t인포박스/탄약, 영=Stake, 한=말뚝, 사진=Terraria/Stake.png, 과정=ⓗ, v=1.2.1, ID=1836, 유형=탄약, 공=25, 넉=4.5, 샷스=3)][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사진=MourningWood(R).png, 이름=탄식하는 나무, 문서=이벤트)] (2-20% / {{{#E80 5-20%}}}) (30-60)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총포상, 문서=NPC, h=24px)] (15 [[파일:Terraria/CopperCoin.png]])[br](인벤토리에 [[#말뚝 발사기|말뚝 발사기]]를 소지 시)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주술사, 사진=WitchDoctor.png, 문서=NPC, h=24px)] (15 [[파일:Terraria/CopperCoin.png]])[br](인벤토리에 [[#말뚝 발사기|말뚝 발사기]]를 소지 시)}}} [[#말뚝 발사기|말뚝 발사기]]에만 사용되는 유사 화살로, [[테라리아/이벤트#일식|일식]] 이벤트로 등장하는 [[흡혈귀]]는 이 말뚝 탄에 맞으면 네 자리수 피해량을 입으며 즉사한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테라리아/무기,version=2891)]